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533B1 -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533B1
KR102394533B1 KR1020170127097A KR20170127097A KR102394533B1 KR 102394533 B1 KR102394533 B1 KR 102394533B1 KR 1020170127097 A KR1020170127097 A KR 1020170127097A KR 20170127097 A KR20170127097 A KR 20170127097A KR 102394533 B1 KR102394533 B1 KR 10239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ras
volume
root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590A (ko
Inventor
정윤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2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5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2033/008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의 볼륨 형성 능력을 모발의 모간 부위별로 평가하거나 모발 전체로 평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면, 세정/양모 제품, 특히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제 등에 이용하는 필름 형성 제제(Film Forming Formulation) 등의 모발 볼륨 향상능을 명확하게 평가하여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Method for Screening Materials which Increase Hair Volume}
본 발명은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의 볼륨 형성 능력을 모발의 모간 부위별로 평가하거나 모발 전체로 평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생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신체의 보호, 보온 및 촉각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에 대항하여 쿠션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직사광선과 추위와 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모발 가운데 눈썹, 속눈썹, 코털 및 귀털 등은 땀, 먼지 및 벌레의 침입에 대한 방어 기능이 있으며, 신체에 불필요한 수은, 비소 및 납 등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발은 장식면에서 남성, 여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같은 사람이라도 헤어스타일과 모발의 색을 변화시키면 또 다른 인상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발은 두부의 보호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면에서의 역할도 한다.
모발은 평균 두께 약 0.07mm 정도의 얇고 가는 단백질 구조물로서, 피부 외부로 나와 있는 모간부(Hair Shaft)와 피부 내부에 있는 모근부(Hair Root)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두피는 피부와 비슷한 기본 구조와 생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두피의 모낭(Hair Follicle)은 다른 부위보다 복잡하고 피지선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모근부는 모낭 안에 있는 부분으로 두피 내에 매몰되어 있는 부분이며 깊이는 2~4mm 정도이다. 모근의 제일 아랫부분은 구슬처럼 부풀어 있는데 이 부분을 모구(Hair Bulb)라고 하고, 이 부분의 크기에 따라 모발의 굵기가 결정된다.
모발의 단면을 확대해보면 가장 안쪽 부분이면서 중심이 되는 곳인 모수질(Medulla), 모수질을 둘러싸고 있는 모피질(Cortex) 그리고 맨 바깥부분인 모표피(Cuticle)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모표피는 모발의 표면을 덮고 있으며, 모발 내부를 감싸고 있는 화학적 저항성이 강한 곳으로서, 외측으로부터 에피큐티클(Epicuticle), 엑소큐티클(Exocuticle) 및 엔도큐티클(Endocuticle)이라고 부르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모피질은 모표피의 내측에 존재하고 모발의 대부분(85~90%)을 차지하며 주성분은 케라틴 단백질이고 피질세포와 세포간 결합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수성으로 펌이나 염색의 작용을 쉽게 받는 부위이다. 모수질은 모발의 중심부에 존재하고 약간의 멜라닌 색소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수질속에는 크고 작은 공포가 많이 있어 공기를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모발은 18종의 아미노산 중에서 시스틴을 14~18% 함유하는 케라틴 단백질이다. 이들 케라틴 단백질은 물 또는 중성 용매와 같은 온화한 조건에서는 매우 강한 단백질의 일종이지만, 빗질, 드라이의 열, 염색, 퍼머 등과 같은 과도한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해서는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최근에는 잦은 파마, 염색 등 물리적, 화학적 또는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모발이 손상됨으로써 모발이 거칠어지고 윤기를 잃어 부드러움과 유연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마찰력이 증가하여 모발 손질이 어려워지며, 모발이 잘리거나 끝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와 더불어 모발이 가늘어지고 탄력을 잃어 생기 없고 쳐지면서 볼륨감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모발의 볼륨이란 피부를 덮고(점유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모발 전체의 총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유사한 머리 모양과 헤어 스타일을 가진 두 사람이 있는데 한 사람의 모발 길이가 길고 나머지 한 사람의 모발 길이가 짧다고 한다면, 긴 모발을 가진 사람은 모발의 더 넓은 면적으로 인해 모발 길이가 짧은 모발을 가진 사람보다 모발의 볼륨감이 크다(모발의 볼륨도가 높음)고 할 수 있다. 또한, 모발 다발(Hair Bundle, 또는 Hair Tress)을 구성하는 모발 가닥들의 간격, 특히 모근에 근접한 모간 부위(모발 줄기, 털 줄기)에 비해 모발 말단(모발의 끝부분)의 모간 부위의 모발 가닥 간의 간격이 커질수록 모발의 볼륨도는 더 높아진다. 즉, 피부상에서 모발 전체의 면적이 넓고, 모발 다발의 모발 가닥 간의 간격이 큰 사람은 모발의 볼륨 증가로 인해 일반적으로 더 풍성한 모발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된다.
모발은 피부의 노화, 특히 야외에서의 자외선 노출로 인한 피부 또는 모발의 노화, 또는 화학적/물리적 손상때문에 모발 섬유를 구성하는 성분의 결핍 및/또는 모발 섬유 구조의 변형 등으로 인해 모발 섬유의 굵기가 가늘어지고, 모발 섬유의 강도 또한 약해지게 되어 모발 볼륨감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유사한 머리 모양과 헤어 스타일을 가진 사람이라도 모발 섬유의 굵기 및 강도에 따라 모발의 볼륨은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모발 섬유의 강도가 약해지게 되면 두피에서 솟아나온 모발은 모근으로부터 피부 밖으로 돌출한 모발의 모간 부위의 끝부위까지 나머지 모발을 지지하는 힘이 줄어들 것이다. 그 결과로 모발 전체의 '쳐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관능적인 의미로는 "볼륨이 줄어보인다" , "힘이 없어 보인다", "모발이 늙어보인다" 등 미용학적으로 부정적인 느낌을 주게 되어 헤어 스타일링 등의 모발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모발의 볼륨감을 유지하고,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모발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모발 뿌리(모근)의 강화를 통해 모발 탄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헤어 스타일 전체에 힘을 쏟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BNT 뉴스 기사, "볼륨없는 헤어 스타일링 해결사, '머리 볼륨 2배로 살리는 법'", 2016년 1월).
모발은 액체/기체 상태의 물을 모발 무게의 40%까지 흡수가능하며, 모발의 함수율(含水率)은 주위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예컨대, 고온 상태가 지속되는 환경, pH 변화가 심한 환경, 모발 손상으로 모발의 수소결합이 끊어지는 환경 등에 노출시 모발의 수분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의 수화(Hydration)의 변화는 섬유의 탄력성(Fiber Elasticity)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모발의 함수율이 15~10% 증가하면 모발 가닥(Thread)의 지름이 약 0.5~1%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ia et al., Brazilian jr of pharm., Vol45, n.1, 2009).
특히, 모발의 화학적 특성은 두피와 인접한 모발 부위와 두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모발 부위가 달라, 두피에 근접한 모발 부위는 큐티클(Cuticle)이 완벽한 상태로 존재하지만, 모발의 끝부분(Tip)에는 큐티클이 거의 없는 상태로 존재한다(Bhushan et al.,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53:585-710, 2008).
한편, 샴푸로 대표되는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그 기능이 모발과 두피 세정에 있으나, 최근에는 본래의 세정 목적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는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을 처방함으로써 모발의 건조 후에 모발의 날림을 방지하고 부드러움을 향상시킨 제품, 염색 또는 펌과 같은 모발 시술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정돈과 보수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제품들은 실리콘의 사용에 의해 모발에 부드러움, 촉촉함, 유연성, 빗질 용이성 등의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유리하지만, 가는 모발이나 손상된 모발과 같이 타력이 약한 모발의 경우에는 오히려 모발을 너무 가라앉히고 쳐지게 하여 모발에 볼륨감을 주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세정 시 혹은 세정 후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고 강화시키기 위한 모발용 화장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그 결과, 강하고 지속적인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개발되어 실용화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세정/양모 제품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모발 트래스를 이용하여 모발 볼륨의 향상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은 있었으나, 대부분 모발 전체의 모발 볼륨 수준을 평가하는 관능평가(화장료 제형의 사용감)에만 평가방법이 집중되어 있어, 세정/양모 제품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에 의한 모발의 볼륨 향상 여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모발의 국소 부위(예컨대, 모근(毛根)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毛幹, 모발 줄기)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에 대한 모발의 볼륨 평가방법, 및 상기 평가방법을 이용한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가 없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모발 전체뿐만 아니라, 모발의 국소 부위, 즉 모발의 모간 부위 중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발의 탄력 증진에 관여하는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에 대해서 모발의 볼륨 수준 평가가 가능한 평가방법과 모발 전체의 볼륨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볼륨 평가방법을 이용하면, 세정/양모 제품, 및 상기 제품에 포함되는 화학 성분, 특히 소수성 화학 성분의 모발에 대한 볼륨 향상능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이러한 평가에 기초한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의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발 전체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1)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1)와, 모발의 볼륨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의 모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의 모발 부위를 바닥면(수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이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룬 시점에,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에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 떨어진 안쪽 모발 부위로부터, 이 안쪽 모발 부위를 기준점(1)으로 하여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안쪽 모발 부분(기준점(2))까지의 길이(RS1)를 측정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의 기준점(2)으로부터, 이 기준점(2)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바깥쪽 모발 부분(기준점(3))까지의 길이(RS2)를 측정하는 단계;
(5)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S3을 계산하여 모발 트래스의 볼륨도를 평가하는 단계:
[수학식 1]
RS3 = RS2 / RS1
상기 RS3이 1 이상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높고, RS3이 1 미만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함; 및
(6) 상기 (5) 단계에서 얻은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 각각의 RS3을 비교한 후, 모발 트래스 1이 모발 트래스 2보다 모발 볼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시험 물질을 모발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발 전체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1) 모근 부위가 위를 향하도록,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1)와, 모발의 볼륨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2)를 수평면에 놓는 단계;
(2)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부터 모발 줄기(모간 부위)가 시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를 R0으로 정의하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1.8~2.2cm, 바람직하게는 1.9~2.1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cm 떨어진 부분을 R1로 정의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2.5~3.5cm, 바람직하게는 2.8~3.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cm 떨어진 부분을 R3로 정의하는 단계;
(5)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5.5~6.5cm, 바람직하게는 5.8~6.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6cm 떨어진 부분을 M6로 정의하는 단계;
(6)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8.5~9.5cm, 바람직하게는 8.8~9.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9cm 떨어진 부분을 M9로 정의하는 단계;
(7)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3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R1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R로 정의하는 단계;
(8)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M9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M6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M으로 정의하는 단계;
(9)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dR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상기 dM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를 제외한 기타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10) 상기 (7) 단계 내지 (9) 단계에서 얻은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 각각의 dR 및 dM을 비교한 후, 모발 트래스 1이 모발 트래스 2보다 모발 볼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시험 물질을 모발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전체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면, 세정/양모 제품, 특히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제 등에 이용하는 필름 형성 제제(Film Forming Formulation) 등의 모발 볼륨 향상능을 명확하게 평가하여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발 가닥 중 두피와 근접한 모간 부위의 소수성을 증가시켜 모발의 볼륨 증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피부 또는 두피의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5cm 모간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피부 또는 두피의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5cm 모간 부위)를 제외한 모발 트래스의 모발 부위를 탈색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모발 트래스의 가닥수를 달리하여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처리한 다음, 모발 트래스가 45° 각도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는 지점(point)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모발 볼륨 증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a) 가닥수: 5개; (b) 가닥수: 10; (c) 가닥수: 20개; (d) 가닥수: 40개; (e) 가닥수: 100개)).
도 4는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의 모간 부위에 대한 모발 볼륨 평가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모발의 볼륨 평가에 이용되는 모발 부위별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 전체에 대한 볼륨 평가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모발의 볼륨 평가에 이용되는 모발 부위별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40~50세 연령대의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샴푸 제형의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관능검사)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여기서, 짙은회색선은 기존 샴푸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적색선은 시험 샴푸 제형(Test Shampoo Formulation)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볼륨 평가방법에 의해 확인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와 폴리쿼터늄-11을 시험 샴푸 제형에 포함시켜 제조한 모발의 볼륨 증진용 샴푸를 40~50세 연령대의 시니어를 대상으로 모발에 도포한 후,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여기서, 청색선은 기존 샴푸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적색선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볼륨 증진용 샴푸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임).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피, 시간(기간), 농도, 함량, 면적, 온도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량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의 볼륨 개선 효능 평가에 적합한 모발 트래스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의 볼륨 개선 효과가 있는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로 처리 시 모발의 볼륨력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모발 가닥수는 100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볼륨의 평가방법 및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시험 물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표 2의 시험 물질 중 3종의 원료인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SC-200)에 의한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시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평가방법 1 및 평가방법 2에 의거하여 선별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 아미노 기능 디메치콘(ADM 8301 E), PEG/PPG-20/20-페닐이소프로필카프릴릴디메치콘(BELSIL PF 200)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SC-200)에 대해 모발 트래스에 대한 모발 볼륨의 증감 수준 평가 및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에 의한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시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평가방법 1 및 평가방법 2에 의거하여 선별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를 서로 다른 조합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더 개선되는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를 서로 다른 조합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을 모발 트래스에 도포한 후, 사용감에 대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2종의 소수성 폴리머의 혼합물보다는 3종의 소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인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을 혼합한 혼합물, 특히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을 중량기준으로 1:1:1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 중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와, 폴리쿼터늄-11을 중량기준으로 1 : 1 : 1 : 4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으로 도포한 모발 트래스의 모발 볼륨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용감면에서도 좋은 평가(모발의 낮은 끈적임, 낮은 잔여감, 높은 마무리 코팅감 및 높은 정수리 쿠션감)를 얻을 수 있었다(시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평가방법 1 및 평가방법 2에 의거하여 선별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의 혼합물과, 폴리쿼터늄-11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모발에 대한 사용감에 대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와, 폴리쿼터늄-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 제형은 기존 샴푸 제형에 비해 모발의 머리위 정수리 쿠션감, 잔여감 및 마무리 코팅감면에서 우위를 나타내어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였다(시험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모발의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 (1) 내지 (5)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모발 트래스의 모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의 모발 부위를 바닥면(수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이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룬 시점에,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에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 떨어진 안쪽 모발 부위로부터, 이 안쪽 모발 부위를 기준점(1)으로 하여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안쪽 모발 부분(기준점(2))까지의 길이(RS1)를 측정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에 대해 기준점(2)으로부터, 이 기준점(2)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바깥쪽 모발 부분(기준점(3))까지의 길이(RS2)를 측정하는 단계; 및
(5)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모발 트래스에 대해 RS3을 계산하여 모발의 볼륨도를 평가하는 단계:
[수학식 1]
RS3 = RS2 / RS1
상기 RS3이 1 이상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높고, RS3이 1 미만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함.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바람직하게는 5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발 가닥수는 80~120, 바람직하게는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바람직하게는 5cm의 모발 부위를 제외한 모발 부위를 탈색 처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평판은 격자(grid)로 표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모발 전체의 볼륨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 (1) 내지 (9)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모근 부위가 위를 향하도록, 모발 트래스를 수평면에 놓는 단계;
(2)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부터 모발 줄기(모간 부위)가 시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를 R0으로 정의하는 단계;
(3) 상기 R0로부터 1.8~2.2cm, 바람직하게는 1.9~2.1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cm 떨어진 부분을 R1로 정의하는 단계;
(4) 상기 R0로부터 2.5~3.5cm, 바람직하게는 2.8~3.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cm 떨어진 부분을 R3로 정의하는 단계;
(5) 상기 R0로부터 5.5~6.5cm, 바람직하게는 5.8~6.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6cm 떨어진 부분을 M6로 정의하는 단계;
(6) 상기 R0로부터 8.5~9.5cm, 바람직하게는 8.8~9.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9cm 떨어진 부분을 M9로 정의하는 단계;
(7) 상기 R3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R1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R로 정의하는 단계;
(8) 상기 M9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M6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M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9) 상기 dR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상기 dM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를 제외한 기타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바람직하게는 5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발 가닥수는 80~120, 바람직하게는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평판은 격자(grid)로 표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 (1) 내지 (6)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1)와, 모발의 볼륨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의 모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의 모발 부위를 바닥면(수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이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룬 시점에,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에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 떨어진 안쪽 모발 부위로부터, 이 안쪽 모발 부위를 기준점(1)으로 하여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안쪽 모발 부분(기준점(2))까지의 길이(RS1)를 측정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의 기준점(2)으로부터, 이 기준점(2)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바깥쪽 모발 부분(기준점(3))까지의 길이(RS2)를 측정하는 단계;
(5)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S3을 계산하여 모발 트래스의 볼륨도를 평가하는 단계:
[수학식 1]
RS3 = RS2 / RS1
상기 RS3이 1 이상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높고, RS3이 1 미만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함; 및
(6) 상기 (5) 단계에서 얻은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 각각의 RS3을 비교한 후, 모발 트래스 1이 모발 트래스 2보다 모발 볼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시험 물질을 모발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결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바람직하게는 5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발 가닥수는 80~120, 바람직하게는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는 약 25cm인 흑모 중 모근 끝으로부터 시작되는 약 1cm의 모발 부위를 순간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바람직하게는 5cm의 모발 부위를 제외한 모발 부위를 탈색 처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평판은 격자(grid)로 표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모발 전체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 (1) 내지 (10) 단계들을 포함한다.
(1) 모근 부위가 위를 향하도록,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1)와, 모발의 볼륨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2)를 수평면에 놓는 단계;
(2)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부터 모발 줄기(모간 부위)가 시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를 R0으로 정의하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1.8~2.2cm, 바람직하게는 1.9~2.1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cm 떨어진 부분을 R1로 정의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2.5~3.5cm, 바람직하게는 2.8~3.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cm 떨어진 부분을 R3로 정의하는 단계;
(5)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5.5~6.5cm, 바람직하게는 5.8~6.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6cm 떨어진 부분을 M6로 정의하는 단계;
(6)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8.5~9.5cm, 바람직하게는 8.8~9.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9cm 떨어진 부분을 M9로 정의하는 단계;
(7)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3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R1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R로 정의하는 단계;
(8)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M9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M6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M으로 정의하는 단계;
(9)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dR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상기 dM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를 제외한 기타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10) 상기 (7) 단계 내지 (9) 단계에서 얻은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 각각의 dR 및 dM을 비교한 후, 모발 트래스 1이 모발 트래스 2보다 모발 볼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시험 물질을 모발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결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바람직하게는 5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발 가닥수는 80~120, 바람직하게는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는 약 25cm인 흑모 중 모근 끝으로부터 시작되는 약 1cm의 모발 부위를 순간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평판은 격자(grid)로 표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단독의 소수성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Isododecane/Butyl Acrylate/Hydroxypropyl 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및 폴리쿼터늄-55(polyquaternium-55, PQ-55)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종의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1(polyquaternium-11, PQ-11)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볼륨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은 중량기준으로, 상기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를 1~10 : 1~10, 바람직하게는 1~5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1~4의 혼합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폴리머인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폴리쿼터늄-55 및 비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1을 5~1000 : 5~1000 : 5~1000 : 5~1000(즉, 0.05~10 : 0.05~10 : 0.05~10 : 0.05~10), 바람직하게는 5~200 : 5~200 : 5~200 : 100~400(즉, 0.05~2 : 0.05~2 : 0.05~2 :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00 : 100 : 400(즉, 1 : 1 : 1 : 4)의 혼합비로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독의 소수성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상기 소수성 폴리머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소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효능을 갖기에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소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1중량%을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피부 안전성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상기 혼합물 중 상기 소수성 폴리머의 양은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 중량비인 1~10 : 1~10, 바람직하게는 1~5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폴리머인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폴리쿼터늄-55 및 비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1의 혼합 중량비인 5~1000 : 5~1000 : 5~1000 : 5~1000, 바람직하게는 5~200 : 5~200 : 5~200 : 100~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00 : 100 : 400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1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소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효능을 갖기에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소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1중량%을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피부 안전성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상기 혼합물 중 상기 비이온성 폴리머의 양은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 중량비인 1~10 : 1~10, 바람직하게는 1~5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폴리머인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폴리쿼터늄-55 및 비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1의 혼합 중량비인 5~1000 : 5~1000 : 5~1000 : 5~1000, 바람직하게는 5~200 : 5~200 : 5~200 : 100~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00 : 100 : 400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1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비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효능을 갖기에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비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이 1중량%을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피부 안전성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모간 부위에 선택적으로 흡착되어 모발의 탄력 증가로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발의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머리위의 정수리 쿠션감 향상, 모발의 잔여감 개선 및 모발의 마무리 코팅감 향상용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모발의 잔여감이란 모발 표면에 잔여하는 잔여 이물감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모발의 잔여감이 낮을수록 모발의 잔여감이 개선되어 모발의 산뜻한 느낌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워시 오프 타입의 모발 세정용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연고, 모발용 영양화장수, 모발용 마사지크림, 헤어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포마드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또는 부피에 유용한 기능성을 부과하기 위해, 글리세린 등의 보습 성분, 항산화제 등의 항산화/항노화 성분, 티로시나아제 억제제, 각질 재생 촉진제 등의 미백 성분, 자외선 차단제 등의 보호 성분, 히알루론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상처 치유 성분, 소염제 등의 함염 성분 등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하여 피부 또는 모발에 대한 보습, 항노화, 미백, 보호, 상처 치유 등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소량의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의 볼륨력 개선 효능 평가에 적합한 모발 트래스의 제조
모발용 제형 품평에 사용되는 일반 모발 트래스(Tress)는 모발 가닥수가 많아 제형 평가 시 사용되는 원료의 낭비가 심하고, 모발 트래스 간 모발 볼륨의 평가가 어려운 점이 있어 소량의 시험 물질(원료)에 대한 모발 볼륨력 개선 효능 평가에 적합한 모발 트래스를 제조하였다.
먼저, 모발 트래스의 가닥수를 달리하여 볼륨감을 부여하는 BMAS-AP(Isododecane/Butyl Acrylate/Hydroxypropyl 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를 처리한 다음, 모발 트래스가 45°의 각도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는 지점(point)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모발 볼륨의 증감 여부를 확인하여 소량의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 볼륨 증감 수준 평가에 용이한 모발 트래스의 가닥수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 소량의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의 볼륨 증감 수준 평가에 적합한 모발 트래스 가닥수의 선별방법 >
(1) 길이가 약 25cm인 흑모 중 모근 끝으로부터 시작되는 약 1cm의 모발 부위를 순간접착제로 접착하여 5개, 10개, 20개, 40개, 80개 및 100개의 모발 가닥수로 구성된 장모 트래스를 각각 제작하였다(선택사항: 모근(毛根)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毛幹, 모발 줄기) 부위 중 4~6cm(5cm 모간 부위)를 제외한 모발 부위를 탈색 처리(탈색제(1제:2제=3:1)로 30분간 처리)하면, 탈색 전 모발 트래스 본래의 볼륨감을 감소시킴으로써, 시험 물질 처리 후의 모발(특히, 모발의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증감 여부를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모근으로부터 피부 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모발 트래스의 끝부분(tip region)을 염색 처리하게 되면 모발 트래스의 끝부분은 친수성(Hydrophilicity)이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모근에 근접한 모발 부위는 소수성(Hydrophobicity)이 높아져 모근에 근접한 모발 부위의 수소성/친수성의 특성이 모발의 볼륨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2) 장모 트래스의 모근 끝으로부터 약 5cm 떨어진 모간 부위에 시험 물질(대조군: 증류수)을 적절 함량(예컨대, 2g)으로 처리한 후, 약 20회 문질러 도포하였다(도 2 참조).
(3) 시험 물질로 도포한 장모 트래스의 모간 부위를 흐르는 물에 세정하고, 완전하게 건조시킨 후(드라이기 사용), 상온(18~25℃)에서 약 30분간 방치하였다.
(4) 상기 (3) 단계 완료 후, 모발 트래스가 수평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모발 끝으로부터 4~6cm의 모간 부위(피부 또는 두피의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 지점(접착제가 존재하는 부위 바로 바깥쪽)을 시작점인 O으로 읽을 수 있도록 고정하였다.
(5) 자연스럽게 수평면 방향으로 기울도록 두되 수평면과 4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A)을 기록하고, 모간 부위 지점인 시작점 0으로부터 수평면과 45°의 각도를 이루는 지점(A)까지의 길이(O-A)를 측정하여 모발 볼륨 평가에 적합한 모발 트래스의 가닥수를 확인하였다.
모발 가닥수 증류수 처리 후 O-A 길이 측정
(단위: mm)
BMAS-AP 처리 후 O-A 길이 측정
(단위: mm)
5 34 22
10 33 25
20 24 33
40 18 32
80 15 36
100 22 45
그 결과, 표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류수로 처리한 모발 트래스에 비해 BMAS-AP로 처리한 모발 트래스의 O-A 길이가 전반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나,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모발 가닥수가 100개 이상일 때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모발 볼륨의 평가방법 및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2의 시험 물질 중 7종의 원료에 대해 모발 볼륨의 증감 수준을 평가하였다.
분류 원료명 INCI 용도
실리콘 DC680 Polypropylsilsesquioxane/ Isododecane 컬러 메이크업 제품
ADM 8301 E Amino Functional Dimethicone 헤어 스타일링제
BELSIL PF 200 PEG/PPG-20/20 Phenylisopropyl Caprylyl Dimethicone 양모제, 스프레이,
헤어 스타일링제
FA4002 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컬러 메이크업 제품,
선케어 제품
Gransil PSQ Polypropylsilsesquioxane 컬러 메이크업 제품,
선케어 제품
필름포머(Film Former) BMAS-AP Isododecane/Butyl Acrylate/Hydroxypropyl 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마스카라
KSP-101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마스카라
점도 향상용 폴리머 SC-20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점증제
Styleze W-10
(PQ-55)
Polyquaternium-55 헤어 왁스,
헤어 스타일링제
Aculyn 46N PEG-150/Decyl Alcohol/SMDI Copolymer 점증제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SC-200)의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BMAS-AP DC680 FA4002 KSP-101 Gransil PSQ SC-200 Aculyn 46N
시험물질 처리 후, O-A 길이 측정
(단위: mm)
45 22 15 25 18 24 19
<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의 기초가 되는 모발 볼륨의 평가방법 >
사람의 두상 형태는 완만한 타원형 형태로 정수리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공으로부터 성장해 나오는 모발의 기울기는 다양한다. 예컨대, 사람이 정자세로 서있는 경우 정수리쪽 모발선이 두피와 형성하는 각도는 90°이나 옆통수 또는 뒷통수의 모발 기울기는 0°에 근접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모발이 형성되는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는데, 수직으로 설정하는 경우 모근으로부터 돌출한 모간 부위에 처리하는 물질(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 등)에 의해 형성되는 영향보다 모발 전체 무게에 의해 쳐지는 현상의 영향이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지면(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로 모발을 기울이고 모발의 특정 지점 이후부터 형성되는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모간 부위, 바람직하게는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의 모발 부위에 처리하는 물질이 모발 볼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험예 1과 표 3의 결과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모발 볼륨의 평가방법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도 4 및 도 5 참조).
[모발 볼륨의 평가방법 1]: 두피와 근접한 모간 부위의 모발 볼륨 평가방법
(1) 모발 트래스의 모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의 모발 부위를 바닥면(수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이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40~50°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4~46°의 각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이룬 시점에,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에서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 떨어진 안쪽 모발 부위로부터, 이 안쪽 모발 부위를 기준점(1)으로 하여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안쪽 모발 부분(기준점(2))까지의 길이(RS1)를 측정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에 대해 기준점(2)으로부터, 이 기준점(2)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바깥쪽 모발 부분(기준점(3))까지의 길이(RS2)를 측정하는 단계; 및
(5)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모발 트래스에 대해 RS3을 계산하여 모발의 볼륨도를 평가하는 단계:
[수학식 1]
RS3 = RS2 / RS1
상기 RS3이 1 이상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높고, RS3이 1 미만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함.
[모발 볼륨의 평가방법 2]: 모발 전체의 볼륨 평가방법
(1) 모근 부위가 위를 향하도록, 모발 트래스를 수평면에 놓는 단계;
(2)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부터 모발 줄기(모간 부위)가 시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 0.5~1.5cm, 바람직하게는 0.8~1.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를 R0으로 정의하는 단계;
(3) 상기 R0로부터 1.8~2.2cm, 바람직하게는 1.9~2.1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cm 떨어진 부분을 R1로 정의하는 단계;
(4) 상기 R0로부터 2.5~3.5cm, 바람직하게는 2.8~3.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cm 떨어진 부분을 R3로 정의하는 단계;
(5) 상기 R0로부터 5.5~6.5cm, 바람직하게는 5.8~6.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6cm 떨어진 부분을 M6로 정의하는 단계;
(6) 상기 R0로부터 8.5~9.5cm, 바람직하게는 8.8~9.2cm, 더욱 바람직하게는 9cm 떨어진 부분을 M9로 정의하는 단계;
(7) 상기 R3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R1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R로 정의하는 단계;
(8) 상기 M9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M6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M으로 정의하는 단계; 및
(9) 상기 dR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상기 dM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를 제외한 기타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한편, 시험예 1의 방법을 참조하여, 상술한 모발의 평가방법 1 및 평가방법 2에 의거하여 표 2의 시험 물질 중 6종의 원료(BMAS-AP, KSP-101, Styleze W-10, ADM 8301 E, BELSIL PF 200 및 SC-200)에 대해서도 모발 트래스에 대한 모발 볼륨의 증감 수준 평가 및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대조군 1: 일반 손상 케어 샴푸; 대조군 2: 시험 샴푸). 여기서, 모발 볼륨의 증감 수준 평가시 사용되는 소수성(Hydrophobicity) 지표는 각각의 원료를 처리(및 세정)한 모발 트래스에 파이펫을 사용하여 증류수(약 50μl)를 떨어뜨려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소요되는 초 단위의 시간(s)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모발 트래스에 대한 사용감의 관능평가는 거칠기, 잔여감 및 코팅감으로 평가하였으며, 각 수치는 5점 척도의 평가점수로 평가하였다([1] 거칠기: 0점-거친 느낌없음, 5점-아주 거친느낌; [2] 잔여감: 0점-잔여감 없음, 5점-강한 잔여감; [3] 코팅감: 0점-코팅감 부재, 5점-강한 코팅감).
그 결과,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모발의 평가방법 1 및 평가방법 2의 기준에 의거하여 BMAS-AP, KSP-101 및 Styleze W-10에 의한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사용감면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을 얻었다.
일반 손상 케어 샴푸 시험 샴푸
증류수 BMAS-AP KSP 101 Styleze W-10 ADM
8301 E
BELSIL
PF 200
SC-200
RS 1 20 20 - 20 18 18 18 2 18
RS 2 16 28 - 16 18 14 14 10 12
RS 3
(기울기)
0.8 1.4 - 0.8 1 0.78 0.78 5 0.67
dR 16 6 - 12 11 3 12 6 10
dM 8 4 - 8 4 8 7 10 6
소수성
(hair root)
0.2 5 15 1 2 6 3 2 2
친수성
(hair tip)
0.2 3 5 1 1 2 1 3 2
거칠기
(건조시)
0 1 4 2 2 3 1 1 3
잔여감
(건조시)
1 1 0 4 4 4 1 1 1
코팅감
(건조시)
1 1 0 3 3 4 3 3 2
시험 샴푸 BMAS-AP KSP 101 Styleze W-10 ADM
8301 E
BELSIL
PF 200
SC-200
RS 3
(기울기)
1< <1 1 <1 <1 1< <1
dR <10 10< 10< <10 10< <10 10
dM <10 <10 <10 <10 <10 10 <10
시험예 3: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사용감에 대한 관능검사
40~50세 연령대의 시니어(senior) 20명을 대상으로 시험 샴푸를 모발에 도포한 후, 9점 척도로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9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5점]그저 그렇다-[9점]매우 높다'로 확인하였음).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니어 20명의 평균 점수에 따른 관능평가에 의하면 시험 샴푸의 제형은 기존 샴푸 제형에 비해 8가지 항목(거품정도, 헹굼정도, 헹굼시 부드러움, 세정력, 건조시 부드러움, 차분함, 스타일링, 볼륨감)에서 효과상 우위를 나타내어 모발 스타일링 형성에 유리하므로,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의 볼륨 증감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 제형으로 선정하였고, 후술되는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 시험 물질(원료)을 시험 샴푸에 포함시켜 시험 물질에 의한 모발 볼륨의 증가 효능 및 사용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예 1 및 2에서 최종 선별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의 원료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샴푸 제형보다 상기 원료들을 서로 다른 조합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을 사용하였을 때 모발 볼륨의 향상 효과가 더 개선되는지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샴푸 제형을 이용하여 모발 트래스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10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5점]그저 그렇다-[10점]매우 높다'로 확인하였음).
표 2 및 표 6의 시험 물질 중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쿼터늄-11은 비닐피롤리돈과 4급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주로 비닐피롤리돈과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디에틸황산염으로 된 공중합물의 20% 수용액이다.
Figure 112017095846745-pat00001
그 결과,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2종의 소수성 폴리머의 혼합물보다는 3종의 소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인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을 혼합한 혼합물, 특히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을 중량기준으로 1:1:1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 중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와, 폴리쿼터늄-11을 중량기준으로 1 : 1 : 1 : 4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으로 도포한 모발 트래스의 모발 볼륨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용감면에서도 좋은 평가(모발의 낮은 끈적임, 낮은 잔여감, 높은 마무리 코팅감 및 높은 머리위 정수리 쿠션감)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모발의 잔여감이란 모발 표면에 잔여하는 잔여 이물감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모발의 잔여감이 낮을수록 모발의 잔여감이 개선되어 모발의 산뜻한 느낌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Figure 112017095846745-pat00002
시험예 1 및 2에서 최종 선별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의 모발 볼륨 향상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40~50세 연령대의 시니어 20명을 대상으로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쿼터늄-55와, 폴리쿼터늄-11을 중량기준으로 1 : 1 : 1 : 4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제형을 모발에 도포한 후, 6점 척도로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6점 척도의 평가점수 기준은 '[1점]매우 낮음-[3점]그저 그렇다-[6점]매우 높다'로 확인하였음).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니어 20명의 평균 점수에 따른 관능평가에 의하면 이소도데카/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도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BMAS-AP),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세인 크로스폴리머(KSP-101) 및 폴리쿼터늄-55(PQ-55; Styleze W-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 제형은 기존 샴푸에 비해 모발의 머리위의 정수리 쿠션감, 잔여감 및 마무리 코팅감면에서 우위를 나타내어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단독의 소수성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화장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으며, 구현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능성, 비용 및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 함량 비율로 제어할 수 있다.
제형예 1: 연고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8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1.00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릭세리드 10.00
액상파라핀 10.0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6.00
옥틸도데세스-25 9.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0
스쿠알란 1.00
살리실산 1.00
글리세린 15.00
솔비톨 10.00
제형예 2: 모발용 영양화장수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9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0.10
밀납 4.00
폴리솔베이트 60 1.5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0
유동파라핀 0.50
Montana 202 (제조사:Seppic) 5.00
글리세린 3.00
부틸렌글리콜 3.00
프로필렌글리콜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트리에탄올아민 0.2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3: 모발용 마사지크림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0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0.10
밀납 10.00
폴리솔베이트 60 1.50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0
유동파라핀 40.00
스쿠알란 5.00
Montana 202 (제조사: Seppic) 4.00
글리세린 5.00
부틸렌글리콜 3.00
프로필렌글리콜 3.00
트리에탄올아민 0.2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헤어팩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1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0.10
폴리비닐알콜 13.0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0
글리세린 5.00
알란토인 0.10
에탄올 6.0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0
폴리솔베이트 60 0.3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5: 헤어토닉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에탄올 50.00
멘톨 0.02
글리세린 3.00
살리실산 0.05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1.00
방부제, 향료 및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헤어로션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로션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0
EDTA 2Na 0.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0
미네랄 오일 5.00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1.00
방부제, 향료 및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린스 및 헤어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2.00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1.00
세틸알코올 3.00
스테아릴알코올 3.00
미네랄오일 0.50
사이트릭애씨드 0.20
폴리디메틸실록산 1.00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1.00
방부제, 향료 및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8: 헤어샴푸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15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헤어샴푸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폴리머, 또는 소수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혼합물 1.00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LS) 20.0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LES) 20.0
코카마이드미파 적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카보머 적량
에탄올 적량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6.00
디메치콘(50%) 2.00
디메치콘(70%) 2.00
DL-판테놀 적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멘톨 적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액 (MC/IMI)
0.03
메칠파라벤 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1)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1)와, 모발의 볼륨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의 모발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0.5~1.5cm의 모발 부위를 바닥면(수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평판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이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가 상기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이룬 시점에,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에서 0.5~1.5cm 떨어진 안쪽 모발 부위로부터, 이 안쪽 모발 부위를 기준점(1)으로 하여 상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안쪽 모발 부분(기준점(2))까지의 길이(RS1)를 측정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의 기준점(2)으로부터, 이 기준점(2)에서 직각 방향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모발 트래스의 바깥쪽 모발 부분(기준점(3))까지의 길이(RS2)를 측정하는 단계;
    (5)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S3을 계산하여 모발 트래스의 볼륨도를 평가하는 단계:
    [수학식 1]
    RS3 = RS2 / RS1
    상기 RS3이 1 이상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높고, RS3이 1 미만일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는 볼륨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함; 및
    (6) 상기 (5) 단계에서 얻은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 각각의 RS3을 비교한 후, 모발 트래스 1이 모발 트래스 2보다 모발 볼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시험 물질을 모발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결정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발 가닥수는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수직면은 격자(grid)로 표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5. 모발 전체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1) 모근 부위가 위를 향하도록,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험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1)와, 모발의 볼륨에 변화를 가하지 않는 물질을 처리한 모발 트래스(모발 트래스 2)를 수평면에 놓는 단계;
    (2)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모발 트래스의 모근 끝 부분부터 모발 줄기(모간 부위)가 시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 0.5~1.5cm를 R0으로 정의하는 단계;
    (3)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1.8~2.2cm 떨어진 부분을 R1로 정의하는 단계;
    (4)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2.5~3.5cm 떨어진 부분을 R3로 정의하는 단계;
    (5)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5.5~6.5cm 떨어진 부분을 M6로 정의하는 단계;
    (6)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0로부터 8.5~9.5cm 떨어진 부분을 M9로 정의하는 단계;
    (7)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R3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에서 상기 R1 부분의 모발 트래스의 직경을 뺀 수를 dR로 정의하는 단계;
    (8) 상기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에 대해 각각 dR이 10을 초과할 경우, 모간 부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의 볼륨 변화량이 큰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9) 상기 (7) 단계 및 (8) 단계에서 얻은 모발 트래스 1과 모발 트래스 2 각각의 dR을 비교한 후, 모발 트래스 1이 모발 트래스 2보다 모발 볼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시험 물질을 모발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결정하는 단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간 부위는 모근으로부터 피부밖으로 돌출한 모간 중 모근과 근접한 4~6cm의 모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트래스의 모발 가닥수는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수직면은 격자(grid)로 표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KR1020170127097A 2017-09-29 2017-09-29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39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97A KR102394533B1 (ko) 2017-09-29 2017-09-29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97A KR102394533B1 (ko) 2017-09-29 2017-09-29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90A KR20190037590A (ko) 2019-04-08
KR102394533B1 true KR102394533B1 (ko) 2022-05-06

Family

ID=6616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97A KR102394533B1 (ko) 2017-09-29 2017-09-29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231A (ja) 2004-10-26 2008-05-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人間の毛髪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4522500A (ja) 2011-06-15 2014-09-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繊維の分析装置及び本装置を使用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398B1 (ko) * 2015-03-31 2022-11-10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KR102394660B1 (ko) * 2015-10-30 2022-05-06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탄력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231A (ja) 2004-10-26 2008-05-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人間の毛髪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4522500A (ja) 2011-06-15 2014-09-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繊維の分析装置及び本装置を使用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90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2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Madnani et al. Hair cosmetics
EP2608766B1 (en) Process and kit for treating hair
KR20190120692A (ko) 컨디셔닝, 색상 보호 및 스타일링 중합체를 포함하는 케라틴 기재용 개인 관리 조성물
TWI768066B (zh) 用於改善頭髮保濕力的含有精氨酸、透明質酸和澳洲堅果油的混合物的化妝品組合物
WO2013102248A2 (en) &#34;aqueous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osmetic method for application of said composition, cosmetic method to prevent and control skin oiliness, cosmetic method to protect the skin from the damages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 and cosmetic product.&#34;
KR102654769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564638B1 (ko)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는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3B1 (ko)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WO2019006453A1 (en) CAPILLARY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Rieger Cosmetics
KR20210071877A (ko)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보호용 조성물
KR20120098233A (ko)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US20220331223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220148522A (ko)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모발의 볼륨 증진용 조성물
Gupta et al. A REVIEW: HAIR COSMECEUTICAL-A NEED OF HOUR
KR20080062222A (ko) 천연 스크럽제로서 만난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WO2018197331A1 (en) A cosmetic composition, method and process of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