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719B1 -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1719B1 KR102111719B1 KR1020180035279A KR20180035279A KR102111719B1 KR 102111719 B1 KR102111719 B1 KR 102111719B1 KR 1020180035279 A KR1020180035279 A KR 1020180035279A KR 20180035279 A KR20180035279 A KR 20180035279A KR 102111719 B1 KR102111719 B1 KR 102111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composition
- oil
- comparative example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구아검;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섬유 처리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셀룰로오스와 구아검은 1: 0.5 내지 5의 중량비를 갖는 것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물에 희석시에 안정적인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여 오일을 전달하므로, 굵은 모발 또는 손상 모에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하며 차분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알킬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구아검;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섬유 처리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셀룰로오스와 구아검은 1: 0.5 내지 5의 중량비를 갖는 것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두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는 세발용 기능을 갖는다. 또한, 모발 화장료는 상기 기능 외에 빗질의 용이성, 모발에 부드러움, 매끄러움 또는 윤기 부여,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또는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최근에 굵은 모발, 직모, 또는 손상모 등을 유연(flexible)하게 만들어 찰랑거리도록 하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있다. 특별히 모발 두께가 굵고, 숱이 많거나 또는 머리카락이 직모가 아닌 곱슬머리 소비자들의 모발에 유연함을 주면 부스스하고 지저분하게 뜬 머리카락이 정발되어 깔끔한 모발 스타일을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염색, 퍼머, 과도한 드라이어 건조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손상된 모발은 탄력을 잃어 정발성이 없어 부스스한 머리카락이 많은데 이런 모발에 유연함을 공급하면 모발이 정발되어 건강모로 회복되게 만들 수 있다.
모발에 정발성을 부여하기 위해 화학적인 점착성 폴리머를 사용한 스타일링제가 사용된다. 스프레이, 무스, 겔 타입의 제형은 머리를 경화시켜 재스타일링(reshape)이 안되는 단점이 있으며 필요 이상으로 과다량이 도포되는 문제점이 있다. 왁스나 포마드 제형은 모발에 기능 성분이 균질하게 도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부스스하게 솟아오르는 머리카락에 화학적인 스타일링제의 성분을 흡착시킴으로써 머릿결이 떡지거나 뭉치는 문제도 야기시켜왔다.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제형은 샴푸 세정제이다. 종래에는 모발에 유연한 (flexible)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손가락이 느낄 수 있는 거칠지 않은 매끄러운 감촉을 주는 시도가 있어왔고 실제 모발이 굽을 때 걸리는 힘을 적게 만들려는 시도는 없어왔다. 즉, 종래의 제품들은 모발이 굽을 때 걸리는 힘이 낮아지는 효과를 모발 표면에 거칠지 않은 부드러운 감촉을 공급하는 효과로 대체시키고 있다.
한편, 샴푸를 제조할 때, 비이온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면활성제가 양이온폴리머와 만나면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를 이루어 오일을 결합시키고 이것이 오일 전달에 관여함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세정하는 과정에서 코아세르베이트가 안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오일 전달에 따른 효과를 볼 수 없다. 현재까지 알킬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구아검, 및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안정적인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을 위한 구성성분간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물에 희석될 때 안정적인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샴푸조성물로서, 알킬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구아검, 및 오일이 연결된 결합관계를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알킬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구아검;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섬유 처리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셀룰로오스와 구아검은 1: 0.5 내지 5의 중량비를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알킬 셀룰로오스; 계면활성제; 구아검;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섬유 처리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알킬셀룰로오스와 구아검은 1: 0.5 내지 5의 중량비를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의 구성성분들 간에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를 형성하여, 물에 희석시 안정적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는 계면활성제와 미셀을 형성하는데, 이 때 소수성을 띄는 알킬에 의해 알킬기는 미셀 내부로 오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여, 이 미셀 내부에 오일을 담지한다. 또한, 상기 미셀은 구아검 내부에 수용된다. 즉, 알킬 셀룰로오스가 갖는 알킬기는 오일과 화학적인 결합을 형성하며, 동시에 구아검은 오일을 포함하는 미셀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한다. 이들 결합들에 기인하여 물에 희석시 안정적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아세르베이트'는 화장품 분야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해석된다. 구체적으로, 친수성 콜로이드 용액이 2개의 액상으로 분리되어, 한쪽 액상은 콜로이드 농도가 높고, 다른 쪽 액상은 낮아지는 '코아세르베이션' 현상이 나타날 때, 콜로이드 농도가 높은 쪽의 액상을 의미한다. 코아세르베이트는 물과 페놀, 젤라틴 수용액과 알코올의 혼합액 등으로 형성되는 단순 코아세르베이트, 젤라틴과 아라비아고무의 수용액과 같은 2종 이상의 하전입자(荷電粒子)의 접근에 의한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이 물에 희석되어 생성하는 코아세르베이트는, 유동성, 일정한 내부구조, 광학적 등방성, 및 공포 (空胞)의 발생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역학적으로 견고한 경계면을 갖는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의미한다. 코아세르베이트가 생성될 경우 빛이 투과되기 어려워 낮은 투과도를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코아세르베이트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켜가며 코아세르베이트 생성에 따라 투과도가 낮아지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투과도 측정을 위한 실험 방법은 다음 연구결과를 참조하였다: Lepilleur, C., et al. J. Cosmet . Sci ., 62, (2011) 161-177. 구체적으로, 농도에 맞추어 비커에 샴푸액을 계량하여 총합 200g이 되게 제조한 후, 50rpm으로 1분간 혼합하고 4ml를 광학 큐벳에 옮기고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예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약 5 내지 15 %(v/v) 농도로 희석되어 20 내지 40%의 투과도를 나타내므로, 안정적으로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에 희석시 견고하고 안정적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코아세르베이트 내부에 담지되는 오일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오일을 모발에 안정적으로 전달(delivery)함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할 수 있고, 나아가 모발이 부스스하지 않고 차분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원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표현하는 용어, "유연함 또는 유연성(flexibility)"이란 잘 굽혀져 연하게 되는 정도를 의미하며, 단순히 표면의 마찰력이 작아져 매끄러워지는 것과는 다소 상이하다.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서 횡축방향 (longitudinal axis)을 굽힐 때 잘 굽혀져 연하게 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굽힘강도'를 사용한다. 본원 실험예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샴푸 처리하고 헹군 후에 굽힘강도 평가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원에서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양이온성 4급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와 양이온성 구아검이 사용된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모발 또는 섬유에 흡착하여 조성물에 컨디셔닝 기능을 부여하며, 본 발명에서는 물에 희석시 코아세르베이트가 생성되도록 하는데 두 조성의 조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05 내지 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또는 섬유 유연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해할 위험성이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 중 '알킬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중합체로서 4급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양이온 4급 암모늄이 계면활성제의 음전하를 가지는 친수성 부위와 전기력으로 결합해있거나 4급 알킬 암모늄기에 포함되는 알킬기가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위와 함께 미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간략히 알킬 셀룰로오스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본원 화장료 조성물을 물에 희석 시 코아세르베이트가 생성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4급 알킬 암모늄기가 갖는 알킬기의 길이, 소수성 치환 지수, 및 양이온화도에 따라 코아세르베이트 생성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글루코오스링의 OH기에 복수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통해서 알킬암모늄기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루코오스링의 C2, 및 C3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부착된 OH기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글루코오스링 C2의 OH기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4급 알킬 암모늄기에 적어도 하나의 C10-20의 알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C10-20의 알킬기는 상기 계면활성제와 함께 미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머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x, y, 및 z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며, 단, x+y는 1 이상이고, x+z는 1 이상이다.
상기 양이온 알킬 셀룰로오스는 구체적으로 Dow chemical 사의 UCARE로 상용화되어 있는 폴리쿼터늄-10 또는 SoftCAT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폴리쿼터늄-67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쿼터늄-67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가 갖는 알킬암모늄기의 알킬 중에 하나 이상의 알킬이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위와 함께 미셀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C10-20의 알킬기일 수 있다. 탄소수가 보다 많을 경우 폴리머 질감이 강해서 끈적이거나 표면이 거칠 수 있으며, 보다 적을 경우 컨디셔닝감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가 갖는 알킬암모늄 중 알킬기는 미셀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므로, 알킬기가 나타내는 소수성 치환 지수 (Hydrophobic substitution index, HSI)나 알킬암모늄의 양이온화도(%N)가 미셀이 구아검 내에 수용되는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조절인자이다. 여기서 소수성 치환 지수 (HIS)는 전체 트리메틸암모늄기 개수 중에 메틸기 하나가 C10-20의 알킬기(예를 들어 lauryl)기로 치환된 모이어티 개수의 백분율을 나타낸 값이며, %N은 전체 중량 대비 N 질량비를 말한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20 내지 50의 소수성 치환 지수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 내지 50,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40의 소수성 치환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이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량이 최적화되지 못해서 오일 수송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본원 실시예 4의 조성물은 40의 소수성 치환 지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2.0 내지 2.5의 양이온화도(%N)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2.4 또는 2.1 내지 2.5의 양이온화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이온화도는 질소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보다 높을 경우 점도가 높아져서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할 폴리머 결합량이 감소할 수 있고, 보다 낮을 경우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결합력이 낮아 세정 과정에서 오일 수송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본원 실시예 4의 조성물은 2.1의 양이온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는 모발 표면에 흡착되어, 헹굼시와 건조 후 모발의 매끄러움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알킬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모발처리용으로 사용할 경우 모발 화장료의 본래 기능인 세정 또는 스타일링 기능 외에, 현저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끄러움 상승이 일으키는 헹굼력 저하를 피하는 합리적인 조성비를 공급함으로써 모발의 물리적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 중 '구아검'은 콩과 구아의 종자 배유 부분 등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천연의 구아검이나 또는 합성된 구아검과 같이 폴리갈락토만난으로서, 양이온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의 하한이 5,000, 구체적으로 20,000, 보다 구체적으로 35,000인 구아 또는 유도된 구아와 같은 폴리갈락토만난일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의 Mw의 상한은 200,000 미만, 구체적으로 100,000, 보다 구체적으로 70,000 미만이다. 구체적으로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구아검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배합되어 코아세르베이트를 이룰 때 상호 교차 결합(cross-link)되어 구를 이루는 입자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알킬 셀룰로오스와 계면활성제가 형성한 미셀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 및 구아검은 1: 0.5 내지 5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1 내지 5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조성물은 물에 희석시 안정적인 코아세르베이트가 형성되지 않아, 모발에 적용시 굽힘강도가 높아져 유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 및 구아검 외에 부가적으로 폴리머를 추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로 합성소재계 폴리머는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53,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및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 첨가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섬유 유연효과를 주기 위해서 사용하던 종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주는 피부 자극성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정력 기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전술한 알킬 셀룰로오스의 C10-20의 알킬기와 함께 미셀을 형성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레스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암모늄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 암모늄미레스설페이트,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디소듐 C12-C14 파레스-2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코코미도프로필 베타인,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및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코카마이드디이에이,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및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2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오일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의 미셀 또는 물에 희석시 형성되는 코아세르베이트를 통해 모발에 운반될 수 있다. 모발에 흡착되어 침투함으로서 모발 내 수분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오일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Ruetsch, S.B., et. al J. Cosmet . Sci ., 52 (2001) 169 등과 같은 연구 문헌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극성 오일이 사용될 경우에 모발 내로 침투가 용이하므로 물성 변화를 유도할 소재 후보가 될 수 있다. 극성도는 물과 오일에서의 계면장력 값과 반비례하는 값을 오일 극성도 분류 기준으로 제시하는 Evonik사의 극성도 평가법을 따랐다. 보다 구체적으로, 낙하형상 분석기(Drop Shape Analyzer, KRUESS, Germany)를 사용하여 물에서 오일 방울을 형성시켜 영 라플라스 방정식 (Young-Laplace equation)을 통해 측정한 계면장력을 기준으로 값이 150 mN/m 이하인 것을 극성 오일로 분류하였다.
상기 오일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수불용성 비휘발성의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아미노화 실리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또는 비닐 실리콘 등의 실리콘으로 통칭되는 성분 및 이들의 유도체, 식물성 오일, 식물성 유지, 동물성 오일, 동물성 유지, 탄화수소 오일 또는 합성 에스테르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에는 유동파라핀, 이소파라핀 또는 수소화 폴리데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에스테르 오일에는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또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스쿠알란, 팜오일, 올레아 유로파에아 (Olea Europaea) 오일, PPG-3 카프리릴 에테르 (Caprylyl ether),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ic/caprylic triglyceride),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Isostearyl Isostearate), 코코넛(Cocos Nucifera), 폴리글리세릴-6 (Polyglyceryl-6) 옥타카프릴레이트(octacaprylate), 하이드로제네이티트 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호호바씨 (Simmondsia Chinensis seed) 오일, DI-C 12-13 알킬 마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실시예에서는 오일로서 BASF사의 GPO(Cegesoft Golden Palm Oil)가 사용되었다.
상기 오일은 0.05 내지 4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또는 섬유 처리용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디셔닝 효과를 더 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적으로 모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유익한 특성을 제공하는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정, 볼륨, 정돈, 보호, 차단, 보습, 염색, 착색, 탈색, 제한, 방취, 방부, 청량, 제모, 육모, 비듬방지, 탈모방지, 양모, 항염, 부향, 방향, 미백, 노화방지, 주름개선, 수렴, 이완, 수축, 피지억제, 각질박리, 살균, 소염, 진양, 소취, 항히스타민, 항지루, 혈행촉진, 자외선차단 또는 피부대사 촉진 등과 같은 인체에 대해 유익한 특성을 부여하는 첨가제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통상적으로 모발용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정제, pH조정제, 향료, 염료 또는 컨디셔닝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안식향산 및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또는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상품명: Kathon CG, 제조회사: The Dow Chemical Company) 등을 들 수 있다. 점증제와 점도 조정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소듐 자일렌 설포네, 또는 암모늄 자일렌 설포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컨디셔닝제로는 동식물성 추출물, 단백질 및 단백질 변형체, 고급지방산(Fatty Ac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두피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에센스, 헤어젤, 헤어팩, 패취 및 분무제 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처리시 물에 희석되어 안정적인 코아세르베이트를 생성하여 오일을 모발에 전달하므로, 굵은 모발 또는 손상 모에 유연성(flexibility)을 부여하며, 나아가 모발이 부스스하지 않고 차분하게 머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모발 트레스의 유연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한 KATOTECH의 굽힘강도의 평가 기기이다.
도 2는 표 3의 조성물들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인 굽힘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들간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시예 4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예 4 조성물을 펌 곱슬모에 처리하여 차분하게 하는 정도를 평가한 도이다.
도 6는 실시예 4 조성물을 자연곱슬 손상모에 처리하여 차분하게 하는 정도를 평가한 도이다.
도 2는 표 3의 조성물들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인 굽힘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들간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시예 4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예 4 조성물을 펌 곱슬모에 처리하여 차분하게 하는 정도를 평가한 도이다.
도 6는 실시예 4 조성물을 자연곱슬 손상모에 처리하여 차분하게 하는 정도를 평가한 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4급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는 ㈜유창씨에프의 Dow Chemical 에서 합성한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구아검은 ㈜KCI에서 합성한 원료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 중량비 (%) |
폴리머 | 0.5 |
(선택적으로) 오일 | 1.0 |
라우레스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 | 8 |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Cocamido propyl betaine) | 4.5 |
EDTA 4Na, 함수구연산 | 0.1 |
기타 성분 | 16 |
정제수 | 잔량 (to 100) |
구체적으로, 폴리머 첨가 후 계면활성제를 수차적으로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EDTA·4Na와 함수구연산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켰다. 기타 성분은 방부제, 향료, 분산제, 점도조절제 및 pH 조절제를 첨가하였다.
실험예
1 -
굽힘강도
측정에 따른 유연성(flexibility) 평가
(1) 평가방법
1g 모발 트레스를 상기 샴푸 1 mL를 투여하여 거품을 문질러 45초간 내고 유속 4ml/초 흐르는 물로 2분간 헹굼의 과정을 5회 반복 실시하였다. 상기 처리한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을 평가하기 위해 굽힘강도 평가기 KES-FB2-S (KATO TECH, Japan)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굽힘강도가 낮을수록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은 증대되는 것이다.
샴푸 처리한 모발 두께 70~80 μm 200모를 10cm 크기로 간격 없이 붙인 샘플 트레스를 제조하였다. 본 평가법은 KATO TECH에서 권장하는 매뉴얼대로 평가하였으며, 섬유 트레스의 굽힘강도를 평가할 때 섬유 평가 공공기관에서 규격평가로 채택하고 있는 평가법이다.
(2)
폴리머의
종류에 따른 유연성 평가
비교예
1 내지 8과
실시예
1
상기 표 1의 처방에서 폴리머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하여, 비교예 1 내지 8과 실시예 1의 처방을 제조하였다.
시료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비교예6 | 비교예7 | 비교예8 | 실시예1 |
폴리머 | - | - | 구아검 (L80KC) | 구아검 (C17) | 셀룰로오스(LR30M) | Alkyl 셀룰로오스(SX-1300H) | Alkyl 셀룰로오스(SX-1300H)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폴리머혼합비 (중량비) |
- | - | - | - | - | - | - | 1:1 | 1:1 |
오일 | - | 1% | - | - | -- | - | 1% | - | 1% |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2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오일 GPO(Cegesoft Golden palm oil)를 1% 첨가하였다.
비교예 3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L80KC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4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C17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일반적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인 LR30M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6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4급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인 SX-1300H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7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를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비교예 8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1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1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굽힘강도
평가 결과
비교예 1 내지 8과 실시예 1에 대한 섬유 유연성 평가 기기로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료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비교예6 | 비교예7 | 비교예8 | 실시예1 |
굽힘강도 | 0.466 | 0.419 | 0.576 | 0.806 | 0.463 | 0.423 | 0.412 | 0.512 | 0.327 |
(단위: gf cm)
일반적으로 모발에 힘을 부여하는 강모 샴푸에 쓰이는 구아검을 폴리머로 사용한 비교예 3 또는 비교예 4의 굽힘강도 값은 다른 비교예의 값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실제로 시중에 있는 강모용 샴푸들의 값도 이와 비슷하였다.
일반적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5는 구아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실제 시중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샴푸들도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글루코오스 링 C2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통해서 알킬암모늄기가 부착된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6은, 비교예 5와 비교하여 더 낮은 굽힘강도 값을 보였다. 한편, 비교예 6과 비교예 7을 비교해보면,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 폴리머를 사용한 경우, 오일의 첨가가 모발의 굽힘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에서는 구아검과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를 1대 1로 혼합하였는데 값이 각 폴리머를 단독으로 처방하였을 때 나타난 값 중간에 위치하였다.
하지만, 여기에 오일 GPO를 1% 첨가하였을 때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괄목할 만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굽힘강도가 현격히 낮아지는 즉, 유연성(flexibility)이 현격히 증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수치는 시중에 존재하는 유연성을 공급하는 샴푸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이다.
(3)
폴리머
조성에 따른 유연성 평가
비교예
9 내지 11과
실시예
2 내지 5
상기 표 1의 처방에서 폴리머의 조성을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하여, 비교예 9 내지 11과 실시예 2 내지 5의 처방을 제조하였다.
시료 | 비교예9 | 비교예10 | 비교예1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폴리머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SX-1300H & L80KC |
폴리머혼합비 | 3:1 | 0.5:1 | 7:1 | 0.8:1 | 2:1 | 3:1 | 5:1 |
오일 | - | 1% | 1% | 1% | 1% | 1% | 1% |
비교예 9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인 SX-1300H와 구아검 L80KC를 3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0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0.5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비교예 11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7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실시예 2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0.8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실시예 3은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2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실시예 4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2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실시예 5는 표 1의 배합에서 폴리머로 SX-1300H와 L80KC를 5대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오일 GPO를 1% 첨가하였다.
굽힘강도
평가 결과
비교예 9 내지 11과 실시예 2 내지 5에 대한 섬유 굽힘강도 평가 기기로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 비교예9 | 비교예10 | 비교예1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굽힘강도 | 0.486 | 0.432 | 0.439 | 0.366 | 0.301 | 0.283 | 0.354 |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와 구아검의 조성비가 3대1인 실시예 4의 조성물 처리시 굽힘강도가 가장 낮아짐을 발견하였다. 즉, 유연성(flexibility)이 증대 되었다. 같은 조성비이나 오일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9에서는 유연성이 좋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연성은 오일 딜리버리와 연관됨을 알 수가 있었다.
상기 결과에서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아검이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가 0.8 내지 5 중량부일 때 다른 비율과 비교하여 현저히 유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오일의 첨가량에 따른 유연성 평가
비교예
12 및
실시예
6 내지 11
상기 표 1의 처방에서 오일의 첨가량을 하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하여, 비교예 12 및 실시예 6 내지 11의 처방을 제조하였다.
시료 | 비교예12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실시예9 | 실시예10 | 실시예11 |
오일 | 0.05% | 0.1% | 0.5% | 0.7% | 1.5% | 2% | 4% |
비교예 12는 오일 GPO를 0.05% 첨가하였으며, 실시예 6 내지 12는 동일한 오일을 각각 0.2% 내지 4%까지 양을 변화시켜 첨가하였다.
굽힘강도
평가 결과
비교예 12와 실시예 6 내지 11에 대한 섬유 굽힘강도 평가 기기로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 비교예12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실시예9 | 실시예10 | 실시예11 |
굽힘강도 | 0.432 | 0.395 | 0.371 | 0.357 | 0.272 | 0.296 | 0.323 |
(단위: gf cm)
상기 표 7에서와 같이 첨가되는 오일 GPO이 1.5%일 때 모발이 가장 유연하였으며,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2와 비교예 7의 결과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지점은 오일을 0.1% 내지 4% 처방한 것이었다. 다만, 오일의 양이 2%를 넘어가면 배합의 분산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려우며 샴푸 과정에서 모발의 헹굼력이 떨어지며 사용감이 끈적해지는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여 오일의 배합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처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오일의 종류에 따른 유연성 평가
비교예
13 및 14와
실시예
12 내지 14
상기 표 1의 처방에서 오일의 첨가량을 하기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하여, 비교예 13 및 14와 실시예 12 내지 14의 처방을 제조하였다.
시료 | 비교예13 | 비교예14 | 실시예12 | 실시예13 | 실시예14 |
오일 | Triethylhexanoin | Olive Squalane | Coconut oil | CROMOLLIENT SCE-LQ-(MH) | COSMACOL EMI |
표 8의 오일을 1% 배합하고 모발에 샴푸 처리한 후 표 9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굽힘강도
평가 결과
비교예 13 및 14와 실시예 12 내지 14에 대한 섬유 굽힘강도 평가 기기로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료 | 비교예13 | 비교예14 | 실시예12 | 실시예13 | 실시예14 |
굽힘강도 | 0.402 | 0.421 | 0.298 | 0.268 | 0.257 |
(단위: gf cm)상기 표 9와 같이, 실시예 12 내지 14와 같이 극성 오일을 사용한 경우, 유연성 증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오일 딜리버리가 일어나서 비교예 13 및 14와 같은 비극성 오일은 비교적 모발 표면에 흡착이 되지만, 실시예 9 및 실시예 12 내지 14와 같은 극성 오일은 모발 흡착 후 모발 내로 침투함으로써 모발 내 수분함량을 변화시키는 등의 물성 변화를 일으켜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결과이다.
실험예
2 -조성물의
성분간
연결관계 규명
비이온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면활성제와 일반적인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물에 희석시 코아세르베이션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코아세르베이션을 통해 오일이 수송될 수 있음은 알려져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는 특정 양이온 폴리머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와 구아검을 특정 조성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극성 오일 첨가될 경우 유연성이 현격히 우수해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들 조성물은 구성성분들간 특유의 결합관계를 형성하여 물에 희석 시 안정적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가 생성되는 것으로 파악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들간 연결관계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알킬 셀룰로오스가 갖는 알킬기와 계면활성제가 미셀을 형성하여, 미셀 내부에 오일을 함유하게 되고, 구아검은 입자 상태로 내부에 상기 미셀을 포함될 수 있어 두 폴리머가 혼합된 샴푸조성물은 도 3에 나타낸 모델과 같은 안정적인 연결관계를 구축한다. 즉, 젤 상의 알킬 셀룰로오스가 갖는 알킬기의 오일에 대한 화학적인 결합과 입자상의 구아검의 물리적인 결합이 조합을 이루어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여, 오일을 모발 표면까지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코아세르베이트 함량 측정
일반적으로 코아세르베이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긴 유리관에 정제수를 미리 부은 후 시료를 넣어 3일간 정치시킨 후 바닥에 생성된 코아세르베이트의 높이를 측정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오일을 함유한 상태에서는 분산에 문제가 발생하여 오일 함량이 높을 경우 평가가 불가능하며, 무엇보다도 폴리머가 달라지면 침전되는 속도가 달라져서 동등한 비교가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침전이 일어나기 전에 교반을 한 상태의 샘플 희석액의 투과도를 측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폴리머간 동등한 비교를 할 수가 있었다,
본 실험에 앞서 교반 시간에 따른 입자 크기를 입도분석기 (Mastersizer2000, Malvern instruments) 로 분석한 결과 코아세르베이트의 크기가 입자간 뭉침(aggregation)이 일어나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분: 63 μm, 2분: 64 μm, 15분 78 μm, 38분 223 μm), 교반 속도는 입자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서 투과도의 바른 비교를 위해서 모든 샘플의 교반 시간을 1분으로 지켜서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복합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 정도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실시예 4 조성물의 코아세르베이트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4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켜가며 교반 후 1분 후에 측정한 투과도와 3일간 정치시킨 후 바닥에 생성된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였는데 희석 농도에 따른 패턴이 일치하였다. 따라서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의 정량 평가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폴리머간 동등 비교를 위해서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샴푸 세정을 할 경우 샴푸가 약 5 내지 10 %(v/v) 정도 희석된 상태에서 샴푸의 성분들이 모발에 흡착된다. 도 4에 따르면, 알킬 셀룰로오스의 경우는 약 10%(v/v) 농도 하에서 50%의 투과도를 나타내어 안정적으로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최대량으로 형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구아검의 경우는 희석량이 커지면 15 % 농도부터 코아세르베이트의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약 10%(v/v) 농도 하에서 30%의 투과도를 나타내었고, 약 5 내지 10 % 에서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 함량을 최대로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한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킬 셀룰로오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양이온성 폴리머의 종류를 달리하여 코아세르베이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냈다. 코아세르베이트의 적절한 조합 조성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Dow chemical에 의해 상용화되어 있는 SoftCAT 상품으로 평가하였다.
폴리머 종류 | SL-5 | SL-30 | SL-60 | SL-100 | SK-MH | SX-400X | SX-400H | SX-1300X | SX-1300H |
Hydrophobic substitution index | 5 | 30 | 60 | 100 | 30 | 30 | 30 | 40 | 40 |
양이온화도 %N | 1 | 1 | 1 | 1 | 1.3 | 2.1 | 2.4 | 2.1 | 2.4 |
Viscosity @1% (cps) | 2500 | 2600 | 2700 | 2800 | 2500 | 400 (2%) | 400 (2%) | 1500 | 1300 |
With Guar gumTransmissionmin % | 63.1 | 54.4 | 67.5 | 62.1 | 53.4 | 52.1 | 49.8 | 37.3 | 28.5 |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소수성 치환 지수(hydrophobic substitution index)가 30 내지 50이며 동시에 양이온화도 2.0 내지 2.5인 알킬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을 때, 물에 희석시 안정적인 복합 코아세르베이트를 생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소수성 치환 지수가 50보다 높으면 물과의 결합이 힘들어지며 30보다 낮으면 오일과의 결합이 나빠져서 상기 범위를 가질 때 코아세르베이트가 물과 기름 계면에서 가장 최적으로 생성됨을 알 수가 있다. 한편, 양이온화도가 %N이 증가하면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결합이 용이하여 코아세르베이트가 잘 형성되지만, 양이온화도가 상기 2.4% 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점도가 1만 cps (2% sol.) 이상으로 현격히 증가하여 폴리머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이 감소되게 된다.
실험예 3-모발의 차분함 평가
(1) 모발의 차분함 관능평가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샴푸를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샴푸 후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하기 평가기준 유연성을 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1은 시중에 일반적으로 모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강모용 샴푸로서 양이온 구아검 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3의 샴푸를 처리한 것이며, 실험 #2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유연성 공급 샴푸로서 양이온 셀룰로스 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5의 샴푸를 처리한 것이며, 실험 #3은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와 구아검 3:1에 극성 오일 GPO를 1% 첨가한 배합을 갖는 실시예 4의 샴푸를 처리한 것이다.
유연성은 모발 유연함(flexibility)이 느껴지는 순서에 따라 다음의 항목으로 평가기준을 정하였다(반대는 뻣뻣함)
(5: 매우 유연(flexible)); (4: 유연); (3: 보통); (2: 뻣뻣); (1: 매우 뻣뻣)
차분함은 윗머리에서 잔머리가 보이는 정도에 따라 다음의 항목으로 평가기준을 정하였다(반대는 부스스함).
(5: 매우 차분); (4: 차분); (3: 보통); (2: 부스스); (1: 매우 부스스)
그 결과는 평균값으로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험구분 | 실험#1 (비교예3) |
실험#2 (비교예5) |
실험#3 (실시예4) |
유연성 | 1.6 | 2.8 | 4.6 |
차분성 | 2.4 | 2.5 | 4.8 |
상기 표 11의 실험#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샴푸는 종래의 유연성 샴푸에 비해 유연성을 현격히 증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모발이 유연하여 차분해지는 효과도 관찰하였는데, 실험#3에서는 실험자의 머리가 곱슬, 반곱슬, 직모임에 상관없이 모두 머리에 붙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잔머리가 관찰되지 않는 효능을 볼 수가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른 오일 딜리버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람 머리카락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모발의 표면 마찰력 평가
이어서 본 발명의 폴리머 조성을 갖는 샴푸를 대상으로, 부드럽게 하는 컨디셔닝 효과 및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기평가를 통해 마찰력을 수치화 하였다.
실험방법
비교예 3 및 5와 실시예 4의 조성물을 뷰렉스 모발 트레스에 모발 중량 대비 10 중량%로 투입하고, 15초 동안 기포를 내고, 20초 동안 문지른 후, 37℃의 흐르는 수돗물에 15초 헹군 후 모발을 타월로 닦아 수분을 뺀 후, MTT 175 Miniature Tensile Tester (DiaSTRONG, GB)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평가하였다.
상기 샴푸 처리한 모발을 2분 동안 헹군 후 2분간 드라이어로 건조하고 하루 동안 습도 50% 조건의 항온 항습실에서 25℃로 유지하며 모발 내부 수분을 각각 일정하게 만든 후 같은 항온항습실에서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 해당 모발 트레스를 음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 황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의 마찰력 값(기준 값)으로 나눈 %를 계산하여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결과
실험구분 | 실험#4 (비교예 3) |
실험#5 (비교예 5) |
실험#6 (실시예4) |
헹굼 시 | 21% | 55% | 56% |
마른 후 | 13% | 21% | 25% |
상기 표 12에 측정된 결과를 볼 때, 본 발명의 폴리머 조성을 갖는 샴푸는 빨리 헹구어질 뿐만 아니라 동시에 마른 후에는 마찰력이 현격히 감소하여 매끄러운 컨디셔닝 효과를 증진시킴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실시예들과 함께 종합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폴리머 조성은 컨디셔닝제로 적용시 굽힘 강도를 약화(유연성을 증대)과 동시에 모발에 매끄러움을 주는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3) 펌 곱슬모의 정발도 평가
실제적으로 본 샴푸가 유연성을 공급함으로써 숱이 많은 사람 또는 손상모를 가진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부스스하게 일어나는 모발을 얼마나 감소시키며 전체적으로 정발 효과를 주어서 차분함을 공급하는지 평가하였다.
실험방법
모발 곱슬을 만들기 위해서 펌 작업을 피닉스모에 행하였다. 우선 11% 암모니움 타이글리코레이트를 제조한 후 고온에서 홀드로 말아서 처리하고, 3% 과산화수소를 제조하여 처리한 후 최종적으로 라우릴 황산나트륨으로 세정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손상모는 곱슬을 띠며 부스스하여 모발이 뭉쳐져있는 트레스에서는 펼쳐져있는 부채꼴 형태를 띠었다.
실험#7은 이 곱슬 손상모를 음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 황산나트륨으로 처리한 것이고, 실험#8은 비교예 5의 조성물로 처리한 것이며, 실험#9는 실시예 4의 유연성 증대 효능이 있는 샴푸를 처방한 것이다. 그 후 이 부채꼴의 각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중간 가로폭을 관찰하였다.
결과
상기 실험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구분 | 실험#7 (라우릴 황산나트륨) |
실험#8 (비교예5) |
실험#9 (실시예4) |
가로 길이(n=3) | 6.4cm | 4.6cm | 2.1cm |
상기 표 13 및 도 3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알킬암모늄기를 갖는 알킬 셀룰로오스와 구아검으로 오일을 모발 내로 효율적으로 딜리버리시켜 침투시켜, 다른 샴푸를 처리한 모발과 비교해서 현격하게 잔머리가 줄어들었으며 차분함을 공급함을 알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화학적인 실리콘 계열의 흡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곱슬머리가 펴지는 효능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연 곱슬모의 정발도 평가
이어서 자연곱슬 모발 트레스에서 존재하는 잔머리가 일으키는 부스스함에 차분함을 공급할 수 있는지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Nadula 트레스에 (Nadula Hair Brazilian Natural Wave)에 샴푸를 처리하여 부채꼴의 각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중간 가로폭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10은 이 곱슬 손상모를 음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 황산나트륨으로 처리한 것이고, 실험#11은 비교예 5의 조성물로 처리한 것이며, 실험#12는 실시예 4의 유연성 증대 효능이 있는 샴푸를 처방한 것이다.
결과
상기 실험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구분 | 실험#10 (라우릴 황산나트륨) |
실험#11 (비교예5) |
실험#12 (실시예4) |
가로 길이(n=3) | 8.2cm | 8.3cm | 4.6cm |
도 4 및 표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 곱슬모에서도 실시예 4의 조성물로 처리시 모발의 차분함이 증대됨을 알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을 갖는 샴푸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연성을 현격히 증대시키므로, 모발에 차분함과 정발성을 줌과 동시에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폴리쿼터늄-67; 계면활성제; 구아검; 및 극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섬유 처리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쿼터늄-67과 구아검은 1: 0.5 내지 5의 중량비를 가지고,
상기 폴리쿼터늄-67은 상기 계면활성제와 함께 미셀을 형성하고, 상기 구아검 내부에 상기 미셀을 수용하여 그 내부에 극성 오일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에 5 내지 15%(v/v)의 농도로 희석되어 파장 420nm일 때 20 내지 40%의 투과도를 나타내는 코아세르베이트가 생성되도록 조성을 갖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67은 30 내지 50의 소수성 치환 지수(Hydrophobic substitution index)를 갖는 것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67은 2.0 내지 2.5의 양이온화도(%N)를 갖는 것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279A KR102111719B1 (ko) | 2018-03-27 | 2018-03-27 |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CN201910091171.2A CN110302092B (zh) | 2018-03-27 | 2019-01-30 | 用于提高毛发柔性的化妆品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279A KR102111719B1 (ko) | 2018-03-27 | 2018-03-27 |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3085A KR20190113085A (ko) | 2019-10-08 |
KR102111719B1 true KR102111719B1 (ko) | 2020-05-15 |
Family
ID=6807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5279A KR102111719B1 (ko) | 2018-03-27 | 2018-03-27 |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1719B1 (ko) |
CN (1) | CN110302092B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722B1 (ko) | 1996-01-29 | 2006-01-27 |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 세정조성물 |
KR101318089B1 (ko) | 2008-05-30 | 2013-10-14 | 아베다 코포레이션 | 연속 보습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27333B2 (ja) * | 2009-05-28 | 2011-02-09 | 株式会社資生堂 | 毛髪化粧料 |
KR20120019667A (ko) * | 2010-08-26 | 2012-03-07 | 애경산업(주) |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CN105581917B (zh) * | 2016-02-23 | 2016-08-24 | 广州市高姿化妆品有限公司 | 增加角蛋白纤维,特别是毛发的抗拉强度和延伸性的化妆品组合物 |
-
2018
- 2018-03-27 KR KR1020180035279A patent/KR1021117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30 CN CN201910091171.2A patent/CN11030209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722B1 (ko) | 1996-01-29 | 2006-01-27 |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 세정조성물 |
KR101318089B1 (ko) | 2008-05-30 | 2013-10-14 | 아베다 코포레이션 | 연속 보습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302092B (zh) | 2023-05-26 |
KR20190113085A (ko) | 2019-10-08 |
CN110302092A (zh) | 201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26129B2 (ja) |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 |
JP7041165B2 (ja) | 毛髪を処置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方法 | |
KR101318089B1 (ko) | 연속 보습 조성물 | |
TWI736624B (zh) | 毛髮處理劑 | |
CN101129306A (zh) | 阳离子改性半乳甘露聚糖和含有该物质的化妆材料组合物 | |
TW201116619A (en) | A process for produc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 for use with personal care compositions | |
CN101278891B (zh) | 含有至少一种特定非离子表面活性剂和至少一种乙烯酰胺/乙烯胺共聚物的化妆品组合物 | |
CN111050740B (zh) | 用于护理毛发的组合物 | |
JP2020510033A (ja) | 化学組成物 | |
ES2343782T5 (es) | Composición de tratamiento de las materias queratínicas que contiene un polímero poli(alquil)vinillactama catiónico y un agente acondicionador | |
KR102415236B1 (ko) |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 |
WO2019096517A1 (en) | A transpar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its use | |
CN110996889A (zh) | 用于毛发处理的含水组合物 | |
KR102496014B1 (ko) |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 |
KR102111719B1 (ko) |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
JP7358080B2 (ja) | 毛髪化粧料 | |
JP7294642B2 (ja) | 毛髪化粧料 | |
KR102622105B1 (ko) | 모발 관리용 조성물 | |
KR102084765B1 (ko) |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 |
FR2841466A1 (fr) |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silicone quaternaire et un alcool gras liquid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 |
WO2012041756A2 (de) | Pflegeprodukte zum schützen colorierter haare mit silikonharzen | |
US20200375871A1 (en) | Cationic cellulose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skin, or fiber including same | |
KR102025304B1 (ko) |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 |
JP2016196425A (ja) | 毛髪化粧料組成物 | |
JP7460107B2 (ja) | 多剤式毛髪化粧料、および毛髪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