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650A -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650A
KR20110110650A KR1020100030101A KR20100030101A KR20110110650A KR 20110110650 A KR20110110650 A KR 20110110650A KR 1020100030101 A KR1020100030101 A KR 1020100030101A KR 20100030101 A KR20100030101 A KR 20100030101A KR 20110110650 A KR20110110650 A KR 2011011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adishes
cucumbers
fermentation
carr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이광범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10003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0650A/ko
Publication of KR2011011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6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1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ulturing conditions, e.g. cultivation in the dark or under defined water st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3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leaning, e.g. washing or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으로 덮은 후, 암 상태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 후, 찌꺼기를 거르고 에탄올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발모촉진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듬방지 효과가 있고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아, 탈모 치료제뿐 아니라, 샴푸, 에센스 등의 각종 모발 제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Hair restorer composition containing carrot, radish, pumpkin, cucumber and bean sprout as effective component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발모촉진과 비듬방지 효과를 주며,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주성분이 케라틴이라는 단백질과 수분, 비타민, 무기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모주기는 남성은 2∼5년, 여성은 4∼6년의 주기를 갖는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가 있으며, 머리카락은 한 달에 1∼1.5 cm 자라고, 그 숫자는 대개 10∼12만 개이며, 하루 50∼100 가닥 빠지는 게 정상이다. 이러한 모주기가 짧아지거나 모발이 평균 이상으로 빠지는 것을 '탈모증'이라 일컫는다.
모발은 대별하여 혈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 모유두(毛乳頭)를 갖는 모전세포(毛田細胞) 부분의 모구(毛球)와 상기 모전세포를 연속해서 잇는 부분측의 주위에 피지선(皮脂腺)을 갖는 모근(毛根)과 피부의 표피 부분인 모간(毛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모근에는 피지(皮脂)를 분비하는 피지선이 있는데 이 피지선에 이상이 생겨 머리카락이 빠지는 설이 지루설인데, 원래 피지는 모발을 윤택하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분비량이 많아지면 출구가 막히게 된다. 그에 따라서 출구를 잃은 피지는 그대로 산화되어서 과산화지질로 변해 모발 생산의 중추역할을 하는 모전세포의 활동을 둔화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피지는 왁스형태의 유리지방산으로 굳어져 모전세포의 대사 작용을 저하시킴으로써 새로운 머리카락의 생성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머리에 기름기가 생기고 비듬이 생겨 가려워지게 됨에 따라 결국에는 머리카락이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반적으로 20대부터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탈모는 과거 중,장년층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함께 주로 과로, 환경, 식품 등에 의한 발병 원인으로 20-30대의 젊은 층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탈모원인은 스트레스, 샴푸나 무스 사용, 파마나 염색 및 드라이에 의한 모발과 두피 손상, 비듬이나 피지 분비의 불균형, 유전적인 요인으로부터 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중에서 두피의 영양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탈모증은 정신적 스트레스, 호르몬분비 불균형, 화학요법, 고열을 동반한 질병, 물리적 압박 및 노화 등을 포함한 인자에 의해서도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탈모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아니지만 외모를 중시하고 영상문화가 발달된 사회적 환경에서는 개인의 사기저하를 유발하고, 정신건강을 저해하므로 탈모증 치료제 및 치료방법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왔다.
탈모증 치료를 위한 종래의 발모제는 그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거나, 효과가 극히 미미한 것이 대부분이며, 장기 사용함에 따른 부작용이나 피부 자극과 같은 안전성이 문제되어 왔다. 이에,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이 없이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발모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0668878호에는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2001-0103107호에는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 식품을 주원료로 하여 자연발효하여 제조된 발모촉진과 비듬방지 효과가 있고,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는 발모제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이용하여 자연발효하여 제조된 발모촉진과 비듬방지 효과가 있고,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 식품을 주원료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이를 꾸준히 탈모 부위에 적용하게 되면 탁월한 발모효과가 있다.
또한, 발모효과뿐만 아니라, 비듬방지 효과가 있고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아,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탈모 치료제뿐만 아니라, 샴푸, 에센스 등의 각종 모발 제품에도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으로 덮은 후, 암 상태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거르고 에탄올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각각 80~120 g씩 준비하고 0.5~1.5 cm로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 450~550 g으로 덮은 후, 23~27℃의 암 상태에서 3~7일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제거한 발효액과 에탄올을 0.5~1.5:3~5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각각 100 g씩 준비하고 1 cm로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 500 g으로 덮은 후, 25℃의 암 상태에서 3~7일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제거한 발효액과 에탄올을 1:4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발모제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각각 80~120 g씩 준비하고 0.5~1.5 cm로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 450~550 g으로 덮은 후, 23~27℃의 암 상태에서 3~7일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제거한 발효액과 에탄올을 0.5~1.5:3~5의 부피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각각 100 g씩 준비하고 1 cm 이내로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 500 g으로 덮은 후, 25℃의 암 상태에서 3~7일간 자연발효시켰다.
(c) 발효 후, 찌꺼기를 천으로 거른 발효액 1 L와 에탄올 4 L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냉장보관하였다.
발모제 조성물의 임상시험 평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금까지 한 번도 치료를 받지 않은 100명의 남성 대머리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구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발모제를 남성 대머리 환자 50명에게 3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고,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또 다른 남성 대머리 환자 50명에게 처음 3일간은 생강으로 머리 없는 부분을 문지른 후 발모제를 매일 아침, 저녁으로 발라주도록 하였고, 그 이후로는 발모제만 매일 아침, 저녁으로 3개월간 발라준 후, 3개월 후 환자들에게 발모, 비듬, 두피자극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발모촉진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
발모촉진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는 하기 표 1과 같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모발의 발모촉진 효과는 다음의 4단계로 표현하였다: 탈모현상: 탈모현상이 그대로 생김, 무변화: 모발이 다시 자라는 게 거의 없음, 보통: 전체적으로 조금씩 자라나는 게 보임, 우수: 전체적으로 꽉 찬 듯이 다시 자라는 모발을 볼 수 있음.
발모촉진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
구분 우수 보통 무변화 탈모현상
비교구 25명 15명 9명 1명
본 발명의 조성물 41명 6명 3명 0명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의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다고 평가한 환자가 50명 중 41명으로, 비교구 25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구에 비해 발모촉진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 비듬방지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
비듬방지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는 하기 표 2와 같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모발의 비듬방지 효과는 다음의 4단계로 표현하였다: 비듬발생: 비듬발생이 더 생김, 무변화: 비듬방지 효과가 거의 없음, 보통: 비듬방지에 조금 효과를 보임, 우수: 전체적으로 우수한 비듬방지 효과를 보임.
비듬방지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
구분 우수 보통 무변화 비듬발생
비교구 19명 21명 9명 1명
본 발명의 조성물 44명 5명 1명 0명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의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하다고 평가한 환자가 50명 중 44명으로, 비교구 19명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구에 비해 비듬방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두피자극 정도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
두피자극 정도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는 하기 표 3과 같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두피자극 정도는 다음의 3단계로 표현하였다: 심함: 두피자극 정도가 심함, 보통: 두피자극 정도가 조금 있음, 없음: 두피자극이 전혀 없음.
두피자극 정도에 대한 임상시험 평가
구분 없음 보통 심함
비교구 28명 20명 2명
본 발명의 조성물 46명 4명 0명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의 두피자극이 없다고 평가한 환자가 50명 중 46명으로, 비교구 28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구에 비해 천연식품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두피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4)

  1.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으로 덮은 후, 암 상태에서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거르고 에탄올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각각 80~120 g씩 준비하고 0.5~1.5 cm로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 450~550 g으로 덮은 후, 23~27℃의 암 상태에서 3~7일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제거한 발효액과 에탄올을 0.5~1.5:3~5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4. (a)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각각 80~120 g씩 준비하고 0.5~1.5 cm로 잘게 썰어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건조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용기에 넣고 그 위를 설탕 450~550 g으로 덮은 후, 23~27℃의 암 상태에서 3~7일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및
    (c) 발효 후, 찌꺼기를 제거한 발효액과 에탄올을 0.5~1.5:3~5의 부피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30101A 2010-04-01 2010-04-01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0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101A KR20110110650A (ko) 2010-04-01 2010-04-01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101A KR20110110650A (ko) 2010-04-01 2010-04-01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650A true KR20110110650A (ko) 2011-10-07

Family

ID=4502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101A KR20110110650A (ko) 2010-04-01 2010-04-01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06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162B1 (ko) * 2015-12-03 2017-01-19 김주원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CN107468597A (zh) * 2017-10-09 2017-12-15 三江县稻香山茶油生态发展有限公司 一种茶麸洗发液及其制备方法
JP2023511940A (ja) * 2019-01-22 2023-03-23 オガダ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ュウリ、ナス及びカタツムリの混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脱毛防止又は発毛促進用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162B1 (ko) * 2015-12-03 2017-01-19 김주원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CN107468597A (zh) * 2017-10-09 2017-12-15 三江县稻香山茶油生态发展有限公司 一种茶麸洗发液及其制备方法
JP2023511940A (ja) * 2019-01-22 2023-03-23 オガダ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ュウリ、ナス及びカタツムリの混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脱毛防止又は発毛促進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16B1 (ko) 두피두발용 조성물
KR101004288B1 (ko) 블렌딩 아로마 오일의 효능이 증진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80216B1 (ko) 두피 보호 및 모발 개선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와 그 제조방법
JP4176912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20171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1343B1 (ko) 탈모 방지 비누의 제조방법
KR10144301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1611A (ko) 맥주효모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 방지용 기능성 삼푸 조성물
CN110339098A (zh) 一种含稻米水发酵产物的头皮护理组合物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20110110650A (ko)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7456B1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US6780444B1 (en) Method of making cosmetic, pharmaceutical,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made according to the method
CN104906010A (zh) 一种黑茶洗发水
KR20100080991A (ko)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KR102570587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51799B1 (ko) 숙성 발효를 이용한 모발용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45526B1 (ko)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1692910B1 (ko) 지루성 두피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3828A (ko)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9368B1 (ko) 트리트먼트 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CN109602652A (zh) 护发固发组合物、洗发皂及其制备方法
KR102573183B1 (ko)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천연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천연샴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