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733B1 -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733B1
KR101172733B1 KR1020110109047A KR20110109047A KR101172733B1 KR 101172733 B1 KR101172733 B1 KR 101172733B1 KR 1020110109047 A KR1020110109047 A KR 1020110109047A KR 20110109047 A KR20110109047 A KR 20110109047A KR 101172733 B1 KR101172733 B1 KR 10117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glycol
composition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재일
(주) 아름다운 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일, (주) 아름다운 화장품 filed Critical 이재일
Priority to KR102011010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는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은 약간의 점성이 있는 투명겔상으로서 보습 및 양모효과와 함께 유분감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없다. 또한 모발의 큐티클층을 회복시켜주고 모발의 굵기를 굵게 해주고 인장강도를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발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부드러운 모발로 만들어주므로 당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Treatment Composition of transparent gel type without silicon for providing moisture and nourishment for hair and scalp}
본 발명은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유연성이나 탄력성을 위해서 어느 정도 수분이 필요하다. 모발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모발의 건강유지에 중요하고 저습도인 상태에서 빗질을 하면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어 축적되고, 이것이 머리가 뜨고 먼지가 달라붙는 원인이 된다. 또 빗질도 나빠지기 때문에 모발이 손상된다.
모발이 손상되면 모발전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모발 외부큐티클의 탈락으로 약품의 확산, 침투에 대해 저항성이 없어지게 된다. 즉, 외부물질의 저항에 취약해 진다. 또한, 모발내부에 존재하는 코텍스(Cortex)층에는 마이크로피브릴(Micro fibril)이라는 미세섬유가 알파-헬릭스(α-Helix)의 나선구조로 조합되어있으며, 이미 미세섬유사이의 모든 공간에는 매트릭스(Matrix)라 불리우는 간충물질로 채워져 있다. 모발이 손상을 입게되면 이 간충물질이 흘러나와 모발의 건강과 미적인 아름다움은 사라지게 된다.
또한, 염색이나 퍼머넌트웨이브 등의 화학적 시술은 더욱더 손상이 가속화 된다. 일반적으로 모발 영양제라 함은 손상된 모발에 작용하여 모발의 외부를 코팅하여 일시적으로 회복시키는 크리닉 효과를 발휘하여, 모발을 윤기 있고 부드러우며 매끄럽게 가꾸어 주는 화장제의 한 종류로서, 이의 제형은 보통, 크림상, 로션상, 액체상이 주류를 이룬다.
모발 보습 영양제의 사용목적상 크림이나 로션보다는 저점성의 액체가 즉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 제형이 액체인 모발영양제는 모두 실리콘과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이들은 고분자이기 때문에 모발에 잘 침투되지 않고 단지 외부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량에 비해서는 큰 효과를 낼 수 없고 일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이나 실리콘 에멀전은 모발과 두피에 계속 침착이 되는 Build-Up 현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시 모발이 끈적거리는 유분감과 스타일링의 어려움이 생긴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팩 등 모발영양제 제품에는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윤기와 광택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리콘이나 실리콘 에멀전이 모두 사용되어지고 있다. 실리콘 성분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이유는 모발과 두피에 흡착이 잘된다는 이유에 의거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리콘 제품은 실리콘 특유의 모발 흡착 및 코팅작용으로 효능효과 물질의 모발 침투가 어려워지고 두피호흡을 방해하여, 두피의 항상성(恒常性) 유지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에 근거하여, 유효성분의 모발과 두피로의 침투를 증가시키고, 모발의 Build-up 현상을 없애주고,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이 향상된 투명겔상의 모발영양제의 계속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개발하면서 씻어내는 겔타입 제형의 모발 컨디셔닝제는 발견하지 못했고 무실리콘 제형의 모발 컨디셔닝제 또한, 마찬가지였다.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등록건인 액상 모발 영양제는 이미 시장에서 효과를 입증 및 검증을 받은 상태이고, 소비자들이 대부분 만족하고 있으나, 완전 액체상태이므로 사용시 내용물이 손에서 유실되는 문제가 있고 저온(4℃)에서 불투명하게 굳게 되어 사용전에 녹여 흔들어 써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모발 보습제의 성분이 즉각적으로 모발에 흡수되어 모발에 활력과 보습성을 극대화하는 효능 및 효과를 보다 증가시키고, 사용시의 유실문제와 저온 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트리먼트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무실리콘, 글리콜,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 폴리에틸렌글리콜-7 및 글리세릴코코에이트를 일정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신속하고 지속적이며 극대화된 보습, 유분감 및 양모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0-0058022호
없음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발 보습제의 성분이 즉각적으로 모발에 흡수되어 모발에 활력과 보습성을 극대화하는 효능 및 효과를 보다 증가시키고, 사용시의 유실문제와 저온 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막의 저해없이 영양성분을 모발에 침투시켜 모발에 부드럽고 매끄러운 사용감과 윤기를 줄 수 있는 무실리콘 투명겔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온과 저온(4℃)에서 투명한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상온과 저온(4℃)에서 투명한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1)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을 70 내지 80℃의 온도로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와 10중량%의 글리콜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2) 수득된 용융물을 잔량의 글리콜와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의 혼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상기 수득된 용액의 온도를 40℃로 낮추고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온과 저온(4℃)에서 투명한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는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은 약간의 점성이 있는 투명겔상으로서 보습 및 양모효과와 함께 유분감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없다. 또한 모발의 큐티클층을 회복시켜주고 모발의 굵기를 굵게 해주고 인장강도를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발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부드러운 모발로 만들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겔상 제형, 액상 불투명 제형, 크림 제형 및 로션 제형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모발의 큐티클 표면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손상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모발의 손상도를 관찰하기 위해 모발을 주사전자현미경(SEM:Scanning Electon Microscope)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모발의 굵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모발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모발의 마찰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대한 비교시험 보고서이다.
본 발명의 상온과 저온(4℃)에서 투명한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조성물의 중량%가 100%가 되도록 하는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글리콜은 보습제(Humactant)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이의 예로는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글리콜은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중에 20 내지 80중량%에 달하는 많은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서 다량으로 함유되는 글리콜은 고유적으로 모발 및 두피에 즉각적인 보습 영양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투명도 유지 작용도 한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4급 암모늄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온도가 낮아지면 경화되어 화장제와 관련하여서 통상 크림제형의 성상을 만들 목적으로 사용되며 양모효과를 제공한다. 이의 예로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4급 암모늄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주로 사용한다. 기존의 트리트먼트제에는 이러한 양모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인 모발 관련 제품에 4급 암모늄염을 4중량% 이내로 함유되는데 그 이유는 두피에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서는 4급암모늄염중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통상 사용되는 양보다 많은 0.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데 이렇게 많은 양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글리콜 보습제를 상당히 많은 양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두피에 자극이 전혀없는 한편, 양모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의 모발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쿼터늄(Polyquaternium)는 양이온성 컨디셔닝 폴리머로 알려져 있으며,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아미노산은 손상이 심할수록 단백질의 구조적 특성상 전기적으로 음이온성을 띤다. 이에 본 양이온성 물질의 흡착작용으로 모발에 정전기를 없애주면서 컨디셔닝 효과와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작용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쿼터늄-1, -2,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4,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9,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또는 -56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쿼터늄-1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의 모발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쿼터늄(PQ-10)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데 0.2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컨디셔닝 작용 및 점증작용이 미약하고, 이는 사용시 유실될 수 있고 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과도한 점증작용과 정제수의 사용량이 많아져 내용물이 혼탁해지고 액상보다 모발과 두피에 흡수가 더디게 일어나 즉각적인 효과를 보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는 피부 컨디셔닝과 에몰리엔트 기능을 갖는 원료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서는 0.5 내지 10중량%로 사용되는데 0.5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되면 유분감이 미약하고 1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되면 성상이 혼탁하게 되면서 과도한 유분감을 모발에 부여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액상 모발 보습영양제는 보습효과 및 유분감을 주기 위하여 트리트먼트제 중에 미리스틸알코올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5중량%로 사용되었는데 이 때 5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면 고온에서 고형화되고 고형화되면 녹기 어렵고 3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되면 보습효과와 유분감이 미약한 성분이다. 그러나, 해당 범위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효능효과에는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저온(4℃)에서 불투명하게 굳어 사용시 녹이고(약 30℃) 흔들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제품 내용물의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리스틸알코올 대신에 상기 폴리쿼터늄와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성분을 사용하여 보습효과 및 유분감 효과를 부여한 것으로 미리스틸알코올이 주는 효과도 증진시키면서, 사용상 그리고 미관상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면서도 기존 액상의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단점을 보완하여 점도를 증진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의 에탄올을 함유하면서 상온 및 저온(약 4℃)에서도 투명액상을 유지한다. 기존의 발명에서는 저온(4℃)에서는 불투명하며 반고체 굳은 상태로 사용시에 녹인 후, 사용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는 저온에서도 굳지않고 투명겔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불편함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발빌드업(Build-up)현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이 100중량%로 되도록 하는 양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2 내지 30중량%이다. 이러한 정제수가 포함된 조성물은 색소 및 수용성의 효능효과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모발 관련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을 소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색소, 보습제인 히아루론산이 내재된 리포좀, 락트산과 같은 pH 조정제, 난초오일, 현탁제, 향료, 자외선차단제, 단백질류, 아미노산류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당업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물질의 종류와 양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주작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H 조절제의 경우 모발의 등전점이 약 5.5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무실리콘 겔타입 투명액상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의 pH를 4.5에서 5.5로 유지하도록하는 양만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극히 미량이며, 예들 들어 0.00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다음의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1)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을 70 내지 80℃의 온도로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와 10중량%의 글리콜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2) 수득된 용융물을 잔량의 글리콜와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의 혼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상기 수득된 용액의 온도를 40℃로 낮추고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자외선차단제일 경우 이를 사전에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2)로부터 생성된 용액과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색소를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형성된 용액을 (2)로부터 생성된 용액과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기타. pH 조정제, 리포좀, 현탁제, 향료, 단백질류 아미노산류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 pH 4.5 내지 5.5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기존의 액상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은 4℃이하의 저온에서는 고형으로 변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 저온(4℃)에서도 저점성의 투명겔상을 유지하여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보습, 유분감 및 양모효과도 월등히 증가시켰다.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은상온 및 저온에서 겔상이고, 겔타입의 점성이 있으며, 보습제로서 다량 함유된 글리콜이 저분자량이어서 모발에 즉시 침투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미리스틸알코올의 대체물질로 보습효과와 우수한 컨디셔닝 및 에몰리언트 기능이 좋은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효과가 우수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에 의한 처리모는 모발의 큐티클 손상도, 모발의 굵기, 인장강도 및 마찰력에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료 2를 원료 1에 침윤시킨 후 원료 7을 넣고 70 내지 80℃의 온도로 용융시키고, 이 용융물을 원료 5와 6의 혼합액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혼합액의 온도를 40℃의 온도로 낮춘 다음 나머지 원료를 각각 투입 후 교반 혼합시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과 비교를 위한 목적으로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들을 혼합하여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료 1에 원료 4,6을 넣고 70 내지 80℃의 온도로 용융시키고, 형성된 혼합액의 온도를 40℃로 낮춘 다음 나머지 원료를 각각 투입 후 혼합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본 발명의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과 비교를 위한 목적으로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들을 혼합하여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료 1,2,6을 80℃로 가온하고 원료 6을 80℃까지 가온 후 혼합유화하고 40℃까지 냉각한 후 나머지 원료들을 각각 투입 후 혼합하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83325120-pat00001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사용하여 수득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들을 사용함에 따른 각종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비교시험은 P&K 피부임상연구센타에 의뢰하여 수행하였으며, 도 8 내지 도 10에는 이러한 비교시험 보고서를 첨부하였다.
시험예 1: 모발 및 두피의 관능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된 모발 조성물에 대한 평가항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40세의 연령층으로 하여 약간의 모발손상이 있는 남녀 지원자 각 14명을 선발하였다. 실험 전에는 항상 린스기능이 없는 일반기능의 샴푸를 사용하여 세발하였다. 샴푸 후 모발이 젖은 상태에서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모발에 2분 30초 정도 마사지 하고 미온수로 1분간 헹구어 낸 후 드라이어로 건조시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평가항목을 샴푸 후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로 마사지 하기 전(0일), 마사지 후 건조시킨 후 30분을 경과하여, 5일 경과하여 아래와 같이 등급을 정하여 평가하였다. 등급기준은 5:최상, 4:양호, 3:보통, 2:약한손상, 1:손상으로 하였다.
번호 평가항목 경과시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 고
1 두피의 트러블 0일 1.57 1.71 1.35
30분 4.14 3.85 3.07
5일 4.64 3.71 3.28
2 모발의손상 0일 1.07 1.50 1.42
30분 4.14 3.85 3.14
5일 4.71 3.92 2.92
3 모발의 결 상태 0일 1.14 1.42 1.57
30분 4.07 3.71 2.78
5일 4.14 3.92 2.85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모든 평가항목에서 평점이 매우 양호하였고, 비교예 1(기존 액상모발 영양제 조성물)도 평가항목에서 평점이비교적 양호한 반면, 비교예 2는 나쁜 평가를 얻었다.
시험예 2: 모발의 큐티클 사진 촬영
유효성 평가변수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모발의 큐티클 표면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손상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내었다.
모발의 손상도를 관찰하기 위해 모발을 주사전자현미경(SEM:Scanning Electon Microscope)으로 촬영하여 육안평가하였다. 촬영한 이미지는 도 3에 나타 내었다. 도 3에서 보듯이, 원모(표준모발) 1종과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로 처리한 모발의 SEM 촬영결과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보다는 실시예로 처리한 모발이 원모에 비해 강화된 큐티클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모발의 굵기 측정
모발의 굵기측정은 원모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실시예로 처리한 처리모를Folliscope4.0(LeadM, korea)을 이용하여 모발 10개의 굵기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모발 굵기의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유효성 평가변수는 모발의 굵기를 10회 측정한 평균값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11083325120-pat00002
모발의 굵기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모발 4종의 차이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원모의 굵기가 0.074± 0.012인데 비하여 비교예 2는 0.078± 0.005, 비교예 1는 0.076± 0.007, 실시예는 0.080± 0.013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 2로 처리한 모발이 모두 원모에 비해 굵기가 굵어짐을 나타내었으나,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가장 굵어졌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모발의 인장강도 측정
인장강도 측정은 일정한 속도로 가하는 힘에 대한 물질의 저항성을 측정하는시험이다. 따라서, 모발에 힘을 가하여 당기면 점차 늘어나 모발은 가늘어지다가 결국 끊기게 되는데 이때 모발에 힘을 가한 무게를 인장강도라고 한다.
모발의 인장강도 측정은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원모를 가지고 아래의 방법으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NEO-TRIBO(FCM S170)의 전원 스위치를 켜고 약 15분 정도 Warm up 시켜준다.
* 인장실험 jig 에 모발을 삽입하고 볼트를 고정한다.
* 운용 프로그램인 NI-DAQmx를 실행하고 시험조건을 세팅한다.
(test stroke(mm):50,Test speed(mm/min):150, test force(N):3)
* 측정기기를 실행시키고 모발이 절단되는 시점의 강도를 프로그램이 측정한다.
* 테스트 결과를 프린트하여 결과 값을 얻는다.
유효성 평가변수는 모발의 인장강도를 3회 측정한 평균값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83325120-pat00003
모발의 인장강도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모발 4종의 차이에 대해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상기 표 4 및 도 5에서 보듯이, 원모의 인장강도가 0.92± 0.010인데 비하여 비교예 2는 0.97± 0.006, 비교예 1은 1.04± 0.012, 실시예는 1.09± 0.012으로 실시예 비교예 모두 원모에 비해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에서는 그 증가폭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모발의 마찰력 측정
모발의 마찰력 측정은 원모와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사용한 처리모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NEO-TRIBO(FCM S170)의 전원 스위치를 켜고 약 15분 정도 Warm up 시켜준다.
* 고정플레이트에 모발 1가닥을 1.5cm 간격으로 고정하여 총 3가닥을 설치한다.
* 맞은편의 플레이트에도 모발을 고정시킨 후 가하고자 하는 하중(1N)을 모발 위에 올려놓는다.
* 운용프로그램인 NI-DAQmx를 실행하고 시험조건을 세팅한다.
(test stroke(mm):100,Test speed(mm/min):150, Normal load : 1N)
* 측정기기를 실행시키고 설정한 stroke 만큼 이동하여 실험을 종료한다.
* Average 값을 읽어 마찰력 결과 값을 얻는다.
* 유효성 평가변수는 모발의 마찰력을 3회 측정한 평균값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서 모발의 마찰력 측정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83325120-pat00004
모발의 마찰력을 명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원모,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로 처리한 4종의 차이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표 5 및 도 6에서 보듯이, 원모의 마찰력이 0.138± 0.007인데 비하여 비교예 2는 0.109± 0.003, 비교예 1은 0.105± 0.005, 실시예는 0.084± 0.005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마찰력의 감소의 폭이 컸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바탕으로 하여 상품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처방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표 6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번 호 성 분 명 사용량 기 능 스 펙
1 1,3 부틸렌글리콜 40.00 보습제 20.00 - 80.00
2 Polyquternium-10 1.00 점증제 0.20 - 5.00
3 폴리에틸렌글리콜-7글리세릴코코에이트 2.00 계면활성제 0.50 -10.00
4 STAC-30(30%) 7.00 계면활성제 0.50 - 10.00
5 정제수 2.00 용제 잔 량
6 Misorb BPS-9 0.01 자외선차단제 0.005 - 0.10
7 에탄올(95%) 28.00 용제 1.00 - 40.00
8 정제수 잔량 용제 잔 량
9 Color. Orange 205 0.00007 착색제 0.00007
10 Color. Red 401 0.00017 착색제 0.00017
11 락트산 0.0025 pH조절제 0.0001 - 0.10
12 에탄올(95%) 2.00 용제 1.00 - 40.00
13 향료 0.70 향료 0.05 - 1.00
14 Orchid oil 0.002 영양제 0.01 - 10.00
15 리포좀 0.002 영양제 0.01 - 10.00
16 유칼립투스추출물 0.10 영양제 0.01 - 10.00
17 카모마일추출물 0.10 영양제 0.01 - 10.00
18 밀크티슬추출물 0.10 영양제 0.01 - 10.00
19 로즈마리추출물 0.10 영양제 0.01 - 10.00
본 발명에 따른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는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은 약간의 점성이 있는 투명겔상으로서 보습 및 양모효과와 함께 유분감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이 없다. 또한 모발의 큐티클층을 회복시켜주고 모발의 굵기를 굵게 해주고 인장강도를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발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부드러운 모발로 만들어주므로 당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글리콜이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솔비톨이고, 상기 4급 암모늄염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이고, 그리고 상기 폴리쿼터늄이 PQ-4, PQ-6, PQ-7, PQ-10, PQ-11, PQ-24, PQ-30, PQ-35, PQ-37, PQ-45 또는 PQ-50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과 저온(4℃)에서 투명한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차단제, 색소, pH 조정제, 리포좀, 현탁제, 향료, 단백질류 또는 아미노산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
  6.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 0.5 내지 1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 및 12 내지 30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1)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5중량%의 폴리쿼터늄을 70 내지 80℃의 온도로 12내지 30중량%의 정제수와 10중량%의 글리콜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2) 수득된 용융물을 잔량의 글리콜과 0.5 내지 10중량%의 4급 암모늄염의 혼합액에 첨가하는 단계; 및
    (3) 상기 수득된 용액의 온도를 40℃로 낮추고 1 내지 40중량%의 에탄올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글리콜은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솔비톨이고,
    상기 4급 암모늄염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이고, 그리고 상기 폴리쿼터늄이 PQ-4, PQ-6, PQ-7, PQ-10, PQ-11, PQ-24, PQ-30, PQ-35, PQ-37, PQ-45 또는 PQ-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과 저온(4℃)에서 투명한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영양 트리트먼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09047A 2011-10-25 2011-10-25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KR10117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047A KR101172733B1 (ko) 2011-10-25 2011-10-25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047A KR101172733B1 (ko) 2011-10-25 2011-10-25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733B1 true KR101172733B1 (ko) 2012-08-14

Family

ID=4688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047A KR101172733B1 (ko) 2011-10-25 2011-10-25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7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0778A1 (en) * 2019-04-12 2020-10-15 Elc Management Llc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20210084837A (ko) * 2019-12-30 2021-07-08 애경산업(주) 리브온 타입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TWI758709B (zh) * 2020-04-13 2022-03-21 美商Elc管理公司 形成天然頭髮調理組合物的方法
KR20220118679A (ko) 2021-02-19 2022-08-26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0778A1 (en) * 2019-04-12 2020-10-15 Elc Management Llc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20210084837A (ko) * 2019-12-30 2021-07-08 애경산업(주) 리브온 타입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663552B1 (ko) 2019-12-30 2024-05-08 애경산업(주) 리브온 타입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TWI758709B (zh) * 2020-04-13 2022-03-21 美商Elc管理公司 形成天然頭髮調理組合物的方法
KR20220118679A (ko) 2021-02-19 2022-08-26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8068B (zh) 頭髮護理組成物
EP3638197B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rinsing properties
KR101172733B1 (ko) 무실리콘 투명겔상의 모발 및 두피 보습 영양트리트먼트제 조성물
BR112021007959A2 (pt) composição e método para aumentar a deposição de um agente de benefício particulado nos cabelos
WO2018026171A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7242657B2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WO2018018487A1 (en) A hair composition for hair care containing rose hip oil and use thereof
EP3522860B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JPH06102615B2 (ja) 毛髪化粧料
WO2017036631A1 (en) A hair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lotus flower oil and use thereof
EP1652555A1 (en) Hair care compositions
BR112015015501B1 (pt) composição de limpeza de cabelo
JP6663665B2 (ja) 頭皮保護用組成物
KR100445966B1 (ko)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EP2621464A2 (de) Pflegeprodukte zum schützen colorierter haare mit silikonharzen
JP2577997B2 (ja) 化粧料
WO2020008812A1 (ja) 毛髪化粧料
KR20010019411A (ko) 유사세라마이드 및 천연오일을 함유하는 다중 라멜라에멀젼 형태의 모발화장료
KR100464144B1 (ko)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RU2813139C2 (ru)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волос
KR102111719B1 (ko)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JP7286153B2 (ja) 毛髪化粧料、毛髪化粧料セット、およびシャンプー・トリートメント処理方法
TW201125591A (en) Natural hair dy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2326915A (ja) 縮毛矯正剤
KR101592343B1 (ko) 칸데릴라 왁스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