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521A -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 Google Patents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521A
KR20190082521A KR1020180000219A KR20180000219A KR20190082521A KR 20190082521 A KR20190082521 A KR 20190082521A KR 1020180000219 A KR1020180000219 A KR 1020180000219A KR 20180000219 A KR20180000219 A KR 20180000219A KR 20190082521 A KR20190082521 A KR 2019008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ack
conditioning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원
박창훈
박현영
유호연
Original Assignee
(주)이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미인 filed Critical (주)이미인
Priority to KR102018000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521A/ko
Publication of KR2019008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영양제, 보습제, 점증제 및 실리콘오일을 포함하여, 모발 내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여 손상된 큐티클 층의 회복을 도움으로써, 더 부드럽고, 윤기 있고, 건강한 모발이 되도록 도와주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성이 향상된 헤어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헤어팩의 보습 및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량의 계면 활성제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과도한 실리콘오일로 인한 미끈거림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묻히지 않으면서 모발에 도포할 수 있고, 별도의 헤어캡 없이도 효과적으로 모발에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흡수시켜 헤어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hair pack,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hair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제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영양제, 보습제, 점증제 및 실리콘오일을 포함하여, 모발 내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여 손상된 큐티클 층의 회복을 도움으로써, 더 부드럽고, 윤기 있고, 건강한 모발이 되도록 도와주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성이 향상된 헤어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건강한 모발은 성분적으로는 80~90%의 케라틴 단백질, 10~15%의 수분과 멜라닌 색소, 지질 및 미량원소로 이루어져 있고, 구조적으로는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모발의 10~15%를 차지하고 있는 모표피는 모발의 최외곽층에 위치하여 비늘모양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모발의 내부를 보호해주고, 모발의 광택 및 습윤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모발은 주로 케라틴 단백질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손상되기 쉬운데, 예를 들어, 열, 탈모제에 사용되는 강력한 환원제인 황화나트륨, 파마에 사용되는 강력한 산화제인 티오글리콜산 등에 의해 케라틴의 가교구조가 파괴되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마찰이나 당김으로 인해 모표피가 손상됨으로써 모피질, 모수질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렇게 손상된 모발은 구조적으로 거칠기 때문에 더 많은 마찰을 유발하고 결국 손상의 정도는 계속 심해지게 된다. 특히, 날씨가 건조한 겨울이나 환절기에는 모발 내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모표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손상되고 건조한 모발은 정전기를 유도함으로써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한 번 손상된 모발은 스스로 본래의 건강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손상되기 전 미리 모발을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하나, 우리 주변에는 모발 손상을 유발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리적 및 환경적 요인이 산재해 있어, 건강하고 윤기 있는 머리카락을 유지하거나, 손상모를 복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미용실에서는 손상 모발 복구 시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높은 모발 복구 효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문 시술자에 의해 받는 시술이므로 피시술자는 편하게 시술 받을 수 있으나, 큰 비용과 긴 시술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바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은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사용자 스스로 헤어팩을 이용하여 모발을 관리하는 방법은 정기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방법이나, 미용실에서 제공받는 모발 케어 서비스에 비해 현저히 효과가 떨어지고, 자주 헤어팩을 하지 않으면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헤어팩은 헤어팩 조성물을 머리에 도포하고 일정 시간 방치하는 형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헤어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손과 모발에 남아있는 미끈거리는 느낌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41025호(2014.09.05 등록) 등록특허 제10-1564633호(2015.10.26 등록)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영양제, 보습제, 점증제 및 실리콘오일을 포함하여, 모발 내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여 손상된 큐티클 층의 회복을 도움으로써, 더 부드럽고, 윤기 있고, 건강한 모발이 되도록 도와주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성이 향상된 헤어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5 ~ 7 중량부, 영양제 4 ~ 8 중량부, 보습제 4 ~ 8 중량부, 점증제 5 ~ 9 중량부, 실리콘오일 7 ~ 1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영양제 및 상기 실리콘 오일이 1 : 0.8 ~ 1.2 : 1.5 ~ 2.2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양제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2-메칠-1,3-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탄소수 16과 탄소수 18의 지방족 알코올이 1 : 0.8 ~ 1.2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오일은, 메티콘, 디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칠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20000cPs ~ 500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헤어팩은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에 적층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헤어팩 제조 방법으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5 ~ 7 중량부, 영양제 4 ~ 8 중량부, 보습제 4 ~ 8 중량부, 점증제 5 ~ 9 중량부, 실리콘오일 7 ~ 1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부직포 시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시트에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알루미늄 필름을 삽입한 후 합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영양제 및 실리콘 오일이 1 : 0.8 ~ 1.2 : 1.5 ~ 2.2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영양제, 보습제, 점증제 및 실리콘오일을 포함한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헤어팩의 보습 및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량의 계면 활성제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과도한 실리콘오일로 인한 미끈거림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헤어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묻히지 않으면서 모발에 도포할 수 있고, 별도의 헤어캡을 사용하지 않아도 모발에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정제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영양제, 보습제, 점증제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5 ~ 7 중량부, 영양제 4 ~ 8 중량부, 보습제 4 ~ 8 중량부, 점증제 5 ~ 9 중량부, 실리콘오일 7 ~ 1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머리카락이나 섬유에 사용되어, 대전 방지, 유화, 모발 컨디셔닝의 기능을 나타내며,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및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경우,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가 포함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전체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5.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전체 원료의 충분한 유화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층 분리가 일어나 효과적인 헤어 컨디셔닝 성능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곤란할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7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과도한 점증효과로 인해 발림성이 나빠지고, 사용 후 머리카락에 불쾌한 미끈거림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영양제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 코코넛 오일, 야자유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카프릴릭 지방산 및 카프릭 지방산의 혼합물과 글리세롤의 에스터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로, 본 발명의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포함되어 영양제, 수분 증발 방지제 및 보조 방부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사용감을 개선해준다.
영양제로서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전체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4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지 않아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손상모 복구 및 모발 강화 기능이 떨어지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영양제 함량 추가에 따른 충분한 영양 공급 효과의 증대가 이루어지지 않아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로서의 글리세린은 전체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4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헤어팩 사용 후, 부족한 보습으로 인해 모발의 수분 함량 증가폭이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헤어팩 사용자의 모발 수분 함량은 증가하나, 사용 후 기름진 느낌으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로는 탄소수 14 ~ 24의 고급 지방족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및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을 혼합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경우, 바람직한 점증 효과를 얻기 위해 탄소수 16과 탄소수 18의 지방족 알코올이 1 : 0.8 ~ 1.2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점증제는 전체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부보다 적게 포함될 경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이를 헤어팩에 함침, 침지 또는 코팅하여 제공하였을 때, 헤어팩 시트에서 흘러내려 포장 및 가공이 곤란할 뿐 아니라, 사용시 사용자가 도포한 부분으로부터 흘러 두피나 목 등에 묻어나 사용이 불편할 수 있으며, 특히 두피에 닿았을 경우 모공을 막아 두피 여드름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5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도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리콘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메티콘(Methicone), 디메티콘(Dimethicone), 페닐실록산(Phenyl siloxanes), 알킬메틸실록산(Alkyl methyl siloxanes), 디메티콘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s), 실리콘 쿼터늄(Silicone quarternium),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Trimethylsilyl amodimethicones) 및 아모디메티콘(Amodimethicones)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오일은 전체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 1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7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헤어팩 도포시 부드럽게 도포되지 않고 뻑뻑하게 발리는 문제가 있고, 17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과한 실리콘 성분으로 인해 헤어팩 사용 후 머리에 기름기가 도는 것처럼 보이거나, 미끈거리는 촉감이 남아있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앞서 제시한 정제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영양제, 보습제, 점증제 및 실리콘 오일 외에 추가로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방부제, 보습오일 및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원료는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성분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형, 점도 및 효능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바람직한 양으로 적절히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레이트제로는 EDTA-2Na, 인산(phosphoric acid),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 pH 조절제로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이, 방부제로 파라벤(Paraben), 쿼터늄-15(Quaternium-15),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Imidazolidinyl urea),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이, 보습오일로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코코넛오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20000cPs ~ 500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쉽게 헤어팩 외부로 흘러나와 헤어팩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으며, 반면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도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헤어팩의 효과를 충분히 보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영양제 및 상기 실리콘 오일이 1 : 0.8 ~ 1.2 : 1.5 ~ 2.2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특히 우수한 사용감과 보습 및 모발 강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은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에 합지된 필름을 포함한다.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되는 부직포 시트는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공극을 가진 것이라면 종류에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그 소재로는 면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비스코스 섬유, PETE(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레이온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한 부직포 시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헤어팩의 필름은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도포되는 부위 외의 다른 곳에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묻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호용 필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TE(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아크릴, 면 및 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은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시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알루미늄 필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필름은 머리에서 발생된 열을 헤어팩 내부에 가둠으로써 헤어팩 내부의 온도를 올리고, 상승된 온도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모발에 더 효율적으로 흡수되도록 돕는다.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에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고, 헤어팩의 형상에 대하여 아래에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헤어팩은 상기 부직포 시트 및 필름이 합지되며, 추가로 두 층 사이에 알루미늄 필름이 포함될 수 있고, 합지 후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일부, 또는 전면이 합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수용공간은 머리와 모발이 인입 되어야 하므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헤어팩이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으로는 밸크로, 탄성줄, 끈 등 일반적으로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헤어팩의 형태는 상기한 형상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형상의 헤어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헤어팩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에 맞추어 머리를 감싸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헤어팩은 모발의 양이 많거나 길어서 보통의 헤어팩으로 모발을 전부 수용할 수 없는 사용자, 또는 두상의 모양이 일반적이지 않아 일반적인 헤어팩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와 같이 통상의 헤어팩을 사용하는 데 곤란을 겪는 사용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 제조 방법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5 ~ 7 중량부, 영양제 4 ~ 8 중량부, 보습제 4 ~ 8 중량부, 점증제 5 ~ 9 중량부, 실리콘오일 7 ~ 1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부직포 시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시트에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시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는 부직포 시트와 필름을 순서대로 합지시킨 후,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공정, 용융 공정, 동시-압출 공정 또는 캘린더링 공정을 통해 상기 층들이 서로 접합되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부직포 시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알루미늄 필름을 삽입한 후 합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시트에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마스크팩 또는 헤어팩 내에 화장료 또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통상의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상기 헤어팩에 함침되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에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및 헤어팩을 제조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및 헤어팩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정제수에 글리세린, 양이온 계면활성제, 세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영양제, 실리콘오일, 오일, 방부제, 향료, 선인장꽃 추출물, 알로에베라, pH 조절제, 킬레이트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 ~ 6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부직포 시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층하고 내부 수용공간,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성형한 후, 고정수단인 탄성줄을 상기 개구부를 따라 점착시키고, 내부 부직포 시트에 앞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1 ~ 6에 따른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침시켰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Miconium BTAC-80(미원상사)를 사용하고, 실리콘오일은 200 fluid 100cst(Dow Corning)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wt%)
비교예 1
(wt%)
비교예 2
(wt%)
비교예 3
(wt%)
비교예 4
(wt%)
비교예 5
(wt%)
비교예 6
(wt%)
정제수 59.82 62.82 56.82 62.82 56.82 63.82 57.82
글리세린 6 6 6 6 6 6 6
양이온 계면활성제 6 4 8 6 6 6 6
세테아릴 알코올 3 3 3 3 3 3 3
스테아릴 알코올 2 2 2 2 2 2 2
세틸 알코올 2 2 2 2 2 2 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 6 6 3 9 6 6
실리콘오일 12 12 12 12 12 8 14
오일 0.3 0.3 0.3 0.3 0.3 0.3 0.3
방부제 1.35 1.35 1.35 1.35 1.35 1.35 1.35
향료 1 1 1 1 1 1 1
선인장꽃 추출물 0.1 0.1 0.1 0.1 0.1 0.1 0.1
알로에베라 0.1 0.1 0.1 0.1 0.1 0.1 0.1
pH조절제 0.11 0.11 0.11 0.11 0.11 0.11 0.11
킬레이트제 0.22 0.22 0.22 0.22 0.22 0.22 0.22
[ 실험예 1]
미용 효과의 감상적 진단
상기 헤어팩의 미용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불특정 다수의 20 ~ 40세 사이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임상시험 대상자는 6 그룹으로 나뉘어 실시예 제품과 비교예 1 ~ 6의 제품 중 한 종의 제품을 각 3매씩 제공받고, 일주일 동안 하나의 제품군을 3회 사용한 후 표 2에 나타난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작성하고, 다음 일주일간 또 다른 제품군을 3회 사용한 뒤 마찬가지로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작성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10점 만점에 1 ~ 10의 점수로 나타내었으며, 응답의 산술평균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윤기 9.5 7.8 7.9 5.7 6.9 4.9 6.0
차분함 9.3 7.5 7.6 5.9 7.0 5.5 5.7
탄력성 9.1 6.9 7.0 5.5 7.8 6.5 6.1
보습성 9.7 7.1 6.9 6.1 7.1 6.7 6.7
지속력 9.1 7.6 7.3 7.0 7.9 6.8 6.3
발림성 9.2 6.8 6.6 8.3 8.5 4.0 4.9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항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 제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항목별로, 실시예는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비교예의 값에 비해 12 ~ 26%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보습성에 있어서 비교예 중 최고 값인 7.1 보다 2.6 높은 9.7의 응답을 나타내, 사용자가 특히 실시예 제품의 보습력을 만족스러워 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모발의 수분 팽윤도 측정
실험을 위하여 시료로 사용된 모발은 최근 1년 내 화학시술로 손상된 모발을 가진 기증자와 최근 1년 내 화학시술을 받지 않은 건강한 모발을 가진 기증자로부터 채취되었으며, 두피에서 30cm 기준으로 잘라 3g씩 모발 트레스(Tressl 모발 묶음)를 만들고, 중성샴푸로 세척하여 건조하여 준비되었다.
대조군을 제외하고, 준비된 손상모 및 비손상모 트레스들에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 1 ~ 6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도포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상온의 수돗물로 세척하는 과정을 하루에 한번, 일주일간 수행한 후 대조군과 함께 수분 팽윤도를 측정하였다. 수분 팽윤도 측정은 하기와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대조군 모발 트레스와 상기의 컨디셔닝 조성물 도포 과정을 거친 모발 트레스를 각각 시험관에 넣고 상온의 증류수 15ml를 가하여 모발 트레스가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도록 30분간 실온에서 침포시킨 뒤, 증류수로부터 모발 트레스를 분리하였다. 이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모발 트레스의 모피질에 부착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 중량을 측정하고,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손상모 비손상모
초기중량
(g)
최종중량
(g)
팽윤도
(%)
초기중량
(g)
최종중량
(g)
팽윤도
(%)
대조군 3.0027 3.2230 22.03 3.0149 3.1470 13.21
실시예 3.0128 3.1907 17.79 3.0067 3.1695 16.28
비교예 1 3.0110 3.2248 21.38 3.0125 3.1531 14.06
비교예 2 3.0134 3.2215 20.81 3.0050 3.1554 15.04
비교예 3 3.0087 3.2231 21.44 3.0118 3.1507 13.89
비교예 4 3.0146 3.2157 20.11 3.0154 3.1681 15.27
비교예 5 3.0095 3.2192 20.97 3.0112 3.1593 14.81
비교예 6 3.0102 3.2164 20.62 3.0138 3.1676 15.38
수분 팽윤도는 15% 전후로 나타날 경우 정상모로 판단하며, 15%를 크게 벗어나는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손상모로 판단할 수 있는데, 표 3의 결과를 보면, 손상모의 경우 대조군의 수분 팽윤도에 비해 실시예 및 비교예 1 ~ 6 조성물로 처리된 경우의 수분 팽윤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모든 제품군이 손상모 회복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경우 대조군과의 팽윤도 차이가 특별히 크게 나타나므로, 비교예에 비해 특히 우수한 손상모 복구 능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비손상모의 실시예의 경우 수분 팽윤도가 비교예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전체 제품군 중 특히 뛰어난 보습력을 가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 실험예 3]
모발 인장강도 측정
상기 실험예 2에서 세척, 건조하여 준비된 건강한 모발 트레스에서 80 ~ 100㎛의 굵기를 갖는 모발을 선별한 후, 상온, 60% 습도를 갖는 실험실에서 인장강도계(TA-XT-Plus,Stable micro system LTD.,England)를 이용하여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도포 전의 모발을 인장강도계에 장착하여 2cm/min의 속도로 모발을 잡아당기면서 모발이 끊어지는 순간의 힘의 크기를 측정한 뒤, 각 모발에 실시예 및 비교예 1 ~ 6의 조성물 중 하나를 도포하여 10분간 방치하고 상온의 수돗물로 세척한 뒤, 다시 한 번 상기와 같이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조성물당 10가닥의 모발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인장강도 값의 산술평균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초기 인장강도(g) 도포 후 인장강도(g) 증가율(%)
실시예 98.7 102.2 3.5
비교예 1 96.8 98.8 2.0
비교예 2 95.5 97.2 1.7
비교예 3 96.2 97.7 1.5
비교예 4 97.0 99.1 2.1
비교예 5 99.1 100.3 1.2
비교예 6 97.3 99.6 2.3
실험 결과, 비교예 1 ~ 6의 조성물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였을 때 특별히 유의미한 인장강도의 증가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 따른 헤어팩 조성물이 다른 조성물보다 큰 모발 강화 효과를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5 ~ 7 중량부, 영양제 4 ~ 8 중량부, 보습제 4 ~ 8 중량부, 점증제 5 ~ 9 중량부, 실리콘오일 7 ~ 1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영양제 및 상기 실리콘 오일이 1 : 0.8 ~ 1.2 : 1.5 ~ 2.2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2-메칠-1,3-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탄소수 16과 탄소수 18의 지방족 알코올이 1 : 0.8 ~ 1.2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오일은, 메티콘, 디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칠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20000cPs ~ 500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8. 제 1항에 기재된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함침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에 적층된 필름;을 포함하는 헤어팩.
  9.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5.5 ~ 7 중량부, 영양제 4 ~ 8 중량부, 보습제 4 ~ 8 중량부, 점증제 5 ~ 9 중량부, 실리콘오일 7 ~ 17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부직포 시트와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시트에 상기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함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팩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는, 알루미늄 필름을 삽입한 후 합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영양제 및 상기 실리콘 오일이 1 : 0.8 ~ 1.2 : 1.5 ~ 2.2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팩 제조방법.
KR1020180000219A 2018-01-02 2018-01-02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KR20190082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19A KR20190082521A (ko) 2018-01-02 2018-01-02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19A KR20190082521A (ko) 2018-01-02 2018-01-02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21A true KR20190082521A (ko) 2019-07-10

Family

ID=6725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219A KR20190082521A (ko) 2018-01-02 2018-01-02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5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679A (ko) * 2021-02-19 2022-08-26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5B1 (ko) 2008-03-05 2014-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1564633B1 (ko) 2015-05-11 2015-11-03 윤지양행(주) 캡을 이용한 헤어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5B1 (ko) 2008-03-05 2014-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1564633B1 (ko) 2015-05-11 2015-11-03 윤지양행(주) 캡을 이용한 헤어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679A (ko) * 2021-02-19 2022-08-26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3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CA2915328A1 (en) Hair-conditioning mask
CN110573136B (zh)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CN106562914A (zh) 一种护发素
KR102654769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2521A (ko) 헤어팩용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팩
CN104519857A (zh) 光彩组合物和使用方法
KR101337892B1 (ko) 진주 단백질 추출물과 내츄럴 오일을 함유한 모발 화장료조성물
KR102564638B1 (ko)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US20090196943A1 (en) Preventing/Treating signs of skin stress/aging by bioenergetically modifying acupuncture points of the face or neck
KR101677546B1 (ko)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1858B1 (ko) 쿨링 팩용 아로마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팩
KR102084765B1 (ko)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3B1 (ko)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JP2003113032A (ja) オレンジピールワックスを含有する化粧品
KR102248368B1 (ko) 보습력이 우수한 건식 시트형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3752A (ko) 고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1481459B (zh) 毛发化妆品组合物
JP2000219619A (ja) 化粧料
US20210299003A1 (en) Sheet type mask gel composition, mask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sheet
KR20090112340A (ko) 네추럴 헤어스 자연 추출물 화장료 조성물
US20120201770A1 (en) Treatment of sweating
KR100761643B1 (ko)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섬유가공제
WO2018197331A1 (en) A cosmetic composition, method and process of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