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105B1 - 모발 관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관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105B1
KR102622105B1 KR1020180115866A KR20180115866A KR102622105B1 KR 102622105 B1 KR102622105 B1 KR 102622105B1 KR 1020180115866 A KR1020180115866 A KR 1020180115866A KR 20180115866 A KR20180115866 A KR 20180115866A KR 102622105 B1 KR102622105 B1 KR 10262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hair care
alcohol
silico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342A (ko
Inventor
안다운
빈성아
최장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1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 제1실리콘 오일;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및 2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발림성 및 모발 흡수성이 우수하여 균일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물 속에서 모발 풀림성이 우수하여 향상된 사용감을 가지며, 건조 모발에도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다양한 제형의 제품으로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모발 관리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CARE}
본 발명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은 가장 외측부터 큐티클(cuticle), 피질(cortex) 및 수질(medulla)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큐티클은 최외각에 존재하는 층으로, 피질을 둘러싸서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건강한 모발의 경우 큐티클이 손상되지 않아 표면이 매끄러우며, 빛을 굴절시키고 모발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으며, 구체적으로 자외선, 먼지, 과도한 냉·난방 등의 요인으로 인해 모발은 손상된다. 또한, 현대인들은 모발을 하나의 패션으로 인식하면서 염색, 퍼머, 탈색 등의 잦은 헤어 시술, 과도한 빗질, 헤어 미용 제품 및 헤어 드라이어의 과다 사용 등에 의해 모발의 손상은 빈번하게 발생한다.
다양한 물리, 화학적 또는 환경적인 원인에 의해 모발이 손상되는 경우 모발의 큐티클이 손실되며, 이로 인해 모발 내부의 단백질 및 지질이 용출되어 모발이 거칠어지고 윤기를 잃으며 끝이 갈라지고, 마찰력이 증가하여 쉽게 엉키며 심각하면 모발의 끊어짐 또는 견인 탈모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탄력 상실로 인해 모발이 쳐지면서 볼륨감이 없어지거나 모발이 가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더해서 손상된 모발은 다시 스스로 재생되기 어렵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윤기 있고 탄력 있는 모발을 유지할 수 있는 컨디셔닝(모발 상태 개선)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와 선호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컨디셔닝 제품으로는 모발에 적용 후 헹구어 내는 워시 오프(Wash-off) 타입과 모발에 바르는 리브 온(Leave-on)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워시 오프 타입의 제품들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어 이와 관련한 다양한 제품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워시 오프 타입의 컨디셔닝 제품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오일, 중합체, 지방 알코올 및 실리콘으로 거칠어진 모발 표면을 개선한다. 특히, 워시 오프 타입의 컨디셔닝 제품은 샴푸와 같은 모발 세정제와는 다르게 모발에 도포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가 물로 세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제품의 발림성(도포감)및 모발 흡수성이 컨디셔닝 효과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계면활성제, 오일, 중합체, 실리콘 등의 조성 또는 액상, 젤상, 크림상 및 고형상 등의 성상을 달리함으로써 모발 상태 개선과 함께 제품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10846호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저급 알코올과 폴리알코올을 주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점도를 개선하여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3699호는 알킬 디메치콘을 포함하여 컨디셔닝 효과와 함께 사용감이 우수한 모발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워시 오프 타입의 컨디셔닝 제품의 사용감을 어느 정도 개선하였으나 그 효과가 충분치 않으며, 모발 사용시 발림성, 흡수성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수한 사용성과 고른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10846호(2008.01.31),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3699호(2012.05.29), 사용감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 저점도의 실리콘 오일, 아미노 실리콘검 화합물 및 2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적용시 사용성과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림성 및 모발 흡수성이 우수하여 사용감과 컨디셔닝 효과를 증진시키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 제1실리콘 오일;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및 2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헤네이코실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트리코실 알코올, 리그노세릴 알콜, 펜타코실 알코올, 헥사코실 알코올, 헵타코사놀, 옥타코사놀, 노나코사놀, 트리아콘타놀, 아라치도닐 알코올 및 에루실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은 25 ℃에서의 동점도가 100 cs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은 아미노 실리콘검 및 제2실리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알킬디메치콘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모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6057460-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096057460-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내지 R3, m, n, p 및 q는 명세서 내에서 설명한 바를 따른다.).
상기 아미노알킬디메치콘은 아미노에틸디메치콘,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 및 아미노부틸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리콘 오일은 25 ℃에서의 동점도가 100 cs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와 제2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1:3 내지 1:7일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오일 및 제2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올,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세틸디메치콘 및 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에틸헥산디올, 1,2-헥산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이소펜틸디올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을 기준으로, 고급 지방 알코올은 1 내지 5 중량%; 제1실리콘 오일 1 내지 10 중량%;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1 내지 5 중량% 및 폴리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헤어린스, 헤어앰플, 헤어크림, 헤어팩 또는 헤어트리트먼트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특정 탄소수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 저점도의 실리콘 오일,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및 2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여 발림성 및 모발 흡수성이 우수함으로써 모발 전체에 고른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용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형의 제품으로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8 내지 11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8 내지 11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12 내지 15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12 내지 15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따른 젖은 상태 모발의 표면 흡수 및 발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컨디셔닝 효과”라 함은 손상된 모발의 회복 또는 건강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모발을 굵게 하거나 인장강도를 개선하여 모발을 강화시키고, 모발에 부드러움, 촉촉함, 매끄러움, 탄력, 볼륨감을 부여하고 빗질의 용이성, 정전기 방지 등을 향상시켜 건강한 모발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발 컨디셔닝(Hair conditioning) 제품은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샴푸를 사용한 후 모발의 정발효과를 높이고 손상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을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발용 화장품(예를 들면,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등)으로,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을 높여주어 건강하고 아름다운 머리로 가꾸어 주는 목적 외에, 윤기 부여 및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 보호 등의 기능도 갖는 제품이다.
현대인들의 모발은 공해, 먼지, 자외선 등의 주위 환경과의 접촉과 잦은 퍼머, 헤어 드라이, 염색, 빗질 등에 의해 적지 않은 손상을 받고 있다. 일단 손상된 모발은 자기 회복 능력이 없기 때문에 다시 원래의 건강한 상태로 수복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손상 정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속화된다. 따라서,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모발의 외관과 촉감을 향상시키고 다루기 쉽게 해주는 컨디셔닝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모발 컨디셔닝 제품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중합체, 오일, 실리콘 및 지방 알코올을 이용하여 모발 표면 개질 효과를 1차적으로 부여한다. 여러 컨디셔닝 제품 중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팩 같은 워시 오프 타입인 경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지방 알코올의 유화된 크림 성상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수 만개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성상의 컨디셔닝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발림성이 미흡하여 모발 표면에만 집중되는 뭉침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컨디셔닝 제품이 모발 전체에 고르게 적용되지 않고, 이로 인해 부분에 따라 모발이 엉키거나 균일한 컨디셔닝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조성을 달리하거나 다양한 성상의 컨디셔닝 제품 등이 제안되었으나, 사용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지 못하였고 충분한 모발 상태 개선 효과 또한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발림성 및 모발 흡수성을 개선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 제1실리콘 오일;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및 2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20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사슬을 포함하는 장쇄 지방 알코올로, 직쇄상 또는 분지상일 수 있으며, 포화 또는 불포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급 지방 알코올은 종래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 알코올보다 긴 탄소수 20 이상의 지방 사슬을 포함하여 소수성을 나타냄으로써 모발 표면에 빠르게 소수성막을 형성하여 손상된 모발의 거침을 해소하고 부드러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의 탄소수는 2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2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2 내지 26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헤네이코실 알코올(Heneicos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트리코실 알코올(Tricosyl alcohol), 리그노세릴 알콜(lignoceryl alcohol), 펜타코실 알코올(Pentacosyl alcohol), 헥사코실 알코올(Hexacosyl alcohol), 헵타코사놀(1-Heptacosanol), 옥타코사놀(1-Octacosanol), 노나코사놀(1-Nonacosanol), 트리아콘타놀(Triacontanol), 아라치도닐 알코올(Arachidonyl alcohol) 및 에루실 알코올(Eruc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헤닐 알코올, 트리코실 알코올 및 리그노세릴 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베헤닐 알코올일 수 있다.
추가로,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 알코올이 상기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과 함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 알코올을 전술한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이 부족하고, 발림성이 현저하게 나빠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모발이 뻣뻣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은 25 ℃에서의 동점도(Kinematic viscosity)가 100 cs 미만인 것으로 점도가 낮아 퍼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발성의 모발 표면을 빠르고 골고루 코팅해주어 모발의 엉킴을 방지하고 모발 풀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의 25 ℃에서의 동점도는 100 cs 미만,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0 cs 미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20 cs,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 cs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의 동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모발 표면 거침을 해소하기 어려우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에 흡착한 실리콘이 두꺼워져 모발에 잔여를 많이 하게되고, 헹굼 시 풀림을 방해하며, 모발 다발감 및 떡짐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Dimethicone),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디메치콘올(Dimethiconol), 옥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 cyclotetrasiloxane),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 cyclopentasiloxane), 헥사메틸 사이클로트리실록산(Hexamethyl cyclotrisiloxane), 세틸 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및 트리실록산(Tri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및 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일 수 있다.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모발 엉킴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콘 오일이 모발 표면에 겉돌아 오버컨디셔닝으로 다발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lend)은 아미노 실리콘검(amino silicon gum) 및 제2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은 실리콘 주쇄에 하나 이상의 아민기 또는 아미노기가 작용기로 연결된 형태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 아민기는 1차, 2차, 또는 3차 아민기를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은 주쇄에 붙어있는 아민기 또는 아미노기에 의해 양이온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손상으로 인해 음이온성을 나타내는 모발 내부와 이온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모발의 손상 부위를 채워 모발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컨디셔닝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모발 표면이 코팅되어 모발의 엉킴이 완화되어 모발 풀림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알킬디메치콘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6057460-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8096057460-pat00004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CH2)a-NH2이며, 이때 a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OH) 또는 메틸기(-CH3)이고,
R3은 -(CH2)b-NH-(CH2)c-NH2이며, 이때 b 및 c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m, n, p 및 q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의 아미노알킬디메치콘은 아미노에틸디메치콘,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 및 아미노부틸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2가 모두 수산기인 경우를 아모디메치콘이라 하며, R2가 모두 메틸기인 경우 트리메틸실릴 아모디메치콘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의 25 ℃에서의 동점도(No.4, 6 rpm, 3 분, APTS-F-I-65)는 40,000 내지 80,000 mPas, 바람직하기로는 40,000 내지 60,000 mPas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은 고분자량 및 고점도로 단독으로 사용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서는 제2실리콘 오일에 희석된 형태로 즉,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로 적용된다.
상기 제2실리콘 오일은 25 ℃에서의 동점도(2nd method, 25℃, APTS-F-I-65)는 100 cs 미만,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0cs,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20 cs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실리콘 오일의 동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아미노 실리콘검이 오일 내에서 불안정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발림성 및 컨디셔닝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제2실리콘 오일의 종류는 상기 제1실리콘 오일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에서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와 제2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1:3 내지 1:7,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일 수 있다. 상기 2가지 성분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아미노 실리콘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모발 표면의 부드러움은 향상되나 불균일한 발림성으로 모발 풀림성은 저하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전술한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아미노 실리콘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손상 모발에 대한 개질 효과가 미흡함에 따라 모발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손상 모발 회복 효과가 불충분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오버 컨디셔닝으로써 모발이 처지고 다발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분자 내에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알코올로, 수산기를 2개 가진 것을 글리콜 또는 디올이라고 하고, 수산기를 3개 가진 것을 글리세롤이라 하며, 수산기를 4개 가진 것을 펜타에리트리톨이라 한다.
상기 폴리올은 모발의 습기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습 효과를 가져 모발에 촉촉함, 부드러움, 매끄러움 등을 부여함으로써 모발의 엉킴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을 2종 이상 포함함으로써 양친매성인 폴리올은 모발 친화성이 증가하여 모발의 흡수성 및 발림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디글리세린(Diglycerin),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글리세린(Glycerin),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에틸헥산디올(Ethylhex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이소프렌글리콜(Isoprene glycol),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 에리스리톨(Erythritol), 이소펜틸디올(Isopentyldiol) 및 소르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디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및 이소펜틸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모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모발에 끈적함이 잔여함으로써 부드러움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모발 강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강화 성분은 모발의 외부에 작용하여 모발의 굵기를 증대시키거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물질로, 예를 들어,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고분자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탄소수 19 이하의 지방 알코올, 지방산, 왁스,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오일(천연 또는 합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온성(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성) 또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 기포제, 세정제, 펄화제,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절제, pH조절제, 킬레이트제, 향료, 색소 등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으며, 용제로서 탈이온수, 유기용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모발에 부드러움을 제공하며, 정전기를 방지해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폴리옥시알킬렌화된 1차, 2차, 또는 3차 지방산 아민의 염; 4급 암모늄염(예를 들면, 알킬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린 암모늄염, 디쿼터너리 암모늄염(diquaternary ammonium salt) 또는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포함하는 암모늄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염일 수 있으며, 일례로, 디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염, 알킬 라디칼이 약 12개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인 디알킬디메틸암모늄 또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의 염,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염 또는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미리스틸 아세테이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더욱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메토설페이트,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83,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더욱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4급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메토설페이트,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83,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제 및 세정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쯔비터(zwitter) 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설페이트계, 알킬 설포네이트계, 알킬 카르복실레이트계,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계, 알킬 이세티오네이트계, 알킬 타우레이트계, 알킬 설포숙시네이트계,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계, 음이온성 아미노산 유도체, 음이온성 폴리펩티드 유도체,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 지방산 비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알킬 설페이트계로는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 암모늄라우릴에틸설페이트(Ammonium Laurylethyl sulfate, ALES),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및 소듐 라우릴 에틸설페이트술페이트(Sodium Laurylethyl Sulfate; SLES)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쯔비터 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C8-C20)알킬베타인, N-(C8-C20)알킬아미도베타인 및 이의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술타인 및 이의 유도체, (C8-C20)알킬 폴리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 (C8-C20)알킬 암포아세테이트, 소듐 라우로암모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민-옥사이드,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옥시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옥시 알킬렌화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소르비탄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소르비탄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알킬 및 폴리알킬 글리코시드 또는 폴리글리코시드, 수크로오스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롤이 폴리 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롤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제미니 계면 활성제, 알킬 알코올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펄화제로는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글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지방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벤질알코올,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이소프로판올, 페닐프로판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점증제 또는 점도조절제는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을 포함한다.
상기 pH조절제는 아세트산, 락트산, 아디프산, 아미노에틸 프로판디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프로판디올, 아스코르브산, 아제라산(Azelaic acid), 벤조산, 부틸 디에탄올 아민, 부틸에탄올아민, 시트르산, 디부틸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메틸 이소프로판올아민, 데틸에탄올아민,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이소프로판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말산, 말론산(Malonic acid) 및 메틸에탄올아민(Methylethanolamine)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함유 가능한 성분 중 킬레이트제, 향료, 색소는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n-부틸알콜, t-부틸알콜, 벤질알콜, 페네틸알콜, 헥실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올레일알콜, 프로필알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페녹시에탄올, 부톡시에탄올, 데톡시에탄올, 메톡시에탄올, 메톡시디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벤질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이소펜틸디올, 에틸헥산디올, 1,2-헥산디올, 1,2,6-헥산트리올, 1,10-데칸디올, 3-메톡시부탄올, 메톡시이소프로판올, 메톡시메틸부탄올,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전술한 조성을 포함함으로써 모발에 흡수 및 발림성이 좋아 모발 가닥가닥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저점도의 상기 제1실리콘 실리콘은 엉킨 모발이 물속에서 빠르게 풀리게 도와주어 젖은 모발의 엉킴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은 모발의 표면 부드러움 및 모발 풀림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워시 오프 타입으로 적용시 손상된 모발에 도포를 용이하게 도와주고 모발을 세정하는 도중 엉킨 모발의 풀림이 빨라 시간적 용이함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흡수가 잘 이루어짐으로써 모발에 윤기,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 탄력, 볼륨감을 부여하는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해당 컨디셔닝 효과가 건조 모발까지 유시되어 효과 지속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헤어린스, 헤어앰플, 헤어크림, 헤어팩 또는 헤어트리트먼트 등 모발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형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들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내지 3의 조성 및 함량으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세틸 알코올 - - - -
스테아릴 알코올 - 2 2 2
베헤닐 알코올 5 3 3 3
디메치콘A1 ) 5 5 5 -
디메치콘B2 ) - - - 5
디메치콘C3 ) - - - -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A4) - - - -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5) 3 3 3 3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C6) - - - -
글리세린 20 20 - -
디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소르비톨 - - 20 2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 2 2 2
킬레이트제 0.05 0.05 0.05 0.05
방부제 0.05 0.05 0.05 0.05
0.8 0.8 0.8 0.8
이온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 디메치콘A: 동점도(25 ℃) 5~10 cs
2) 디메치콘B: 동점도(25 ℃) 20~30 cs
3) 디메치콘C: 동점도(25 ℃) 330~370 cs
4)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A: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8:1
5)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4:1
6)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C: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2:1
조성(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세틸 알코올 5 - - 3 - - -
스테아릴 알코올 - 5 - 2 2 2 2
베헤닐 알코올 - - 3 - 3 3 3
디메치콘A1 ) 5 5 5 5 1 10 -
디메치콘B2 ) - - - - - - -
디메치콘C3 ) - - - - - - 5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A4) 3 3 3 3 3 3 3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5) - - - - - - -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C6) - - - - - - -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7 )
글리세린 20 20 20 20 20 20 20
디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소르비톨 - - - -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 2 2 2 2 2 2
킬레이트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방부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8 0.8 0.8 0.8 0.8 0.8 0.8
이온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 디메치콘A: 동점도(25 ℃) 5~10 cs
2) 디메치콘B: 동점도(25 ℃) 20~30 cs
3) 디메치콘C: 동점도(25 ℃) 330~370 cs
4)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A: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8:1
5)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4:1
6)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C: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2:1
조성(중량%)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세틸 알코올 - - - - - - - -
스테아릴 알코올 2 2 2 2 2 2 2 2
베헤닐 알코올 3 3 3 3 3 3 3 3
디메치콘A1 ) - - - 5 5 5 5 5
디메치콘B2 ) - - - - - - - -
디메치콘C3 ) - - - - - - - -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A4) 3 - - 3 - - - -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5) - 3 - - 3 3 3 3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C6) - - 3 - - - - -
글리세린 20 20 20 20 5 15 25 -
디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 - - -
소르비톨 - - - - - - - 25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 2 2 2 2 2 2 2
킬레이트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방부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8 0.8 0.8 0.8 0.8 0.8 0.8 0.8
이온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 디메치콘A: 동점도(25 ℃) 5~10 cs
2) 디메치콘B: 동점도(25 ℃) 20~30 cs
3) 디메치콘C: 동점도(25 ℃) 330~370 cs
4)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A: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8:1
5)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B: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4:1
6)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C: 디메치콘(동점도(25 ℃) 20 cs):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동점도(25 ℃) 60,000 mPas)=2:1
실험예 1. 고급 지방 알코올의 탄소수에 따른 효능 평가
(1)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모발은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 샴푸를 이용하여 트레스(tress)(피닉스코리아사 제조)모발을 세척하고, 1분간 헹구고 2분간 드라이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0.3 g 도포하였다.
3분간 방치 후, 트레스를 흐르는 물에 30초간 헹궈내었다. 헹궈낸 트레스를 다목적 모발 측정기(MTT175, DiaStron사 제조)를 이용하여 젖은 상태로 빗질을 하여 이때 빗에 걸리는 일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때 빗에 걸리는 일의 양은 모발의 엉킴을 평가하는 값으로, 상기 일의 양이 적을수록 모발 엉킴이 적고 빗질이 용이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2)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증진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모발은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 샴푸를 이용하여 트레스(tress)(피닉스코리아사 제조)모발을 세척하고, 1분간 헹구고 2분간 드라이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0.3 g 도포하였다.
3분간 방치하고, 트레스를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궈내었다. 헹궈낸 트레스의 물기를 제거하고 2분간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트레스를 건조시켰다.
건조된 트레스를 다목적 모발 측정기(MTT175, DiaStron사 제조)를 이용하여 모발 표면의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면 마찰력은 모발의 표면을 지나갈 때 거친 정도를 비교하는 값으로 값이 작을수록 모발이 매끄러움을 의미한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이 탄소수 20 미만의 지방 알코올을 사용한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에 비해 모발 엉킴이 적고 모발 표면 부드러움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1과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과 탄소수 20 미만의 지방 알코올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젖은 모발의 빗질에 드는 힘이 비교예 대비 적어 젖은 모발의 엉킴 완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건조 모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실시예 1 및 2, 3, 4의 경우 표면 마찰력이 감소하여 부드러움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은 모발 표면을 코팅하여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리콘 오일의 점도에 따른 효능 평가
(1)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2)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3) 엉킨 모발의 수중 풀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엉킨 모발의 수중 풀림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모발은 컨디셔닝 기능이 없는 기본 샴푸를 이용하여 트레스(tress)(피닉스코리아사 제조)모발을 세척하고, 1분간 헹구고 2분간 드라이한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0.3 g 도포하였다.
3분간 방치하고, 트레스를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궈내었다. 헹궈낸 트레스를 땋아서 물 속에서 원을 그리며 풀릴 때까지의 횟수와 물 속에서 건진 트레스를 빗질하여 완전히 풀릴 때까지의 빗질 회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땋은 트레스 수중 풀림(회) 1 1 1 2 6 2 5
빗질(회) 2 1 1 1 4 1 4
도 1 내지 도 4 및 표 4를 참조하면, 100 cs 미만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이 젖은 모발에서의 빗질에 드는 일의 양이 가장 적으며, 수중 풀림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리콘 오일의 동점도가 5~10 cs인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물 속에서 모발의 엉킴을 푸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저점도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모발 엉킴은 완화되나 물에 씻기는 양도 많아 건조 모발에서 표면 마찰력이 높아짐을 비교예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7의 표 4 및 도 3에서의 결과로부터 실리콘 오일의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젖은 모발에서는 엉킴을 푸는데 많은 힘이 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저점도의 실리콘 오일은 세정시 모발의 엉킴 완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효능 평가
(1)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8 내지 11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2)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8 내지 11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3) 엉킨 모발의 수중 풀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8 내지 11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땋은 트레스 수중 풀림(회) 1 1 1 2 3 3 5 3
빗질(회) 2 1 1 1 4 2 3 2
도 1, 도 2, 도 5, 도 6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내 포함된 아미노 실리콘검 및 제2실리콘 오일의 비율에 따라 컨디셔닝 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미노 실리콘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모발의 부드러움은 증진되나 모발 풀림성은 저하된다. 이와 반대로 아미노 실리콘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손상 모발의 표면 개질이 충분하지 않아 마찰력이 높게 나타난다. 즉, 실시예와 같이 아미노 실리콘검 및 제2실리콘 오일의 중량 비율이 4:1인 경우 풀림이 용이하며, 젖은 모발을 빗질하는데 드는 일의 양이 줄어들며 마찰력 개선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폴리올에 따른 효능 평가
(1) 젖은 상태의 모발 엉킴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2 내지 15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2) 건조 상태의 모발 부드러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2 내지 15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3) 젖은 상태의 모발의 표면 흡수 및 발림성
4.5 g의 트레스에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검지를 이용하여 트레스 끝까지 3회 반복하여 펴 바른 후, 육안으로 잔여하는 샘플의 양을 상/중/하로 평가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9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잔여량
도 1, 도 2, 도 7 내지 도 9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올을 단독 사용한 비교예에 비해 2종 이상의 폴리올을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 젖은 모발의 엉킴 완화와 건조 모발의 표면 부드러움 개선 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2 내지 15를 통해 폴리올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발림에 대한 잔여량이 적어 발림성과 흡수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와 비교예 14 및 15의 경우 동일 함량의 폴리올을 사용하여 잔여량이 적으나 모발의 엉킴 및 부드러움 개선 효과면에서 폴리올 2종을 사용하는 실시예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2종 이상의 폴리올을 2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경우 모발에 발림성 및 흡수성이 우수하며, 이를 통해 젖은 모발에 드는 일의 양이 줄면서 엉킴이 개선되고, 건조 모발의 표면 마찰력이 낮아져 모발의 부드러움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헤어린스
하기 표 7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린스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단위: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2
스테아릴 알코올 4
고급지방 알코올(탄소수20이상) 1
셀롤로오스 검 0.5
디메치콘(5~10cs) 2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1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5
글리세린 5
향료 0.5
방부제 0.03
정제수 잔부
제형예 2. 헤어앰플
하기 표 8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앰플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단위: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2
스테아릴 알코올 4
고급지방 알코올(탄소수20이상) 2
폴리쿼터늄-10 0.5
디메치콘(5~10cs) 5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3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10
글리세린 10
향료 0.5
제형예 3. 헤어크림
하기 표 9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헤어크림
(단위: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2
세틸 알코올 4
고급지방 알코올(탄소수20이상) 2
폴리비닐알코올 0.05
디메치콘(5~10cs) 3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1
부틸렌 글라이콜 5
글리세린 10
향료 0.5
제형예 4. 헤어팩
하기 표 10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헤어크림
(단위: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2
세테아릴 알코올 7
고급지방 알코올(탄소수20이상) 2
폴리쿼터늄-11 0.2
디메치콘(5~10cs) 5
디메치콘(20~30cs) 2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3
소르비톨 10
글리세린 10
향료 0.5

Claims (12)

  1. 탄소수 20 이상의 고급 지방 알코올;
    제1실리콘 오일;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및
    2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은 아미노 실리콘검 및 제2실리콘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과 제2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1:3 내지 1:5인, 모발 관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헤네이코실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트리코실 알코올, 리그노세릴 알콜, 펜타코실 알코올, 헥사코실 알코올, 헵타코사놀, 옥타코사놀, 노나코사놀, 트리아콘타놀, 아라치도닐 알코올 및 에루실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오일은 25 ℃에서의 동점도가 100 cs 미만인, 모발 관리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실리콘검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알킬디메치콘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모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3079707953-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23079707953-pa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CH2)a-NH2이며, 이때 a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메틸기이고,
    R3은 -(CH2)b-NH-(CH2)c-NH2이며, 이때 b 및 c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m, n, p 및 q는 1 이상의 정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알킬디메치콘은 아미노에틸디메치콘,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 및 아미노부틸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리콘 오일은 25 ℃에서의 동점도가 100 cs 미만인, 모발 관리용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 오일 및 제2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올,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세틸디메치콘 및 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에틸헥산디올, 1,2-헥산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이소펜틸디올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을 기준으로,
    고급 지방 알코올은 1 내지 5 중량%;
    제1실리콘 오일 1 내지 10 중량%;
    아미노 실리콘검 혼합물 1 내지 5 중량% 및
    폴리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헤어린스, 헤어앰플, 헤어크림, 헤어팩 또는 헤어트리트먼트로 제형화된,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0180115866A 2018-09-28 2018-09-28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62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866A KR102622105B1 (ko) 2018-09-28 2018-09-28 모발 관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866A KR102622105B1 (ko) 2018-09-28 2018-09-28 모발 관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342A KR20200036342A (ko) 2020-04-07
KR102622105B1 true KR102622105B1 (ko) 2024-01-09

Family

ID=7029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66A KR102622105B1 (ko) 2018-09-28 2018-09-28 모발 관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1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014A (ja) * 1999-04-15 2000-10-24 Shiseido Co Ltd 毛髪処理組成物
JP2014043402A (ja) * 2012-08-24 2014-03-13 Kracie Home Products Ltd 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72B1 (ko) 2006-07-28 2013-09-17 애경산업(주)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1771016B1 (ko) 2010-11-18 2017-08-28 (주)아모레퍼시픽 사용감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014A (ja) * 1999-04-15 2000-10-24 Shiseido Co Ltd 毛髪処理組成物
JP2014043402A (ja) * 2012-08-24 2014-03-13 Kracie Home Products Ltd 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342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6129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JP6730445B2 (ja) 特定のアルコキシシランと界面活性剤との組合せを含む組成物
KR101318089B1 (ko) 연속 보습 조성물
JP7041165B2 (ja) 毛髪を処置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方法
JP5805362B2 (ja) 少なくとも1種の有機ケイ素原子−含有化合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を、ケラチン繊維をケアし及び/又は洗浄するための組成物と組合せた使用
RU2587014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олос и набор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ышеназванного способа
KR20160077206A (ko) 반-영구적으로 모발을 펴는 조성물 및 방법
FR3029110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organosilane, un tensioactif cationique et un polymere cationique ayant une densite de charge superieure ou egale a 4 meq/g
BR112012032835B1 (pt) Composição de cuidado pessoal e aditivo para composição de cuidado pessoal para provisão de benefício prolongado a uma superfície de queratina
ES2343782T3 (es) Composicion de tratamiento de las materias queratinicas que comprende un polimero poli(alquil)vinillactama y un agente acondicionador.
US20130149271A1 (en) Compositions for repairing and restoring keratin-containing fibers
CN111050740B (zh) 用于护理毛发的组合物
JP2019529384A (ja) 毛髪処理組成物
FR2976800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compose organique du silicium et au moins un polymere amphotere particulier
KR102622105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WO2019059608A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200187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PT1782791E (pt) Composição cosmética compreendendo um tensioactivo catiónico, um corpo gordo líquido e um éster de sorbitano
KR102611523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084765B1 (ko)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22512107A (ja) 繊維状アミノ酸ベースの基質、特に毛髪のトリートメントのためのポリカルボン酸化合物の使用
JP2016098228A (ja) 毛髪にハリ・コシ、なめらかさ、すべり易さを付与する毛髪処理剤。
KR102111719B1 (ko) 모발의 유연성(flexibility) 증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11524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FR3132842A1 (fr) compositions et procédés de traitement des matières kératine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