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526B1 -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526B1
KR102045526B1 KR1020170166496A KR20170166496A KR102045526B1 KR 102045526 B1 KR102045526 B1 KR 102045526B1 KR 1020170166496 A KR1020170166496 A KR 1020170166496A KR 20170166496 A KR20170166496 A KR 20170166496A KR 102045526 B1 KR102045526 B1 KR 102045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alsam
extract
weight
concent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67A (ko
Inventor
조현주
Original Assignee
조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주 filed Critical 조현주
Priority to KR102017016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5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 1제 및 봉선화 분말, 자초 분말 및 소목 분말을 함유하는 제 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로, 두피에 자극적이지 않으며, 모발에 손상이 적으며, 모발을 붉은색으로 염색할 수 있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HAIR DYE COMPOSITION COMPRISING GARDEN BALSAM}
본 발명은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 1제; 및 봉선화 분말, 자초 분말 및 소목 분말을 함유하는 제 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흰머리를 염색하기 위한 염모제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또한, 외모에 관심많은 20~30대들에게 본인에게 어울리는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를 찾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어 다양한 염색 관련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모발을 가급적 완전하게 염색시키며 염색 효과를 오랬동안 지속시키는 염모제인 2제형 산화 영구 염모제의 경우 1제의 알카리제와 2제의 과산화수소에 의해 멜라닌의 탈색 등의 반응이 수반되므로, 두피자극은 물론 모발손상정도가 다른 일시적 염모제에 비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붉은색으로 염색된 모발은 갈색으로 염색된 모발에 비하여 모발에서 염색된 색상이 단기간에 빠져, 염색된 색상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붉은색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잦은 염색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잦은 염색은 두피와 모발에 자극적이므로, 자극적이지 않는 염색약을 통해 붉은색 모발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피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여 착색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현재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안출하였다. 모발을 붉은색으로 염색이 가능하며, 두피의 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줄인 염모제 조성물이다.
봉선화(Garden Balsam, 鳳仙花)는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봉숭아라고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씨를 뿌리면 6월 이후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꽃은 2~3개씩 잎 겨드랑이에 달리고 꽃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좌우로 넓은 꽃잎이 퍼져 있고, 뒤에서 통상으로 된 꿀주머니가 밑으로 굽는다. 꽃 빛깔은 분홍색, 빨간색, 주홍색, 보라색, 흰색 등의 다양한 빛깔이 있고, 꽃 모양도 홑꽃 및 겹꽃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털이 있으며 익으면 탄력적으로 터지면서 씨가 튀어나온다. 옛날부터 부녀자들의 손톱을 물들이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봉선화만을 이용하여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염색을 진행하였을 때, 모발의 색상이 충분히 붉은색으로 염색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봉선화와 함께 자초 및 소목을 함께 채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초와 소목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자초(紫草)는 지치 또는 지치라고도 불리며,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열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돕는 약초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에 피부발진과 두진(痘疹)의 독을 치료하고, 피를 잘 돌게하고 깨끗하게 하고, 대장을 순조롭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자초라는 이름의 기원은 꽃이 자색이고, 뿌리도 자색이기 때문에 자색으로 염색하는데에서 비롯되었다.
소목(蘇木)은 소방목이라고도 불리며, 목재의 중심부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평하다.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복통을 진정시킨다. 이질, 파상풍, 부스럼 등에도 사용하며, 경구 섭취시 탕제 및 고제(膏劑)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사용시에는 가루 내어 뿌린다.
또한, 황갈색 또는 적갈색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염색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이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30호에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2제형 조성물은 제 1제에 봉숭아 추출물 0.01~15 중량%를 포함하고 나머지 성분으로 산화염료, 모노에탄올아민 및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봉숭아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산화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과 상이하다.
또한, 상기 2제형 조성물에서 봉숭아 추출물은 색소의 염착력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된 것이고, 제 1제에 주성분으로 산화염료 및 제 2제의 주성분으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므로 염색시 두피와 모발에 자극적일 수 있다.
또한, 모발의 손상의 줄이며 붉은색으로 선명하게 염색하기 위하여, 봉선화와 함께 자초 및 소목을 채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178호에는 봉선화종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를 분쇄한 생성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 조성물과 그 적용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봉선화종 식물의 적어도 한 기관을 분쇄한 생성물을 포함하는 염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색 조성물은 봉선화 분쇄 생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재되어 있을 뿐, 봉선화 분쇄 생성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염색시 두피나 모발에 끼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봉선화 분쇄 생성물의 염색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초 및 소목을 함께 사용하여 염색 조성물의 염색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 및 두피의 자극 및 모발을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것에 대해서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30호 (2009.08.24.)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178호 (2001.09.1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피에 자극적이지 않으며, 모발의 손상이 적게 일어나고, 모발을 붉은색으로 염색할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 1제; 및 봉선화 분말, 자초 분말 및 소목 분말을 함유하는 제 2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제 1제 50~60 중량부 및 제 2제 10~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제는,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30~50 중량부, 농축된 자초 추출물 10~20 중량부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제는, 봉선화 분말 15~30 중량부, 자초 분말 5~15 중량부 및 소목 분말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닝제 1~3 중량부 및 매염제 0.5~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두피에 자극적이지 않으며, 염색시 발생하는 모발의 손상도을 낮출 수 있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모발의 색상을 붉은색으로 염색할 수 있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붉은 색으로 염색한 모발을 일정기간 이상 유지시킬 수 있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
1) 봉선화 추출물의 제조
봉선화의 꽃, 잎 및 줄기를 채취하여 수세한 후, 물기를 말려 봉선화 재료를 준비한다. 봉선화 재료를 이용하여 봉선화 추출물을 제조한다.
봉선화 추출물 재료에 사용되는 꽃, 잎 및 줄기의 혼합비는 꽃 5 중량부, 잎 1중량부 및 줄기 1 중량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선화 추출물의 추출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진공 추출법, 감압추출법,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법, 열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0~120℃의 열수에서 30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90~110℃의 열수 100 중량부에 봉선화 재료 20~30 중량부를 투입하여 1시간동안 추출될 수 있다.
2) 자초 및 소목 추출물의 제조
자초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은 각각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추출은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초음파 추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자연발효대사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하는 흡착 수지를 이용한 방법 등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다.
자초 추출물은 세척하고 건조된 자초를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에탄올을 넣었다. 이들을 상온에서 7일동안 방치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자초 추출물을 얻었다.
소목 추출물은 수피(樹皮)와 변재(邊材)를 제거한 소목 심재(心材)를 짧게 자른 후,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에탄올을 넣었다. 이들을 상온에서 7일동안 방치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소목 추출물을 얻었다.
3) 봉선화, 자초 및 소목 추출물의 농축
봉선화 추출물, 자초 추출물 및 소목 추출물을 각각 농축하여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제조한다.
농축은 증발농축, 동결농축, 건조농축, 막농축, 진공농축 및 감압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농도로 농축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압 농축될 수 있으며, 2~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4)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의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는 단계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의 혼합비는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30~50 중량부, 농축된 자초 추출물 10~20 중량부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 10~20 중량부가 될 수 있다.
5) 봉선화, 자초 및 소목 분말의 제조 및 혼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하는 단계
봉선화, 자초 및 소목을 동결건조하고 각각 분쇄하여, 봉선화 분말, 자초 분말 및 소목 분말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봉선화 분말, 자초 분말 및 소목 분말을 혼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 봉선화 분말 15~30 중량부, 자초 분말 5~15 중량부 및 소목 분말 5~1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6)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 염모제 조성물은 헤어컨디셔닝제 및 매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제, 제 2제, 헤어컨디셔닝제 및 매염제의 혼합비는 제 1제 50~60 중량부, 제 2제 10~30 중량부, 헤어컨디셔닝제 1~3 중량부 및 매염제 0.5~3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헤어컨디셔닝제로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라놀린(lanolin) 및 판크레아틴(pancreatin)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레오닌과 시스테인을 동일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매염제로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암모니아수(ammonia water), 인산(phosphor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살리실산 나트륨(sodium salicylate) 및 살리실산(salicy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고 30 내지 60분간 방치 후, 깨끗이 씻어내어 모발에 염색을 실시할 수 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되, 제 1제 제조시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만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되, 제 1제 제조시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및 농축된 자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및 2는 제 1제 50 중량부 및 제 2제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제 2제는 봉선화 분말 25 중량부, 자초 분말 10 중량부 및 소목 분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의 유지기간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유지기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에는 머리카락 길이가 30cm 이상인 20~40대 성인남여 15명이 참가하였으다.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염모제 조성물을 머리카락을 얼굴을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 및 목뒤 3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섹션마다 각각 도포하였다. 도포 후 45분 동안 상온 방치 후, 씻어내도록 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씻어 낸 후 건조한 당일의 모발의 색상과 2주 후, 3주 후 및 4주 후의 색상을 평가하여, 모발염색된 색상이 선명할 수록 5점, 색상이 흐릿할수록 1점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의 제조 :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되, 제 1제 50 중량부 및 제 2제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 1제는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45중량부, 농축된 자초 추출물 15중량부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제 2제는 봉선화 분말 25 중량부, 자초 분말 10 중량부 및 소목 분말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당일 4.10±0.45 4.32±0.77 4.51±0.87
2주 후 3.84±0.12 4.01±1.08 4.32±0.75
3주 후 2.93±0.79 3.45±0.68 3.82±0.57
4주 후 1.87±1.03 2.89±0.97 3.35±1.02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이 4주 후에 모발에 염색된 색상이 가장 선명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1로 염색된 모말이 4주 후에 색상이 가장 흐릿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염색 당일에도 실시예 1 로 염색한 모발의 색상이 가장 선명하며, 비교예 1로 염색한 모발의 색상이 상대적으로 덜 선명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만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염모제 조성물보다,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염모제 조성물이 염색 후 더 선명한 색상 및 염색모발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의 자극성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에는 산화 영구 염모제의 사용 후 불편감을 느끼는 20~50대 남녀 10명이 참가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색한 후,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기간은 6주이며, 2주마다 새로운 실험군을 이용하여 염색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염모제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 후 45분간 방치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점수가 높아질수록 두피에 자극성이 적고 모발의 손상도가 적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두피 자극성 3.16±0.78 3.79±0.46 4.08±0.56
모발 손상도 3.54±0.95 3.66±0.31 4.10±1.12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이 두피 자극성 및 모발 손상도가 적게 나타나 가장 좋은평가를 받았고, 비교예 1이 상대적으로 두피 자극성 및 모발 손상도가 높게 나타나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평가자들은 실시예 1으로 염색진행시 기존 염색제품에서 느껴지던 따가움이나 발열감이 느껴지지 않고 두피가 편안한 상태로 염색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즉,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만을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보다,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염모제 조성물이 염색시 두피를 편안하게 하고, 모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30~50 중량부의 농축된 봉선화 추출물, 10~20 중량부의 농축된 자초 추출물 및 10~20 중량부의 농축된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 1제;
    15~30 중량부의 봉선화 분말, 5~15 중량부의 자초 분말 및 5~15 중량부의 소목 분말을 함유하는 제 2제;
    헤어컨디셔닝제; 및
    매염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제는 50~60 중량부, 상기 제 2제는 10~30 중량부, 상기 헤어컨디셔닝제는 1~3 중량부, 상기 매염제는 0.5~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66496A 2017-12-06 2017-12-06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45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96A KR102045526B1 (ko) 2017-12-06 2017-12-06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96A KR102045526B1 (ko) 2017-12-06 2017-12-06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67A KR20190066767A (ko) 2019-06-14
KR102045526B1 true KR102045526B1 (ko) 2019-11-15

Family

ID=6684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96A KR102045526B1 (ko) 2017-12-06 2017-12-06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52B1 (ko) * 2019-06-28 2021-06-08 정다운 반려동물용 피부 저자극성 천연 염모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78B1 (ko) * 1995-03-01 2001-09-17 조지안느 플로 봉선화종식물또는식물의일부를분쇄한생성물을포함하는모발염색조성물과그적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960A (ko) * 2003-12-31 2005-07-07 계명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천연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방법
KR100913730B1 (ko) 2008-12-10 2009-08-24 선일규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78B1 (ko) * 1995-03-01 2001-09-17 조지안느 플로 봉선화종식물또는식물의일부를분쇄한생성물을포함하는모발염색조성물과그적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67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25180B1 (ko)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555353B1 (ko) 모발 염색용 염모제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US8920853B2 (en) Nourishing oil composition, pomade,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shampoo, conditioner, hair root stimula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80096246A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16145233A (ja) コウゾを含む天然木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の組成物および化粧品
KR20100103964A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65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67361B1 (ko)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천연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5526B1 (ko)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1530960B1 (ko)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4977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7214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염모제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0650A (ko) 유효성분으로 당근, 무, 호박, 오이 및 콩나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anthosham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hair dye
KR20080048413A (ko) 소금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