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233A -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233A
KR20120098233A KR1020110018063A KR20110018063A KR20120098233A KR 20120098233 A KR20120098233 A KR 20120098233A KR 1020110018063 A KR1020110018063 A KR 1020110018063A KR 20110018063 A KR20110018063 A KR 20110018063A KR 20120098233 A KR20120098233 A KR 2012009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utolysate
conditioner
worm
lug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576B1 (ko
Inventor
강상모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5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염색, 탈색, 퍼머 등의 화학적 처리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에 관한 발명과, 이 갯지렁이 자가분해물과 모발 화장품의 부형제를 혼합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발명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은 갯지렁이를 자가분해시켜 얻은 자가분해물을 분리 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제조 단계와, 모발 화장품용 원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피부염이나 두피 질환을 초래하지 않는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처방으로 컨디셔너를 제조한 후, 모발 개선에 사용하였던 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발에 흡착되어 질감과 트리트먼트 효과등 탁월한 모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고객과 디자이너의 만족도 조사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Description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Autolysate of Lugworm Marphysa sanguinea for Hair Improving and Composition of Hair Cosmetics Using Them Thereof}
본 발명은 모발의 염색, 탈색, 퍼머 등의 화학적 처리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기 위한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에 관한 발명과, 이 갯지렁이 자가분해물과 모발 화장품의 부형제를 혼합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갯지렁이를 자가분해시켜 얻은 자가분해물을 분리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제조 단계와, 모발 화장품용 원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천연 원료의 화장품은 멜라닌 저해와, 피지 분비의 감소, 유? 수분 밸런스 유지 등이 화학제품 원료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최근 두피, 모발 화장품에서도 웰빙과 더불어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발은 거의 매일 세제로 감고, 드라이어로 말리고, 컨디셔너로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모발의 염색, 탈색, 퍼머 등의 화학적 처리는 모발을 손상하게 되는 데, 그 중에서도 펌(permanent wave)은 모발의 구조 및 성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모발의 많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모피질은 펌제나 염색, 탈색 등에 처방되는 알칼리제로 인하여 케라틴 단백질의 유실과 분해로 인해 모표피의 박리나 탈락을 가져오고, 인장강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모발의 화학적 손상 중 가장 많은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탈색(bleach)은 경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모표피를 녹여 모발에 광택을 잃게 하며 모피질 내 간충물질의 분해로 인하여 모발을 푸석푸석하게 만들며 강도 또한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처럼 손상모(損傷毛)의 대다수는 모발을 염색하거나, 퍼머를 위한 화학적 처리가 원인이 되며 일차적으로 모표피의 박리나 탈락으로 인하여 모발의 광택과 질감을 저하시켜 모발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적처리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보호를 위하여 연구하던 중, 모발에 지렁이 protease를 처리하였을 때 모표피의 정돈으로 가볍고 매끄러운 모발을 얻을 수 있다. 유세은(40. 외 모발의 화학적물리적 특성, 모발 과학. 훈민사, pp59-70, 2010.)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단백질 분해능이 있는 protease 중에서 일반 지렁이 보다는 갯지렁이 protease를 모발에 처리한다면 단백질 오구와 탈락된 모표피를 제거하여 건강하고 매끄러운 모발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욱이 갯지렁이는 섭식 활동을 통하여 저질의 유기 성분을 변화시키므로 해양 저서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갯지렁이는 지렁이보다 protease 활성이 뛰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갯지렁이 protease가 지렁이의 것보다 강력하여 protease 활성은 물론 peptide 생산이 많고 모발에 처리 시 모발의 정련효과 등 지렁이의 프로테아제 보다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은 한국공개특허 2010-61814;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락톤 및 디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등록 10-948204;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헤어 캐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2010-115935; 모발컨디셔닝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한국공개특허 2010-9394;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해나추출물과 폴리쿼타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한국공개특허 2010-103173;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진주 유래 단백질 및 인지질계 폴리머, 당알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한국공개특허 2008-18804;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한국공개특허 2009-71646;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쿠클비틴, 2-피페라진카복실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한국공개특허 2004-106520;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수불용성 컨디셔닝 오일,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한국공개특허 1992-1458; 헤어 컨디셔너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콜레스테릴에테르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이들 종래기술은 천연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모발용조성물에 함유시키거나, 화학합성품을 원료로 첨가하는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용하고 있는 참고문헌은 총 105종(동양문헌 73종, 서양문헌 32종)으로 모발의 이화학적 성질 및 본 발명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효과를 비교하는 데 있어 제조예, 실시예, 실험예, 시험예 등에 언급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 참고한 동양문헌 및 서양문헌을 나열하였다.
<동양문헌>
1.강갑연. Hydrogen Peroxide 처리에 따른 모발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강갑연. 탈색 및 퍼머넌트제에 의한 모발 손상도 측정과 모발보호제 처리 효과.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3.강갑연, 최태부. 탈색제에 의한 모발 손상 측정 및 모발 보호제 처리 효과. 한국미용학회지, 12: 955-963, 2007.
4.강나경, 김성남. 헤어 염색 시 전처리에 따른 모발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지, 2: 109-111, 2008.
5.강상모, 차민경, 김수진, 권윤정. Bacillus sutillis K-54의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양모와 견의 품질개선 효과. 한국의류산학 회지, 8: 239-244, 2006.
6.강은희, 현지원. 모발 화장품의 제형에 따른 손상모발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1: 283-291, 2005.
7.곽형심, 권대순, 김문주, 김순희, 김태윤, 김희선, 봉재환, 유유정, 이근광, 이문환. 모발의 화학적 특성, 모발과학. 수문사. pp73-93, 2001.
8.곽형심, 김순희, 전선정.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의 원리, Art of wave. 청구문화사. pp50-53, 2000.
9.권경옥, 권영두, 김상진, 김주덕, 박성순, 이화순. 모발의 손상, 신화장품학. 동화기술교역. pp87-90, 1997.
10.권수애, 노정애, 박용. 염?탈색 및 펌 처리에 따른 모발의 손상과 웨이브 형상. 한국생활과학회지, 15: 1083-1089, 2006.
11.김경순, 류은주, 조성태, 최영희, 황희순. 모발미용이론, 퍼머넨트웨이브 및 헤어컬러링. 청구문화사. pp5-20, 1995.
12.김기연, 김애경, 한성수, 이승화. 천연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피부효능 비교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4): 225-238, 2009.
13.김무영. 모발의 염색과 탈색, 모발관리학. 광문각. pp104-109, 2004.
14.김미옥. 모발 및 두피의 손상 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5.김보람. 윤천성, 티 트리 에센셜 오일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3): 837-849, 2008.
16.김복희. 화장품의 성분, 뉴피부미용학. 양생의학사. pp349-354, 1998.
17.김성남, 남윤주. 헤어 디자이너들의 헤어컬러 및 헤어 케어 제품 선호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 88-191, 2002.
18.김성필, 주영희. Lumbricus rubellus를 이용한 산업폐기물의 분해물의 시설원예 상토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3: 140-145, 1990.
19.김순희. 단백질 섭취 정도에 따른 혈액과 모발이 아미노산 함량 및 모발 손상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0.김영란. 대학생의 외모 및 화장품 구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 65-73, 2008.
21.김정숙. 모발의 반영구염색에서 컨디셔너가 염색력 지속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2.김정운, 김진아, 박선우, 제갈미옥, 손아름. 열처리와 비열처리 퍼머넌트 웨이브에 의한 손상 비교. 한국미용학회지, 15: 409-501, 2009.
23.김진수, 허민수. 어류가공 부산물로부터 단백질분해 효소제의 조제 및 보관안정성. 한국수산학회지, 37: 259-268, 2004.
24.김혜경. 정상모와 염색 및 퍼머처리모에 있어서 아미노산 비교. 고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5.김혜숙, Bacillus sp. Keratinase의 모발 처리 영향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6.김홍희. Protease와 Tannic acid를 함유한 새로운 천연염모제의 특성.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7.나현숙, 송미라, 임미라, 정훈, 조성옥, 지경숙, 최원준, 최정명, 최진희, 모발생리학, 트리콜로지스트 레벨 III, 훈민사, pp15-40, 2008.
28.문교부, 한국산 갯지렁이 강의 연구사, 한국동식물도감, 제 31권: 동물편(갯지렁이류), 국정교과서, pp18-19, 1989.
29.박건춘, 서해안 갯지렁이로부터 신기능성 단백질 분해효소의 정제 및 특성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0.박용. 펌과 탈색 교차시술에 따른 모발의 변화. 한국미용학회지, 14: 689-695, 2008.
31.방혜선, 나영은, 김명현, 한민수, 이정택. Invermectin이 함유된 우분이 줄지렁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0: 114-117. 2007.
32.배선향. 환원제 적용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의 형태 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1: 113-127, 2005.
33.배영실. 퍼머넨트 웨이브제 적용에 따른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1: 129-148, 2005.
34.배윤환. 유기성 폐기물의 지렁이 처리에 관한 생태학적 고찰. 유기물자원화, 10: 15-25, 2002.
35.서성환. 두발화장품의 기술동향. 대한화장품학회지, 24: 128-141, 1998.
성혜영, 이정숙. 프로테아제를 응용한 단백질과 지질 혼합오구의 제거. 한국염색가공학회, 13: 18-27, 2001.
36.송희라. 퍼머넌트 웨이브?염색?탈색 기법 및 반복시술에 따른 모발 손상.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7.오명숙, 장병수. Thioglyolic acid와 열 펌에 의해 손상된 모발에 관한 연구. 한국두피모발학회지, 4: 163-170, 2008.
38.오지영, Permanent 제와 Bleaching제에 의한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9.유세은. 지렁이를 이용한 모발 화장품 개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0.유세은, 김주섭, 김찬수, 김유정. 모발의 화학적물리적 특성, 모발 과학. 훈민사, pp59-70, 2010.
41.윤선아, 직열식 퍼머넌트 웨이브 시 가열시간과 온도에 따른 모발의 손상 및 웨이브 형태 비교 연구, 호남대학교 예술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42.윤천성, 김새한별, 김영숙, 김혜란, 이덕수, 이명순, 현지원. 헤어 케어 제품과 기기, 모발과 두피관리, 훈민사, pp171-189, 2004.
43.이미영, 김윤경. 지렁이 Peroxidase의 특성 및 페녹시계 제초제의 분해. 한국생태학회지, 21: 73-80, 1998.
44.이부형. Perm Coloring 처리에 의한 유아와 성인 모발의 손상. 한국위생과학회지, 8: 59-66, 2002.
45.이원경. 미용 시술 처치에 따른 두피 및 모발의 변화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5: 579-589, 1999.
46.이정숙, 김성연. Protease가 혈액 단백질 오구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1)- Subtilisin carlsberg에 의한 헤모글로빈의 가수분해율. 한국의류학회지, 20: 550-559, 1996.
47.이정숙, 심윤정. 단백질 분해 효소가 세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7: 491-505, 1993.
48.이진옥. Henna에 의한 모발 염색.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이하나, 강상모. 펌제와 염모제가 곱슬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 75-79, 2008.
49.임은진, 김혜란. 화장품시장에서의 두피, 모발 화장품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3): 708-716, 2008.
50.장경옥. 칼라링 및 펌제 처리에 의한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대구카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1.장병수. 미용을 위한 일상적인 열처리에 의해서 손상된 모발의 미세구조.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33: 3-9, 2000.
52.정연. 퍼머?염색?탈색?코팅 시술에 따른 모발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53.정종문. 지렁이 (Lumbricus rubellus)에서 혈전용해능이 있는 효소의 분리와 그 생화학적 특성. 수원대학교 기초과학논문집, 5: 257-271, 1996.
54.조일환, 이철규, 임헌길, 이형환. 한국산 지렁이에서 분리한 lumbrokinase의 약리학적 특성. 한국생물공학회지, 19: 274-283, 2004.
55.주용영. 연구논문 :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방법에 따른 웨이브의 형태 변화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 1307-1316, 2008
56.최귀자. 미용실 고객의 모발에 대한 인식도 조사. 보건복지연구, 19-29, 1999.
57.최원준, 최진숙. 아세틸 시스테인을 원료로 한 환원제의 웨이브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2: 18-22, 2006.
58.최원준. Amino silicon을 처방한 환원제가 모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 4: 239-246, 2008.
59.최원준. UV 조사에 의한 모발의 형태, 물리적 변화.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4: 233-238, 2008.
60최원준, 이하나. 3종의 유기용제가 염색모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 129-135, 2008.
61.최원준. 키위 추출물 처리 의한 두피 모발의 품질개선 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2.최정명, 나현준, 박신정, 장지혜. 염색시술 후 사용한 컨디셔너의 종류에 따른 모표피층의 형태 변화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지, 3: 72-77, 2005.
63.최정숙, 김혜정. 손상모발의 염색 후 무색 헤어매니큐어 관리시점에 따른 형태적 변화. 한국패션뷰티학회지, 5: 5-11, 2007.
64.최정원. 지렁이에서 추출한 Lumbrokinase X-선 회절 예비실험 및 Homologymodelling. 수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논문집, 4: 128-138, 2001.
65.하병조. 산화형 연구 염모제의 탈색 및 염색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7: 10-15, 2001.
66.한경희, 강연숙, 김세욱, 김춘득, 소영진, 윤수용, 장경옥, 정영태. 모발 손상 및 두피질환, 모발과학, 훈민사, pp67-99, 2002.
67.한미옥. 펌 종류, 펌제 유형, 시술횟수가 모발손상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8.현지원. 시스테아민을 원료로한 퍼머넌트제의 모발손상과 웨이브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2: 125-135, 2006.
69.현지원, 이광길, 여주홍, 최태부. 저분자 silk peptide의 모발 보호 효과 및 미세구조 분석. 한국생물공학회지, 23: 439-444, 2008.
70.현지원. Silk Peptide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품의 컨디셔닝 효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1.홍부일. 헤어트리트먼트 펌제의 펌 시술 시 모발 손상 연구. 한국미용예술학회지, 2: 127-133, 2008.
72.松崎 貴, 新井幸三, 上甲恭平, 細川 稔, 中村浩一. 毛髮科技術者協 編. 最新の毛髮科, pp165-216, 2003.
73.安俸田, 裵晩鐘. 毛髮の染色, 毛髮科學論, pp109-113, 1997.
<서양문헌>
74.Bersaques J. Keratin and its formation. Curr probl Dermatol, 6: 34-86, 1976
75.Bhushan B, Chen N. Morphological, nanomechanical and cellular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human hair and conditioner distribution using torsional resonance mode in an AFM. J Microsc, 220: 96-112, 2005.
76.Bhushan B, Chen N. AFM studies of environmental effects on nanomechanical properties and cellular structure of human hair. Ultramicroscopy, 106: 755-764, 2006.
77.Bradbury JH. The structure and chemistry of keratin fibres. Adv . Protein Chem ., 27: 111-211, 1973.
78.Bruckner R, Shoseyov O, Doi RH. Multiple active forms of a novel serine protease from Bacillus subtilis. Mol . Gen . Genet ., 221: 486-490, 1990.
79.Clark RB. Reproduction, Speciation and polychaete taxonomy. In: Essays on Polychaetous annelids: in memory of Dr. Olga Hartman, pp477-502, 1977.
80.Edward TB. Hair waving. In: Johnson D. H. Hair and hair care. lst ed. New York: Marcel Dekker, pp167-189. 1997.
81.Etsushiro D, Chizuko O, Teruyoshi M. Carboxypeptides in commercial Bromelain powder-Partial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ineapple carboxypeptidase. Seikagaku, 75: 1063-1071, 1974.
82.Kelly SE, Robinson VNE. The effect of grooming on the hair cuticle. J Soc Consmet Chem, 33: 203-215, 1982.
83.Klevay LM, Leslie M. Hair as a biopsy material-progress and prospects, Arch . Intern . Med ., 138: 1127-1128, 1978.
84.LaTorre C, Bhushan B, Yang JZ, Torgerson PM. Nanotribololgical effects of silicone type. Silicone deposition level, and surfactant type on human hair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J Cosmet Sci, 57: 37-56, 2006.
85.Liff MI, Siddiqui SS. NMR evidence of formation of cyclocystine loope in peptide models of the high sulfur proteins from wool. Int . J. Biol . Macromol ., 19: 139-143, 1996.
86.Mala BR, Aparna MT, Mohini SG, Vasanti VD. Molecular and Biotechnological aspect of Microbial protease. Microbiol . Mol . Biol . Rev ., 62: 597-635, 1998.
87.Nagase S, Ohshika M, Ueda S, Satoh N, Tsujii K. A Universal Stuctural Model for Human Hair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perties 1. Bull . Chem . Soc . Jpn ., 73: 2161-2167, 2000.
88.Nicholas CP, Lewis S. Introduction, In: Fundamentals of enzymology: the cell and molecular biology of catalytic proteins. Oxford university press. 3rd ed., pp1-13, 1999.
89.Parle JN. Micro-Organism In the Intestines of Earthworm. J. Gen . Microbiol ., 30: 1-11, 1963.
90.Poldermans B. Proteolytic enzymes, In: Proteolytic enzymes industry: production and application. VCH Publishers, Germany, pp108-123, 1990.
91.Robbins CR. Morphological and Macromolecular Structure. In: Chemical and Physical Behavior of Human Hair. 4th ed., New York: Springer-Verlag, pp1-60, 2001.
92.Robbins CR. The Physical and Cosmetic Behavior of Hair. In: Chemical and Physical Behavior of Human Hair. 3rd ed. New York: Springer-Verlag, pp386-472, 1994.
93.Robinson VNE. A study of damaged hair. J Soc Consmet Chem, 27: 155-161, 1976.
94.Ruetsch SB, Yang B, Kamath YK. Chemical and photo-oxidative hair damage studied by dye diffusion and electrophoresis. J Cosmet Sci, 54: 379-394, 2003.
95.Ruetsch SB, Kamath YK. Effects of thermal treatments with a curling iron on hair fiber. J Cosmet Sci, 55: 13-27, 2004.
96.Russell PJ, Wolfe SL, Hertz PE. Introduction to Animal Organization and Physiology. In: Biology: The Dynamic Science, Volume 3(1st ed.), Thomson Higher Education, pp831-846, 2007
97.Santos NAC, Jokes I. Hair Color changes and prote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 J. Photochem. Photobiol . B, Biol ., 74: 109-117, 2004.
98.Scanavez C, Silveira M, Joekes I. Human hair: color changes caused by daily care damages on ultra-structure.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28: 39-52, 2003.
99.Seshadri IP, Bhushan B. In situ tensile deformation characterization of human hair with atomic force microscopy. Acta Mater, 56: 774-781, 2008.
100.Shinohara K. The determination of tiol and disulfide compounds with refernce to cystein and cystine. J. Biol . Chem ., 112: 671-682, 1936.
101.Smith JR, Swift JA. Lamellar subcomponents of the cuticular cell membrane complex of mammalian keratin fibres show friction and hardness contrast by AFM. J Microsc, 206: 182-193, 2002.
102.Speakman JB. The intracellular structure of the wool fibre. J. Textile Inst ., 18: 431-453, 1927.
103.Takayama N, Tandakal S, Kizu R, Hayakawa K.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tudy on effects of permanent wave, dye and decolorant treatments on methamphetamine and amphetamine in hair. Biomed . Chromatogr ., 13: 257-261, 1999.
104.YJ Kwon, SM Kang, SJ Kim, SY Noh, JS Koh. Effect of earthworm Protease on dyeing properties of protein fib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8: 8-14, 2006.
105.Zviak C. Permanent Waving and Hair Straightening. In: The Science of Hair care. New York, Marcel Dekker Inc. pp183-212, 1986.
현대인은 매일 샴푸와 같은 세제로 매일 머리를 감게 되므로서 모발의 품질을 떨어 뜨리게 되고, 펌제나 염색, 탈색 등에 처방되는 알칼리제로 인하여 케라틴 단백질의 유실과 분해로 인해 모표피의 박리나 탈락을 가져오고, 인장강도의 저하를 가져와 모발의 광택과 질감을 저하시켜 모발의 손상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모발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과 같은 천연 성분으로 모발을 개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정상모와 손상모(퍼머모,염색모)에 처리하여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모발에 주는 효과로서 웨이브(wave) 형성력과 유지력을 살펴보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헤어 컨디셔너의 모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헤어 컨디셔너를 사용하여 고객과 디자이너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새로운 천연 성분의 모발 화장품 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피검자의 감각적 판단과 피부반응에서 접촉성 피부염이나 두피 질환을 초래하지 않는 음성(negative)을 나타냄으로써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하여 처방에 의해 컨디셔너를 제조한 후, 모발 개선에 사용하였던 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발에 흡착되어 질감과 트리트먼트 효과등 탁월한 모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은 모발용 화장품이 각종 화학제품 원료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과 두피를 인체에 안전한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모발을 개선함으로써 웰빙과 친환경적인 시대에 적합하다.
도 1은 염색모의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도 2는 염색모의 헤어컨디셔너 처리후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는 컨디셔너 사용 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사용,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사용
도 3은 염색모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헤어컨디셔너 처리후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는 컨디셔너 사용 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사용,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사용
도 4는 퍼머모의 헤어컨디셔너 처리후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 (A)는 컨디셔너 사용 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사용,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사용
도 5는 퍼머모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헤어컨디셔너 처리후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이다.(A)는 컨디셔너 사용 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사용,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사용
도 6은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 처리 사진이다.(흰색 막대 그래프 : normal hair, 회색 막대 그래프 : dyed hair, 검은색 막대 그래프 : perm hair)
도 7은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 처리 사진이다.(흰색 막대 그래프 : normal hair, 회색 막대 그래프 : dyed hair, 검은색 막대 그래프 : perm hair)
도 8은 염색모의 SEM 관찰에 의한 모표피의 scale 배열이다.
도 9는 샴푸후 일반 컨디셔너 처리 직후 염색모의 SEM 관찰이다. A는 컨디셔너 사용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처리,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처리
도 10은 샴푸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직후 염색모의 SEM 관찰이다. A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사용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처리,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처리
도 11은 퍼머모의 SEM 관찰에 의한 모표피의 scale 배열이다.
도 12는 샴푸후 일반 컨디셔너를 처리한 퍼머모의 SEM 관찰에 의한 모표피의 scale 배열이다. A는 컨디셔너 사용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처리,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처리
도 13은 샴푸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직후 퍼머모의 SEM 관찰에 의한 모표피의 scale 배열이다. A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사용직후, B는 샴푸 10회후 컨디셔너 처리, C는 샴푸 20회후 컨디셔너 처리
도 14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여부에 따른 웨이브 효율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흰색 막대 그래프 : normal hair, 회색 막대 그래프 : dyed hair, 검은색 막대 그래프 : perm hair)
본 발명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피부 안전성, 모발 품질개선 효과 및 고객 만족도를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연구하고 평가한다.
제1장;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처리에 의한 정상모의 품질개선 효과를 연구하고, 제2장;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처리에 의한 손상모의 품질개선 효과를 연구하고, 제3장;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헤어컨디셔너 개발 및 유지력에 관하여 연구하고, 제4장;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를 고객에게 처리하여 만족도를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갯지렁이를 전처리하여 자가분해시키는 단계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로부터 효소 프로테아제를 분리하여 자가분해물을 얻는 단계(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심분리하여 자가분해된 저분자 물질이 함유된 상층액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프로테아지를 따로 분리하는 것이 아니다.)를 거쳐 만들어진다. 그리고 모발 화장품 조성물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과 모발용 원부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만들어 진다.
제1장; 지렁이 자가분해물 처리에 의한 정상모의 품질개선 효과
시료 모발; 장기 약물복용이나 편식을 하지 않고 생활습관이 규칙적인 여성 중 최근 2년 동안 화학적인 시술을 하지 않은 여성의 모발로 후두부에서 약 20 cm 길이로 채취하여 소형전자저울로 1 g씩 정량하여 모다발을 만들고 증류수를 사용하여 pH 7의 중성샴푸로 세발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protease); 실험에 사용된 갯지렁이는 낚시용으로 판매되는 한국산 붉은 갯지렁이를 구입하였으며, 효소는 갯지렁이 193 g을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pH 7.4의 sodium phosphate buffer(1M)를 갯지렁이와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homogenizer로 갈아 상온에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25℃ 1일 방치 후 조효소액 혹은 자가분해물로 사용하였다 (유세은, 2010). 즉 protease 기능을 중시할 때는 조효소액(crude protease)이라고 칭하였으며 저분자물질, peptide 등을 중시할 때는 자가분해물(autolysate)이라고 칭하였다.
1.1. Protease 처리 방법
실험군 모발은 완충액으로 추출한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 모발은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100℃에서 15분간 중탕하여 열에 의한 효소의 변성을 유도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모발과 효소용액은 50 mL conical tube에 각각의 모발을 넣고, 조효소액을 90% 정도 채운 후, 25℃, 100 rpm의 속도로 water bath에서 섞어주면서 모발에 반응시키고 시간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24시간, 48시간)로 시료를 채취하고, 흐르는 물에 효소액을 수세한 후 자연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모발 굵기 측정
모발 시료를 24?25℃, 상대습도 50?55%의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자연 건조하였다. 시료 당 20 가닥을 취하여 digital micrometer (Mitutoyo, model no. IP 65)로 모발 굵기를 10회 반복 측정 후 실험 data는 SPSS program (ver. 12.0)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protease 처리시간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1.3. 광학현미경 관찰법
각 시간대별로 갯지렁이 protease 처리한 실험군과 protease를 실활시킨 완충액에서 처리한 대조군 모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의 모발에서 protease를 처리한 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24시간, 48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단사(single yarn)를 뽑아 slide를 제작하여, 광학현미경(OLYMPUS, BX50)을 이용하여 400배로 관찰하였다.
1.4. 아미노산 분석법
갯지렁이 protease 용액 0.5 g, 대조군 모발과 실험군 모발 각각 0.5 g을 18 mL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6N HCl 3 mL를 각각 가하였다. N2 gas를 수초 간 불어넣어 시험관내부를 N2로 치환 후 밀봉하여 121℃에서 24시간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시킨 시료를 아미노산 자동분석기(Sykam Co., model; S433-H Japan)로 아미노산량을 측정하였다. 이동상으로는 pH 1, pH 2, pH 3, pH-RG, R-3 및 ninhydrin solution (Wako Co., Japan)을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한 칼럼(column)은 ion exchange column #2622SC PH를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50℃이였으며, reaction chamber의 온도는 135℃로 유지하였다. 표준용액으로는 amino acid calibration misture (Sigma Co., AA-S-18)를 사용하였다
1.5.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해능의 측정법
시간별로 protease 조효소 용액에 반응시킨 대조군과 실험군 모발 시료를 49%의 ethanol과 1%의 glacial acetic acid 및 50%의 증류수로 만들어진 NR dissolve solution 5 mL에서 5분간 두었으며 spectrophotometer (SCINCO, NEOSYS-2000)를 이용하여 660 nm에서 추출된 용액의 O.D (optical density)값을 측정하였다(강갑연, 2008).
1.6.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에 의한 모발 표면 관찰법
주사전자현미경(Akaso Alpha 25A, Hitachi S-4700)으로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반응시킨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발 단사시료 표면을 400?800배율로 관찰하였다.
1.7. 모발의 인장강도 실험
모발 시료를 모근 방향으로 동일하게 만능재료시험기(Instron, model no.4301)로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시험의 측정 규격은 섬유단사를 측정하는 한국 산업규격 섬유의 인장강도 및 신도의 시험방법(KS K0323)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하여 각 시료 당 10회를 측정하고 측정값의 편차 범위가 30%를 넘는 측정값은 제외한 후 SPSS program (ver. 12.0)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protease 처리시간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인장시험 조건으로 clamping distance 20 mm, 인장속도 20 mm/min로 시험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실 온도는 20℃이며 습도는 65%였다.
1.8 굵은모와 가는모의 wave의 형성력과 유지력 실험.
주(주용영, 2008)는 웨이브 효율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건강모보다 적당히 화학처리된 모발에서 콜드펌과 히팅펌 모두 웨이브 효율성이 좋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또한 김(김혜숙, 2010)은 모발의 화학처리와, keratinase 조효소액 처리에 따른 wave 형성력 실험에서 굵은모와 가는모 중 굵은 모발이 웨이브의 형성률이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웨이브 효율성을 굵은모와 가는모로 구분하여 모발의 화학적 처리와 갯지렁이 protease를 처리하여 물에 헹군 것과 헹구지 않고 바로 화학처리 하여 각 시술에 맞는 동일한 펌제와 로드의 사용으로 실험하였다. 퍼머 실험 방법은 시료 3개 중 하나는 퍼머넌트웨이브제만 도포하고, 또 하나는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자가분해물)을 도포하고 20분 자연방치한 후 헹군 후 퍼머하고, 마지막 하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바른 후 20분 자연방치 후 헹구지 않고 퍼머를 하였다.
웨이브 측정법은 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처리한 퍼머모의 웨이브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igital caliper (Digital Caliper. China)를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웨이브 효율성의 측정법은 규정화된 방법은 없다. 따라서 spiral 형태로 와인딩된 퍼머모 시료에 두 번째 웨이브를 기준으로 웨이브가 시작되는 지점과 웨이브가 끝나는 지점의 간격을 10회 반복 측정하였고,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후 평균값을 data로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따라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모발에 처리하여 모발의 굵기 변화와 광학현미경관찰, SEM을 통한 모발 표면 관찰, 아미노산 분석, 인장강도 변화 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모발의 굵기 변화는 protease를 실활시킨 대조군과 효소를 함유한 조효소액으로 모발에 반응시킨 실험군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발의 굵기가 점차 가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광학현미경관찰에서 실험군은 30분이 되기 전부터 탈락된 모표피와 오구가 제거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모발표면의 탈락된 모표피와 오구가 그대로 붙어 있었다.
셋째, 모발의 총 아미노산은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1시간 처리한 모발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약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ethylene blue 염색법에 의한 모발의 단백질 분해능 분석에서는 대조군에서는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실험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O.D 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SEM을 통한 모발 표면 관찰에서도 대조군에서는 실험 전 모발과 같이 큰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실험군 모발에서는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오구 제거와 함께 모발의 scale 정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인장강도 실험에서는 갯지렁이 protease의 작용으로 모발의 peptide 결합을 부분적으로 분해함으로써 모발의 인장강도 역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굵은모와 가는모의 웨이브의 형성률과 유지력 실험결과 굵은모와 가는모 모두 갯지렁이 protease 미처리모보다는 조효소액 처리 후 세정한 모발의 웨이브 형성력이 우수하고,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 즉 자가분해물을 처리 후 세정하지 않은 모발의 웨이브 형성률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웨이브의 형태 관찰 결과 웨이브의 형성률과 유지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굵은모와 가는모 모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미처리모보다는 처리 후 세정한 모발의 웨이브 형성률이 우수하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용액을 처리 후 세정하지 않은 모발의 웨이브 형성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용액을 미용 현장에서 활용할 때에는 모발의 물성에 큰 저해를 주지 않는 30분 이내에서 적절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갯지렁이 protease는 머리숱이 지나치게 많은 고객의 모발에 처리 시는 머리가 차분히 가라않는 효과를 빨리 얻어 고객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빨리 만들어 내는데 유리하다고 본다. 이러한 갯지렁이의 자가분해물 용액의 사용으로 모표피의 정련과 함께 매끄럽고 광택 있는 컨디셔닝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아 새로운 천연 모발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2장;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처리에 의한 손상모의 품질개선 효과
실험재료인 모발은 염색모 (Dyed hair)와 퍼머모 (Perm hair)를 사용하였다.
염색모 시료; 본 실험에 사용된 정상모 시료에 Wella사 10/5와 H2O2 6% (산화제)를 1:1로 소형전자저울로 정량하여 미용 실무에서 시술하는 방법대로 모발에 고르게 빗질하고 실온에서 35분간 자연 방치하여 pH 4.5의 산성샴푸로 샴푸하여 자연 건조하였다.
퍼머모 시료;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대한 미용 실무에서 시술하는 법대로(최원준과 최진숙, 2006) 시술하되 동일한 릿지(ridge)간격을 얻어 웨이브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Wave의 winding은 rod 지름 8 mm의 원형 뿔 rod에 spiral 형태로 winding한 후 각각 5 mL 씩 재 도포하고 랩으로 밀봉하여 heating cap 속에서 가온 10분, 실온에서 15분 동안 자연방치 processing time을 두었다. 그 후 2제(NaBrO3)를 도포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processing time을 둔 후 rod out하여 흐르는 물에 헹군 후 자연 건조하였다.
실험방법에 있어 2-1.갯지렁이 자가분해물(Protease) 처리 방법, 2-2. 모발 굵기 측정, 2-3. 광학현미경 관찰법, 2-4. 아미노산 분석법, 2-5.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해능의 측정법은 제1장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2.6.1. 염색모의 표면색상 (L*, a*, b*) 측정법
시간별로 protease 조효소액에 반응시킨 염색모의 실험군과 대조군 모발 시료를 염색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색차계 (X-rite SP60 sphere spectrophotometer, USA)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색상 값인 명도지수 L*과 색좌표 지수인 a*와 b*값을 구하였다. L*; CIELAB 표색계의 white-black 축에서의 명도지수, a*; CIELAB 표색계의 red-green 축에서의 채도지수, b*; CIELAB 표색계의 yellow-blue 축에서의 채도지수로 표현된다.
2.6.2. 염색모의 염착농도(K/S)값의 측정법
색차계 (Color-Eye 3100, Macbeth Inc)로 염색모 시료의 최대 흡광 (λmax=750 nm)에서 Kubelka-Munktlr에 의해 피염물의 K/S (염착농도)를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K: 염색모의 흡수계수, S: 염색모의 산란계수, R: 분광반사율
2.7. 퍼머모의 웨이브(wave) 효율성 측정법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처리한 퍼머모의 웨이브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igital caliper (Digital Caliper. China)를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웨이브 효율성의 측정법은 규정화된 방법은 없다. 따라서 spiral 형태로 와인딩된 퍼머모 시료에 두 번째 웨이브를 기준으로 웨이브가 시작되는 지점과 웨이브가 끝나는 지점의 간격을 10회 반복 측정하였고,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후 평균값을 data로 사용하였다.
2.8. SEM에 의한 모발 표면과 단면 관찰법과 2.9. 모발의 인장 강도 실험은 제1장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따라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모발에 처리하여 제1장의 기본 실험인 굵기의 변화, 광학현미경 관찰, 아미노산 분석,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해능의 분석, SEM 관찰, 모발의 인장강도의 변화, 표면색상 (L*, a*, b*)변화와 염착농도 (K/S)를 분석하여 살펴보고, 퍼머모에서 웨이브 효율성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갯지렁이 protease의 활성 여부에 따른 염색모의 변화에서는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처리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이 매끄러워졌으며 모발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염색모의 반사색 유실이 나타나 모발의 명도가 밝아졌으나 적절한 시간을 설정하면 모발의 명도가 밝아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거칠어진 모발표면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갯지렁이 protease의 활성 여부에 따라 퍼머모에서도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퍼머모의 웨이브 효율성은 갯지렁이 protease의 반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저하되므로 15분 정도의 적절한 시간을 두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위의 결과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이므로 반드시 적절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미용 산업 현장에서 트리트먼트 처리시간은 30분 이내 임을 감안할 때 갯지렁이 protease 처리시간 또한 15분 정도가 적절하다고 하겠다.
셋째, 염색모의 굵은모와 가는모의 웨이브의 형성력과 유지력 실험결과 굵은모와 가는모 모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미처리모보다는 처리 후 세정한 모발의 웨이브 형성력이 우수하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처리 후 세정하지 않은 모발의 웨이브 형성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염색모의 웨이브의 형태 관찰 결과 웨이브의 형성력과 유지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굵은모와 가는모 모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미처리모보다는 처리 후 세정한 모발의 웨이브 형성력이 우수하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처리 후 세정하지 않은 모발의 웨이브 형성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갯지렁이 protease가 손상모의 탈락된 모표피 정련과 함께 모발 표면에 각종 오구를 제거함으로써 정상모 뿐만 아니라 손상모에도 모발의 정련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손상모의 경우 퍼머 웨이브 효율성과 유지력이 떨어지는데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이러한 단점을 상당히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미용 산업 현장에서 사용 시 활용가치가 높으며 천연 모발화장품 원료로써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제3장;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헤어컨디셔너 개발 및 유지력에 관한 연구
<제조예 1>; 갯지렁이 전처리 및 자가분해 효소
본 발명의 갯지렁이는 낚시용으로 판매되는 한국산 붉은 갯지렁이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갯지렁이 193g을 흐르는 정제수로 세척한 후 pH 7.4의 sodium phosphate buffer(1M)를 갯지렁이와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homogenizer로 갈아 상온에서 겟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25℃ 1일 방치 후 조효소액 혹은 자가분해물(autolysate)로 칭하고 사용하였다.
<제조예 2>; Protease의 전처리 및 분리
실험군 모발은 완충액으로 추출한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 모발은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100℃에서 15분간 중탕하여 열에 의한 효소의 변성을 유도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모발과 효소용액은 50 mL conical tube에 각각의 모발을 넣고, 조효소액을 90% 정도 채운 후, 25℃, 100 rpm의 속도로 water bath에서 섞어주면서 모발에 반응시키고 시간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24시간, 48시간)로 시료를 채취하고, 흐르는 물에 효소액을 수세한 후 자연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하여 정상모와 손상모 및 굵은모와 가는모에 대한 모발의 굵기, 아미노산, 모발의 표면과 인장강도, 웨이브 형성력과 유지력 등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기본적인 실험에서 그 효과를 확인한 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컨디셔너를 제조하여 퍼머모와 염색모에 대한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헤어컨디셔너 제조
본 발명의 헤어컨디셔너의 일반적인 성분은 모발에 보습효과를 주는 moisturizer, 모발의 구조를 강하게 하는 hydrolyzed protein을 함유한 reconstructors, pH를 조절하기 위한 acidfiers, glossers와 같은 polymer로 코팅을 하는 detangles, 열로부터 보호해 주는 thermal protectors, dry hair에 도움이 되는 oil류(EFAs-essential fatty acids), fatty alcohols, panthenol, dimethicone 같은 lubricants, 경수(hard water)에서도 기능을 잘 할 수 있게 하는 sequestrants, 정전기를 방지하는 antistatic agent, preservative (방부제), 그리고 중요한 surfactants (계면활성제)가 있다.
컨디셔너는 양이온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양성이다. 모발은 전기적으로 음성이기 때문에 컨디셔너를 끌어당기게 된다. 특히 손상모의 경우 모발이 손상되는 과정에서 좀 더 음성화되기 때문에 컨디셔너를 끌어당기는 힘이 더욱 강해진다. 따라서 손상모에 컨디셔너를 처리하게 되면 정전기의 발생이 줄어들고 모발이 더욱 차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컨디셔너가 표피를 평평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모발의 색감과 광택을 더욱 좋게 만들어 준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헤어 컨디셔너의 처방은 표1과 같으며, 그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수조에 A 상 (정제수; purified water, HEC; hydroxyethylcellulose(Hercules), 메칠파라벤; methylparaben(한빛), 라피노스; raffinose(한빛)을 넣고 75-80℃에서 가온용해하고, 마찬가지로 B 상 (세테아릴알콜; cetearyl alcohol(Kao), 비헤닐알콜; behenyl alcohol(Cognis), GMS; glyceryl monostearate(광일식품), 폴리솔벤60; polysorben 60(Kao), 염화스테아랄로늄; stearalonium chloride(미원상사), 싸이클로메티콘; cyclomethicone(다우코닝), 디메티콘; dimethicone(다우코닝), 프로필파라벤; propylparaben(SKC))을 70-75℃ water bath에서 가온 용해 후, A 상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호모믹서로 1,500 rpm에서 10분간 교반시키고, 유화가 끝나면 50℃로 냉각 후 C상 (향료;floral complex, 키맥스)를 주입한 후, 호모믹서로 1,500 rpm에서 3분 동안 교반시켰다. 여기에 별도 용해한 D상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earthworm peptide, 리노레아미도프로필 피지-디모늄; linoleamidopropyl PG-dimonium 염화인산; chloride phosphate(SKC))을 투입하여 1,500 rpm에서 교반시키고, 30℃까지 냉각하며 800 rpm에서 3분 동안 교반시키고, 그리고 30℃에 도달했을 때 성상을 확인하고 교반을 정지하였다. 하기 표 1은 헤어커디셔닝 제품의 원부재료(단위: %)에 관한 것이다.
원부재명 대조군 실시예
1 2 3 4 5
A 정제수 83.8 78.8 82.8 80.8 76.8 73.8
Hydroxyethylcellulose 0.5 0.5 0.5 0.5 0.5 0.5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라피노스 0.5 0.5 0.5 0.5 0.5 0.5
B 세테아릴알콜 5 5 5 5 5 5
비해닐알콜 1 1 1 1 1 1
Glyceryl mono stearate 1 1 1 1 1 1
Polysorbate 60 1 1 1 1 1 1
Stearalkonium chloride 2 2 2 2 2 2
싸이클로메티콘 2 2 2 2 2 2
디메티콘 2 2 2 2 2 2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0.1
C 향료 0.5 0.5 0.5 0.5 0.5 0.5
D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 5 1 3 7 10
Linoleamidopropyl PG-dimonium
Chloride phosphate
0.5 0.5 0.5 0.5 0.5 0.5
100
본 발명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갯지렁이 자가 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대조군)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건조분말)을 함유한 헤어 컨디셔너(실험군)를 제조하고 그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예>;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헤어컨디셔너의 효과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천연 원료로서 기존 원료에 비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사료되어 피부 안전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모발에 사용되는 제품이라도 현장에서는 두피에 접촉성 피부염이나 두피 질환을 초래하므로 피부 안전성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피검자의 감각적 판단과 피부반응에서 모두 음성(negative)을 보임으로써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각종 화학제품 속에 두피의 문제점이 부각되는 시점에 천연 원료의 사용과 그 안전성은 웰빙과 친환경적인 시대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실험재료>:모발
(1) 염색모 (Dyed hair)
염색모 시료는 본 실험에 사용된 정상모 시료에 Wella사 10/5와 H2O2 6% (산화제)를 1:1로 소형전자저울로 정량하여 미용 실무에서 시술하는 방법대로 모발에 고르게 빗질하고 실온에서 35분간 자연 방치하여 pH 4.5의 산성샴푸로 샴푸하여 자연 건조하였다.
(2) 퍼머모 (Perm hair)
퍼머모는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대한 미용 실무에서 시술하는 방법대로(57. 최원준과 최진숙, 2006) 시술하되 동일한 릿지(ridge)간격을 얻어 웨이브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Wave의 winding은 rod 지름 8 mm의 원형 뿔 rod에 spiral 형태로 winding한 후 각각 5 mL 씩 재 도포하고 랩으로 밀봉하여 heating cap 속에서 가온 10분, 실온에서 15분 동안 자연방치 processing time을 두었다. 그 후 2제(NaBrO3)를 도포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processing time을 둔 후 rod out하여 흐르는 물에 헹군 후 자연 건조하였다.
<실험방법>
(1)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방법
화학처리(염색, 퍼머)를 하기 전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실험군)와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대조군)를 모발에 도포하고 화학시술을 한 후, 염색모는 pH 4.5의 산성 샴푸로 샴푸한 후 흐르는 물에 헹구고, 퍼머모는 샴푸를 하지 않고 흐르는 물에 그냥 헹군 후 타올 드라이 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재 도포한 후 자연 건조하였다.
(2) 모발의 굵기 측정
모발 시료를 24?25℃, 상대습도 50?55%의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자연 건조하였다. 시료 당 20 가닥을 취하여 digital micrometer (Mitutoyo, model no. IP 65)로 모발 굵기를 10회 반복 측정 후 실험 data는 SPSS program (ver. 12.0)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protease 처리시간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2-1) 샴푸 횟수에 따른염색모의 굵기 변화
강 등(6. 강은희와 현지원, 2005)의 연구에 따르면, 손상된 모발은 푸석푸석하고 윤기가 없으며, 탄력성이 감소하여 약간의 물리적 자극에도 쉽게 끊어지거나 갈라진다고 하였다. 모발을 화학적 시술에 노출되게 되면 모표피의 모표피 층이 박리되어 모피질층 내부의 간충물질과 수분의 유출로 가늘어지고, 심한 경우 절모가 되기도 한다(80. Edward, 1997; Ruetsch & Kamath, 2004). 이는 화학시술로 인한 단백질 유실과 모표피의 박리현상 때문이라 사료된다. 그러므로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실된 모발 단백질을 모발에 인위적으로 채워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컨디셔너 원료로 단백질의 케라틴을 가수분해하여 모발의 주성분인 시스틴, 히스티딘, 세린, 글루타민산, 트립토판, 프로린이 많이 사용되며, 콩이나 밀 단백질도 사용된다. 그러면 단백질 성분은 모발 속으로 침투되어 수분공급과 함께 외부의 수분을 흡수하는 매개체로 작용하여 모표피를 보수하여 모발을 유연하게 해준다(66. 한경희 등, 2002). 갯지렁이 컨디셔너가 염색 시 미치는 영향과 유지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컨디셔너 처리 전?후의 모발 굵기를 digital micrometer (Mitutoyo, model no. IP 65)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손상된 모발의 굵기가 정상모에 비하여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되어 있는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의 굵기 변화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2 에서 컨디셔너 처리 전 굵기는 정상모가 0.085 mm이며, 염색모가 0.083 mm이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은 염색모에 비해 컨디셔너 처리 후 굵기가 0.076 mm로 염색모보다 약 12.%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이 0.083 mm로 염색모보다 약 21% 유의적 (p<0.001) 증가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가 대조군에 비해 약 8.1% 유의적 (p<0.001)으로 더 증가하였다.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는 컨디셔너를 처리하지 않은 염색모에 비해 덜 손상되었으며, 화학시술 후 컨디셔너 재도포 시 대조군은 0.079 mm, 실험군은 0.084 mm로 실험군이 약 5.6%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21%증가하여 모발이 더 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갯지렁이 protease가 더 활성이 높아 자가분해 시 단백질들을 peptide로 잘 더 분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위의 결과로 볼 때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의 효과는 정상모와 비슷하게 굵기를 만들며 샴푸횟수에 따른 유지력은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경우는 정상군보다 약 6.7% 더 굵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지렁이 자가분해물의 peptide가 염색모에 침투하여 음(-)전하된 모발에 이온결합, 전정기적 결합 등으로 인하여 흡착력을 높여주었기 때문에 손상모에서 정상모와 같은 수치의 굵기와 샴푸횟수에 따른 유지력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등(66. 한경희. 2002)의 연구처럼 peptide 함량이 높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피질층의 다공성부분을 채워주고, 피막 형성을 좋게 하는 접착력이 높은 갯지렁이의 성분(96. Russell et al., 2007) 때문이며, 염색모의 모표피에 피막을 형성하였기(72. 松崎 貴 et al., 2003) 때문에 갯지렁이 컨디셔너 처리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굵어졌고 이에 따라 유지력도 길어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기 표 2는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염색모의 굵기 변화에 관한 것이다.
구분 샴푸횟수
Virgin hair 0 1 10 20
D 0.085±0.002 0.068±0.002c 0.068±0.001c 0.068±0.002b 0.067±0.001b
C 0.085±0.002 0.077±0.001b 0.079±0.001b 0.069±0.002b 0.066±0.002b
E 0.085±0.002 0.083±0.003a 0.084±0.001a 0.075±0.004a 0.072±0.001a
F2) 0.000 125.689*** 543.535*** 25.854*** 7.629**
주: D; 염색모(Dyed hair), C; 대조군(control), E; 실험군(Experiment)
1)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Values are mean ± S.D. (n=10)
2) F-test
3) *: p<0.05, **: p<0.01, ***: p<0.001
(2-2)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을 이용한 퍼머모의 굵기 변화
펌제는 환원력이 강한 성분으로 thioglycolic acid에 알카리성분은 ammonia나 mono ethanol amine 등을 처방하는데, 이렇게 되면 ammonium thioglycolate (HS-CH2-COOH-NH4) 화합물이 형성되어 환원제로 사용되게 된다(오명숙과 장병수, 2008). 따라서 이렇게 강한 환원제를 모발에 도포하면 모발 팽윤과 함께 모발 내 peptide bond의 절단과 함께 아미노산의 유실 등으로 인하여 최종 펌 이후에는 모발의 굵기가 감소한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가 퍼머모에 미치는 영향과 유지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앞의 실험(염색모)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표 3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되어있는 컨디셔너를 처리한 퍼머모의 굵기 변화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3에서 컨디셔너 처리 전 굵기는 정상모가 0.085 mm이며, 퍼머모가 0.070 mm이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은 컨디셔너 처리 후 굵기가 0.079 mm로 퍼머모보다 약 12.6%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이 0.080 mm로 약 14.5%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퍼머모보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약 1.7% 더 증가하였다. 화학시술 후 컨디셔너 재도포 시 대조군은 0.080 mm, 실험군은 0.0820 mm로 유의적(p<0.001)으로 약 3.3%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볼 때 실험군은 정상모보다 높은 수치로 증가하였으며 샴푸 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의 효과와 유지력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3은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퍼머모의 굵기 변화에 관한 것이다.
구분 샴푸횟수
Virgin hair 0 1 10 20
D 0.085±0.002 0.070±0.004b 0.069±0.001c 0.069±0.001c 0.068±0.001c
C 0.085±0.002 0.079±0.001a 0.080±0.001b 0.070±0.001b 0.066±0.001b
E 0.085±0.002 0.080±0.001a 0.083±0.001a 0.076±0.001a 0.073±0.002a
F2) 0.000 61.364*** 523.100*** 211.136*** 49.183***
주: D; 염색모(Dyed hair), C; 대조군(control), E; 실험군(Experiment)
1)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Values are mean ±S.D. (n=10)
2) F-test
3) *: p<0.05, **: p<0.01, ***: p<0.001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컨디셔너로 처리 후 펌의 유지력이 향상되는 것은 컨디셔너를 퍼머 전에 처리하므로 산화 시 침투된 갯지렁이 peptide가 S-S 결합(84. La Torre et al., 2006)으로 모발과 공유결합되어 잘 떨어지지 않아 샴푸에 따른 유지력도 오래간다고 하였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의 컨디셔너를 처리한 모발의 굵기가 일반 컨디셔너의 처리보다 더 좋게 나타났다.
(3) 모발의 무게 측정
화학처리에 의한 모발 손상도 및 갯지렁이 컨디셔너 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 회복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자저울(LIBROR AEX-200B, Shimadze, Japan)을 이용하여 염색모, 퍼머모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3-1)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염색모의 무게 변화
안과 배(73. 安俸田 & 裵晩鐘, 1997)의 연구에 따르면 염료 전구체나 중합은 모발 중으로 침투할 수 있지만 그때 일어나는 중합반응은 확산보다도 빠르므로, 침투는 모발 외측영역에 제한되며 모발 중에 생성되는 분자량이 큰 축합물은 샴푸에 의해 세척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염색을 하기 전? 후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대조군)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실험군)를 동일한 조건에서 무게를 측정하였다. 표 4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되어있는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의 무게 변화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4는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염색모의 무게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구분
샴푸횟수
Virgin hair 0 1 10 20
D 1.26±0.018 1.02±0.017c 1.02±0.008b 1.01±0.008a 1.00±0.024a
C 1.26±0.018 1.10±0.029b 1.13±0.125a 0.98±0.016b 0.93±0.014b
E 1.26±0.018 1.20±0.014a 1.25±0127a 1.17±0.009a 1.03±0.012a
F2) 0.000 75.076*** 9.237** 29.730*** 65.123***
주: D; 염색모(Dyed hair), C; 대조군(control), E; 실험군(Experiment)
1)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Values are mean ±S.D. (n=10)
2) F-test
3) *: p<0.05, **: p<0.01, ***: p<0.001
표 4에서 염색을 하기 전에 컨디셔너를 처리하여 컨디셔너 침투량 정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모의 무게는 1.26g이며, 염색모의 무게는 1.02g으로 약 19% 유의적 (p<0.001)으로 감소하였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의 무게는 1.10g으로 염색모보다 약 7.4%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실험군의 무게는 1.20g으로 염색모보다 약 18%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고, 염색 후, 재 도포 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11% 증가하였다.
염색모의 경우, 모발이 산화 중합되는 과정에서 모발의 pH가 변하고, 이온결합 역시 절단되어 음이온화되어 있는 모발이 더욱 음이온화된다. 따라서 conditioner를 끌어당기는 힘이 더욱 강해진다(13. 김무영, 2004).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를 염색시술 전에 도포함으로 염색 시술 시 산화되는 과정에서 강한 극성을 띠며(73. 安俸田 & 裵晩鐘, 1997), 그 결과 갯지렁이 컨디셔너가 이온 결합으로 모발에 흡착력이 높아지며 모발 표면에서 피막을 형성하고(21. 김정숙, 2008), 모표피의 들뜸을 억제하므로 무게 또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 컨디셔너는 종래보다 높은 효과가 나타났으며 유지력 또한 향상되었다. 이는 갯지렁이의 저분자 단백질, peptide 등 저분자물질들이 많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3-2)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염색모의 무게의 변화
앞의 염색모 무게변화 실험과 마찬가지로 퍼머모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를 함유한 것과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를 처리하여 측정 하였다. 표 5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되어있는 컨디셔너를 처리한 퍼머모의 무게 변화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5에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대조군은 1.06g으로 퍼머모는 1.08g으로 퍼머모가 약 1.8% 증가하였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실험군은 1.22g으로 약 14%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다. 화학시술 후, 재도포 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6.9%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갯지렁이 컨디셔너 사용 후 퍼머모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은 굵기의 증가와 마찬가지로 2제(중화제)에 의해서 갯지렁이 컨디셔너 peptide가 모발의 S-S 결합(84. La Torre et al., 2006)으로 공유결합이 잘 이루어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퍼머모의 컬 형성력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갯지렁이 컨디셔너의 샴푸에 따른 유지력 향상은 종래 컨디셔너보다도 효과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기 표 5는 샴푸횟수에 따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염색모의 무게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구분
샴푸횟수
Virgin hair 0 1 10 20
P 1.26±0.018 1.08±0.008b 1.03±0.009c 0.98±0.011 0.96±0.005b
C 1.26±0.018 1.06±0.012b 1.07±0.010b 0.99±0.017 0.97±0.019b
E 1.26±0.018 1.22±0.069a 1.14±0.011a 1.02±0.017 1.00±0.014a
F2) 0.000 41.901*** 313.543*** 17.672*** 28.539***
주: P; 퍼머모(Perm hair), C; 대조군(control), E; 실험군(Experiment)
1)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Values are mean ±S.D. (n=10)
2) F-test
3) *: p<0.05, **: p<0.01, ***: p<0.001
(4) 모발의 광학현미경 관찰
각 시간대별로 갯지렁이 protease 처리한 실험군과 protease를 실활시킨 완충액에서 처리한 대조군 모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의 모발에서 protease를 처리한 후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24시간, 48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단사(single yarn)를 뽑아 slide를 제작하여, 광학현미경(OLYMPUS, BX50)을 이용하여 400배로 관찰하였다.
(4-1) 염색모의 광학현미경 관찰
도 1은 컨디셔너를 처리하지 않은 염색모로서 앞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염모제에 처방되는 알칼리제 등에 의해서 모표피를 비롯한 모피질의 손상으로 인하여 거칠어진 모발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을 줄이면서 좀 더 부드럽고 매끄러운 모발 관리를 위해서는 컨디셔너 사용을 필요로 한다.
도 2A는 컨디셔너를 처리하고 염색한 직후의 대조군 모발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로 모발 표면이 매끄럽게 정리되어 트리트먼트 효과를 모발 표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B, C는 각각 일반 컨디셔너 사용 후 샴푸 10회와 샴푸 20회 처리 후 광학현미경 관찰로 일반 컨디셔너 사용에는 10회 샴푸 전?후 컨디셔너가 모발에서 유실되어 모발 표면이 거칠어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20회 샴푸 시 모발 표면에 오구의 흡착과 표면이 다시 들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 컨디셔너의 사용은 처음에는 효과적이나 그 유지력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반복하여 컨디셔너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도 3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 처리 후 염색모 실험군의 광학현미경 관찰로 대조군에 비하여 샴푸 횟수가 20회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모발 표면의 정련과 오구의 흡착이 적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앞의 2장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컨디셔너에 처방할 경우 모피질의 다공성 부분을 채워주고 모표피에 피막을 형성하여 대조군보다 컨디셔닝 효과와 유지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와 피막을 형성해주는 dimethicone을 함유한 효과이며(72. 松崎 貴 et al., 2003),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의 높은 peptide 함량으로 모발의 다공성 부분을 매워주어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를 처리 후 모발의 트리트먼트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퍼머모의 광학현미경 관찰
도 4는 컨디셔너 처리 후 퍼머모의 샴푸 횟수에 따른 광학현미경 관찰로 컨디셔너 사용 직후에는 대조군에 퍼머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 표면의 정련 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도 4B,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샴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발 표면이 거칠어지며 모발 표면에 오구의 흡착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를 처리한 실험군 퍼머모로 도 4의 대조군과 비교하면 샴푸 횟수가 증가하여도 모발 표면이 더 매끄러우며 정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염색모의 표면에 작용하여 나타난 트리트먼트 효과이다. 또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가 유지력이 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컨디셔너 처방에 있어 고농도의 peptide로 이루어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표피의 보호 작용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건강한 모표피는 모발의 보호 작용으로 인해 모발의 보습 효과와 트리트먼트 효과가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5) 모발의 아미노산 분석
갯지렁이 protease 용액 0.5 g, 대조군 모발과 실험군 모발 각각 0.5 g을 18 mL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6N HCl 3 mL를 각각 가하였다. N2 gas를 수초 간 불어넣어 시험관내부를 N2로 치환 후 밀봉하여 121℃에서 24시간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시킨 시료를 아미노산 자동분석기(Sykam Co., model; S433-H Japan)로 아미노산량을 측정하였다. 이동상으로는 pH 1, pH 2, pH 3, pH-RG, R-3 및 ninhydrin solution (Wako Co., Japan)을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한 칼럼(column)은 ion exchange column #2622SC PH를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50℃이였으며, reaction chamber의 온도는 135℃로 유지하였다. 표준용액으로는 amino acid calibration moisture (Sigma Co., AA-S-18)를 사용하였다
(5-1)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에 따른 염색모의 아미노산 분석
모발의 염색에 사용되는 산화 염모제는 모표피와 모표피 간의 CMC를 통과하고, 나오거나 모발 내부의 단백질이 녹아 나온다고 알려져 있다. 모피질(cortex)에는 모발의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이 있는데, CMC나 내부 단백질이 녹아 나오면 그 기능이 손상된다. 그 때문에 주위 습도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고, 푸석푸석해지고, 헤어스타일의 유지가 되지 않는다(9. 권경옥 등, 1997). 따라서 스타일링을 위하여 모발에 염색을 하더라도 모발의 트리트먼트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의 아미노산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를 처리하지 않은 염색모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75027 mg/100 g, 컨디셔너를 처리한 대조군의 총 아미노산은 82198 mg/100 g, 갯지렁이 컨디셔너를 처리한 실험군의 총 아미노산은 98296 mg/100 g으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 시료가 염색모보다 약 31% 높게 나타났다. 하기 표 6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로 처리후 염색모의 아미노산 조성(단위: mg/100 g)에 관한 것이다.
Sample hair
Amino acid
Dyed hair Control Experiment
Aspartic acid 5540.95 6649.253 6834.320
Threonine 5481.38 6577.967 6510.006
Serine 3257.51 4302.889 8756.295
Glutamic acid 11512.050 12656.267 14000.038
Proline 5323.375 6823.111 7930.900
Glycine 2922.475 3005.745 3576.116
Alanine 2567.871 2845.765 3413.614
Cystine 8169.399 9087.487 11331.549
Valine 3771.401 3984.276 4660.037
Methionine 794.385 833.951 833.951
Isoleucine 2121.504 2879.094 2520.930
Leucine 2732.640 3865.498 6590.600
Tyrosine 1226.724 1590.367 2450.452
Phenylalanine 1487.351 1731,114 2486.300
Histidine 1052.773 1298.124 1446.340
Lysine 2249.043 2419.962 2009.842
Ammonium chloride 3616.637 3571.529 4307.524
Arginine 6599.857 8076.666 8637.800
Total 75027.319 82198.07 98296.61
이것은 갯지렁이의 자가분해물에 peptide의 함량이 높기 때문이며, 염색으로 인해 손상된 모발이 극성을 띄므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peptide와 이온결합으로 잘 흡착하여 염색모의 총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Clark (79. Clark, 1997)는 갯지렁이 분비물에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섞여있었는데, 종류에 따라 (-)전기와 (+)전기를 띠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접착력의 비밀은 강력한 전기적 결합이라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손상된 염색모에 침투하여 강한 전기적 결합으로 결합이 잘 되어 용출된 단백질을 모피질에 채워줌으로써 염색모의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기 표 7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로 처리후 퍼머모의 아미노산 조성(단위: mg/100 g)에 관한 것이다.
Sample hair
Amino acid
Perm hair Control Experiment
Aspartic acid 4556.46 5628.50 6479.75
Threonine 3983.10 5036.80 6321.43
Serine 4675.20 4989.99 8069.93
Glutamic acid 9395.28 10430.57 13747.50
Proline 4397.59 5459.53 6428.72
Glycine 2313.16 2609.51 3354.13
Alanine 2165.78 2472.25 3081.33
Cystine 5714.33 7578.82 10766.24
Valine 3335.01 3454.68 4472.44
Methionine 298.90 470.43 489.38
Isoleucine 1776.45 1889.67 2537.85
Leucine 2995.73 4284.46 4464.30
Tyrosine 613.66 1875.42 1520.87
Phenylalanine 1215.87 1468.86 1753.67
Histidine 953.45 1143.83 1229.16
Lysine 1889.88 2192.12 2562.40
Ammonium chloride 3837.55 3687.48 4489.23
Arginine 6121.55 6585.81 8179.27
Total 60238.95 71258.73 89947.60
퍼머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에 염색모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미노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으며, 퍼머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의 총 아미노산은 60239mg/100g, 컨디셔너 처리한 대조군의 총 아미노산은 71258mg/100g,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한 실험군의 총 아미노산은 89947mg/100g으로 대조군에 비해 약 26% 높으며, 실험군의 아미노산 함량이 앞장의 정상모보다 높게 증가한 것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의 뛰어난 효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접착력이 강하고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peptide가 퍼머 시 모발과 S-S 공유결합을 할 뿐만 아니라 극성을 띠는 모발에 전기적 결합으로 잘 흡착하여 나타난 효과라 할 수 있겠다.
(6)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단백질 분해능의 측정
시간별로 protease 조효소 용액에 반응시킨 대조군과 실험군 모발 시료를 49%의 ethanol과 1%의 glacial acetic acid 및 50%의 증류수로 만들어진 NR dissolve solution 5 mL에서 5분간 두었으며 spectrophotometer (SCINCO, NEOSYS-2000)를 이용하여 660 nm에서 추출된 용액의 O.D (optical density)값을 측정하였다(2. 강갑연, 2008).
(6-1)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의 모발 내 침투효과와 유지력
모발의 특성상 펌이나 탈색과 같은 알칼리제의 시술이 반복된 모발일수록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 및 간충물질이 유실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모발이 손상될수록 methylene blue 염색이 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 강갑연, 2008).
도 6은 대조군으로 시료별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를 처리하여 샴푸 횟수에 따른 O.D 값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험에서도 정상모보다 손상모의 O.D 값이 높았으며, 강의 연구 결과(2. 강갑연, 2008)와 같이 모발이 손상될수록 methylene blue 염색이 잘된다는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컨디셔너 처리 후 모든 시료들의 O.D 값이 줄어든 것으로 보아 모발 손상으로 유실된 모피질 층의 수분과 간충물질을 컨디셔너가 채워준 것으로 사료되며, 샴푸 10회 이후부터는 O.D 값이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의 모발이 손상이 심할수록 벌어진 모표피로 인해 잦은 샴푸 시 유지력이 길지 않음을 나타낸다(95. Ruetsch & Kamath, 2004).
(6-2) Methylene blue 염색법을 이용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한 컨디셔너의 모발 내 침투효과와 유지력
도 7은 실험군으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를 정상모, 염색모, 퍼머모에 처리한 후 methylene blue 유출량과 샴푸 횟수에 따른 유지력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정상모의 O.D 값은 가장 낮았으며, 손상모의 O.D 값은 높게 나타났다.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컨디셔너 처리 후에는 O.D 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화학시술로 인해 손상된 모발에 컨디셔너가 모피질의 간층물질을 채워주고 모표피를 감싸주었기 때문에 O.D 값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되며, 그중 펌의 O.D 값이 정상모와 근사치로 나타났으며 샴푸횟수에 따라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보다 0.148에서 0.108로 26%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볼 때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된 컨디셔너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되지 않은 컨디셔너에 비해 컨디셔너 효과와 이의 유지력이 뛰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7)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에 의한 모발 표면 관찰
주사전자현미경(Akaso Alpha 25A, Hitachi S-4700)으로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반응시킨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발 단사시료 표면을 400?800배율로 관찰하였다.
(7-1) 염색모의 SEM에 의한 모발 표면 관찰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컨디셔너를 처리 후 염색모의 형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SEM 관찰을 하였다. 도 8은 염색모의 SEM 관찰로 모표피의 scale 배열이 불규칙적이고 모표피의 끝부분이 부분적으로 탈락되었거나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는 대조군으로 일반 컨디셔너 처리 직후 염색모의 샴푸 횟수에 따른 SEM 관찰로 다소 모발 표면이 정돈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부분적으로 컨디셔너 처리 전과 같이 모표피의 끝 부분이 들떠 박리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3-14A에서 샴푸 직후에는 모표피의 표면이 정리되었고 샴푸 10회를 지나면서 모발 표면에 각종 오구가 흡착되고 표면이 다시 들뜨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샴푸 20회에서는 모표피의 scale 간격이 벌어졌으며, 샴푸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발 내 간충물질의 유실과 모표피의 CMC 등의 유실로 인하여 오히려 처리 전보다 손상된 모발 표면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염색모에 있어 컨디셔너가 효과적이나 샴푸횟수에 따른 유지력은 10회를 넘지 않았으며, 이는 최 등의 보고(62. 최정명 등, 2005)도 같다.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의 샴푸 후 SEM 관찰로 대조군에 비하여 시술 직후 도 10A에서 모발 표면의 정련과 더불어 오구가 제거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샴푸 10회 후에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표피의 벌어짐이 덜하였고, 모표피의 탈락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샴푸 20회 후에 모표피의 탈락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지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샴푸횟수가 20회가 지나도 유지력이 거의 1회와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접착력이 강하고 peptide의 함량이 높은 갯지렁이의 자가분해물이 극성을 띠는 모발에 전기적 결합으로 잘 흡착하여 나타난 효과라 할 수 있으며, 모발 표면의 벌어진 cuticle을 감싸고, 피막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샴푸 유지력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7-2) 퍼머모의 의 SEM에 의한 모발 표면 관찰
도 11은 퍼머모의 정상군으로 시료 역시 펌제에 처방된 mono ethanol amine 등과 같은 알칼리제와 환원제에 의하여 벌어진 모표피와 모발 표면에 부분적으로 탈락된 모표피 조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표 12A는 일반 컨디셔너를 처리한 대조군의 표면 관찰로 매끄럽게 정리된 모표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샴푸 횟수가 10회 지나고 나자 모발 표면의 형태는 컨디셔너 처리 전과 같은 형태로 부분적으로 탈락되어진 모표피 조각이 관찰되었으며 20회 샴푸 후에는 벌어진 모표피가 탈락됨에 따라 손상이 가중되어 벌어진 모표피의 scale과 각종 오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컨디셔너는 사용 직후에는 모발 표면의 정련에 효과는 있으나(71. 홍부일, 2008) 샴푸 횟수에 따라 유지력은 길지 않아 나타난 것이다.
도 13은 실험군으로 도 13A는 퍼머모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의 모발 표면 관찰이다. 샴푸 횟수가 10회 처리된 퍼머모(도 13B)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발 표면이 정돈되고 오구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20회 샴푸처리(도 13C)에도 불구하고 모발의 모표피가 그대로 잘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종래와 비교하면 모발표면의 모표피가 덜 들떠 있어 정돈이 더 잘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샴푸 횟수의 증가에도 모발 표면의 품질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한 실험군에서 모발 컨디셔닝 효과와 유지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갯지렁이 peptide가 극성을 띠는 모발에 전기적 결합으로 잘 흡착하여 나타난 효과라 할 수 있겠다.
(8) 퍼머모의 웨이브(wave) 효율성 측정법
갯지렁이 protease 조효소액을 처리한 퍼머모의 웨이브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igital caliper (Digital Caliper. China)를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웨이브 효율성의 측정법은 규정화된 방법은 없다. 따라서 spiral 형태로 와인딩된 퍼머모 시료에 두 번째 웨이브를 기준으로 웨이브가 시작되는 지점과 웨이브가 끝나는 지점의 간격을 10회 반복 측정하였고,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후 평균값을 data로 사용하였다.
(8-1) 퍼머모의 wave 효율성 분석
일반적으로 퍼머 후에 모발에 비결정 영역인 간충물질이 알카리 등의 성분에 의해 용해되어 모발의 결합력을 떨어뜨려 웨이브의 효율성이 저하된다(40. 유세은 등, 2010).
도 14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여부에 따른 웨이브 효율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디셔너를 처리한 대조군은 웨이브 간격이 넓어지면서 웨이브 효율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일반 컨디셔너를 사용한 대조군보다 웨이브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퍼머 시 제2제에 의한 S-S 결합으로 갯지렁이 peptide가 모발에 잘 흡착되어(40. 유세은, 2010) 웨이브 효율성이 일반 컨디셔너보다 우수하게 나타난 것으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의 장점으로 사료된다. 현(68. 현지원, 2006)은 트리트먼트 후 퍼머모의 웨이브 효율성이 저하한다고 하였는데, 본 실험에서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사용 시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는 우수하게 그리고 퍼머모와는 비슷하게 웨이브의 효율성이 나타났다.
(9) 모발의 인장강도 실험
모발 시료를 모근 방향으로 동일하게 만능재료시험기(Instron, model no.4301)로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시험의 측정 규격은 섬유단사를 측정하는 한국 산업규격 섬유의 인장강도 및 신도의 시험방법(KS K0323)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하여 각 시료 당 10회를 측정하고 측정값의 편차 범위가 30%를 넘는 측정값은 제외한 후 SPSS program (ver. 12.0)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protease 처리시간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인장시험 조건으로 clamping distance 20 mm, 인장속도 20 mm/min로 시험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실 온도는 20℃이며 습도는 65%였다.
(9-1) 샴푸횟수에 따른 염색모의 인장강도의 변화
김(19. 김순희, 2003)은 모발 중의 아미노산 함량이 높을수록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높아지며, 화학시술이 반복될수록 인장강도는 낮아지고, 신장률에 있어서는 낮아지거나 혹은 많이 늘어나는 변화를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화학시술로 인해 유실된 단백질을 보강하였을 때 모발의 탄성과 강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 도포 시 인장강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표 8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되어있는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의 인장강도 변화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8에서 정상모의 인장강도는 0.162 kgf이었으며, 염색모의 인장강도는 0.142 kgf로 낮게 나타났다. 대조군의 컨디셔너 처리 직후의 인장강도는 0.148 kgf로 염색모보다 약 4% 유의적 (p<0.01)으로 증가하였으며, 실험군의 컨디셔너 처리 직후는 0.163 kgf로 약 15% 유의적 (p<0.01)으로 증가하였다. 화학시술 후, 재도포한 결과 실험군은 정상모보다 높은 0.174 kgf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 9% 유의적 (p<0.001)증가로 나타났다. 샴푸 20회 이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약 7% 증가한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모발의 강도와 탄력은 모피질 내의 시스틴 결합과 수소결합을 기본으로 한 가교결합에 영향을 받으므로 화학적 시술로 이들 결합이 파괴되어 결과적으로 모발의 탄력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갯지렁이 컨디셔너 처리 후 모든 모발 시료가 정상모와 같게 모발의 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염색으로 인하여 손상된 모발에 갯지렁이 컨디셔너가 모표피를 감싸며 비어 있는 간충물질을 채워 주었기 때문이며 손상으로 좀 더 음성화된 모발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를 처방하여 전기적 결합으로 인해 강도 높은 모발로 변하여 일반 컨디셔너와 손상모보다 인장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기 표 8은 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컨디셔너를 처리한 염색모의 인장강도 변화에 관한 것이다.
구분 샴푸횟수
Virgin hair 0 1 10 20
D 0.163±0.007 0.143±0.011b 0.144±0.006c 0.138±0.008 0.136±0.008
C 0.163±0.007 0.148±0.012ab 0.159±0.008b 0.143±0.005 0.136±0.003
E 0.163±0.007 0.163±0.007a 0.174±0.011a 0.147±0.008 0.145±0.004
F2) 0.000 5.270* 22.763*** 2.239 2.802
주: D; 염색모(Dyed hair), C; 대조군(control), E; 실험군(Experiment)
1)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Values are mean ±S.D. (n=10)
2) F-test
3) *: p<0.05, **: p<0.01, ***: p<0.001
(9-2) 샴푸횟수에 따른 퍼머모의 인장강도의 변화
시스틴 결합은 유황(S)을 포함한 단백질에서 특유한 것으로 다른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에서는 볼 수 없는 측쇄결합으로 케라틴의 특징을 결정짓는 중요한 결합이며, 기계적으로는 견고한 결합이지만 화학반응에 의해 절단되고 재결합시킬 수도 있는데, 퍼머넌트 웨이브가 이러한 화학적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8. 곽형심 등, 2000). 또한 모발의 탄력성은 모발 내 마이크로 피브릴의 탄성과 이들의 교차 결합한 disulfide bond의 밀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화학약품으로 인한 모발내의 결합의 파괴는 물론 케라틴 단백질 용출이 모발의 강도와 탄력성 소실의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이다(99. Seshadri & Bhushan, 2008). 본 발명에서도 퍼머로 인하여 강도가 저하될 것으로 보이므로, 컨디셔너의 처리 후의 결과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표 9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되어있는 컨디셔너를 처리한 퍼머모의 인장강도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9에서 정상모는 0.1628 kgf이며, 퍼머모는 0.1322 kgf로 약 19%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조군은 처리 직 후 0.145 kgf로 퍼머모보다 약 10%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다. 실험군은 0.157 kgf로 약 19% 유의적 (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화학시술 후, 재도포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11% 유의적 (p<0.00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샴푸 횟수 20회에서도 유지력이 대조군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퍼머로 인하여 낮아진 강도가 갯지렁이 컨디셔너 도포 후 정상모와 비슷하게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peptide가 퍼머 시 S-S결합으로 모발에 공유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되며, 미용 산업 현장에서 퍼머 시 전?후 처리제 사용은 화학시술로 인한 손상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하기 표 9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함유 컨디셔너를 처리한 퍼머모의 인장강도에 관한 것이다.
구분 샴푸횟수
Virgin hair 0 1 10 20
P 0.163±0.007 0.132±0.0058c 0.131±0.006c 0.127±0.005b 0.128±0.003b
C 0.163±0.007 0.146±0.0052b 0.155±0.008b 0.138±0.008a 0.130±0.004ab
E 0.163±0.007 0.160±0.0037a 0.171±0.012a 0.156±0.007a 0.137±0.007a
F2) 0.000 46.471*** 45.699*** 13.247*** 2.701
주: D; 염색모(Dyed hair), C; 대조군(control), E; 실험군(Experiment)
1) 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Values are mean ±S.D. (n=10)
2) F-test
3) *: p<0.05, **: p<0.01, ***: p<0.00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컨디셔너를 처방하였을 때 나타난 피부 안전성 검사하였다. 그리고 화학시술 전? 후에 도포한 후 나타난 트리트먼트 효과와 유지력을 관찰하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컨디셔너가 손상모발 내부로 침투하여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기초물성 실험과 SEM을 이용한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피부 안전성 검사는 피검자의 감각적 판단과 피부반응에서 모두 음성의 결과를 보임으로써 지렁이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피부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염색을 하기 전?후에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 처리 후 염색모의 굵기, 무게는 전체적으로 정상모 정도로 비슷하게 증가하였고, 샴푸횟수에 따른 유지력도 지렁이의 것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 함량이 정상모보다 높게 증가하였으며 methylene blue 염색법에서도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직후 손상모의 O.D 값이 감소하였다. SEM 관찰은 모표피의 표면 정돈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샴푸 20회가 지남에도 불구하고 scale 의 정돈이 유지되었으며 샴푸횟수에 따른 유지력 또한 지렁이의 것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염색 시 산화 중합되는 과정에서 갯지렁의 많은 자가분해물의 peptide와 강한 극성을 띄는 모발의 전기적 결합으로 염색모에 잘 흡착되어 모피질의 간충물질을 채우고 모표피의 표면을 감싸 피막을 형성하여 scale 정돈과 함께 유의적인 트리트먼트 효과가 있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퍼머모의 시술 전?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 처리 후 결과는 앞의 실험(염색모)과 같이 트리트먼트 효과와 유지력에서도 역시 지렁이의 것보다 뛰어난 효과가 나타났으며 퍼머모의 웨이브 효율성은 갯지렁이 컨디셔너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갯지렁이 컨디셔너 처리 후 펌제의 2제(중화제)에 의해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peptide 중 cysteine과 모발의 S-S결합이 잘 이루어졌고 공유결합에 의해 흡착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며, 또한 모피질의 비어있는 간충물질을 채워주고, 모표피를 둘러쌓아 피막을 형성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peptide가 음이온 성질을 가진 모발에 흡착이 잘되어 손상으로 빠져나간 간충물질을 채워주었기 때문이다.
제4장;고객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 처리에 따른 만족도 조사
<시험예>: 고객만족도 조사
상기의 실험예에서 입증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의 모발에 대한 이화학적인 효과 이외에 컨디셔너제품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객만족도를 조사하였다.
(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기간
본 조사의 대상은 서울 송파 지역에 위치한 100평 규모의 헤어 살롱과 신사동의 60평 규모에 두 곳의 헤어 살롱에서 실시하였다. 조사의 자료 수집은 살롱을 방문한 고객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양해를 얻은 고객을 대상으로 1:1 대인면접법을 실시하여 호흡기 질환이나 내분비계 질환이 없으며 임신 중인 고객을 제외하고 임상자를 선별하여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컨디셔너 처리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 컨디셔너를 직접 처리한 헤어 디자이너에게도 시술 후 만족도 항목을 구성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0년 4월 1일부터 2010년 5월 30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조사 후 수집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배포된 설문지는 총 50부였으며 설문에 불성실한 설문지 1부와 분실된 설문지 1부를 제외하고 수거된 48부의 설문지를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2)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방법은 실시예 밀 실험예와 동일하게 하였다.
(3) 설문 조사 도구
본 발명의 설문 조사는 총 38문항으로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문항, 일반적 모발 특성 10문항, 모발관리 특성 5문항, 트리트먼트와 모발관리 인식 6문항, 고객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후 만족도 7문항, 시술 헤어 디자이너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 처리 후 효과 및 만족도 5문항으로 구성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4) 분석방법
조사된 설문지의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program (ver. 12.0)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고객과 시술 디자이너와의 유의성 분석을 위하여 카이제곱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령에 다른 측정값을 구하기 위하여 ANOVA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5) 고객만족도 조사
표 10은 본 조사의 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조사에 참여한 44명 모두 모발관리에 있어 본 설문에 사용된 지렁이 컨디셔너가 필요하다고 답변하여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가 고객에게 뛰어난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갯지렁이 컨디셔너가 효과가 있었냐는 질문에‘좋다, 이상의 답변이 100%로 나타나 갯지렁이 컨디셔너의 효능이 매우 뛰어남이 입증되었다. 탄력, 광택, 질감, 가벼움의 질문에서 설문 조사자 모두 긍정적인 답변으로 p<0.05 범위에서 고객과 헤어 디자이너 사이의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아 고객과 헤어 디자이너 모두 만족도가 상호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컨디셔너 제조 시 처방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모발에 흡착되어 질감과 트리트먼트 효과를 부여한 것이라 사료된다. 하기 표 10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함유한 컨디셔너의 고객만족도에 관한 것이다.
문 항 집 단 빈 도 수
N = 0
백분율(%)
사용된 갯지렁이컨디셔너가 모발관리에 있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필요하다 44 100
필요하지 않다 - -
무응답 - -
갯지렁이컨디셔너가 모발 트리트먼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아니다 - -
아니다 - -
보통이다 8 18.2
그렇다 34 77.3
매우 그렇다 2 4.5
전혀 아니다 - -
갯지렁이컨디셔너를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에 탄력이 생겼습니까?
아니다 - -
보통이다 12 27.3
그렇다 30 68.2
매우 그렇다 2 4.5
전혀 아니다 - -
갯지렁이컨디셔너를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에 질감이 우수해 졌습니까?
아니다 - -
보통이다 10 22.7
그렇다 26 59.1
매우 그렇다 8 18.2
전혀 아니다 - -
갯지렁이컨디셔너를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에 광택이 우수해졌습니까?
아니다 - -
보통이다 8 18.2
그렇다 34 77.3
매우 그렇다 2 4.5
전혀 아니다 - -
갯지렁이컨디셔너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이 가벼워 졌습니까?
아니다 - -
보통이다 18 40.9
그렇다 24 54.5
매우 그렇다 2 4.5
(6) 고객과 헤어 디자이너의 만족도 비교
갯지렁이 컨디셔너를 사용 후 고객의 만족도와 헤어 디자이너와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ANOVA 분석법을 통하여 만족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에서 갯지렁이 컨디셔너 처리에 따른 고객과 헤어 디자이너의 만족도는 설문 6개항목에서 81.8%가 효과가 있다고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모발 탄력과 가벼움에 대한 질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김과 남(17. 김성남과 남윤자, 2002)은 강남 지역의 고객과 디자이너가 헤어 제품 선택에 있어서 까다롭다고 하였다. 본 조사에서도 조사 지역이 강남 지역인 것을 고려할 때 대체적으로 제품 선택에 있어 까다로운 지역의 고객과 디자이너에게 만족도 평가가 우수하게 나타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셔너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11은 고객과 헤어디자이너의 만족도 비교에 관한 것이다.
문 항 집 단 빈 도 수
N = 0
평 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F-
value
p-value
사용된 갯지렁이컨디셔너가 모발관리에 있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아니다 - - - - - -
아니다 - - - -
보통이다 8 1.00 .000 .000
그렇다 32 1.00 .000 .000
매우 그렇다 4 1.00 .000 .000
합 계 44 1.00 .000 .000
갯지렁이컨디셔너가 모발 트리트먼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아니다 - - - - .414 .664
아니다 - - - -
보통이다 8 3.75 .463 .164
그렇다 32 3.8 .492 .087
매우 그렇다 4 4.00 .000 .000
합 계 44 3.86 .462 .070
갯지렁이 컨디셔너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에 탄력이 생겼습니까? 전혀 아니다 - - - - 1.607 .213
아니다 - - - -
보통이다 8 3.50 .535 .189
그렇다 32 3.81 .535 .095
매우 그렇다 4 4.00 .000 .000
합 계 44 3.77 .522 .079
갯지렁이컨디셔너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에 질감이 우수해 졌습니까? 전혀 아니다 - - - - 3.976 .026
아니다 - - - -
보통이다 8 3.50 .535 .189
그렇다 32 4.00 .622 .110
매우 그렇다 4 4.50 .577 .289
합 계 44 3.95 .645 .097
갯지렁이컨디셔너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에 광택이 우수해졌습니까? 전혀 아니다 - - - - 3.402 .043
아니다 - - - -
보통이다 8 3.50 .535 .189
그렇다 32 3.94 .435 .077
매우 그렇다 4 4.00 .000 .000
합 계 44 3.86 .462 .070
갯지렁이컨디셔너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후 모발이 가벼워 졌습니까? 전혀 아니다 - - - - 2.758 .075
아니다 - - - -
보통이다 8 3.25 .463 .100
그렇다 32 3.75 .568 .100
매우 그렇다 4 3.50 .577 .289
합 계 44 3.64 .574 .087
p>0.05
본 조사에서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컨디서너를 이용하여 고객의 화학시술 전?후 처리제로 직접 처리함으로 이를 통해 얻어지는 고객과 헤어 디자이너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여성이 높았으며 조사 대상자의 학력은 대부분 대학생이고 미혼이며 종교는 무교, 가톨릭, 기독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모발은 반곱슬모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직모, 곱슬모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굵은 모발이 가장 많았으며, 보통 모발, 가는 모발로 나타났다. 또한 모발 색상은 흑갈색이 가장 많았다. 모발의 손상은 모두 대다수 화학시술로 인해 갈라지거나 끊어지는 약손상 이상이었다.
셋째, 조상 대상자의 모발관리 상태는 81.1% 가 매일 샴푸를 하고 이 중 대다수가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하여 청결도와 샴푸 후 모발 관리에 있어서도 높은 인식도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열에 의한 모발 손상에 관하여 큰 신경을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50% 정도가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조사 대상자의 만족도는 갯지렁이 컨디셔너에 대해 대체적으로 질감과, 광택, 가벼움 항목에서 모두 우수하게 조사되었으며 디자이너와의 교차 분석에서도 높은 평균을 나타내어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간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컨디셔너는 미용 현장에서도 고객과 시술 디자이너 모두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고객에게 갯지렁이 컨디셔너를 처리한 후 만족도 조사 중에 47세의 15년 단골 고객은 퍼머 후 이런 느낌은 처음이라고 한 달 후 재방문 시 얘기한 결과로 볼 때 제품 선택에 있어 까다로운 고객과 헤어 디자이너에게도 직접 적용 가능한 천연 모발 화장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적용예>
본 발명은 모발처리 마감제로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함유한 헤어컨디셔너를 제조하여 모발에 사용시 그 효과를 밝혔으나, 그 밖에도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팩 등 모발에 사용되는 원재료와 부재료의 성분과 함량을 달리하여 여러 가지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모발에 대한 이화학적 효과가 탁월하고 이를 모발용 화장품에 적용시 고객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컨디셔너는 모발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모발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피검자의 감각적 판단과 피부질환을 초래하지 않는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로 컨디셔너를 제조하여 모발 개선에 사용하면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이 모발에 흡착되어 질감과 트리트먼트 효과등 탁월한 모발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0)

  1. 모발 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2. 제1항에 있어서, 모발은 정상모 또는 손상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3. 제1항에 있어서, 모발 개선에 사용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은 0.01%?100%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개선용 갯지렁이 자가 분해물.
  4. 갯지렁이 자가분해물과 모발 화장품의 부형제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전체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및 헤어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모발 화장품 조성물.
  7. 갯지렁이를 자가분해시켜 얻은 자가분해물을 분리하는 단계와, 모발 화장품용 원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전처리한 갯지렁이와 인산염 완충액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화기로 갈아 상온에서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가온 용해한 B 상을 A 상에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교반시켜 유화시킨 후, C 상과 별도 용해한 D상을 투입하여 교반시키고, 30℃까지 냉각하여 재차 교반시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모발개선용 원부재료로서 A 상은 정제수, 하이드록시에틸셀루로스, 메칠파라벤, 라피노스이고, B 상은 세테아릴알콜, 비헤닐알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 폴리솔벤60, 염화스테아랄로늄, 싸이클로메티콘, 디메티콘, 프로필파라벤이고, C 상은 꽃향이고, D 상은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리노레아미도프로필 피지-디모늄, 염화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자가분해물을 이용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18063A 2011-02-28 2011-02-28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142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063A KR101428576B1 (ko) 2011-02-28 2011-02-28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063A KR101428576B1 (ko) 2011-02-28 2011-02-28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233A true KR20120098233A (ko) 2012-09-05
KR101428576B1 KR101428576B1 (ko) 2014-08-12

Family

ID=4710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063A KR101428576B1 (ko) 2011-02-28 2011-02-28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336A1 (ko) * 2016-06-24 2017-12-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렁이 또는 갯지렁이 분해물과 수소수를 이용한 모발의 퍼머 방법
KR20210001601A (ko) 2019-06-28 2021-0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갯지렁이 분해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 모발 보호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3250A (en) * 1995-06-28 2000-01-11 L'oreal S. A.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gainst chemical and photo damage
KR101055151B1 (ko) * 2008-07-18 2011-08-08 (주)더페이스샵 모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336A1 (ko) * 2016-06-24 2017-12-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렁이 또는 갯지렁이 분해물과 수소수를 이용한 모발의 퍼머 방법
KR20210001601A (ko) 2019-06-28 2021-0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갯지렁이 분해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 모발 보호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576B1 (ko)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as Hair cosmetics: an overview
CA2809483C (en) Process and kit for treating hair
JP7213819B2 (ja) 化学組成物
KR102359520B1 (ko) 아르기닌, 히알루론산 및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발의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ias et al. Hair cosmetics for the hair loss patient
da Gama et al. Protective effect of conditioner agents on hair treated with oxidative hair dye
KR101207490B1 (ko) 케라티네이즈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 화장품 조성물
CN111263629A (zh) 化妆品组合物和使用方法
KR101428576B1 (ko)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WO2019006453A1 (en) CAPILLARY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2212894B1 (ko) 호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볼륨감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Hordinsky et al. Hair Physiology and Grooming
CN111163754B (zh) 增强毛发的蓬松感的毛发或头皮用化妆品组合物
Bhushan et al. Introduction—human hair, skin, and hair care products
Horev Exogenous factors in hair disorders
Fernanda et al. Hair cosmetics: An overview
KR20110123452A (ko) 지렁이 분해물을 함유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102394533B1 (ko) 모발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Alexander Hair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KR100399831B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Gupta et al. A REVIEW: HAIR COSMECEUTICAL-A NEED OF HOUR
Kwon et al. Conditioning effect of a hair conditioner containing lugworm autolysate
Trüeb et al. Hair care and cosmetics
CN102349862B (zh) 一种头发修护活性组合物
KR20240007905A (ko) 모발 처리 조성물 및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