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361A -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361A
KR20200091361A KR1020200008815A KR20200008815A KR20200091361A KR 20200091361 A KR20200091361 A KR 20200091361A KR 1020200008815 A KR1020200008815 A KR 1020200008815A KR 20200008815 A KR20200008815 A KR 20200008815A KR 20200091361 A KR20200091361 A KR 2020009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cucumber
snail
egg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535B1 (ko
Inventor
이동완
이하섭
Original Assignee
이동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완 filed Critical 이동완
Priority to US17/295,74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96706B2/en
Priority to JP2022544771A priority patent/JP7388782B2/ja
Priority to CN202080009590.8A priority patent/CN113438952B/zh
Priority to PCT/KR2020/008183 priority patent/WO2021149880A1/ko
Publication of KR2020009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새로운 모공의 유도와 모발 성장의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진피유두세포에서 간세포 성장인자인 HGF, 각질형성세포 인자인 KGF 및 인슐린양 성장인자인 IGF-I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6주령의 C57BL/6 마우스의 털을 제거한 후 모발 성장 효과 확인시험에서 미녹시딜과 동등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탈모증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는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a complex extract of cucumber, eggplant and snail}
본 발명은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피부 부속 기관의 하나로 생태학적으로 상피에서 유래하며, 태생 2개월째부터 형성된다. 모발의 종류는 그 굵기에 따라 가는 모발의 세모(Vellus hair)와 굵고 딱딱한 경모(terminal hair)로 분류된다. 모발의 성장은 주기적이며 일시적으로 탈모되지 않는다. 각 모낭은 활동과 정지의 간헐적인 단계를 거친다. 성장기(growing phase), 즉 생장기(anagen) 동안 모구의 세포는 활발히 분화하여 성장 모발을 형성한다. 인간의 두발은 85%가 3∼6년의 성장기 두발이고, 5%가 두발의 퇴화가 시작되어 2∼3주간 진행되는 퇴행기며, 나머지 10%가 두발의 성장이 멈추는 3∼4개월간의 휴지기로 하루 평균 50∼100여개 정도가 빠진다 (이진산(1998). 백발ㅇ탈모증 동의보감, 건강생활연구회 편, 도서출판 인화). 탈모의 원인으로는 유전, 영양장애, 내분비장애, 조직 장애, 모낭충, 두부의 압박, 비듬, 자가 면역, 국소감염 등을 들 수 있다 (김민정(2005). 모발과 두피, 예림, 110-111). 탈모는 모발형성에 밀접한 모낭에서의 호르몬, 단백질 등의 대사 작용의 이상과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여성들의 사회활동 증가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및 서구화된 식습관에서 오는 영양의 불균형 등 탈모에 직ㅇ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의 변화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J. Kor. Soc. Cosm. Vol. 13, No. 3(2007) p.1366-1375).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탈모증은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 장년형 탈모증(alopecia seniles) 또는 남성호르몬성 탈모증(androgenic alopecia)으로 불리는 것으로 중년 남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시작되는 탈모증이 있고, 둘째로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으로 불리는 것으로 주로 후두부에서 시작되어 원형 내지는 타원형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탈모를 보이며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탈모증이 있다. 탈모증은 남성에만 있는 질병이 아니고 여성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두정부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원형 탈모증 역시 존재하는데 남성에 비하여 발생 빈도가 낮을 뿐이다 (M. Inaba 등, Androgenetic Alopecia, Springer-Berlag, Tokyo, Japan, 1996).
현재 탈모 예방 및 치료는 의학적 접근법과 한의학적 접근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학적 접근법으로는 약물요법, 수술적 방법, 영양요법, 식이요법 등이 있다.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는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공인 받은 Minoxidil (MXD)과 Finasteride가 있으며 치료를 중단하면 원래대로 돌아가고 오랫동안 사용하면 피부염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Kaufman K.D.(1996) Elsevier Science, 363-365).
이진산(1998). 백발ㅇ탈모증 동의보감, 건강생활연구회 편, 도서출판 인화 김민정(2005). 모발과 두피, 예림, 110-111 J. Kor. Soc. Cosm. Vol. 13, No. 3(2007) p.1366-1375 M. Inaba 등, Androgenetic Alopecia, Springer-Berlag, Tokyo, Japan, 1996 Kaufman K.D.(1996) Elsevier Science, 363-365
본 발명의 목적은 진피유두세포에서 간세포 성장인자인 HGF, 각질형성세포 인자인 KGF 및 인슐린양 성장인자인 IGF-I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6주령의 C57BL/6 마우스의 털을 제거한 후 모발 성장 효과 확인시험에서 미녹시딜과 동등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탈모증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측백엽 및 고삼의 혼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지황, 건강, 당귀, 한련초, 백수오, 좁쌀 및 현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어성초 및 감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 영양로션, 헤어삼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완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 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 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물로서 사람 섬유아세포 및 진피유두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새로운 모공의 유도와 모발 성장의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진피유두세포에서 간세포 성장인자인 HGF, 각질형성세포 인자인 KGF 및 인슐린양 성장인자인 IGF-I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6주령의 C57BL/6 마우스의 털을 제거한 후 모발 성장 효과 확인시험에서 미녹시딜과 동등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탈모증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도 1은 실험예 4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발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기간 중의 각 시험군의 쥐들의 등부분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5에서 시험 평가에 참가한 참가자의 시험 평가 전후의 정수리 부분의 모발 변화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료 조성물,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오이는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많은 품종이 개발되어 전 세 계적으로 채소로 재배되고 있다. 인도가 원산지이다. 열매는 식용하고 오이에는 95% 이상의 수분이 있으며 각종 비타민 및 무기질이 조금씩 들어 있고 아스코르비니아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오이는 오이의 상단 및 하단의 끝 부분의 쓴 맛이 나는 부분 약 1 내지 3 cm 정도 제거한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오이의 씨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가지는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인도 원산이며 ,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 열매를 쪄서 나물로 먹거나 전으로 부치고, 가지찜을 해서 먹는다. 한국에서는 신라시대부터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럽에는 13세기에 전해졌으나 동아시아처럼 식용으로 활발하게 재배되지는 않았다.
상기 조성물에서 가지는 가지의 꼭지를 제거하는 것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달팽이는 달팽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이다. 우리나라에는 배꼽달팽이, 왼돌이달팽이, 참달팽이, 각시달팽이 등 35여 종이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달팽이는 성이 한랭하고 맛이 짜고 독이 약간 있으며, 탈항을 고치고 소갈을 멈춘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달팽이는 내장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수증기로 5 내지 30분 증숙한 후 내장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 또는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재료를 혼합한 후 추출 용매를 넣고 추출한 추출물은 물론, 각각의 재료에 대해 각각 추출물을 제조한 후 혼합한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오이 또는 오이 추출물의 고형분 4 내지 1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 중량부, 가지 또는 가지 추출물의 고형분 2 내지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부, 및 달팽이 또는 달팽이 추출물의 고형분 1 내지 4 중량부의 혼합 추출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재료 중의 하나 이상이 결여되거나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날 경우 모발과 관련된 인슐린양 성장인자인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간세포 성장인자인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및 각질형성세포 인자인 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의 유전자 발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감소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이 감소된다.
상기 조성물 또는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C1-C4 알코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4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는 원료의 2 내지 20 배 중량의 추출 용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배 중량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천연물의 추출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0 ℃의 추출온도에서 1 내지 30 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로 1회 내지 5회 연속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얻어진 용매 추출물은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측백엽 및 고삼의 혼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측백엽(Thuja orientalis L.)은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의 어린 가지와 잎을 말한다.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고 해수,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출혈시간 단축 진해거담작용이 있고 혈압 강하, 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비늘잎 모양의 소엽이 겹쳐 연결되어 서로 마주 나고 중엽은 능형이다.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뿌리를 고삼이라 칭하고, 그 성분으로 마트린,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아나지린, 메틸시스틴, 뱀티폴린 등의 알칼로로이드 성분 및 잔토휴몰, 이소잔토휴몰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이뇨작용, 항부정맥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성물은 측백엽 또는 측백엽 추출물의 고형분 2 내지 8 중량부 및 고삼 또는 고삼 추출물의 고형분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에 유리하다.
상기 조성물은 건지황, 건강, 당귀, 한련초, 백수오, 좁쌀 및 현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지황 또는 건지황 추출물의 고형분 1 내지 4 중량부, 건강 또는 건강 추출물의 고형분 1 내지 4 중량부, 당귀 또는 당귀 추출물의 고형분 1 내지 4 중량부, 한련초 또는 한련초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 백수오 또는 백수오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 좁쌀 또는 좁쌀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 또는 현미 또는 현미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은 유지하면서 사람 섬유아세포 및 진피유두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낮추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어성초 및 감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어성초 또는 어성초 추출물의 고형분 1 내지 4 중량부, 또는 감초 또는 감초 추출물의 고형분 1 내지 4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활성은 유지하면서 두피 염증 개선, 두피 가려움 개선 및 비듬 개선에 유리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또는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및 고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에 추가 천연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이미 생약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로서 조성물 중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이스트, 크림, 겔, 파우더, 스프레이 용액, 유탁액, 현탁액, 로션, 비누, 트리트먼트,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외용제 형태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의 두피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모발성장촉진을 위한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액상의 양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제형의 에어졸 타입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한 각종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은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 시 상기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솔비톨, 자일리톨,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백납,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과 같은 감미성분, 또는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제 중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 등이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의 제조를 위해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용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기준으로 0.01-10 g/㎏/일, 바람직하게는 1-5 g/㎏/일을 1일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식이, 배설율, 현재 복용중인 다른 약물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량의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 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껌, 차, 젤리,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로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주성분인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를 기준으로 0.1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추출물들 이외에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 말토즈, 수크로즈 등), 다당류(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1: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생오이를 세척하고, 생오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2 cm씩 절단하여 제거하고,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가른 후, 오이씨 부분을 제거한 후 건조한 건오이; 꼭지를 제거하고 말린 건가지; 및 수증기로 10분 자숙한 후, 내장 부분을 제외하고 건조한 건달팽이를 4 : 2 : 1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오이, 가지 및 달팽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생오이를 세척하고, 생오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2 cm씩 절단하여 제거하고,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가른 후, 오이씨 부분을 제거한 후 5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오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가지는 꼭지를 제거하고 말린 건가지에 5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가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달팽이를 수증기로 10분 자숙한 후, 내장 부분을 제외하고 10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달팽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오이 추출물, 가지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을 4 :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이, 가지 및 달팽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1-2의 오이 추출물, 가지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을 2 :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이, 가지 및 달팽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1-2의 오이 추출물, 가지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을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이, 가지 및 달팽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오이 및 가지의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1-2의 오이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이 및 가지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오이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1-2의 오이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을 4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이 및 달팽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1-2의 가지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지 및 달팽이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및 고삼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생오이를 세척하고, 생오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2 cm씩 절단하여 제거하고,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가른 후, 오이씨 부분을 제거한 후 건조한 건오이; 꼭지를 제거하고 말린 건가지; 수증기로 10분 자숙한 후, 내장 부분을 제외하고 건조한 건달팽이; 건조 측백엽; 및 건조 고삼;을 4 : 2 :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및 고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고삼, 건강, 한련초, 백수오, 당귀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생오이를 세척하고, 생오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2 cm씩 절단하여 제거하고,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가른 후, 오이씨 부분을 제거한 후 건조한 건오이; 꼭지를 제거하고 말린 건가지; 수증기로 10분 자숙한 후, 내장 부분을 제외하고 건조한 건달팽이; 건조 측백엽; 건조 고삼; 건조 건강; 건조 한련초; 건조 백수오; 건조 당귀; 및 건조 지황;을 4 : 2 : 1 : 1 : 1 : 0.5 : 0.5 : 0.5 : 0.5 : 0.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고삼, 건강, 한련초, 백수오, 당귀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고삼, 건강, 한련초, 백수오, 당귀 및 어성초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생오이를 세척하고, 생오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2 cm씩 절단하여 제거하고,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가른 후, 오이씨 부분을 제거한 후 건조한 건오이; 꼭지를 제거하고 말린 건가지; 수증기로 10분 자숙한 후, 내장 부분을 제외하고 건조한 건달팽이; 건조 측백엽; 건조 고삼; 건조 건강; 건조 한련초; 건조 백수오; 건조 당귀; 건조 어성초;를 4 : 2 : 1 : 1 : 1 : 0.5 : 0.5 : 0.5 : 0.5 : 0.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0 ℃에서 10 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오이, 가지, 달팽이, 측백엽, 고삼, 건강, 한련초, 백수오, 당귀 및 어성초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사람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독성
모발 성장은 케라티노사이트, 멜라노사이트, 섬유아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의해 조절되며 (Hirobe T, Histol Histopathol 1995;10:223-237), Minoxidil 또한 다양한 피부 세포 및 hair follicle cell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Messenger AG, Rundegren J. Br J Dermatol 2004;150:186-194)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모발 성장에 중요한 인자로 여겨진다.
사람 섬유아세포(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Cat. No. CRL-2076)를 5ㅧ104 cells/㎖의 농도로 하여 24 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후 소혈청 0%를 함유한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 USA)을 교체하고, 시험 시료(실시예 1-1, 2-1, 2-2 및 2-3)를 각각 1, 10, 50 및 250 μg/ml의 농도로 10 μl 첨가한 후 3일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200 μl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25 μg/ml의 MTT 용액을 well당 1.0 ml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 ml씩 가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률은 시료의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음성 대조군의 570 nm에서의 흡광도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농도(μg/ml) 1 10 50 250
음성대조군 100% 100% 100% 100%
실시예1-1 101.5% 97.7% 87.3%** 85.1%**
실시예2-1 90.4%* 96.4% 90.5%* 90.1%*
실시예2-2 95.8% 96.7% 97.1% 96.6%
실시예2-3 98.7% 100.1% 98.7% 105.2%**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세포 증식 실험 결과, 실시예 1-1 및 2-1에서는 10 μg/ml까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250 μg/ml까지도 85%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 2-2는 250 μg/ml까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실시예 2-3은 오히려 세포 생존율을 250 μg/m에서 증진시켰다(**, p〈 0.01).
실험예 2: 진피유두세포에서의 세포독성
진피유두세포는 hair dermal papilla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진피유두세포에 의해 생성, 분비된 성장인자들(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endothelin-1 (ET-1), stem cell factor (SCF) 등)은 hair matrix cell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한다 (Paus R, Foitzik K. Differentiation 2004;72:489-511; Fujie T, et al., J Dermatol Sci 2001; 25:206-212; Botchkarev VA, et al.,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2003;8:46-55). 일반적으로, 새로운 모공의 유도와 모발 성장의 유지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Jahoda CA, et al., Nature 1984;311:560-562; Kamp H, et al., Exp Dermatol 2003;12:662-672; Krugluger W, et al., Exp Dermatol 2005;14:580-585.). 따라서, 진피유두세포의 활성과 증식은 새로운 모발 성장 촉진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진피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5ㅧ104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 (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후 소혈청 0%를 함유한 DMEM (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을 교체하고, 시험 시료(실시예 1-1, 2-1, 2-2 및 2-3)를 각각 1, 10, 50 및 250 μg/m의 농도로 10 μl 첨가한 후 3일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200 μl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25 μg/ml의 MTT 용액을 well당 1.0 ml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 ml씩 가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률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농도(μg/ml) 1 10 50 250
음성대조군 100% 100% 100% 100%
실시예1-1 105.1% 111.5%* 105.6% 114.0%**
실시예2-1 105.4% 112.5%* 111.8%* 116.5%**
실시예2-2 112.8%* 115.5%* 127.5%** 123.6%**
실시예2-3 107.3%* 111.9%* 111.4%* 117.9%**
진피유두세포에서를 이용한 세포 증식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을 측정10 μg/ml 이상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세포를 증식시켰다(*, p 〈 0.05; **, p〈 0.01).
실험예 3: 모발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확인
모발과 관련된 인슐린양 성장인자인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간세포 성장인자인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및 각질형성세포 인자인 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의 유전자 발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진피유두세포를 100 mm 세포 배양 접시에 80% 밀도로 접종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 (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을 사용하였다. 시료(실시예 1-1, 1-2, 1-3 및 1-4; 비교예 1-1, 1-2 및 1-3; 실시예 2-1, 2-2 및 2-3)를 100 μg/ml 농도로, 양성대조군으로 미녹시딜을 1 μg/ml로 첨가하여 18시간 배양하고, 세포에 트리졸 (Trizol, invitrogen, 미국) 1 ml을 첨가하여 프로메가社의 RNA 분리법에 따라 분리하였다. 자외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260 nm에서 RNA를 정량한 후, RT-PCR을 실시하였다. RT-PCR은 RT-PCR Kit (All-in-one RT-PCR Kit, SuperBio, Korea)를 사용하고, 반응 조건 50℃에서 30분간 역전사 후 96℃에서 3분간 역전사 효소를 불활성화, 94℃ 30초, 58℃ 30초, 72℃ 1분간 40 cycle로 중합 반응을 수행하였고, 음성대조군에 대한 발현율(%)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HGF IGF-1 KGF
음성대조군 100% 100% 100%
양성대조군 134.6%** 119.0%** 120.2%**
실시예1-1 143.9%** 702.3%*** 256.2%***
실시예1-2 152.8%*** 625.9%*** 242.4%***
실시예1-3 126.0%** 196.0%*** 159.4%**
실시예1-4 93.9% 116.7%* 106.1%*
비교예1-1 110.9%* 53.9%*** 68.3%**
비교예1-2 133.7%** 46.5%*** 91.9%
비교예1-3 106.6% 5.9%*** 68.2%**
실시예2-1 124.3%** 214.9%** 106.4%*
실시예2-2 131.6%** 192.5%** 132.1%**
실시예2-3 132.5%** 138.1%** 124.4%**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HMF, IGF-1 및 KGF의 발현량을 모두 유의적으로 증진시켰다(**, p〈 0.01).
실시예 1-1 의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물의 추출물, 실시예 1-2의 오이 추출물, 가지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의 혼합물의 효과는 동등하였고, 음성대조군에 비해 HMF, IGF-1 및 KGF의 발현량을 모두 유의적으로 증진시켰다(**, p〈 0.01; ***, p〈 0.005). 실시예 1-3 및 1-4에서 오이 추출물의 상대 중량비가 감소하면서 HMF, IGF-1 및 KGF의 발현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달팽이 추출물이 결여된 비교예 1-1의 오이 및 가지의 혼합 추출물, 가지 추출물이 결여된 비교예 1-2의 오이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 오이 추출물이 결여된 비교예 1-3의 가지 및 달팽이 혼합 추출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IGF-1의 발현량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p〈 0.005), 비교예 1-1 및 1-3은 KGF의 발현량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p〈 0.01).
실시예 2-1, 2-2 및 2-3은 HMF, IGF-1 및 KGF의 발현량을 모두 유의적으로 증진시켰다(*, p 〈 0.05; **, p〈 0.01).
실험예 4: 모발 생장 촉진 효과 확인 동물실험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본 조성물의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C57BL/6N 마우스가 두 번째 catagen (퇴행기) 시기로 진입하는 생후 49-51일째에 왁스를 이용하여 등의 털을 완전히 제거하고, 실시예 2-1 및 2-3을 고형분 1 중량% 및 20 중량%로, 양성대조군 미녹시딜을 5 중량% 물에 희석하여 16일간 하루 1회씩 0.2 mL씩 발라주어 모발 생장 효과를 확인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시간 경과에 따른 발모 지수를 3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내고, 시험기간 중 쥐들의 등부분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발모지수는 털이 전혀 자라지 않은 분홍색 피부는 0점, 육안 확인되는 모발의 성장 없이 피부가 회색빛을 띠면 0.5점, 성장기 모발 없이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는 피부는 1점, 듬성듬성 털이 자라 육안으로 확인이 되면 1.5점, 짧은 모발이 전체적으로 확산되면 2점, 중간정도의 길이로 자라면 2.5점, 털이 밀집하게 완전히 자라면 3점을 주었다.
구분 음성대조군 실시예2-1
(20%)
실시예2-1
(1%)
실시예2-3
(20%)
실시예2-3
(1%)
미녹시딜
(5%)
0일차 0 0 0 0 0 0
12일차 1.03±0.42 1.13±0.62 1.26±0.16 1.45±0.32 1.36±0.16 1.22±0.26
16일차 1.93±0.62 2.13±0.30 2..33±0.24* 2.76±0.10* 2.56±0.47* 2.66±0.23*
모든 시험군에서 12일차까지는 육안으로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16일차에는 실시예 2-1의 20% 투여군과 1% 투여군은 모든 개체에서 발모양상이 발견되었으나, 4마리 중 2마리의 등의 털은 비교적 고르게 자랐고, 나머지 개체에서는 털의 길고 짧음의 차이가 컸다. 실시예 2-3의 20% 투여군과 1% 투여군은 실시예 2-1의 각 투여군보다 털이 고르게 자랐고, 털의 길이가 길었다. 실시예 2-3의 1% 투여군은 4마리 중 1마리는 등에 털이 완전히 자랐으며, 3마리는 등의 털이 진하게 자랐지만 등 위쪽과 아래쪽의 털은 자라는 속도가 미미하였다.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5% 투여군은 다른 군에 비해 제모한 등 부위 전체적으로 털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나, 털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았다.
실험예 5: 임상시험 효능 평가
탈모 증상이 있는 경기도 여주 지역에 상주하는 55세 78세 연령의 피시험자 남성 40 명 빛 여성 4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4개 군으로 나누어 표 5에서 제조한 삼푸 3종을 3개월 동안 1일 l회 취침 전에 사용하게 하였다.
구분 음성대조군 실시예2-1 실시예2-3
실시예의 추출물 0 50 50
LES 462 462 462
코코베타인 216 216 216
애플워시 246 246 246
폴리쿼터 13 13 13
글루카메이트 47 47 47
글리세린 46 46 46
판테놀 46 46 46
실크아미노산 46 46 46
마린엘라스틴 46 46 46
페톡시에탄올 0.5 0.5 0.5
1,2 헥산디올 2 2 2
정제수 750 750 750
제공한 각각의 삼푸를 사용한 3개월 후 시험에 참가한 피시험자 모두의 모발 과 두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 그 탈모 증상의 완화 정도 , 모발과 두피의 상태 개 선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가 척도는 ' 1점: 나빠졌다. 2점; 변화 없다. 3점; 약간 좋아졌다. 4점: 좋아 졌다. 5점: 아주 좋아 졌다' 이며, 표시된 수치는 응답자 점수의 평균값이다. 그 결과를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음성대조군 실시예2-1 실시예2-3
모발의 성장 2.2 4.8 4.6
비듬 개선 2.0 4.8 4.6
두피염증 개선 2.0 4.4 4.6
두피의 가려움 1.4 4.0 4.2
탈모 감소 2.0 4.7 4.6
전반적인 만족도 2.2 4.8 4.7
실시예 2-1 및 2-3에서 신생모의 발현과 두피 염증의 완화 또는 개선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머리털의 굵기 및 강직도의 개선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탈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확실하여 시험 평가에 참가한 환자 대부분이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한편 도 2는 시험 평가에 참가한 참가자의 시험 평가 전후의 정수리 부분의 모발 변화를 촬영한 사진으로, 좌측은 평가 전, 우측은 3개월 동안 사용 후의 사진으로 참가자의 정수리 부위 전체에서 신생모가 발현되어 머리털의 밀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Claims (7)

  1.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측백엽 및 고삼의 혼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지황, 건강, 당귀, 한련초, 백수오, 좁쌀 및 현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어성초 및 감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00008815A 2019-01-22 2020-01-22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6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95,745 US11896706B2 (en) 2019-01-22 2020-06-23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of cucumber, eggplant and snai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JP2022544771A JP7388782B2 (ja) 2019-01-22 2020-06-23 キュウリ、ナス及びカタツムリの混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脱毛防止又は発毛促進用組成物
CN202080009590.8A CN113438952B (zh) 2019-01-22 2020-06-23 用于防止脱发或促进毛发生长的组合物
PCT/KR2020/008183 WO2021149880A1 (ko) 2019-01-22 2020-06-23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20 2019-01-22
KR20190007820 2019-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361A true KR20200091361A (ko) 2020-07-30
KR102160535B1 KR102160535B1 (ko) 2020-09-28

Family

ID=7183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15A KR102160535B1 (ko) 2019-01-22 2020-01-22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96706B2 (ko)
JP (1) JP7388782B2 (ko)
KR (1) KR102160535B1 (ko)
CN (1) CN113438952B (ko)
WO (1) WO20211498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87B1 (ko) 2021-04-12 2021-10-12 이훈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59047A1 (ko) * 2021-10-08 2023-04-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23059053A1 (ko) * 2021-10-08 2023-04-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2549B (zh) * 2022-07-12 2023-09-08 科辉智药生物科技(无锡)有限公司 提高生发活性物质药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172A (ko) * 2001-08-24 2003-03-03 조천호 천연식물 농축 조성물
KR20170100832A (ko) * 2016-02-26 2017-09-05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24953D0 (en) * 1983-09-17 1983-10-19 Howells T Preparations for treatment of skin and hair
KR20070079596A (ko) * 2007-05-10 2007-08-07 김선일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1623487A (zh) * 2008-07-08 2010-01-13 张成赟 一种治疗斑秃的中药组合物
KR20110110650A (ko) * 2010-04-01 2011-10-07 김수환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91152A (zh) * 2015-01-23 2015-04-08 李海红 一种用于治疗斑秃的药物
KR101973807B1 (ko) * 2016-07-08 2019-04-30 주식회사 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883719B1 (ko) 2016-08-18 2018-08-01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나노에멀젼 및 개질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경피 전달용 조성물
CN110123684A (zh) * 2018-02-09 2019-08-16 东莞自然衡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生发作用的毛囊原基赋活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172A (ko) * 2001-08-24 2003-03-03 조천호 천연식물 농축 조성물
KR20170100832A (ko) * 2016-02-26 2017-09-05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Kor. Soc. Cosm. Vol. 13, No. 3(2007) p.1366-1375
Kaufman K.D.(1996) Elsevier Science, 363-365
M. Inaba 등, Androgenetic Alopecia, Springer-Berlag, Tokyo, Japan, 1996
김민정(2005). 모발과 두피, 예림, 110-111
이진산(1998). 백발ㅇ탈모증 동의보감, 건강생활연구회 편, 도서출판 인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87B1 (ko) 2021-04-12 2021-10-12 이훈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59047A1 (ko) * 2021-10-08 2023-04-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23059053A1 (ko) * 2021-10-08 2023-04-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1940A (ja) 2023-03-23
KR102160535B1 (ko) 2020-09-28
US20220347081A1 (en) 2022-11-03
CN113438952B (zh) 2022-10-25
CN113438952A (zh) 2021-09-24
JP7388782B2 (ja) 2023-11-29
WO2021149880A1 (ko) 2021-07-29
US11896706B2 (en)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535B1 (ko)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60109332A (ko)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626319B1 (ko) 동백오일 발효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6503B1 (ko)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623A (ko) 감잎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0012312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7775B1 (ko) 참외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8575A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0913B1 (ko) 넓미역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70036640A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72651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30147474A (ko) 데스메틸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709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0394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