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72B1 -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972B1
KR101309972B1 KR1020060071461A KR20060071461A KR101309972B1 KR 101309972 B1 KR101309972 B1 KR 101309972B1 KR 1020060071461 A KR1020060071461 A KR 1020060071461A KR 20060071461 A KR20060071461 A KR 20060071461A KR 101309972 B1 KR101309972 B1 KR 101309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composition
hair
glyc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846A (ko
Inventor
백인섭
조인식
이기무
한일민
이필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7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알코올과 저급 알코올을 주용매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모발감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폴리알코올과 저급 알코올을 주용매로 하는 제형에서 조성물의 점도가 100~25,000cP이 되도록 특정의 점도 증점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발, 컨디셔닝, 폴리알코올, 점도 증점제

Description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급 알코올과 폴리 알코올을 주 용매로 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모발의 외관과 촉감을 향상시키고 모발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물리 화학적 자극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과거에 비해 염색과 파마 등의 모발 처리가 늘어남과 동시에, 오존 및 분진과 같은 대기 오염 물질 증가로 모발 손상은 더욱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서 보다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에 대한 요구도 크게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젖은 모발에서는 엉김을 최소화하고 모발을 부드럽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마른 모발에서는 정전기에 의한 모발의 날림을 방지해 주며, 모발의 감촉을 향상시켜 모발의 관리를 쉽게 해 주고, 보기 좋은 외관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로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의 에멀젼에 실리콘을 사용한 컨디셔닝 조성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이런 에멀젼 형태의 제품은 고급 알코올을 고온에서 용해한 후 유화물로 제조함에 따 라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조건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464144와 공개특허공보 제2003-0050371호, 공개특허공보 제2005-0094289호, 공개특허공보 제2005-0094290호 등에서는 폴리알코올과 저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을 기본으로 하고 4급 암모늄염이나 3급 아미도 아민 등의 정전기 방지제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저급 알코올과 폴리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고급 알코올과 같은 지질성분을 낮은 온도에서도 용해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가용화 제형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형은 점도가 너무 낮아 헹구어내는 조성물로 사용할 때에 손바닥에서 너무 쉽게 흘러내리므로 사용 중 유실되는 양이 많고, 모발 사이로 바로 흡수되어버리고 고루 퍼지기 어렵기 때문에 적은 양으로 모발에 골고루 적용시키기가 어려우며, 펌프형 용기 등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의 점도를 개선하여 사용성이 크게 증대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성이 크게 증대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폴리알코올 또는 그의 중합체 15~70 중량%, 2)탄소수 6 이하의 저급알코올 또는 극성 유기 용매 15~70 중량%, iii) 유성성분 0.2~10 중량%, iv) 정전기 방지제 0.1~10 중량%, 및 v)알코올 가용성 점도 증가제 0.2~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알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글리세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알코올의 중합체로는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이하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성 성분으로는 탄소수 12~26의 직쇄나 분지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렌기를 갖는 고급알코올, 파라핀이나 바세린 같은 탄화수소, 라놀린 유도체, 고급 지방산이나 고급 지방산 에테르, 동물성이나 식물성 지방이나 기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12~24개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소를 갖는 지방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제는 하기 구조식 I의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6054657063-pat00001
I
여기서 R1, R2, R3, R4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이다.
R1~R4 중 하나 내지 세 개의 잔기는 10~30개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기, 알케닐기이며, R1~R4 중 나머지 세 개 내지 한 개의 잔기는 탄소수 1~4개의 탄화수소를 갖는 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이다.
X는 염-형성 음이온으로 할로겐(예: 염소, 브롬),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글리콜레이트, 포스페이트, 나이트레이트, 술페이트, 알킬술페이트 라디칼 등이다.
상기 정전기 방지제는 하기 구조식 II의 3급 아미도아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6054657063-pat00002
(II)
상기 R5는 탄소수 10~30의 알킬기이며, R6, R7, R8은 각각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2~6의 알케닐기이다.
상기 전기 방지제는 하나 이상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0.1~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가용성 점도 증가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와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타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기타의 부가적인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성분들은 보습제, 경수 연화제, 무기염, 향료, pH 조정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단백질 및 그 유도체,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 판테놀 및 피탄트리올 등과 같은 모발 컨디셔닝 및 보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25℃에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시 100cP~25,000cP의 점도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i) 폴리알코올 또는 그의 중합체 15~70 중량%, 2)탄소수 6이하의 저급알코올 또는 극성 유기 용매 15~70 중량%, iii) 유성성분 0.2~10 중량%, iv) 정전기 방지제 0.1~10 중량%, 및 v) 알코올 가용성 점도 증가제 0.2~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본원발명과 같이 저급알코올과 폴리알코올을 주 용매로 하는 가용화 제형의 점도를 증대시키는 경우에는 물이 적은 농도로 제한되므로 통상적으로 알려진 점도 증가제의 사용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폴리알코올과 저급 알코올을 주용매로 하는 조성물에서 용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적은 양으로도 점도의 증대가 가능하여 컨디셔닝 특성이 우수한 점도 증가제를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주 용매로 하는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에는 천연 폴리머 또는 합성 폴리머 성분이 점도 증가제로서 사용된다. 천연 폴리머 성분으로는 구아검, 카라기난, 잔탄검, 셀룰로오스 등과 이들의 유도체가 있으며, 합성 폴리머 성분으로는 아크릴릭 애씨드류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류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점도 증가제들은 대부분 물에 용해되어 점도 증가의 효과를 나타내고 컨디셔닝감을 부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모발 표면에 필름 형성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물이 아닌 저급 알코올과 폴리알코올을 주 용매로 사용하므로, 본 제형에서 잘 혼합되고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며, 연구 결과 기존 점도 증가제로 알려진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구아검, 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카보머 등은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으며, 용해된다 하더라도 만족할만큼의 점도 상승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점도 증가제는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좋으며, 1% 내외의 적은 양으로도 점도를 상승시키고 건조이후의 모발을 부드럽게 작용을 한다. 이러한 알코올 가용성 점도 증가제로는 천연 폴리머인 셀룰로오스와 구아의 하이드록시프로필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도 증가제로 사용되는 폴리머는 하나 이상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0.2~3 중량%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은 샴푸로 모발을 씻어낸 후 적당한 수분이 모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약 5g 내지 30g을 모발에 충분히 골고루 도포한 후 물로 씻어내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하여 i) 저급 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점도 증가용 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실시예 1 내지 3),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 (실시예 4 및 5]을 천천히 투입하여 용해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조성물에 4급 암모늄 또는 3급 아미도아민, 고급알코올을 투입하고, 상온 또는 경우에 따라서 가온하여 적은 교반력으로 혼합 용해 되도록 하였다. 시트릭애씨드 및 기타 성분과 잔부의 물을 혼합 교반하여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95% 에탄올 30 30 50 30 30
1,3-부틸렌글리콜 50 50 3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5.6 5.6 5.6 5.6 5.6
스테아릴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2.0 2.0 2.0 2.0 2.0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0.4 0.4 0.4 0.4 0.4
미리스틸알코올 3.5 3.5 3.5 3.5 3.5
스테아릴알코올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5 1 2 - -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 - - -
에틸셀룰로오스 - - - - -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 - - 0.75 2
폴리쿼터늄 28 - - - - -
씨트릭애씨드 0.5 0.5 0.5 1.0 2.5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조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95% 에탄올 30 30 50 30 30
1,3-부틸렌글리콜 50 50 3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5.6 5.6 5.6 5.6 5.6
스테아릴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2.0 2.0 2.0 2.0 2.0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0.4 0.4 0.4 0.4 0.4
미리스틸알코올 3.5 3.5 3.5 3.5 3.5
스테아릴알코올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 - - - 4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1 - - -
에틸셀룰로오스 - - - 3 -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 - - - -
폴리쿼터늄 28 - - 1 - -
씨트릭애씨드 0.5 0.5 0.5 0.5 0.5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사용성 평가
여성 패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10g을 동일한 샴푸로 모발을 씻어낸 후 적당한 수분이 모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모발을 충분히 골고루 도포한 후 물로 씻어낸 후, 1 시간 자연 건조시킨 후, 사용시 부드러움, 건조 후 부드러움, 사용시 편리함 등을 문의하여 가장 낮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5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각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점도(cP) 440 4,720 22,040 1120 18,200
사용시 부드러움 4.2 4.0 3.8 4.1 3.5
건조 후 부드러움 4.2 4.1 4.0 4.0 3.8
사용시 편리함 3.7 3.7 3.5 3.9 3.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점도(cP) 30 30 40 40 44,600
사용시 부드러움 3.8 3.3 3.2 2.8 2.7
건조 후 부드러움 4.0 3.4 3.5 2.5 2.4
사용시 편리함 2.3 2.1 2.1 2.0 1.6
상기 표 3 및 4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뿐 아니라 사용시의 편리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점증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모발 컨디셔닝 특성이 매우 양호하나 매우 낮은 점도로 인해 사용 편리성이 낮은 단점을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로 모발을 처리하면, 젖은 상태에서의 모발의 부드러움과 마른 상태에서의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낮은 점도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i) 폴리알코올 또는 그의 중합체 15~70 중량%, 2)탄소수 6이하의 저급알코올 또는 극성 유기 용매 15~70 중량%, iii) 유성성분 0.2~10 중량%, iv) 정전기 방지제 0.1~10 중량%, 및 v) 알코올 가용성 점도 증가제 0.2~3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 가용성 점도 증가제가 하이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코올 또는 그의 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글리세롤,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이하의 저급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성분이 탄소수 12~26의 직쇄나 분지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렌기를 갖는 고급알코올, 파라핀이나 바세린 같은 탄화수소, 라놀린 유도체, 고급 지방산이나 고급 지방산 에테르, 동물성이나 식물성 지방이나 기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물의 총 함량이 2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제가 4급 암모늄염과 3급 아미도아민의 단독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이 25℃에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시 100cP~25,000cP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0060071461A 2006-07-28 2006-07-28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1309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61A KR101309972B1 (ko) 2006-07-28 2006-07-28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61A KR101309972B1 (ko) 2006-07-28 2006-07-28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846A KR20080010846A (ko) 2008-01-31
KR101309972B1 true KR101309972B1 (ko) 2013-09-17

Family

ID=3922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61A KR101309972B1 (ko) 2006-07-28 2006-07-28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3849B2 (en) 2020-03-31 2023-08-15 L'oreal Hair care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105B1 (ko) 2018-09-28 2024-01-09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관리용 조성물
EP3906010A1 (en) 2018-12-31 2021-11-10 L'oreal Hair care and conditioning compositions
BR112023022499A2 (pt) * 2021-04-29 2024-01-16 Oreal Composições capilares e método para tratar cabelo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371A (ko) * 2001-12-18 2003-06-25 애경산업(주)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KR20050094289A (ko) * 2004-03-22 2005-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KR100530899B1 (ko) * 2003-08-29 2005-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371A (ko) * 2001-12-18 2003-06-25 애경산업(주)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KR100530899B1 (ko) * 2003-08-29 2005-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정제 조성물
KR20050094289A (ko) * 2004-03-22 2005-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3849B2 (en) 2020-03-31 2023-08-15 L'oreal Hair car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846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8685A (en) Clear conditioning composition
EP1016401B1 (en) Hair cleansing composition
IE60675B1 (en) Hair rinse conditioner
JPH075453B2 (ja) 整髪用組成物
ZA200101263B (en) Conditioning compositions.
JP2004512293A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中のモノアルキルクアットおよびジアルキルクアット
CN102770116B (zh) 毛发形状调整用组合物
KR101309972B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WO2018180515A1 (ja) 染毛料組成物
JP4039750B2 (ja) 繊維製品用液体仕上げ剤組成物
KR20130046109A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H09118606A (ja) 毛髪処理剤
JP5209833B2 (ja) 毛髪化粧料
KR100779287B1 (ko)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KR102169090B1 (ko) 투명한 저점도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PT1359211E (pt) Compisições suavizantes de fibras que contêm agentes activos de superfície não-iónicos
JP3765858B2 (ja) 頭髪処理剤組成物
JP4002689B2 (ja) 繊維製品用水性仕上げ剤組成物
JP2012102065A (ja) 毛髪化粧料の使用方法、その毛髪化粧料
KR100691094B1 (ko) 투명한 비수계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2009096742A (ja) 毛髪用組成物
JPS63159309A (ja) 毛髪化粧料
KR20120049122A (ko)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JP2814703B2 (ja) 毛髪化粧料
JP2003146846A (ja) 毛髪処理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