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162B1 -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 Google Patents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162B1
KR101698162B1 KR1020150171416A KR20150171416A KR101698162B1 KR 101698162 B1 KR101698162 B1 KR 101698162B1 KR 1020150171416 A KR1020150171416 A KR 1020150171416A KR 20150171416 A KR20150171416 A KR 20150171416A KR 101698162 B1 KR101698162 B1 KR 10169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extract
hair pack
pack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15017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162B1/ko
Priority to US15/169,881 priority patent/US20170157027A1/en
Priority to CN201610546714.1A priority patent/CN10682183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4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hem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고추 추출물과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온열감을 주며, 손상된 모발을 치유하여 모발을 상태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 침적되어 있는 헤어 팩을 이용하면 집에서도 손쉽게 모발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COMPOSITION FOR HAIR PACK AND HAIR PACK COMPRA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어 팩용 조성물과 이을 포함하는 헤어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샴푸, 퍼머, 염색 등과 같은 화학적 원인; 자외선 또는 오염된 공기에 의한 환경적 원인; 혹은 브러시, 드라이어와 같은 물리적 원인에 의해 손상된다.
이는 단백질로 구성되어있는 모발이 여러 원인에 의해 단백질의 일부분이 유출되거나 성질이 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힘을 잃고 약해져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갈라지거나 끊어지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손상된 모발을 치료하거나 모발을 보호하기 위해 미용실에서 관리를 받거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 관리를 하여야 했다.
하지만, 미용실에서 자주 관리를 받는 것은 비용과 시간상 부담이 되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직접 소비자들이 모발과 두피에 영양제를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영양제를 도포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활동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트상으로 구현된 헤어 트리트먼트용 팩이 소개된 바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헤어 팩은 미용액이 1제 및 2제로 나누어져 있으며, 두 가지 제제가 만나면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에 의해 온열감이 느껴지는 제품이므로 제조 및 생산 공정상에 번거로움이 있으며, 헤어 팩을 사용시 두 가지 제제가 정확히 만나지지 않으면 온열감이 느껴지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478호 (등록일: 2015년 3월 2일)
본 발명은 고추 추출물; 그리고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온열감을 주며, 손상된 모발을 치유하여 모발을 상태의 개선할 수 있는 헤어 팩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추 추출물; 그리고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1제 및 2제로 구분되어 있지 않더라도, 모발에 사용 시 온열감을 줄 수 있고, 손상된 모발을 치유하여 모발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헤어 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모발에 사용시 온열감을 주며, 손상된 모발을 치유하는 기능의 발열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제의 필수 성분으로 고추 추출물과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고추 추출물과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각 재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예로, 각 재료를 적절한 용매에 담가 각 재료로부터 유효 성분이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를 세척하여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알코올 등에 침적시킨 후 여과하여 재료의 유효 성분이 추출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제균 여과를 거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고추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고추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온열감이 충분하지 않아 손상된 모발의 치유가 충분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온열감이 심하여 두피가 지나치게 자극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온열감이 충분하지 않아 손상된 모발의 치유가 충분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온열감이 심하여 두피가 지나치게 자극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다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양배추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 무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 및 콜리플루워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는 발열제로서 상술한 추출물들 외에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발열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바닐릴부틸에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고추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 외의 기타 발열제의 총 함량은 상기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5 중량%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적절한 온열감 나타내고 충분한 모발 컨디셔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는 상기 발열제 외에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성분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킬레이트제, 보습제, 유화제, 헤어컨디셔닝제, 방부제, 향료 또는 이들이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에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 이의 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킬레이트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습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탄소수 12 내지 24의 지방족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헤어컨디셔닝제로는 벤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아모디메치콘, 미네랄오일, 토코페닐아세테이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데세스-12, 폴리쿼터늄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헤어컨디셔닝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부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이 상술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들을 포함하고 추가로 나머지 함량의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물 혹은 알코올 등과 같은 수용성 용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헤어 캡; 및 상기 헤어 캡에 침적되어 있는 상기 일 구현예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이 제공된다.
상기 헤어 캡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헤어 캡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헤어 캡은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기재에 부직포를 적층시킨 시트 2개를 준비하고, 상기 2개의 시트를 부직포 면이 마주보도록 적층시킨 후,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제외하고 가장자리를 합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되는 헤어 캡은 안 쪽에 부직포에 의해 헤어 팩용 조성물이 침적될 수 있고, 바깥 쪽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기재에 의해 헤어 팩용 조성물이 헤어 캡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헤어 캡의 기재 혹은 부직포에 발열 소재를 사용할 경우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온열감을 보다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열 소재로는 웰크론 발열 원단 Exofil20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발열 원단은 고가이기 때문에 전체 시트에 대해 약 10 내지 30 중량%로 사용되어 효율적으로 온열감이 우수한 헤어 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어 팩은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온열 외에도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온열감으로 인해 헤어 팩 내에 스팀을 공급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헤어 팩은 스팀 헤어 팩으로도 불릴 수 있다. 이러한 헤어 팩은 기존의 헤어 팩 제품에 비해 손상된 모발의 치유 능력과 모발 보습 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고추 추출물과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온열감을 주며, 손상된 모발을 치유하여 모발을 상태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 침적되어 있는 헤어 팩을 이용하면 집에서도 손쉽게 모발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1) 샴푸로 감고 건조시킨 후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은 헤어 캡을 착용한 경우 (도 3에 'shampoo'로 표시), (2)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구고 건조시킨 후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은 헤어 캡을 착용한 경우 (도 3에 'shampoo + treatment'로 표시), (3)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구고 건조시킨 후 비교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한 경우 (도 3에 'shampoo + treatment + 비교예 1의 헤어 팩'으로 표시) 및 (4)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구고 건조시킨 후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한 경우(도 3에 'shampoo + treatment + 실시예 1의 헤어 팩'으로 표시)에 모발과 헤어 캡 혹은 모발과 헤어 팩 사이의 사용 시간에 따른 습도 변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하였을 때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시험예 3에서 준비한 각 샘플에 대한 수분 손실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시험예 4에서 준비한 각 샘플에 대한 인장강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시험예 4에서 준비한 샘플 (1) 및 (3)의 모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0은 시험예 4에서 준비한 샘플 (1) 및 (4)의 모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시험예 4에서 준비한 샘플 (1) 및 (3)의 SEM 이미지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헤어 팩용 조성물의 제조
메인 가마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1 내지 4 및 8을 차례대로 투입하고 80℃까지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한편, 별도의 보조 가마에 원료 5 내지 7 및 9 내지 14를 투입하고 80℃까지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그리고, 상기 메인 가마에 보조 가마에 담긴 혼합물을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메인 가마에 원료 15 내지 18을 차례대로 투입하고 유화시킨 후, 메인 가마의 온도를 45℃까지 냉각시켰다. 그리고, 상기 메인 가마에 원료 19 내지 27을 투입하고 다시 유화시켰다. 이후, 메인 가마의 온도를 30℃까지 냉각시킨 다음 얻어지는 조성물을 진공 하에서 탈포 시킨 후 저장하였다.
구분 No. 원료명 함량 [단위: 중량%]
용제 1 정제수 49.18
킬레이트제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보습제 3 글리세린 10.00
4 부틸렌 글라이콜 5.00
유화제 5 세테아릴알코올 1.50
6 스테아릴알코올 1.50
7 세틸알코올 2.00
헤어컨디셔닝제 8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8.50
9 디메치콘 7.00
10 미네랄오일 2.00
1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0
1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50
13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4 디메치콘올
15 아모디메치콘 5.00
16 트리데세스-12
17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8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발열제 19 바닐릴부틸에텔 0.15
20 고추 추출물 0.50
21 양배추잎 추출물 0.30
22 브로콜리 추출물 0.20
23 무 추출물 0.20
24 콜리플라워 추출물 0.30
방부제 25 페녹시에탄올 0.35
26 에틸헥실글리세린
향료 27 향료 0.50
상기 고추, 양배추잎, 브로콜리, 무 및 콜리플라워의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 우선, 각 재료를 세척한 후, 에탄올에 침적시켜 100 mesh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에탄올로 잔류물을 세척하였다. 그리고 얻어지는 여액과 세척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2 일간 방치한 후 1차 여과에서 사용된 필터보다 pore size가 더 작은 필터를 이용해 2차 여과하였다. 이후, 얻어지는 여액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제균 여과하여 각 재료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헤어 팩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원료 21 내지 24를 사용하지 않고 원료 21 내지 24의 사용 함량만큼 정제수를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헤어 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온열감 평가
<관능성 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헤어 팩의 온열감을 평가하기 위해 20명의 피시험자들에게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헤어 팩을 각각 사용하게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헤어 팩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헤어캡에 도포하여 제조한 것이며, 비교예 1의 헤어팩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헤어캡에 도포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20명의 피시험자들에게 각 헤어 팩을 통해 온열감이 느꼈는지 조사하여 온열감을 느꼈다고 대답한 사람의 수는 '만족함' 항목에 기재하고 온열감을 느끼지 못하였다고 대답한 사람의 수는 '만족하지 못함' 항목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만족함 18 10
만족하지 못함 2 10
상기 표 2와 같이 개인 차가 있었으나 비교예 1의 헤어 팩 대비 실시예 1의 헤어 팩이 온열감을 가진다는 것이 확인된다.
<온도 변화 측정>
실시예 1의 헤어 팩과 비교예 1의 헤어 팩을 착용한 후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열화상카메라(Thermo-graphic imaging: JEILMI, FLIR T420)로 측정하였다. 도 1에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헤어팩 대비 실시예 1의 헤어팩을 사용할 경우 더 빨리 온열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전체에 고른 열감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된다.
시험예 2: 습기 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발에 어느 정도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습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 샴푸로 감고 건조시킨 후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은 헤어 캡을 착용한 경우 (도 3에 'shampoo'로 표시), (2)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구고 건조시킨 후 조성물이 함침되지 않은 헤어 캡을 착용한 경우 (도 3에 'shampoo + treatment'로 표시), (3)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구고 건조시킨 후 비교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한 경우 (도 3에 'shampoo + treatment + 비교예 1의 헤어 팩'으로 표시) 및 (4)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구고 건조시킨 후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한 경우(도 3에 'shampoo + treatment + 실시예 1의 헤어 팩'으로 표시)에 사용 시간에 따른 모발과 헤어 캡 혹은 모발과 헤어 팩 사이의 습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용 시간에 따른 습도 변화는 온습도 측정기(Relative Humidity: DT-17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 및 도 5에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착용하였을 때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사용하면 모발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시험예 3: 수분 손실량 시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의 수분 보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1) 샴푸로 감긴 모발, (2)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군 모발, (3) 샴푸로 감긴 후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사용한 모발 및 (4) 샴푸로 감긴 후 비교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사용한 모발을 준비하였다. 상기 샘플 (1) 내지 (4)의 모발을 약 30℃의 온도 및 60%의 상대 습도 하에서 6 시간 이상 방치하여 말린 후, 샘플 (1) 내지 (4)의 수분율(M0)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샘플 (1) 내지 (4)을 약 105℃의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다시 샘플 (1) 내지 (4)의 수분율(Mt)을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측정된 수분율 값을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수분 손실량(%)을 계산하였다.
[식 1]
수분 손실량(%) = [(M0-Mt)/M0]*100
각 샘플에 대한 수분 손실량 그래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을 이용한 경우에 수분 손실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된다.
시험예 4: 인장강도 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의 모발 개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1) 샴푸로 감긴 모발, (2) 샴푸로 감긴 후 일반 트리트먼트를 발라 헹군 모발, (3) 샴푸로 감긴 후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사용한 모발 및 (4) 샴푸로 감긴 후 비교예 1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 팩을 사용한 모발을 준비하였다. 상기 샘플 (1) 내지 (4)의 모발을 헤어드라이어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샘플 (1) 내지 (4) 중 모발 한 올을 채취하여 인장강도 측정기(UTM-model 55651)를 통해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대한 인장강도 측정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샘플 (1), (2) 및 (4) 보다 샘플 (3)의 인장강도가 매우 높음이 확인된다.
도 9에는 샘플 (1)의 모발 상태(도 9에 'before'로 표시)와 샘플 (3)의 모발 상태(도 9에 'after'로 표시)를 비교한 사진을 나타내고, 도 10에는 샘플 (1)의 모발 상태(도 10에 'before'로 표시)와 샘플 (4)의 모발 상태(도 10에 'before'로 표시)를 비교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 사용으로 인해 모발이 정돈되고 윤기가 있는 것이 확인된다.
도 11에는 샘플 (1)의 모발과 샘플 (3)의 모발의 SEM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헤어 팩 사용으로 인해 모발의 상태가 개선된 것이 확인된다.

Claims (18)

  1. 고추 추출물,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양배추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무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양배추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 무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 및 콜리플루워 추출물 0.10 내지 2.00 중량%를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 보습제, 유화제, 헤어컨디셔닝제, 방부제, 향료 또는 이들이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로서 에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트산, 이의 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로서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서 탄소수 12 내지 24의 지방족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컨디셔닝제로서 벤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아모디메치콘, 미네랄오일, 토코페닐아세테이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데세스-12, 폴리쿼터늄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컨디셔닝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로서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헤어 팩용 조성물.
  17. 헤어 캡; 및
    상기 헤어 캡에 침적되어 있는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캡은 발열 원단인 아크릴레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헤어 팩.
KR1020150171416A 2015-12-03 2015-12-03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KR10169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16A KR101698162B1 (ko) 2015-12-03 2015-12-03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US15/169,881 US20170157027A1 (en) 2015-12-03 2016-06-01 Composition for hair pack and a hair pack comprising the same
CN201610546714.1A CN106821836A (zh) 2015-12-03 2016-07-12 用于护发产品的组合物和包含该组合物的护发产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16A KR101698162B1 (ko) 2015-12-03 2015-12-03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162B1 true KR101698162B1 (ko) 2017-01-19

Family

ID=5799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16A KR101698162B1 (ko) 2015-12-03 2015-12-03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157027A1 (ko)
KR (1) KR101698162B1 (ko)
CN (1) CN1068218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879B1 (ko) 2019-06-18 2019-11-08 주식회사 스페스 큐티클층, 모발 볼륨 및 모발 윤기 개선을 위한 헤어세럼용 조성물
KR102033878B1 (ko) 2019-06-18 2019-11-08 주식회사 스페스 큐티클층, 모발 볼륨 및 모발 윤기 개선을 위한 헤어팩용 조성물
KR20210080251A (ko) * 2019-12-20 2021-06-30 염승선 헤어미용 시트
KR20210080252A (ko) * 2019-12-20 2021-06-30 염승선 헤어미용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863A (ja) * 2005-04-22 2006-11-02 Hoyu Co Ltd 毛髪処理剤
KR20110110650A (ko) * 2010-04-01 2011-10-07 김수환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4110Y1 (ko) * 2013-05-03 2014-08-27 주식회사 엘루오 머리의 온열을 이용하는 일체형 헤어 팩
KR101499478B1 (ko) 2013-10-25 2015-03-06 주식회사 엘루오 헤어 트리트먼트 생성제를 내부에 분리수용하고 있는 헤어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568A (ko) * 2004-08-19 2007-08-24 데이비드 아치볼드 개선된 항암 치료법
US8158161B2 (en) * 2005-01-12 2012-04-17 S.U.L.V.E. Ltd.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eful for treating psoriasis
EP3143973B1 (en) * 2009-07-26 2019-12-11 Forever Young International, Inc. Self-heated consumer spa products and applica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863A (ja) * 2005-04-22 2006-11-02 Hoyu Co Ltd 毛髪処理剤
KR20110110650A (ko) * 2010-04-01 2011-10-07 김수환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4110Y1 (ko) * 2013-05-03 2014-08-27 주식회사 엘루오 머리의 온열을 이용하는 일체형 헤어 팩
KR101499478B1 (ko) 2013-10-25 2015-03-06 주식회사 엘루오 헤어 트리트먼트 생성제를 내부에 분리수용하고 있는 헤어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탈모의 원인과 방지, 탈모에 좋은 샴푸만들기, 탈모에 좋은 음식].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3.09.05. 공개. [2016.07.18. 검색] 인터넷:&lt;URL: http://m.blog.naver.com/ujsung1/30175360778&gt;* *
[탈모의 원인과 방지, 탈모에 좋은 샴푸만들기, 탈모에 좋은 음식].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3.09.05. 공개. [2016.07.18. 검색] 인터넷:<URL: http://m.blog.naver.com/ujsung1/30175360778>*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879B1 (ko) 2019-06-18 2019-11-08 주식회사 스페스 큐티클층, 모발 볼륨 및 모발 윤기 개선을 위한 헤어세럼용 조성물
KR102033878B1 (ko) 2019-06-18 2019-11-08 주식회사 스페스 큐티클층, 모발 볼륨 및 모발 윤기 개선을 위한 헤어팩용 조성물
KR20210080251A (ko) * 2019-12-20 2021-06-30 염승선 헤어미용 시트
KR20210080252A (ko) * 2019-12-20 2021-06-30 염승선 헤어미용 필름
KR102389211B1 (ko) 2019-12-20 2022-04-21 염승선 헤어미용 필름
KR102424985B1 (ko) 2019-12-20 2022-07-27 염승선 헤어미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7027A1 (en) 2017-06-08
CN106821836A (zh)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162B1 (ko) 헤어 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팩
CN105813626B (zh) 含有碳二亚胺类化合物的组合物
DE60120032T2 (de) Verfahren zur Haarbehandlung
EP3166584A1 (de) Verbesserte entfärbung von gefärbten keratinischen fasern
BR112017011247B1 (pt) Composição, processo de tingimento de fibras queratínicas e dispositivo com múltiplos compartimentos
KR101460368B1 (ko)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패치제
WO2018109971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 fibers comprising aminosilicone and poly (carbodiimide)
DE102017221630A1 (de) Restrukturierung von blondierten Haaren durch Mittel mit aliphatischen Polyolen und cyclischen Carbonaten
KR101172733B1 (ko)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KR102261313B1 (ko) 소르비탄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84338A2 (de) Haarbehandlungsmittel zur glättung keratinhaltiger fasern
DE19943597A1 (de) Verwendung basischer Aminosäuren als Fönschutz in Haarbehandlungsmitteln
DE102009047528A1 (de) Verwendung von Esteröl in Verfahren zur permanenten Haarumformung
CN108403535A (zh) 紫苏嫩叶提取物及其应用
JP2014058492A (ja) スタイリング剤
KR20140103723A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25599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82521A (ko)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JP2013244153A (ja) 衛生マスクインナーシート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KR101740952B1 (ko)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SK4072000A3 (en) EXTRACT, COSMETIC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HUMAN SKIN ORì (54) HAIRS CONTAINING THE SAME AND ITS USE
KR101505115B1 (ko) 염모제에 의한 두피 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과 모발 염색용 조성물
KR101472374B1 (ko) 괄루근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DE19617569A1 (de) Haarbehandlungsmittel mit mindestens einem Pfleges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