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151B1 -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151B1
KR101055151B1 KR1020080070254A KR20080070254A KR101055151B1 KR 101055151 B1 KR101055151 B1 KR 101055151B1 KR 1020080070254 A KR1020080070254 A KR 1020080070254A KR 20080070254 A KR20080070254 A KR 20080070254A KR 101055151 B1 KR101055151 B1 KR 10105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polyquaternium
henn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394A (ko
Inventor
최민희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08007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1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헤나 추출물(Henna extract)과 폴리쿼터늄-64(Polyquaternium-64)를 함유하여 모발 두께 및 탄력을 증가시키고 정전기를 방지하며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 화장료, 헤나추출물, 정전기

Description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헤나 추출물(Henna extract)과 폴리쿼터늄-64(Polyquaternium-64)를 함유하여 모발 두께 및 탄력을 증가시키고 정전기를 방지하며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얼굴 화장 못지 않게 두발이나 신체 전반에 대한 미용도 중시되고 있다. 잦은 파마, 헤어 드라이, 모발 염색, 자외선 노출 등은 모발에 손상을 초래하고 각종 모발 미용제의 사용과 대기오염 등으로 현대인은 잦은 세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잦은 세발은 두피와 모발에 자연스럽게 존재해야 할 영양성분, 피지성분, 보습성분(천연 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약칭 NMF) 등을 모두 제거해버리는 경향이 있어 두피와 모발이 건조해지거나 거칠어지고 심지어 가려움이 유발되는 부작용도 있어 이를 막아줄 필요가 절실하다. 이에 따라 모발의 윤기, 광택, 볼륨감, 건강함, 머리손질 잘됨 등으로 표현되는 모발의 성질 향상을 위해서 현재 무스(mousse), 젤(gel), 스프레이(spray), 컨디셔너(conditioner) 등이 모발의 코팅(coating)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러나, 이들의 효과는 일회성으로 다음 세척 시에 씻겨나가 그 효과가 소멸한다. 그 이유는 이들 물질이 모발의 표면에 부착 또는 흡착될 때 수소결합(hydrogen bonding), 정전기적 결합(electrostatic interaction), 반데르발스 결합(van der Waals interaction) 등 강도가 약한 결합을 유지하여 세척 시 물과의 반응으로 그 결합이 쉽게 단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상된 모발을 회복하고 모발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발 조성물의 제조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여 모발 두께 및 탄력을 증가시키고 정전기를 방지하며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헤나에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추출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헤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2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폴리쿼터늄-64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1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두께와 모발의 탄력과 모발의 부드러움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퍼머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수 분산액, 파우더 및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여 모발 두께 및 탄력을 증가시키고 정전기를 방지하며 모발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가 모발 손상을 예방하고 모발에 트리트먼트 효과를 부여하여 건강한 머리결로 가꾸어 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헤나는 열대성 관목인‘로소니아 이너미스(Lawsonia inermis)’라는 학명의 식물과 그 나무 잎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그 잎을 말려 만든 분말 제품을 이르는 말이다. 영어표기법으로는 Henna, 인도어로는 Mehendi(멘디)이다. 우리나라의 쑥 향기와 비슷한 독특한 약초냄새가 나는 헤나는 인도를 비롯하여 북아프리카, 파키스탄, 네팔, 스리랑카, 이란, 중국남부 등지 등 열대지방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씨를 뿌리고 나서 1-3m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수 천년 전부 터 헤어 염색, 헤어 트리트먼트, 멘디(바디페인팅), 네일 케어 등 아름다움을 가꾸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피부병, 황달, 비장 비대, 결석 통증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항염제, 해열제, 진통제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 되었으며, 살균, 항균 작용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나의 주성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Lawsone(2-Hydroxy-1,4-naphthoquinone)이다.
Figure 112008051910794-pat00001
다른 화학 착색제는 모발의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고 그 속에 침투하여 염색을 하는 것과 달리 헤나는 헤나의 주성분인 Lawsone이 인체 단백질과 결합하는 특성이 있어 인체에 유전적 손상이 적으며 문신과 화장 등에 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헤나는 상처치료와 열을 내리는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살균작용으로 두피의 노폐물을 밖으로 배출시켜 두피 질환(두피발진, 가려움증, 비듬 등)을 개선하며, 체온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Mutation Research 537 (2003) 183-199). 또한 천연 식물성 단백질인 Lawsone는 모발 주성분인 케라틴(Keratin)과 결합하여 머리카락 외부 컬러막을 형성하여 염색이나 퍼머로 인해 손상된 모발을 보호해 주는 작용을 하게 되고 특히 염모제에 사용할 경우에 선명한 빛깔을 부여해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폴리쿼터늄-64는 세포를 구성하는 생체막의 phosphatidylcholine의 극성기를 가진 2-methacryloyloxy ethyl phosphorylcholine(MPC)와 cationic monomer인 2-hydroxv-3-methacryloyloxypropyltrimethylammnonium chloride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폴리머로 NOF Corporation (1609 Biddle Avenue, Whyandotte, MI)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Figure 112008051910794-pat00002
(단, m은 100 이상 800 이하의 자연수)
상기 폴리쿼터늄-64는 양이온성 폴리머로 일반적으로 모발에 대해 뛰어난 친화성을 가지며 헤어 제품에 첨가 시 모발을 보호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헤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 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헤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헤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헤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헤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헤나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2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0.001 중량 미만으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0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제형 상 및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며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10.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쿼터늄-64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에 대하여 0.001% 내지 10.0%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정 효과가 미미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작을 뿐만 아니라 액의 점성이 너무 높아져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모발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 에어로졸 무스, 비 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퍼머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바 또는 타블렛, 비누 바, 비누 타블렛, 수 분산액, 파우더 및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등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발용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헤나 추출물의 제조
헤나 잎을 햇빛이 쪼이지 않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 조시킨 후,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쇄하여 3kg의 헤나 분말을 얻었다. 추출용매로서 6kg의 프로필렌글리콜을 상기 분쇄된 헤나 분말에 넣고 교반 후 4℃에서 3일간 저온 숙성시킨 뒤 2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1차 추출물을 얻고 여과 잔여분에 프로필렌글리콜 6kg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2차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얻었다.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한 뒤 0.45㎛여과지로 제균 여과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모발의 인장강도 비교 실험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가 9:1의 중량비로 섞어 1 중량%의 농도로 형성된 용액(A) 100ml와, 헤나 추출물이 1 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용액(B) 100ml와, 폴리쿼터늄-64가 1 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용액(C) 100ml와,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 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용액(D) 100ml에 모발을 각각 20분 동안 담근 후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발의 인장 강도 측정은 디지털 포스 게이지(DPS-5R)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개)/샘플 A(Kg) B(Kg) C(Kg) D(Kg)
1 0.125 0.123 0.119 0.091
2 0.124 0.118 0.118 0.087
3 0.131 0.124 0.120 0.100
4 0.128 0.127 0.124 0.094
5 0.130 0.125 0.122 0.105
6 0.116 0.110 0.115 0.093
7 0.125 0.124 0.118 0.098
8 0.112 0.106 0.106 0.089
9 0.119 0.118 0.117 0.095
10 0.120 0.115 0.116 0.099
평균 0.123 0.119 0.1175 0.095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 용액에 20분 담근 후 측정한 모발(A)이 미처리한 모발(D)의 인장 강도보다 약 29.3% 증가하였고 헤나 추출물만 처리한 모발(B) 보다 약 3.4%, 폴리쿼터늄-64만 처리한 모발(C)보다 약 4.6% 증가하였다.
[실험예 2] 모발 굵기 비교 실험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가 함유된 용액(A)과 헤나 추출물이 함유된 용액(B), 폴리쿼터늄-64가 함유된 용액(C) 및 둘 다 포함되어 있지 않은 용액(D)에 모발을 20분 동안 담근 후 모발의 굵기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발의 굵기 측정은 모발 굵기 측정기(ID-C112BS)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위치 5 cm 7 cm
샘플 굵기 (mm) 증가율 (%) 굵기 (mm) 증가율 (%)
A 0.078 5.13 0.080 3.75
0.082 0.083
B 0.080 3.75 0.081 2.46
0.083 0.083
C 0.079 1.27 0.081 1.23
0.080 0.082
D 0.083 증감 변화 없음 0.084 증감 변화 없음
0.083 0.084
* 위치(cm) : 모발 최하단 부분부터의 길이
* 샘플 : 전(담그기 전)/후(담근 후)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 용액에 20분 담근 후 측정한 모발(A)의 굵기는 평균적으로 4.44% 증가하여,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한 B(평균 3.1% 증가)나 C(전, 후 굵기 변화 거의 없음)보다 모발의 굵기 증가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의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린스 제형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헤나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1), 폴리쿼터늄-64만을 함유하는 조성물(비교예 2) 및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모두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비교예 3)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헤나 추출물 1.0 1.0 - -
폴리쿼터늄-64 0.1 - 0.1 -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2.5 2.5 2.5 2.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3.0 3.0 3.0 3.0
히드록실에틸 셀룰로즈 0.7 0.7 0.7 0.7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1.0 1.0 1.0
BHT 0.01 0.01 0.01 0.01
EDTA-2Na 0.01 0.01 0.01 0.01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3] 정전기 방지에 대한 관능적인 평가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모발 조성물의 정전기 방지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5g의 모발 다발을 린스 기능이 없는 일반 샴푸로 세발하고 난 뒤,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취해 각각 2분 30초간 마사지하고, 미온수로 세척하였다. 모발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20회 빗질을 하여 정전기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5점 만점 척도로 기록하였다. 상기 각 조성물에 대하여 5회씩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평균을 구해 정전기 발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조예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로 마사지하기 이전에 동일한 모발에 대하여 샴푸 후 완전히 건조시킨 뒤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 항온 항습실 / 25℃, 40%RH)
1점: 정전기 발생이 매우 심하다.
2점: 정전기 발생이 심하다.
3점: 정전기 발생이 조금 있다.
4점: 정전기 발생이 거의 없다.
5점: 정전기 발생이 전혀 없다.
처리조건 정전기 발생 정도
실시 예 4.6
비교 예1 3.8
비교 예2 4.3
비교 예3 3
대조 예 1.6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을 사용하였을 경우 정전기 발생 정도는 4.6점으로 비교예 1-3과 달리 정전기 발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4] 모발 컨디셔닝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 1-3에 대하여 모발의 부드러움 정도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관능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염색 및 퍼머 등으로 인해 비교적 손상된 모발을 보유한 25 내지 50세의 여성 40명을 선정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난 평가 항목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3을 각각 3회 사용 후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5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사용시 부드러움 3.5 3.2 3.5 3.2
모발이 젖었을 때 부드러움 3.9 3.5 3.5 3.2
모발이 건조되었을 때 부드러움 4.5 3.9 3.8 3.4
보습감 4.2 3.8 3.5 2.5
컨디셔닝 지속력 4.3 3.7 3.7 3.3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을 사용하였을 경우 각각을 따로 사용한 조성물(비교예1과 비교예2)을 사용한 때보다 모발이 젖었을 때 부드러움과, 건조되었을 때 부드러움과, 보습감과, 컨디셔닝 지속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발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샴푸 제조
본 발명의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샴푸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6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헤나 추출물 0.5
폴리쿼터늄-64 0.05
라우릴 황산암모늄 10.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 암모늄 5.0
코코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3.0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1.0
폴리쿼터늄-7 0.1
염화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린스 제조
본 발명의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함유하는 린스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7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헤나 추출물 1.0
폴리쿼터늄-64 0.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3.0
히드록실에틸 셀룰로즈 0.7
폴리쿼터늄-10 0.2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BHT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6)

  1. 헤나에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추출한 헤나 추출물과 폴리쿼터늄-64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2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쿼터늄-64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1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두께와 모발의 탄력과 모발의 부드러움이 증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의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퍼머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수 분산액, 파우더 및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70254A 2008-07-18 2008-07-18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54A KR101055151B1 (ko) 2008-07-18 2008-07-18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54A KR101055151B1 (ko) 2008-07-18 2008-07-18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94A KR20100009394A (ko) 2010-01-27
KR101055151B1 true KR101055151B1 (ko) 2011-08-08

Family

ID=4181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254A KR101055151B1 (ko) 2008-07-18 2008-07-18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466A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헤나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보호 조성물
KR20170001997A (ko) 2015-06-29 2017-01-06 (주)바로나 탈모 개선용 천연 모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27B1 (ko) * 2010-03-10 2016-09-12 (주)아모레퍼시픽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고 상쾌함을 개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101428576B1 (ko) * 2011-02-28 2014-08-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개선용 갯지렁이 자가분해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1538484B1 (ko) * 2014-08-25 2015-07-22 (주)트라이베스트 헤나를 이용한 두피 해독 방법 및 장치
WO2017043669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에디쁘 천연 헤나를 이용한 염색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514A (ko) * 2005-03-17 2006-09-21 장종중 삼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514A (ko) * 2005-03-17 2006-09-21 장종중 삼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lured cosmetics and toiletries, vol.119, pp.59-66(200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466A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헤나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보호 조성물
KR101685672B1 (ko) 2014-04-21 2016-12-12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헤나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보호 조성물
KR20170001997A (ko) 2015-06-29 2017-01-06 (주)바로나 탈모 개선용 천연 모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94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0790B (zh) 包含马来酸作为有效成分的毛发用化妆品组合物
EP2608766B1 (en) Process and kit for treating hair
KR101055151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DE102006034533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zur Restrukturierung von Haaren mit besonderen Harnstoffderivaten
DE202016000077U1 (de) Haarbehandlungsmittel, insbesondere Haarpflegemittel
JPH07126146A (ja) 皮膚外用剤
US20180369113A1 (en) Personal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carmin protein
KR102281606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6011A (ko) 모발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6709B1 (ko) 헴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DE212020000757U1 (de) Haarpflegezusammensetzung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KR102611523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382002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5569101B (zh) 一种多功能洗发乳
KR20150109737A (ko) 모질 강화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101962439B1 (ko) 곰솔잎, 한련초, 삼백초, 국화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두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2445A (ko) 들깨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26882A (ko) 누에 혈림프 유래 저분자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화장용 조성물
JP2024006574A (ja) 毛髪ボリュームアップ外用組成物
KR20100115935A (ko) 모발 컨디셔닝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CN116407487A (zh) 一种温和纯露氨基酸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9980026192A (ko) 두발화장품 조성물
KR20230145823A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