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398B1 -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398B1
KR102465398B1 KR1020150045251A KR20150045251A KR102465398B1 KR 102465398 B1 KR102465398 B1 KR 102465398B1 KR 1020150045251 A KR1020150045251 A KR 1020150045251A KR 20150045251 A KR20150045251 A KR 20150045251A KR 102465398 B1 KR102465398 B1 KR 10246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stimated
equation
sectional area
pop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885A (ko
Inventor
박혁곤
박선영
이해광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4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39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계학적 알고리즘을 통하여 연령대별 모발의 볼륨 노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발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Method of evaluation aging index of hair volume}
본 발명은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계학적 알고리즘을 통하여 연령대별 모발의 볼륨 노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가늘어지고, 윤기나 탄력 등이 저하되거나 탈모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이 빠지는 것을 말한다. 서양인에 비해 모발 밀도가 낮은 동양인의 경우, 이러한 모발의 노화로 인하여 미용상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모발의 볼륨 노화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헤어 케어를 하기 위하여, 모발의 볼륨 노화진행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모발의 볼륨 노화 진단에는 지표가 없고, 경험에 입각한 관능 평가에 의한 막연한 감각으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0036호(특허문헌 1)에는 모발에 텐션을 부여하여 모발 속에서 시인되는 에이징모에 기초하여 육안으로 모발의 에이징을 판단하는 진단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종래와 같은 진단방법으로는 모발의 볼륨 노화 진행도를 적절히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고, 그 결과 볼륨 노화에 대응한 헤어 케어의 적절한 대응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모발의 볼륨 노화의 평가가 용이하고 객관적이며, 확실성이 높은 모발의 볼륨 노화 평가방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0036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령대별 모발 볼륨 노화지수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20 내지 60대 아시아 여성의 모발의 밀도와 평균직경의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형 모델링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모발의 볼륨 노화 정도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령대별로 모집단의 모발의 밀도(D1)와 평균직경(D2)을 측정하고, 하기 식 1에 의거하여 모집단 모발의 단면적(D3)을 산출하는 단계(S10);
[식 1]
단면적(D3)=단위 면적(㎠)당 모발 수(n)*(모발의 평균직경(D2)/2)2
상기 모집단 모발의 밀도(D1) 및 단면적(D3)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는 단계(S20);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하는 단계(S30);
평가자의 모발의 밀도(T1)와 평균직경(T2)을 측정하고,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T3)을 산출하는 단계(S40); 및 상기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모발 단면적(T3)을 백분율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집단 및 평가자의 모발의 밀도는 두피 부분에서 모주기 검사(Phototrichogram) 장비를 이용하여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해당 부위의 일정 면적에 존재하는 모발의 수를 계수하여,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모발의 수(n/㎠)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은 하기 식 2일 수 있다.
[식 2]
선형 회귀분석식 = -1.645 + (0.0002 * D1) + (30.27 * D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집단은 20 내지 60대 아시아 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50은 하기 식 3에 의하여 백분율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T3 = (Max - Min) /(100-0) * A + Min [식 3]
(상기 식 3에서, T3은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이며, Max는 해당 연령대의 추정 최대값이며, Min은 해당 연령대의 추정 최소값이고, A는 평가자의 환산 평가등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에 따르면, 연령대별 모집단의 모발의 밀도 및 평균직경을 바탕으로 통계적 알고리즘을 통하여 수치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종래 측정자의 경험 및 막연한 관능 평가로 모발의 볼륨 노화 정도를 파악한 것에 비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령과 모발상태에 따라 해당 연령대에 맞는 노화에 의해 변화되는 모발의 볼륨상태와 비교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자의 측정값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정확도가 향상되며, 모니터링 가능하여 모발의 볼륨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의 볼륨 노화 평가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연령별 모발의 단면적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발의 볼륨 노화 평가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의 볼륨 노화 평가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써, 연령대별로 모집단의 모발의 밀도(D1)와 평균직경(D2)을 측정하고, 하기 식 1에 의거하여 모집단 모발의 단면적(D3)을 산출하는 단계(S10); 상기 모집단 모발의 밀도(D1) 및 단면적(D3)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는 단계(S20);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하는 단계(S30); 평가자의 모발의 밀도(T1)와 평균직경(T2)을 측정하고,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T3)을 산출하는 단계(S40); 및 상기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모발 단면적(T3)을 백분율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10 단계는 먼저 연령대별로 모집단의 모발의 밀도(D1)과 평균직경(D2)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모집단의 밀도 측정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밀도 측정법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모주기 검사(phototrichogram)장비(Folliscope, LeadM, Korea)를 이용하여 모집단의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모발의 수(n/㎠)를 직접 계수하는 방법으로 밀도 측정을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상기 모집단의 평균직경 측정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측정법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주기 검사(phototrichogram)장비 (Folliscope, LeadM, Korea)를 이용하여 모집단의 계획된 두피 부위에 존재하는 10가닥 이상 모근부와 일정한 거리에서 모발들의 직경을 사진에서 직접 측정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집단은 20 내지 60대 아시아 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0 대 내지 60대의 한국과 중국의 아시아 여성의 모발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약 1700여명의 모발의 밀도와 평균직경을 실측 데이터로 확보하였다.
이를 하기 식 1에 의거하여 모집단 모발의 단면적(D3)을 산출할 수 있다.
[식 1]
단면적(D3)=단위 면적(㎠)당 모발 수(n)*(모발의 평균직경(D2)/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0 단계는 상기 모집단 모발의 밀도(D1) 및 단면적(D3)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이는 모집단의 연령대에 대하여 모발의 밀도와 단면적과의 선형 결합관계를 유도함으로써,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연령별 모발 단면적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다.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결측값 및 이상값을 제거하고 선형 회귀 분석식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은 하기 식 2일 수 있다.
[식 2]
선형 회귀분석식 = -1.645 + (0.0002 * D1) + (30.27 * D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연령별 모발의 단면적값을 도시한 그래프로써, 상기 선형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넣어서 산출되는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전체 변화를 한눈에 알아보기 위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30 단계는 앞서 도출된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40 단계는 평가자의 모발의 밀도(T1)와 평균직경(T2)을 측정하고,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T3)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자 모발의 밀도(T1) 및 평균직경(T2) 측정방법은 모집단 모발의 밀도(D1) 및 평균직경(D2)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평가방법의 객관성 및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50 단계는 상기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모발 단면적(T3)을 백분율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50은 하기 식 3에 의하여 백분율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T3 = (Max - Min) /(100-0) * A + Min [식 3]
(상기 식 3에서, T3은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이며, Max는 해당 연령대의 추정 최대값이며, Min은 해당 연령대의 추정 최소값이고, A는 평가자의 환산 평가등급을 의미한다.)
상기 식 3에 따라, 평가자의 모발 볼륨노화 지수를 백분율 환산 평가등급으로 변환함으로써, 평가자의 모발 볼륨 노화 정도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으며, 다른 평가자들과 객관적 평가 및 비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령과 모발상태에 따라 해당 연령대에 맞는 노화에 의해 변화되는 모발의 볼륨상태와 비교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자의 측정값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정확도가 향상되며, 모니터링 가능하여 모발의 볼륨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 일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20 ~ 60대 한국과 중국의 아시아 여성 1635명의 모발의 밀도와 평균직경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식 2의 회귀분석식에 대입하여, 도 2에 선형 모델에서 산출되는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전체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를 이용하여 추정된 모델에서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53세 한국여성 평가자1의 모발의 밀도(T1, 317.7) 및 직경(T2, 0.0599)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다시 식 2의 회귀분석식에 대입하여 평가자 추정 모발 단면적(T3, 0.80350633)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평가자 추정 모발 단면적을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환산 백분율 등급을 산출하였다.
T3(0.8035060333)
= (50대 추정 최대값 - 50대 추정 최소값)/(100-0)*A+50대 추정 최소값
= (1.317847-0.225709)/(100-0)*A+0.225709
A = 52.90
[표 1]
Figure 112015031541600-pat00001
상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가자 1의 모발 볼륨 노화지수는 52.90으로 평균점인 45.60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16주간 탈모개선 샴푸를 사용한 45세 한국여성 평가자 2의 모발 볼륨의 개선 효능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5031541600-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 평가자의 모발 볼륨 노화의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모발 볼륨 노화지수의 개선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5)

  1.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모발 볼륨 노화지수를 평가하고자 하는 평가자가 자신의 모발 볼륨 노화지수를 평가하는 방법이며,
    상기 평가자의 모발의 밀도(T1)와 평균직경(T2)을 측정하고,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상기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T3)을 산출하는 단계(S40); 및
    상기에서 산출된 값인, 상기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바탕으로 상기 평가자의 모발 단면적(T3)을 백분율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하는 방법은
    연령대별로 상기 모집단의 모발의 밀도(D1)와 평균직경(D2)을 측정하고, 하기 식 1에 의거하여 상기 모집단 모발의 단면적(D3)을 산출하는 단계(S10);
    [식 1]
    단면적(D3)=단위 면적(㎠)당 모발 수(n)*(모발의 평균직경(D2)/2)2
    상기 모집단 모발의 밀도(D1) 및 단면적(D3)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는 단계(S20);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을 기반으로 상기 모집단의 모발 단면적의 연령대별 추정 최대값(Max), 추정 최소값(min) 및 추정 평균값(Avr)을 산출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및 평가자의 모발의 밀도는 두피 부분에서 모주기 검사(Phototrichogram) 장비를 이용하여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해당 부위의 일정 면적에 존재하는 모발의 수를 계수하여,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모발의 수(n/㎠)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회귀분석식은 하기 식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식 2]
    선형 회귀분석식 = -1.645 + (0.0002 * D1) + (30.27 * D2)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은 20 내지 60대 아시아 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50은 하기 식 3에 의하여 백분율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T3 = (Max - Min) /(100-0) * A + Min [식 3]
    (상기 식 3에서, T3은 평가자의 추정 모발 단면적이며, Max는 해당 연령대의 추정 최대값이며, Min은 해당 연령대의 추정 최소값이고, A는 평가자의 환산 평가등급을 의미한다.)
KR1020150045251A 2015-03-31 2015-03-31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KR10246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51A KR102465398B1 (ko) 2015-03-31 2015-03-31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251A KR102465398B1 (ko) 2015-03-31 2015-03-31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85A KR20160116885A (ko) 2016-10-10
KR102465398B1 true KR102465398B1 (ko) 2022-11-10

Family

ID=5714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251A KR102465398B1 (ko) 2015-03-31 2015-03-31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533B1 (ko) * 2017-09-29 2022-05-06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978A (ja) 2000-10-06 2002-04-16 Shiseido Co Ltd 外的要因による毛髪のダメージ度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73B1 (ko) * 2011-03-29 2012-10-26 강진수 탈모진행정도의 측정 방법
JP6480097B2 (ja) 2013-08-12 2019-03-06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のエイジング診断方法及びエイジングダメージ診断方法
KR20150028082A (ko) *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케어얼라이언스 헬스 케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978A (ja) 2000-10-06 2002-04-16 Shiseido Co Ltd 外的要因による毛髪のダメージ度の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85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259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tress based on a behavior of a user
US2016029238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skin age by using quantifying means
WO2015168250A8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ospital quality assessment
RU2015120784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а пациента
US8611588B2 (en) Method of measuring progress of alopecia
Isik et al. Measuring health care quality with the Servqual method: a comparison in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JP2017508589A5 (ko)
US11428624B2 (en) Comb sensor for measuring combing resistance
EP2574938A3 (de) Verfahren zur Isolationsfehlerüberwachung mit dynamischem Ansprechverhalten
US11596336B2 (en) Learning model-generat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assessing favored chewing side as well as determin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favored chewing side
Altini et al. Estimating running performance combining non-invasive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training patterns in free-living
KR102465398B1 (ko) 모발의 볼륨 노화지수 평가방법
De Zea Bermudez et al. Extreme value theory in medical sciences: Modeling total high cholesterol levels
CN104062223B (zh) 柑橘咀嚼性测定方法
JP2012024332A5 (ko)
KR102228569B1 (ko) 피부 나이 추정 방법 및 장치
JP2019025071A5 (ja) 肌指標値算出方法及び肌状態評価装置
JP6200207B2 (ja) 肌年齢の推定法
CN106419833A (zh) 头皮检测系统及头皮检测方法
Chakrabarty Forecasting rate of decline in infant mortality in South Asia using random walk approximation
JP2018015238A (ja) 肌の評価方法
Yimprayoon Sample size determination and power analysis for modified Cohen’s Kappa statistic
TW201721487A (zh) 皮膚特性的可視化方法
JP7073883B2 (ja) 肌年齢の算出方法
Kasali et al. Determination of lag threshold on the measure of collinea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