KR20200092099A -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099A
KR20200092099A KR1020190009234A KR20190009234A KR20200092099A KR 20200092099 A KR20200092099 A KR 20200092099A KR 1020190009234 A KR1020190009234 A KR 1020190009234A KR 20190009234 A KR20190009234 A KR 20190009234A KR 20200092099 A KR20200092099 A KR 2020009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particles
lithium
ion
composite membran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환
최원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099A/ko
Priority to US16/743,489 priority patent/US11532852B2/en
Publication of KR2020009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J5/224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btained by introduction of active groups capable of ion-exchange into compounds of the type C08J5/2231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01M2/1653
    • H01M2/1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복수의 관통홀(through hole)을 갖는 유기막; 및 상기 관통홀에 배치된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막이며,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각각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 또는 돌출된 돌출부를 하나 이상 갖는, 복합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Composite membran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공기 전지는 리튬 이온의 흡장/방출이 가능한 음극과 공기 중의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하여 산소의 산화 환원 촉매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리튬 이온 전도성 매체를 구비한다.
리튬 공기 전지의 이론 에너지 밀도는 3000Wh/kg 이상이며, 이는 리튬 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매우 높다. 또한, 리튬 공기 전지는 친환경적이며, 리튬 이온 전지보다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리튬 공기 전지는 일반적인 리튬 이온 전지와 달리, 양극이 개방 구조가 되어, 산소가 반응하고, 음극에서 리튬이 반응하는 바, 산소에 따른 부반응을 억제하면서도 이온 전도성이 우수한 산소 차단막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이 이러한 산소 차단막 재료로 사용된 바 있으나, 공정 비용이 크고, 대면적화가 어려우며, 산소 차단막 형상에 제약이 있고, 기계적 강도가 약해 쉽게 부서지며, 중량 또는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이온 전도도가 균일하고 우수하면서도,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산소 차단막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한 측면은 신규한 복합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 측면은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리튬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 따라,
복수의 관통홀(through hole)을 갖는 유기막; 및 상기 관통홀에 배치된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막이며,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각각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 또는 돌출된 돌출부를 하나 이상 갖는, 복합막이 제공된다.
다른 한 측면에 따라,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리튬전지가 제공된다.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합막은,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에 만입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함께 복합막을 형성하는 유기막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합막의 기계적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리튬전지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향상되어, 용량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비정형의 무기 입자가 배치된 복합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배치된 복합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을 채용한 리튬공기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을 채용한 전고체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전지의 개략적도이다.
도 8은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복합막의 SEM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막의 SEM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Universal Test Machine (Intron 5565)을 사용하여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및 신율(yield strain)을 측정한 결과의 일부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창의적 사상(present inventive concept)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창의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창의적 사상의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창의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성분, 재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나타내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성분, 재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는 상황에 따라 "및"으로 해석될 수도 있고 "또는"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여러 구성요소,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직경, 길이, 두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나, 이는 발명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생략된 구성요소를 배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복합막과 이를 포함한 리튬전지 및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합막은 복수의 관통홀(through hole)을 갖는 유기막; 및 상기 관통홀에 배치된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막이며,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각각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 또는 돌출된 돌출부를 하나 이상 갖는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복합막의 전면부터 후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복합막의 양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표면에 노출된 구조를 가지면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가 확보되어 복합막의 전도성 개선에 유리하다.
종래의 리튬 공기전지에서는 세라믹 물질막을 이용하여 이온 전도 및 산소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세라믹 물질막은 중량이 크고 대면적화가 어렵고 막의 형상에 제약이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쉽게 부서지는 현상과 같이 기계적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막의 중량 또는 두께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어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기막(12, 22) 중 무기 입자(11, 21)을 포함한 유무기 복합막(10, 20)의 구성을 통해, 경량화를 구현하였다. 도 1은 종래 비정형의 무기 입자가 배치된 복합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종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배치된 복합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그러나 도 1의 경우, 무정형의 무기 입자(11)로 인해, 복합막(10) 중 부분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지점들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 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관통홀(23)에 배치된 무기 입자(21)와 유기막(22)의 접촉 면적이 크지 않는 등의 문제로 무기 입자(21)와 유기막(22)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복합막(20)의 인장 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복합막의 강도의 저하는 복합막을 채용한 전지의 특성 저하로 이어졌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만입부" 또는 "돌출부"를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만입부" 또는 "돌출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막(30)은 복수의 관통홀(33)을 갖는 유기막(32); 및 상기 관통홀(33)에 배치된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는 각각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32)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31a) 또는 돌출된 돌출부(31b)를 하나 이상 갖는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를 포함함으로써, 유기막(32)과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와의 결합 면적을 확대하여, 유기막(32)과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복합막(30)은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가 복합막(30)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 이온이 통과하는 경로가 마련되어 이온 전도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종래의 세라믹 물질막과 비교하여 박막화가 가능하여 저항이 감소되고 경량화 및 대면적화가 가능하다. 이 밖에도 복합막(30)은 유기막(32)의 존재로 유연성이 우수하여 원하는 바대로 가공할 수 있어 자유로운 셀 디자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일 구현예에 따라 복합막(30)이 유기막(32) 중 수분 또는 습기 및 산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분 또는 습기 및 기체를 차단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막(30)은 종래의 세라믹 물질막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복합막(30)을 채용하면 대면적화, 박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제조공정이 간편하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막(30)을 이용하면 수명이 개선된 리튬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막은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노출된 제1면 및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을 가지며,
상기 만입부 또는 돌출부는 상기 제1면에서부터 제2면까지 연속적(continuous)이거나, 불연속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제1면"은 도 3에서 복합막(30)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가 노출된 면을 말하며 용어 "제2면"은 복합막 (30)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가 노출된 면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구조의 이해를 위해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막(30)은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가 노출된 제1면(30a) 및 제1면(30a)에 대향된 제2면(30b)을 가지며,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는 상기 제1면(30a)에서부터 제2면(30b)까지 연속적인 구조를 갖는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속적"인 구조는 복합막의 제1면(30a)에서부터 복합막의 제2면(30b)까지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진 단일층 구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불연속적"인 구조의 이해를 위해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막(30)은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가 노출된 제1면(30a) 및 제1면(30a)에 대향된 제2면(30b)을 가지며,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는 상기 제1면(30a)에서부터 제2면(30b)까지 불연속적인 구조를 갖는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연속적"인 구조는 복합막의 제1면(30a)에서부터 복합막의 제2면(30b)까지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적어도 일 부분 이상 단절된 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상기와 같이 불연속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표면에 복수의 기공을 갖는 표면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31b)는 불연속적인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복수의 기공(31c)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복합막의 표면은 연속적인 유기막 내에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해도(sea-island)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막의 단면 (cross section)은 유기막과 이온전도성 무기 입자가 교대로 정렬된 구조(alternately aligned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 내에 매립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단일층(monolayer)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입자간 경계가 없는 단일 입자 상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가 관찰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유기막은 비다공성 특성을 갖고 있는 치밀한 막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에서 유기막은 호모중합체, 블록공중합체 및 랜덤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막일 수 있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은 복합막(30)을 관통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복합막(30)의 양쪽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관통홀(33)의 크기는 복합막의 제조과정에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의 크기에 맞게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는 각각 배치된 관통홀(3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합막을 리튬공기전지의 수분 또는 산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 투과 방지막으로 이용하는 경우, 이온(예: 리튬 이온)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 (31)로 이루어진 이온 전도성 영역을 통과하고, 산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 또는 수분은 유기막(32)에 의하여 차단된다. 여기에서 유기막(32)은 수분이나 산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은 리튬공기전지의 기체 투과 방지막,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보호막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에서 용어 "기체"는 산소, 이산화탄소, 수분 및 습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은 복합막(30)의 표면에서 노출되어 있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의 노출 면적은 복합막(30) 총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 예를 들어 40 내지 70%이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가 상술한 노출 면적 범위를 가질 때 이온 전도도가 우수한 복합막(30)을 얻을 수 있다.
복합막(30)에서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의 두께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의 형상에 상관없이 입자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의 높이 차이를 지칭하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와 유기막(32)이 동일한 두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와 유기막(32)이 동일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복합막(30)을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하여 결합하기가 용이하며 결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의하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와 유기막(32)은 동일하지 않은 두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기막(32)의 두께는 약 90㎛이고,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의 두께는 약 95㎛ 이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는 이온 전도성 영역을 형성하며, 유기막(32)은 비이온 전도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영역과 비이온 전도성 영역은 각각 막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이중 연속 구조(bicontinuous structure)를 갖는다.
용어 "이중 연속 구조(bicontinuous structure)"는 1개 이상의 이온 전도성 영역인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와 1개 이상의 비이온 전도성 영역인 유기막이 접촉되어 상호 연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무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은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입자간 경계가 없는 단일 입자 상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는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상면 및 하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과 하면의 형태와 표면적이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과 하면의 표면적이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들은 모두 동일한 상면 또는 하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기 입자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고밀도 패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에서, 기판 상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보다 간소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예를 들어 원형(circular shape), 삼각형(triangular shape), 준삼각형(quasi-triangular shape), 반원을 갖는 삼각형 타입(triangular shape with semi-circles), 하나 이상의 라운드 모서리를 갖는 삼각형(triangular shape with one or more rounded corners), 각형(square shape), 사각형(rectangular shape), 반원을 갖는 사각형(rectangular shape with semi-circles), 다각형(polygonal shape)와 같은 수직(vertical) 및 수평(horizontal) 단면적 형태(cross-sectional shapes)을 가질 수 있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예를 들어 큐브형, 구형, 원형, 타원형, 로드, 스틱형, 테트라헤드랄형, 피라미드형, 옥타헤드랄형, 실린더형, 다각형 필라형, 다각형 필라 유사형(polygonal pillar-like shape), 원뿔형(conical shape), 원주형(columnar shape), 관형(tubular shape), 나선형(helical shape), 깔대기형(funnel shape), 덴드라이트형(dendritic shape), 막대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크기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형상이 구형인 경우에는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길이가 긴 축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만입부(31a)의 만입 길이(a) 또는 상기 돌출부(31b)의 돌출 길이(b)는 상기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의 평균 입경을 기준으로 10 내지 50%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만입부의 만입 길이 또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가 상기 만입부 또는 돌출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을 기준으로 10% 미만일 경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와 유기막 간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아, 본 발명의 소망하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와 유기막 간의 결합력 향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반면에 50%를 초과할 경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구조 안정성이 저하되며, 복합막을 관통하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부피가 감소하여 이온 전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31)는 각각 복수의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만입부(31a) 또는 돌출부(31b)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입부(31a)가 배치되는 면적은 만입부(31a)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A)을 기준으로 5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b)가 배치되는 면적은 돌출부(31b)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A)을 기준으로 5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상기 만입부가 배치되는 면적이 만입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30%를 초과할 경우, 무기 입자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온 전도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 있다. 상기 돌출부의 경우 돌출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배치 면적이 크더라도, 이웃하는 유기막과의 결합력이 좋아지고, 무기 입자의 구조적 안정성이 문제되지는 않지만, 총 면적을 기준으로 50%를 초과하여 배치될 경우, 돌출부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이 오히려 만입부로 기능하여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만입부 또는 돌출부가 배치되는 면적이 만입부 또는 돌출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5% 미만일 경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와 유기막 간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아, 본 발명의 소망하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와 유기막 간의 결합력 향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함량은 복합막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90 중량부, 예를 들어 20 내지 80 중량부이다.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이온 전도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복합막을 얻을 수 있다.
일 구현예를 따르면,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유리질(glassy)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비정질(amorphous)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세라믹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및 유리-세라믹(glass-ceramic)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를 따르면,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NASICON(Na1 + xZr2SixP3 -xO12, 0<x<3), Li1 +x+ yAlxTi2 - xSiyP3 - yO12 (0<x<2, 0≤y<3), BaTiO3,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O≤x<1, O≤y<1),Pb(Mg3Nb2/3)O3-PbTiO3(PMN-PT), HfO2, SrTiO3, SnO2, CeO2, Na2O, MgO, NiO, CaO, B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O2, SiC,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0<x<2,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 (LixAlyTiz(PO4)3, 0<x<2, 0<y<1, 0<z<3), Li1+x+y(Al, Ga)x(Ti, Ge)2-xSiyP3-yO12(O≤x≤1, O≤y≤1),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x<2, 0<y<3), 리튬게르마늄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x<4, 0<y<1, 0<z<1, 0<w<5), 리튬나이트라이드계열 글래스(LixNy, 0<x<4, 0<y<2), SiS2(LixSiySz, 0<x<3,0<y<2, 0<z<4), P2S5 계열 글래스(LixPySz, 0<x<3, 0<y<3, 0<z<7), Li2O, LiF, LiOH, Li2CO3, LiAlO2, Li2O-Al2O3-SiO2-P2O5-TiO2-GeO2계 세라믹스, 가넷(Garnet)계 세라믹스 Li3+xLa3M2O12(M = Te, Nb, 또는 Zr)(x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상기 가넷계 세라믹스는 예를 들어 Li7La3Zr2O12 등이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자 간 경계가 없어 이러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복합막은 저항이 작은 리튬이온 전도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리튬 이온의 전도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해져 리튬 이온의 전도도 및 리튬 이온 전달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무기 입자로만 이루어진 막에 비하여 유연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입자간 경계가 없는 단일 입자 상태라는 것은 전자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00㎛, 1 내지 300㎛, 예를 들어 1 내지 200㎛, 구체적으로 1 내지 150㎛이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일 때 복합막 제조시 연마 등을 통하여 그레인 바운더리가 없는 단일입자 상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복합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균일한 크기를 갖고 복합막 내에서 균일한 크기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D50이 110 내지 130 ㎛이고, D90이 180 내지 200 ㎛이다. D10이 60 내지 80 ㎛이다. 여기에서 용어 D50, D10 및 D90은 각각 적산 분포 곡선(cumulative distribution curve)에서 50 체적%, 10 체적% 및 90 체적%를 각각 나타내는 입자 사이즈(입경)을 말한다.
복합막 중 유기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는 유기막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고분자가 산소 및 수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차단하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고분자라면 유기막은 예를 들어 음극 부식성 가스(anode corrosive gases)를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음극 부식성 가스로는 수증기, 이산화탄소, 산소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막은 산소 투과 방지막(oxygen barrier membrane), 수분 차단막(moisture blocking membrane) 또는 이산화탄소 투과 방지막(carbon dioxide barrier membran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체 및 수분 또는 습기를 차단하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중합가능한 비수용성 플로팅 화합물의 중합 반응으로 얻어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중합가능한 비수용성 플로팅 화합물은 물에 뜨는 특성을 갖고 있고 비휘발 및 비수용 특성을 보유하는 중합성 유기 모노머이며, 중합 가능한 작용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이다. 여기에서 중합은 공중합 및 가교를 모두 포함한다. 중합가능한 비수용성 플로팅 화합물은 예를 들어 i)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와 다관능성 비닐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모노머 또는 ii)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와 다관능성 비닐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모노머와 3개 또는 4개의 티올기를 갖는 폴리티올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술한 플로팅 화합물은 소수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는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neopentyl glycol diacrylate), 3'-아크릴옥시-2', 2'-디메틸프로필 3-아크릴옥시-2,2-디메틸프로피오네이트(3'-acryloxy-2',2'-dimethylpropyl 3-acryloxy-2,2-dimethylpropionate) 및 비스페놀 A 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diacrylat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다관능성 비닐계 모노머의 예는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트리온(1,3,5-triallyl-1,3,5-triazine-2,4,6-trione), 3-메타크릴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티올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Trimethylolpropane tris(3-mercaptopropionate)}, 4-메르캅토메틸-3,6-디티아-1,8-옥탄디티올 (4-mercaptomethyl-3,6-dithia-1,8-octanedithiol)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2-mercaptoacet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유기막은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트리온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중합가능한 비수용성 플로팅 화합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0.0001 내지 0.025 g/l 이다. 상기 중합 가능한 비수용성 플로팅 화합물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인 경우 이 화합물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약 0.00369 g/l이고, 중합 가능한 비수용성 플로팅 화합물이 TTT인 경우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0.001g/l,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인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0.0201 g/l이다.
다른 일구현예에 따르면, 복합막은 리튬 황 이차 전지, 수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와 같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보호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복합막은 양극 및 음극 전해질을 분리하여 리튬 이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신규 소재의 채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활용 가능하다.
복합막이 리튬 황 이차 전지 또는 수계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보호막으로 사용될 때 유기막은 비이온 전도성 영역을 형성한다.
복합막에서 유기막의 함량은 복합막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80 중량부, 예를 들어 50 내지 80 중량부이다. 유기막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복합막의 성막성이 저하됨이 없이 리튬 이온 전도도, 유연성 및 기체차단성이 우수한 복합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만 내지 30만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일 때 성막성이 저하됨이 없이 이온전도도와 수분 및 기체차단 특성이 우수한 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복합막은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고밀도로 함유되어 있어 복합막의 저항은 매우 작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막은 중량이 5 내지 20 mg/cm2, 예를 들어 11 내지 16 mg/cm2 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복합막을 이용하면 박막화 및 경량화된 전지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복합막의 두께는 10 내지 200㎛, 예를 들어 70 내지 100㎛이다. 이러한 두께 범위를 갖는 경우 복합막의 이온 전도도 및 수분과 기체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일 구현예를 따르면, 상기 복합막은 접을 수 있는(foldable) 유연성 막이다. 상기 복합막이 유연성을 가짐에 의하여 상기 복합막은 접지 셀(folding cell)에 적용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를 따르면, 상기 복합막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가 1MPa 이상, 2 MPa 이상, 3 MPa 이상, 4 MPa 이상, 5 MPa 이상, 6 MPa 이상, 7 MPa 이상, 또는 8 MPa 이상이다. 상기 복합막이 이러한 증가된 인장 강도를 가짐에 의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막은 신율(yield strain)이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이다. 상기 복합막이 이러한 향상된 신율을 가짐에 의하여 유연성을 가지며 휘어지거나 접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를 따르면, 상기 복합막에서 복수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노출면적이 복합막 총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술한 복합막을 포함하는 리튬전지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전지는 리튬공기전지이다. 리튬공기전지는 음극, 복합막 및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하는 양극;을 구비한다.
리튬공기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로서 수계 전해질 또는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한다.
전해질로서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반응 메커니즘을 가진다.
<반응식 1>
4Li + O2 → 2Li2O E o =2.91V
2Li + O2 → Li2O2 E o =3.10V
방전시 음극으로부터 유래되는 리튬이 양극으로부터 도입되는 산소와 만나 리튬산화물이 생성되며 산소는 환원된다. 또한, 반대로 충전시 리튬 산화물이 환원되고, 산소가 산화된다.
리튬공기전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코인형, 버튼형, 시트형, 적층형, 원통형, 편평형, 뿔형 등이다. 또한 전기자동차 등에 이용하는 대형 전지에도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튬공기전지(50)에서 산소를 활물질로 하는 양극(57)과 기재(52) 상부에 형성된 음극(53) 사이에 상술한 복합막(55)이 배치된다. 음극(53)과 복합막(55) 사이에 전해질(54)이 배치된다. 음극(53), 전해질(54) 및 복합막(55)은 보호 음극을 구성한다. 전해질(54)은 리튬 이온 전도성이 우수하면서 음극(53)과 조합시 단위 면적 당 저항이 작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공지전지(50)에서 음극(53)과 전해질(54) 사이 또는 전해질(54)과 복합막(55) 사이에는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막(미도시) 또는 세퍼레이터(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양극(57)은 집전체를 포함하며, 집전체 상에는 공기가 양극(57)에 전달될 수 있는 누름부재(59)가 배치된다. 또한, 양극(57)과 음극(53)을 내장하는 절연수지 재질의 케이스(51)가 개재된다. 공기는 공기 주입구(58a)로 공급되어 공기 배출구(58b)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공기(air)"는 대기 공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의 조합, 또는 순수 산소 가스를 포함한다. 복합막(55)과 양극(57) 사이에는 전해질(56)이 배치된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공지전지(50)에서 양극(57)과 전해질(56) 사이 또는 전해질(56)과 복합막(55) 사이에는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막(미도시) 또는 세퍼레이터(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복합막(55)은 음극(53)의 리튬을 전해질로(54)부터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수행하도록 음극(33)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복합막(55)은 단층 또는 다층막이다.
전해질(54, 56)은 예를 들어 고분자 고체 전해질이다. 고분자 고체 전해질은 리튬염이 도핑된 폴리 에틸렌옥사이드로서, 리튬염은 예를 들어 LiBF4, LiPF6,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N(SO2CF3)2, LiN(SO2C2F5)2, LiC(SO2CF3)3, LiN(SO2F)2, LiC4F9SO3, LiAlCl4 등이다.
다르게는, 전해질(54, 56)은 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이다. 용매는 비양자성 용매 및 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비양자성 용매는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아민계 또는 포스핀계 용매를 이다. 카보네이트계 용매는 예를 들어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다. 에스테르계 용매는 예를 들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터트부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등이다. 에테르계 용매는 예를 들어 디부틸 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케톤계 용매로는 시클로헥사논 등이다. 또한 아민계 용매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트리페닐아민 등이다. 포스핀계 용매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포스핀 등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양성자성 용매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비양성자성 용매는 예를 들어 R-CN(R은 탄소수 2 내지 3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음)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류 설포란(sulfolane)류 등이다.
비양성자성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르게는, 전해질(54, 56)은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다. 이온성 액체는 예를 들어 직쇄상, 분지상 치환된 암모늄, 이미다졸륨, 피롤리디늄, 피페리디늄 양이온과 PF6 -, BF4 -, CF3SO3 -, (CF3SO2)2N-, (C2F5SO2)2N-, (FSO2)2N-, (CN)2N- 등의 음이온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예시적인 하나의 전해질(54, 56)은 일부 또는 모두가 양극 또는 음극에 함침된다.
다르게는, 전해질(54, 56)은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막이다.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막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도성 글래스,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세라믹 또는 글래스-세라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무기 물질이다. 화학적 안정성을 고려하면,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막은 산화물을 포함한다.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막이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을 다량 포함하는 경우 높은 이온 전도도가 얻어지므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의 함량은 고체 전해질막 전체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중량% 이상, 55중량% 이상, 또는 60중량% 이상이다.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은 예를 들어 Li3N, LISICON류, La0.55Li0.35TiO3 등의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가지는 결정, NASICON형 구조를 가지는 LiTi2P3O12, 또는 이들 결정을 석출시키는 글래스-세라믹 등이다.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은 예를 들어, Li1+x+y(Al, Ga)x(Ti, Ge)2-xSiyP3-yO12 (단, O≤x≤1, O≤y≤1이며, 예를 들어 0≤x≤0.4, 0<y≤0.6이고, 또는 0.1≤x≤0.3, 0.1<y≤0.4임)이다.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이,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기 위해서는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은 이온 전도를 방행하지 않은 결정립계(grain boundary)를 갖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글래스-세라믹은 이온 전도를 방해하는 기공이나 결정립계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온 전도성이 높고, 아울러,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가진다. 리튬 이온 전도성 글래스-세라믹은 예를 들어, 리튬-알루미늄-게르마늄-인산염(LAGP), 리튬-알루미늄-티타늄-인산염(LATP), 리튬-알루미늄-티타늄-실리콘-인산염(LATSP) 등이다. 예를 들어, 모글래스가 Li2O-Al2O3-TiO2-SiO2-P2O5계 조성을 가지며, 상기 모글래스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경우, 이 때의 주결정상은 Li1+x+yAlxTi2-xSiyP3-yO12 (0≤x≤2, 0≤y≤3)이 되며, 이때, x 및 y로서는 예를 들어 0≤x≤0.4, 또는 0<y≤0.6, 또는 0.1≤x≤0.3, 0.1<y≤0.4이다. 이온 전도를 방해하는 구멍이나 결정립계란,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을 포함하는 무기 물질 전체의 전도도를, 상기 무기 물질 중의 리튬 이온 전도성 결정 그 자체의 전도도에 대해 1/10 이하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구멍이나 결정립계 등의 이온 전도성 저해 물질을 의미한다.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양극(57)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다공성이다. 따라서, 도전성 재료로서 다공성 및 도전성을 갖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한다.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다공성을 갖는 탄소계 도전성 재료이다. 이와 같은 탄소계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류, 그래파이트류, 그라펜류, 활성탄류, 탄소섬유류 등이다.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금속 섬유, 금속 메쉬 등의 금속성 도전성 재료이다. 또한, 금속성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구리, 은,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분말이다. 또한,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유기 도전성 재료이다. 이러한 도전성 재료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예시적인 하나의 양극(57)에는 산소의 산화/환원을 위한 촉매가 첨가되며, 이러한 촉매는 백금, 금, 은, 팔라듐, 루테늄, 로듐, 오스뮴과 같은 귀금속계 촉매, 망간산화물, 철산화물, 코발트산화물, 니켈산화물 등과 같은 산화물계 촉매, 또는 코발트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유기 금속계 촉매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산소의 산화/환원 촉매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예시적인 하나의 촉매는 담체에 담지된다. 담체는 예를 들어 산화물, 제올라이트, 점토계 광물, 카본 등이다. 산화물은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지르코늄, 이산화티탄 등의 산화물이다. 산화물은 예를 들어 Ce, Pr, Sm, Eu, Tb, Tm, Yb, Sb, Bi, V, Cr, Mn, Fe, Co, Ni, Cu, Nb, Mo 및 W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한다. 카본은 예를 들어 케첸블랙, 아세틸렌 블랙, 태널 블랙, 램프 블랙 등의 카본 블랙류,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등의 흑연류, 활성탄류, 탄소 섬유류 등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담체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시적인 하나의 양극(57)은 바인더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바인더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바인더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니리덴-펜타플루오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제 등의 단독 또는 혼합물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바인더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양극(57)은 예를 들어 상기 산소 산화/환원 촉매, 도전성 재료 및 바인더를 혼합한 후 적당한 용매를 첨가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집전체 표면에 도포 및 건조하거나, 선택적으로 전극밀도의 향상을 위하여 집전체에 압축 성형하여 제조한다. 또한, 상기 양극은 선택적으로 리튬산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산소 산화/환원 촉매는 생략 가능하다.
집전체는 산소의 확산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망상 또는 메시모양 등의 다공체를 사용하며, 스테인레스강, 니켈, 알루미늄 등의 다공성 금속판을 사용하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집전체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시적인 하나의 집전체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산화성의 금속 또는 합금 피막으로 피복된다.
리튬공기전지(50)의 음극(53)으로서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은 Li 금속, Li 금속 기반의 합금 또는 Li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물질 함유 전극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음극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리튬을 포함하거나 리튬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음극(53)이 리튬공기전지(50)의 용량을 결정한다. 음극(53)은 예를 들어 리튬 금속 박막이다. 리튬 금속 기반의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주석, 마그네슘, 인듐, 칼슘, 티타늄, 바나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리튬의 합금이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공기전지(50)에서 양극(57)과 음극(53) 사이에 세퍼레이터(미도시)가 배치된다. 세퍼레이터는 리튬공기전지의 사용 범위에 견딜 수 있는 조성이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소재의 부직포 등의 고분자 부직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의 다공성 필름이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한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전지는 전고체전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극(61), 양극(63), 그리고 음극(61) 및 양극(63) 사이에 있는 전해질층(62)을 포함한다.
음극(61)이 금속 리튬일 때, 예를 들어 상기 복합막이 양극(63) 및/또는 전해질(62)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양극(63)은 양극활물질, 상기 복합막, 전도성 물질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상태 리튬 전지에 적합한 양극활물질은 전형적으로 매우 Li 전도성이고 금속 리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양극활물질은 이온 비전도성이지만 전자 전도성일 수 있다.
음극(61)은 음극활물질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복합막, 전도성 물질, 및 바인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활물질의 예들은 금속 리튬, 금속 활물질, 및 탄소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 활물질의 예들은 In, Al, Si, 및 Sn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 활물질의 예들은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MCMB), 고방향성 그래파이트(HOPG), 하드 카본 및 소프트 카본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활물질에 사용되는 전도성 물질 및 바인더는 상기 양극에 함유된 것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음극 집전체 물질은 구리, 니켈 및 카본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전지는 리튬 황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다. 리튬전지는 예를 들어 리튬 금속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튬이온전지(71)는 양극(73), 음극(72) 및 세퍼레이터(74)를 포함한다. 양극(73), 음극(72) 및 세퍼레이터(74)가 와인딩되거나 접혀서 전지 케이스(75)에 수용된다. 이어서, 전지 케이스(75)에 유기전해액이 주입되고 캡(cap) 어셈블리(76)로 밀봉되어 리튬이온전지(71)가 완성된다. 전지 케이스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형이거나, 예를 들어 각형, 박막형 등이다. 리튬전지는 예를 들어 박막 전지이다.
양극(73) 및 음극(72) 사이에 세퍼레이터(74)가 배치되어 전지 구조체가 형성되고, 전지 구조체가 바이셀 구조로 적층된 다음, 유기 전해액에 함침되고, 얻어진 결과물이 파우치에 수용되어 밀봉되면 파우치 타입의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가 완성된다.
예시적인 하나의 리튬이온전지(71)에서 음극(72) 예를 들어 리튬 금속 음극의 적어도 일면 상에 상술한 복합막(미도시)이 배치되어 음극을 보호한다.
리튬 황 전지에서 음극의 음극 활물질로서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인탄소 물질,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리튬 함유 화합물을 가역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리튬 합금을 사용한다.
탄소 물질은 리튬 황 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은 예를 들어 산화 주석(SnO2), 티타늄 나이트레이트, 실리콘(Si) 등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튬 합금은 예를 들어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합금이다.
리튬 황 전지에서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황 원소(elemental sulfur, S8),황 원소 함유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황 원소 함유 화합물은 예를 들어 Li2Sn(n≥1), 캐솔라이트(catholyte)에 용해된 Li2Sn(n≥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 x= 2.5 내지 50, n≥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리튬 이온 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이다.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망간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산화물, 리튬철인산화물, 및 리튬망간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양극활물질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양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화학식 LiCoO2의 리튬 코발트 산화물; 화학식 LiNiO2의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또는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화학식 Li2CuO2의 리튬동 산화물; 화학식 LiFe3O4의 리튬 철 산화물; 화학식 LiV3O8의 리튬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Cu2V2O7의 동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V2O5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 1-xMxO2(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의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 2-x MxO2(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여기서, M=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 LiMn2O4의 Li 일부가 알칼리 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리튬 망간 산화물; 디설파이드 화합물; 화학식 Fe2(MoO4)3의 철 몰리브덴 산화물 등이다.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탄소계 재료,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계 합금, 실리콘-탄소계 재료 복합체, 주석, 주석계 합금, 주석-탄소 복합체, 금속 산화물 또는 그 조합이다. 탄소계 재료는 예를 들어 탄소, 흑연 또는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Si, SiOx(0 <x <2, 예를 들어 0.5 내지 1.5), Sn, SnO2, 또는 실리콘 함유 금속 합금 및 이들이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실리콘 함유 금속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은 예를 들어 Al, Sn, Ag, Fe, Bi, Mg, Zn, in, Ge, Pb 및 Ti 중에서 하나 이상이다.
음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과 합금 가능한 금속/준금속, 이들의 합금 또는 이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과 합금 가능한 금속/준금속, 이들의 합금 또는 이의 산화물은 Si, Sn, Al, Ge, Pb, Bi, SbSi-Y 합금(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 원소이며, Si는 아님), Sn-Y 합금(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 원소이며, Sn은 아님), MnOx(0 < x ≤ 2) 등일 수 있다. 상기 원소 Y로는 Mg, Ca, Sr, Ba, Ra, Sc, Y, Ti, Zr, Hf, Rf, V, Nb, Ta, Db, Cr, Mo, W, Sg, Tc, Re, Bh, Fe, Pb, Ru, Os, Hs, Rh,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l, Ge, P, As, Sb, Bi, S, Se, Te, Po,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리튬과 합금가능한 금속/준금속의 산화물은 예를 들어 리튬 티탄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SnO2, SiOx(0<x<2) 등이다.
예시적인 하나의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원소 주기율표의 13족 원소, 14족 원소 및 15족 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Si, Ge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하나의 음극활물질은 상술한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함유 금속 합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탄소계 재료의 혼합물 또는 상술한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함유 금속 합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탄소계 재료의 복합체이다.
음극활물질의 형태는 예를 들어 단순한 입자 형태이거나, 나노크기의 형태를 가지는 나노구조체이다. 예를 들어, 음극활물질은 나노입자, 나노와이어, 나노로드, 나노튜브, 나노벨트 등의 다양한 나노구조 크기의 형태를 가진다.
양극과 음극에 존재하는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2층 세퍼레이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3층 세퍼레이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3층 세퍼레이타 등과 같은 혼합 다층막이다.
리튬 이온 전지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은 유기 용매와 리튬염을 포함한다.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벤젠, 플루오로벤젠,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톨루엔, 크실렌, 사이클로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사이클로헥사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디메톡시에탄, 1,3-디옥솔란, 디글라임, 테트라글라임,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및 설포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이다.
리튬염은 예를 들어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LiBF4), 리튬 헥사플루오로아제네이트(LiAsF6), 리튬 퍼클로레이트(LiClO4), 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LiSO3CF3),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폰이미드 lithium bis (trifluoromethylsulfonyl) imide (LiN(SO2CF3)2), 리튬 비스(퍼플루오로에틸술포닐)이미드(LiN(SO2C2F5)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리튬염이다.
전해액에서, 리튬염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내지 5M, 또는 0.1 내지 2.0M이다.
상술한 리튬 황 전지,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리튬전지는 리튬 음극을 보호하여 리튬 음극과 전해액의 부반응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 전도성이 개선됨에 의하여 전도도 및 수명 특성이 개선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술한 복합막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종래에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분쇄하여 미립자 형태로 제조한 뒤 이를 배치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무기 입자의 형태 및 크기가 랜덤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표면을 연마하여 주상형 형태로 제조하더라도, 불균일한 입자 간격들로 인하여, 입자 밀도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먼저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개구부를 형성한 뒤, 무기 입자의 전구체를 개구부 내에 충진하고, 열처리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무기 입자를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고밀도 패킹된 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전구체(precursor)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예를 들어, LATP)를 합성 후 결정화시키기 전 단계의 물질을 의미하며, 입자와 입자가 서로 엉겨붙어 단결정으로 만들어지기 전 단계의 상태를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의 제조방법은, 기판(114)에 소정의 복수의 개구부(113)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113)에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전구체(111a)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전구체(111a)가 충진된 기판(114)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111)를 전사(transfer)하여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111)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어레이(10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기판(114)에 복수의 개구부(113)들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14)은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재료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예를 들어, 융점이 1100℃ 이상의 실리콘계 산화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은 예를 들어, SiO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구부를 통해 형성되는 무기 입자의 표면에 전술한 만입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원하는 만입부 또는 돌출부의 형상, 개수, 이격 거리에 맞게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마이크로패터닝(micropatterning)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113)들에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전구체(111a)를 소정의 용매에 분산한 용액을 충진하며, 필요에 따라 건조한 후, 표면을 균일하게 닦아내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 전구체(111a)가 충진된 기판(114)의 표면을 예를 들어, 8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1 내지 12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111)를 형성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115)를 이용하여, 형성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111) 만을 전사(transfer)함으로써,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111)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어레이(100)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어레이 상에 고분자를 코팅하여 유기막(112)을 형성한다.
이후 접착 테이프(115)를 제거하여,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111)와 유기막(112)을 포함하는 복합막(110)을 제조한다.
열을 가하는 경우 열처리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800 내지 1500℃, 또는 900 내지 1200℃에서 실시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복합막의 제조)
실시예 1
실리콘 기판에 상면 및 하면이 정사각형이고, 가로 100㎛, 세로 100㎛, 높이 36㎛ 크기의 복수의 육면체 형태의 개구부가 서로 5㎛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4개의 측면에 가로 1㎛, 세로 1㎛, 깊이 1㎛ 크기의 복수의 기공이 서로 1㎛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포토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정으로) (마이크로패터닝한 후, 1000℃에서 6시간 동안 기판의 표면을 열처리하였다.
상기 실리콘 기판의 개구부에 리튬-알루미늄-티타늄-인산염(LATP: Li1.4Al0.4Ti1.6P3O12)의 전구체를 에탄올 용액(100mg/ml) 으로 분산시킨 용액을 피펫을 사용하여 기판위에 충분히 떨어뜨려 기판의 개구부에 충진시킨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 후 기판 표면에 남는 LATP 전구체 입자는 붓이나 tissue등을 이용해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을 1000℃에서 6시간 동안 소결한 후 5×5cm2 면적의 접착 테이프 상에 전사하여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배치된 어레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어레이의 SEM 사진을 도 10에 도시하였다.
이와 별도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 4T) 160mg 및 1,3,5-트리알릴-1,3,5-트리아진-2,4,6-트리온(1,3,5-triallyl-1,3,5-triazine-2,4,6-trione: TTT) 240mg을 에탄올과 클로로포름의 혼합용매(1:1 혼합부피비) 6.6ml에 용해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광개시제인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Irgacure 369(BASF) 30mg을 부가하고 교반을 실시하여 유기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1
Irgacure 369(BASF)
상기에서 얻은 유기막 형성용 조성물을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배치된 어레이에 코팅하였다. UV를 약 15분 동안 조사하여 TTT와 4T의 중합을 실시하여 복합막을 얻었다. 상기 복합막의 평균두께는 35㎛이었다.
비교예 1
리튬-티타늄-알루미늄-인산염(LATP: Li1.4Ti1.6Al0.4P3O12)막(Ohara glass) (Ohara corporation)를 분쇄하고 이를 기공 직경이 약 63㎛ 및 53㎛ 망체로 체질(sieving)을 실시하여 약 58 ㎛의 크기(평균입경)를 갖는 LATP 입자를 얻었다. 제조된 LATP 입자의 SEM 사진을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LATP 입자가 무정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LATP 입자를 유리판 위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의 상부에 고르게 분포시킨 후 털어내어, 테이프에 부착된 LATP 입자만 남고 나머지는 떨어지도록 하여, 단층의 무기 이온 전도성 입자층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유기막 형성용 조성물을 단층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층에 코팅하였다. UV를 약 15분 동안 조사하여 TTT와 4T의 중합을 실시하여 복합막을 얻었다. 상기 복합막의 평균두께는 50㎛이었다.
평가예: 기계적 강도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Universal Test Machine (LLOYD LS100)을 사용하여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및 신율(yield strain)을 측정하여 그 결과의 일부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막은 비교예 1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0.76 MPa에서 9.2 Mpa 로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면 복합막 및 셀의 대면적화가 가능하고 자동 제작 설비를 이용한 자동화공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 20, 30 복합막 11, 21,31 이온전도성 무기 입자
12, 22,32 유기막 23, 33 관통홀(through hole)
50 리튬공기전지 51 케이스
52 기재 53 음극
54 전해질 55 복합막
56 전해질 57 양극
58a 공기 주입구 58b 공기 배출구
59 누름부재 61 음극
62 전해질층 63 양극
71 리튬이온전지
72 음극 73 양극
74 세퍼레이터 75 전지케이스
76 캡 어셈블리 100 어레이
111a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전구체 111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
112 유기막
113 개구부 114 기판
115 접착 테이프

Claims (20)

  1. 복수의 관통홀(through hole)을 갖는 유기막; 및 상기 관통홀에 배치된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막이며,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각각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막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부 또는 돌출된 돌출부를 하나 이상 갖는, 복합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막은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노출된 제1면 및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을 가지며,
    상기 만입부 또는 돌출부는 상기 제1면에서부터 제2면까지 연속적(continuous)이거나, 불연속적인 구조를 갖는, 복합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표면에 복수의 기공을 갖는 표면 다공성 구조인, 복합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의 만입 길이 또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만입부 또는 돌출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을 기준으로 10 내지 50%인, 복합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각각 복수의 만입부 또는 돌출부를 갖는, 복합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만입부 또는 돌출부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합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가 배치되는 면적은 만입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5 내지 30%인, 복합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는 면적은 돌출부가 배치된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표면의 총 면적을 기준으로 5 내지 50%인, 복합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막의 표면이, 연속적인 유기막 내에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해도(sea-island)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복합막의 단면 (cross section)이, 유기막과 이온전도성 무기 입자가 교대로 정렬된 구조(alternately aligned structure)를 포함하는 복합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 내에 매립된 복수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가 단일층(monolayer)으로 배치되는 복합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호모중합체, 블록공중합체 및 랜덤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막인 복합막.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함량은 복합막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90 중량부인 복합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내지 500㎛인 복합막.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유리질(glassy)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비정질(amorphous)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세라믹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및 유리-세라믹(glass-ceramic) 활성 금속 이온 전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복합막.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는 Li1+x+yAlxTi2-xSiyP3-yO12 (0<x<2, 0≤y<3), BaTiO3,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O≤x<1, O≤y<1),Pb(Mg3Nb2/3)O3-PbTiO3(PMN-PT), HfO2, SrTiO3, SnO2, CeO2, Na2O, MgO, NiO, CaO, B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O2, SiC,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0<x<2,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 (LixAlyTiz(PO4)3, 0<x<2, 0<y<1, 0<z<3), Li1+x+y(Al, Ga)x(Ti, Ge)2-xSiyP3-yO12(O≤x≤1, O≤y≤1),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x<2, 0<y<3), 리튬게르마늄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x<4, 0<y<1, 0<z<1, 0<w<5), 리튬나이트라이드계열 글래스(LixNy, 0<x<4, 0<y<2), SiS2(LixSiySz, 0<x<3,0<y<2, 0<z<4), P2S5 계열 글래스(LixPySz, 0<x<3, 0<y<3, 0<z<7), Li2O, LiF, LiOH, Li2CO3, LiAlO2, Li2O-Al2O3-SiO2-P2O5-TiO2-GeO2계 세라믹스, 가넷(Garnet)계 세라믹스 Li3+xLa3M2O12(M = Te, Nb, 또는 Zr)(x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복합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수분 배리어 및 기체 배리어 특성을 갖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복합막.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i)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비닐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모노머의 중합 생성물 또는
    ii)다관능성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비닐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모노머와 3개 또는 4개의 티올기를 갖는 폴리티올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복합막.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막에서 복수개의 이온 전도성 무기 입자의 노출면적이 복합막 총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인 복합막.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리튬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전지가 전고체전지 또는 리튬공기전지인 리튬전지.
KR1020190009234A 2019-01-24 2019-01-24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KR20200092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234A KR20200092099A (ko) 2019-01-24 2019-01-24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US16/743,489 US11532852B2 (en) 2019-01-24 2020-01-15 Composite membran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234A KR20200092099A (ko) 2019-01-24 2019-01-24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99A true KR20200092099A (ko) 2020-08-03

Family

ID=7173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234A KR20200092099A (ko) 2019-01-24 2019-01-24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32852B2 (ko)
KR (1) KR202000920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2053B (zh) * 2020-09-15 2024-02-02 清华大学深圳国际研究生院 电子离子双导体材料、制备方法、复合隔膜及锂硫电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988A (en) * 1978-11-16 1980-01-15 General Electric Company Solid ion-conductive electrolyte
JP4053819B2 (ja) 2002-05-30 2008-02-27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777593B2 (ja) 2002-11-29 2011-09-21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122063B2 (ja) 2004-08-17 2013-01-16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
WO2006059794A2 (en) 2004-12-02 2006-06-08 Kabushiki Kaisha Ohara All soli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a solid electrolyte therefor
US7670724B1 (en) 2005-01-05 2010-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lkali-hydroxide modified poly-vinylidene fluoride/polyethylene oxide lithium-air battery
JP5153065B2 (ja) 2005-08-31 2013-02-27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
JP5319879B2 (ja) 2006-10-31 2013-10-16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極
JP5091458B2 (ja) 2006-10-31 2012-12-05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極
JP5110850B2 (ja) * 2006-10-31 2012-12-26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26967B2 (ja) 2007-04-27 2013-07-03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極
JP5312966B2 (ja) 2008-01-31 2013-10-09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616002B2 (ja) 2008-03-19 2014-10-29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6253B2 (ja) 2008-10-31 2014-05-07 株式会社オハラ ガラスおよび結晶化ガラス
JP5271668B2 (ja) 2008-10-31 2013-08-21 株式会社オハラ 金属/水電池又は金属/空気電池
JP5473537B2 (ja) 2009-10-29 2014-04-16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ガラス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23933A1 (en) 2011-03-30 2014-01-23 Ohara Inc.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20120122674A (ko) * 2011-04-29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5731278B2 (ja) 2011-05-24 2015-06-10 株式会社オハラ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5721540B2 (ja) 2011-05-30 2015-05-20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無機物質
US9379368B2 (en) 2011-07-11 2016-06-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cal systems with electronically conductive layers
US20130052509A1 (en) * 2011-08-25 2013-0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thium ion battery with electrolyte-embedded separator particles
US9502729B2 (en) * 2012-08-29 2016-11-22 Corning Incorporated Ion-conducting composite electrolyte comprising path-engineered particles
JP6164812B2 (ja) 2012-09-19 2017-07-19 株式会社オハラ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2038624B1 (ko) * 2012-12-21 2019-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 전지, 및 리튬 이온 전도성 보호막의 제조방법
US9520627B2 (en) * 2014-03-06 2016-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on conducting hybrid membranes
KR102390373B1 (ko) 2015-05-21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공기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6956641B2 (ja) * 2015-06-24 2021-11-02 クアンタムスケイプ バテリー, インク. 複合電解質
EP3147965B1 (en) * 2015-09-25 2018-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membrane, preparing method thereof,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KR102024889B1 (ko) 2015-10-30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626915B1 (ko) 2016-08-02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US10971708B2 (en) * 2018-04-23 2021-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lease layer for preparation of ion conducting membra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32852B2 (en) 2022-12-20
US20200243825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9217B2 (ja) 複合膜、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んだ負極構造体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10811656B2 (en) Composite membran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air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JP7446656B2 (ja) 複合膜、それを含んだ負極構造体及びリチウム電池、並びに複合膜製造方法
KR102425513B1 (ko) 리튬 이차 전지
EP3089258B1 (en) Electrochemical cell, electrochemical cell module comprising the electrochemical cell,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electrochemical cell
CN106558665B (zh) 复合膜、其制备方法、包括其的负极结构体和包括负极结构体的锂二次电池
KR102425515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576277B1 (ko) 전해질-전극 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KR20180014958A (ko)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US20200243871A1 (en) Cathode, lithium-air battery including the cath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thium-air battery
KR102640206B1 (ko) 전도성 어레이, 이를 포함한 복합막과 리튬전지 및 전도성 어레이의 제조방법
KR20210048291A (ko) 금속공기전지용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공기전지
US11532852B2 (en) Composite membran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KR102654865B1 (ko) 복합막,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음극 구조체 및 리튬이차전지
KR20170037495A (ko) 복합막,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음극 구조체 및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