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353B1 - 모발 염색용 염모제 - Google Patents

모발 염색용 염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353B1
KR101555353B1 KR1020130126924A KR20130126924A KR101555353B1 KR 101555353 B1 KR101555353 B1 KR 101555353B1 KR 1020130126924 A KR1020130126924 A KR 1020130126924A KR 20130126924 A KR20130126924 A KR 20130126924A KR 101555353 B1 KR101555353 B1 KR 101555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weight
agent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183A (ko
Inventor
서명숙
Original Assignee
서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숙 filed Critical 서명숙
Priority to KR102013012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3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염모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보호와 자극을 완화하고 모발의 손상과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염색시 모발에 탄력과 윤기를 줄 수 있는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발 염색용 염모제는 염료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 및 pH조절제를 함유하는 제 2제를 혼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모발 염색용 염모제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또는 상기 제 2제는 천연 첨가제를 40 내지 80중량% 함유하고, 상기 천연 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2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모발 염색용 염모제{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염색용 염모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보호와 자극을 완화하고 모발의 손상과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염색시 모발에 탄력과 윤기를 줄 수 있는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염색은 노화한 흰머리를 원래의 색으로 되찾고자 할 때, 원래의 모발색을 보다 매력적인 색조 또는 명암으로 바꾸고자 할 때, 염색실시 후 원래의 자연색을 되찾고자 할 때 등에 이루어지게 된다.
인류의 모발 염색의 역사는 아주 오래전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동물의 피, 뿔 및 몸체에서 추출한 기름을 염료로 사용하였고, 그 뒤 헨나(Henna), 안티모니(Antimony), 백납 등 천연물을 염료로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현대 염색의 시초는 1863년 파라페닐렌디아민(paraphenylene diamine)이 발견되고, 1883년 이를 염모제로 사용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발의 염색은 크게 일시적 염색, 반영구적 염색 및 영구적 염색으로 크게 3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일차적으로 염료가 모발에 정착 (fastness)되는 정도에 따른 것이다.
상기한 분류 중 영구적 염색을 가능하게 하는 영구적 염모제는 다른 말로 산화형 염모제라 불리기도 하는데 색소가 모표피(cuticle)를 침투하여 모피질 (cortex) 안에 색소 분자를 침전시키도록 만들어졌다. 침투와 산화제의 추가작용에 의해 이들 염모제는 모발의 탈색 또는 착색이 가능하다.
영구적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로는 식물성 염료, 금속성 염료, 혼합성 염료, 산화성 염료(유기합성 염료)로 구분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산화성 염료로 본 발명도 산화형 염료를 이용하며, 영구적 모발 염색의 방법으로 단연 가장 만족할 만하다.
산화형 염모제는 통상적으로 1제와 2제로 구성된다. 제 1제는 염료중간체, 염료 커플러, 알칼리제, 고급지방산, 겔화제, 용제를 함유하고, 제 2제는 산화제와 pH조정제를 함유한다.
상기 1제와 2제가 혼합될 경우 염료중간체와 염료커플러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생성된 산소분자와 함께 반응하기 시작하고, 염료들이 결합하는 축합반응에 의하여 모발에 색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서로 결합반응으로 분자량이 커진 염료 중합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용성 고체로 변하게 되어 좁은 모표피 사이를 빠져나올 수 없게 되므로 모피질 내부에 그대로 남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이 산화형 염료를 사용하는 염모제를 영구 염모제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이러한 산화형 염모제를 이용한 모발 염색은 모발 속에 모피질의 케라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멜라닌 색소를 화학 성분이 함유된 염색제와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모발의 성질과 구조를 바꾸는 것이므로 모발에 대한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또한, 염료 등과 같은 각종 화학물질에 의해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색상을 만들어 내는 염료는 점막과 눈에 극렬한 자극을 주어 과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피부에 발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조성의 염모제가 개발 연구되고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00-61526호는 황토를 함유하는 염색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미네랄이 풍부한 황토의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는 황토 흙을 가공하여 머리 염색에 사용하고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02-46100호는 피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은 영구염모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염모제에 직접염료(타르색소), 니트로염료 및 천연염료 등에서 선택된 염료를 사용하여 피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모발에로의 염료 침투가 용이하고 염색 지속력이 우수한 조성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 특허 제10-0569788호 및 공개 특허 제2006-66150호는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이 종래 화학성분의 염색제에 의한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연의 식물을 이용하여 염모제의 부작용을 줄이고 기능성을 더하기 위한 다양한 염모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봉의꼬리와 곰보배추를 이용한 예는 없었다.
본 발명은 콩 추출물과 함께 봉의꼬리와 곰보배추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 보호와 함께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극적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염색시 모발의 탄력과 윤기를 줄 수 있는 염모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발 염색용 염모제는 염료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 및 pH조절제를 함유하는 제 2제를 혼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모발 염색용 염모제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또는 상기 제 2제는 천연 첨가제를 40 내지 80중량% 함유하고, 상기 천연 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2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첨가제는 죽초액 10 내지 20중량부, 곰보배추 추출물 10 내지 30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콩 추출물은 분쇄한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콩 추출물은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의꼬리 추출물은 봉의꼬리에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것이고,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 첨가제는 허브오일, 편백 추출물, 측백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감초 추출물, 천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여정자 추출물, 아카시아 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콩 추출물, 봉의꼬리 추출물 등과 같은 천연 식물 유래의 첨가제를 이용함으로써 염색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화학적 물질에 비해 두피에 주는 자극을 완화시키고 우수한 항산화 효과에 의해 두피와 모발을 보호한다.
또한, 염색 후 모발에 탄력과 윤기를 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염색용 염모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모발 염색용 염모제는 산화형 염모제를 구성하는 제 1제 또는 제 2제를 의미한다. 산화형 염모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상태로 모발 염색에 사용된다.
제1제 및 제2제는 각각 포장된 형태로 제공되었다가 모발 염색시 사용자가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제 및 제2제가 혼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인 제 1제는 염료, 알칼리제, 겔화제, 천연 첨가제를 함유한다.
염료로 통상적인 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이용한다.
염료 전구체로는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염산톨루엔-2,5-디아민, 염산p-페닐엔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황산p-메칠아미노페놀, 황산o-아미노페놀, 황산p-아미노페놀, 황산톨루엔-2,5-디아민, 황산p-페닐렌디아민 중에선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염료 전구체의 종류와 조합을 한정하지 않는다. 염료 전구체의 양은 제 1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는 염료 전구체와 반응하여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물질이다. 커플러로 2-메칠-5-히드록시에칠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N-메칠-p-페닐렌디아민, 황산p-아미노-o-크레솔,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황산m-페닐렌디아민, α-나프톨, 레소르시놀, 2-메칠레소르시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커플러의 종류와 조합을 한정하지 않는다. 커플러의 양은 제 1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제는 색소 형성반응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알칼리제로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칠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알칼리제의 양은 제 1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제는 제 2제와 혼합시 겔 형성을 촉진시킨다. 겔화제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알킬디에탄올아미드, 세틸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겔화제의 양은 제 1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첨가제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염색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냄새를 저감시킨다. 또한, 모발에 탄력과 윤기를 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학적 물질에 비해 두피에 주는 자극을 완화시키고 우수한 항산화 효과에 의해 두피와 모발을 보호한다. 천연 첨가제는 제 1제 전체 중량에서 70 내지 90중량%로 조성된다.
천연첨가제의 일 예로 콩 추출물과 봉의꼬리 추출물을 함유한다. 가령, 천연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2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콩 추출물은 분쇄한 콩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것이다. 발효시킴으로써 미생물 대사산물에 의해 생리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콩으로 서리태, 백태, 흑태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콩 추출물은 두피와 모발의 보습력을 높이고 단백질을 공급하여 모발에 탄력과 윤기를 주며, 두피를 보호한다.
콩 추출물을 얻기 위해 콩을 믹서기와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에 잘게 분쇄한 다. 그리고 분쇄한 콩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다. 또한, 분쇄한 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2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한 후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효시 미생물로 효모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세스 속 균주를 이용할 수 있다. 사카로미세스 속 균주로 사카로미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미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미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들 수 있다. 효모균으로 시판중인 건조효모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효모균을 배지에 접종한 후 20 내지 40℃에서 1 내지 3일 동안 배양시킨 미생물 배양액을 분쇄한 콩에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배양액 1 내지 5중량부를 첨가한다. 배지로 물에 트립톤(tryptone),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글루코스(glucose), 염화나트륨(NaCl), 인산수소칼륨(K2HPO4)을 가하여 조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증류수 1ℓ에 트립톤 3g, 효모 추출물 3g, 글루코스 3g, NaCl 5g, K2HPO4 1g를 가하여 조성한다.
미생물이 가해진 콩은 20 내지 40℃에서 30 내지 60일 동안 발효시킨다. 발효과정이 완료된 후 발효물을 분쇄기로 곱게 갈아서 균질화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다. 얻은 상등액을 콩 추출물로 이용한다.
봉의꼬리(Pteris multifida)는 고사리목 고사리과의 상록 양치식물로서, 돌틈과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봉의꼬리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다. 일 예로 봉의꼬리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초임계 유체 추출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방식 등을 통해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봉의꼬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염모제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천연 첨가제는 상술한 콩 추출물, 봉의꼬리 추출물 외에 죽초액과 곰보배추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천연 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20 내지 40중량부, 죽초액 10 내지 20중량부, 곰보배추 추출물 10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한다.
죽초액은 대나무를 숯으로 만들 때 발생하는 연기를 응축시켜 얻어지는 것으로서, pH 2~4 정도의 산성액체이다. 죽초액은 항균, 탈취 효과가 우수하다. 죽초액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곰보배추(Salvia plebeia)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설견초, 청와초, 마마초, 과동청, 수양이 등으로도 불리며 겨울철에 잎이 바닥에 붙어 퍼져있는 모양이 배추를 닮았고 잎에 주름지고 울퉁불퉁한 모양이 곰보자국을 닮았다고 하여 곰보배추라 한다. 곰보배추의 성분으로는 호모플랜타지민, 히스피두린, 에우카포놀린, 에우카포놀린-7-글루코시드 등의 플라보노이드 외에도 페놀성 물질, 정유성분, 사포닌, 강심배당체, 불포화지방산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곰보배추 추출물은 곰보배추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다. 이러한 추출방법은 봉의꼬리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봉의꼬리와 곰보배추는 콩의 발효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발효시켜 추출할 수 있다.
천연 첨가제는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허브오일, 편백 추출물, 측백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감초 추출물, 천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여정자 추출물, 아카시아 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허브오일, 편백 추출물, 측백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감초 추출물, 천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여정자 추출물, 아카시아 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형태로 5 내지 15중량부(콩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가 천연 첨가제에 함유될 수 있다.
허브오일과 아카시아 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은 방향성을 부여하여 염모제의 자극적 냄새를 감소시키고, 진정작용을 통한 두피에 가해지는 자극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편백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은 자극적인 냄새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킨다. 하수오 추출물과 천마 추출물 및 측백 추출물, 여정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허브오일로 통상적인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라벤더, 로즈마리, 제라늄, 카모마일, 아보카드, 썬플라워, 호호바,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잎, 꽃 또는 줄기에서 추출한 것을 이용한다.
편백 추출물, 측백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감초 추출물, 천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여정자 추출물, 아카시아 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은 상술한 봉의 꼬리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 1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성분들이 상술한 성분들 외에 더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용제, 직접 염료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컨디셔닝제로 4급화 암모늄염 및 4급화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제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직접염료로 아리아놀(Arianol) 염료,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염산니트로-p-페닐렌디아민, 피크라민산, 기타 식물성 염료인 헨나(Henn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인 제 2제는 산화제, pH조정제, 천연 첨가제를 함유한다. 가령, 산화제 10 내지 20중량%, pH조정제 0.1 내지 10중량%, 천연첨가제 70 내지 90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산화제 및 pH 조정제는 염모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산화제로 과산화수소수, pH 조정제로 인산을 이용할 수 있다.
천연첨가제의 일 예로 콩 추출물과 봉의꼬리 추출물을 함유한다. 가령, 천연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20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첨가제의 다른 예로 콩 추출물, 봉의꼬리 추출물 외에 죽초액과 곰보배추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천연 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20 내지 40중량부, 죽초액 10 내지 20중량부, 곰보배추 추출물 10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한다.
제 2제에 함유되는 천연첨가제는 상술한 제 1제에 함유되는 천연첨가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천연첨가제는 제 1제와 제 2제 중 어느 하나에만 함유되거나, 제 1제와 제 2제 모두에 함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1)
p-페닐렌디아민 5.0중량%, m-페닐렌디아민, 1.0중량%, m-아미노페놀 2.0중량%, 모노에탄올아민 2.5중량%, 세틸알코올 6.5중량%, 천연첨가제 83.0중량%를 배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6% 과산화수소수 12.0중량%, 인산 3.0중량%, 천연첨가제 85.0중량%를 배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제 및 제 2제에 함유된 천연첨가제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천연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분쇄한 서리태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효모균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DSM Food, France) 0.1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에서 45일 동안 발효시켰다. 그리고 콩 발효물을 분쇄기로 곱게 갈아서 균질화시킨 후 6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인 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봉의꼬리 전초에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8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봉의꼬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 예2)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1제 및 제 2제를 제조하되, 천연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30중량부, 죽초액 15중량부, 곰보배추 추출물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피부 테스트 실험>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 및 2의 제 1제와 제 2제를 이용하여 피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 테스트를 위해 총 10명의 남녀(평균연령 28.3세)의 등 부위에 시료를 함유한 특수한 첩포(IQ chamber,Chemotechnique, Sweden)를 붙인 후 24시간이 경과하여 떼어내고 30분 후 판독하는 표준화된 안전성 평가방법인 24h single epicutaneous patch test로 수행하였다.
피부의 반응정도는 홍반, 부종, 가피 및 얕은 궤양 등에 관한 ICDRG(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평가 기준표에 의해 1~4점으로 결정하여 총 평균값으로 기록하였다.
피부자극의 개연성은 평균평점기준으로 전체 피시험자의 20% 이상에서 피부반응 2 이상의 반응이 있는 경우로 약 평균평점 4.5 이상인 경우이다(ICDRG score index 0~1.5: 피부 자극 없음, 1.5~2.5: 피부 자극이 없는 수준의 미약한 홍반, 2.5~4.5: 경미한 홍반과 부종으로 추가 확인시험 필요, >4.5:피부자극의 개연성이 있음). 피부테스트 실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자극도 (ICDRG average score index)
실시예 1 <1.5
실시예 2 <1.5
상기의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 모두 피시험자들에게 유의한 피부자극을 일으킬만한 홍반이나 부종반응을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두피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
상기 실시 예 1 및 2에 사용된 천연첨가제에 대한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항산화 활성(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2mL에 0.2mM의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용액 2mL를 혼합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능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라디칼 소거 활성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라디칼소거활성능(%) =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실험에서 실험구1의 시료로 실시예 1의 천연첨가제를, 실험구2의 시료로 실시예 2의 천연첨가제를, 대조구의 시료로 BHT(합성산화방지제)를 각각 이용하였다.
구분 라디칼소거활성능
실험구1 59.8±0.60
실험구2 62.5±0.45
대조구 54.0±0.65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천연 첨가제의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로 사용된 통상적인 합성산화방지제의 라디칼 소거능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천연 첨가제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염모제를 산화를 억제하고 두피 및 모발의 생리활성을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모발 컨디셔닝 효과>
제 1제와 제 2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준비된 실험용 모발에 도포하고 30분 경과 후에 샴푸로 씻고 물로 헹군 다음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염색된 모발의 손놀림시 감촉과 20회 빗질 후 정전기 발생도를 5명의 전문패널이 평가함으로써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비교하였다. 비교예로 시판 중인 염모제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컨디셔닝감
(◎: 매우 양호, ○: 다소 양호, △: 보통 , X: 나쁨)
<관능실험>
성인 남녀 12명을 상대로 염색 후 사용감을 비교하였다. 피검자들을 무작위로 4명씩 3그룹으로 나누었다. 제 1그룹에는 실시예 1의 염모제를, 제 2그룹에는 실시 예 2의 염모제를, 제 3그룹에는 시판 중인 염모제(비겐비, 동아제약)를 이용하여 30분간 염색한 다음 샴푸로 씻고 물로 헹군 후 헤어드라이기로 건조시켰다. 염색제의 냄새 그리고 염색 후 모발의 보습력과 탄력, 윤기 정도에 대해서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습 냄새 탄력 윤기
제 1그룹 3.8 4.4 3.5 4.1
제 2그룹 4.0 4.7 3.6 4.0
제 3그룹 2.5 1.8 2.8 2.1
(1:매우 나쁘다, 2:나쁘다, 3:보통이다, 4:좋다, 5:매우 좋다)
상기 표 4의 결과를 살펴보면, 보습, 냄새, 탄력, 윤기 모두 제 1 및 제 2그룹의 실험결과가 제 3그룹의 실험결과에 비해 점수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냄새는 제 2그룹의 결과가 제 1그룹의 결과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염료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 및 pH조절제를 함유하는 제 2제를 혼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모발 염색용 염모제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또는 상기 제 2제는 천연 첨가제를 함유하고,
    상기 제 1제는 p-페닐렌디아민 5.0중량%, m-페닐렌디아민 1.0중량%, m-아미노페놀 2.0중량%, 모노에탄올아민 2.5중량%, 세틸알코올 6.5중량%, 상기 천연첨가제 83.0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제 2제는 과산화수소수 12.0중량%, 인산 3.0중량%, 상기 천연첨가제 85.0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천연 첨가제는 콩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봉의꼬리 추출물 30중량부, 죽초액 15중량부, 곰보배추 추출물 20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콩 추출물은 분쇄한 서리태 100중량부에 대하여 설탕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효모균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0.1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에서 45일 동안 발효시킨 후 분쇄기로 갈아서 균질화시킨 다음 6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이고,
    상기 봉의꼬리 추출물은 봉의꼬리 전초에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하여 혼합한 후 8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갖는 모발 염색용 염모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첨가제는 허브오일, 편백 추출물, 측백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감초 추출물, 천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여정자 추출물, 아카시아 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갖는 모발 염색용 염모제.
KR1020130126924A 2013-10-24 2013-10-24 모발 염색용 염모제 KR10155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24A KR101555353B1 (ko) 2013-10-24 2013-10-24 모발 염색용 염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24A KR101555353B1 (ko) 2013-10-24 2013-10-24 모발 염색용 염모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83A KR20150047183A (ko) 2015-05-04
KR101555353B1 true KR101555353B1 (ko) 2015-09-23

Family

ID=5338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24A KR101555353B1 (ko) 2013-10-24 2013-10-24 모발 염색용 염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3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786A (ko) * 2015-12-22 2017-06-30 박민선 사카로미세스속 효모분해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및 모발용의 외용도포제
KR102314207B1 (ko) * 2021-02-09 2021-10-18 주식회사 세리화장품 천연색 헤어칼라 염색을 위한 자연유래 염모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911A (ko) 2018-11-30 2020-06-09 최병조 한방 발효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93192B1 (ko) * 2020-09-14 2020-12-18 주식회사 엠제이뷰티인터네셔널 염색약 및 그 제조방법
KR102359768B1 (ko) 2021-03-31 2022-02-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코스메틱 2제형 모발 염색제용 색조 산화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색조 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2제형 모발 염색제
KR102344266B1 (ko) 2021-04-23 2021-12-29 영농조합법인 비엔푸드 오리 불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9454B1 (ko) * 2022-04-19 2022-09-02 이정례 검정콩의 종피 추출물 및 캐모마일을 포함하는 천연 염모제 제조 방법
KR102435992B1 (ko) * 2022-04-19 2022-08-23 이정례 검은콩 종피 추출물 및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염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180B1 (ko) * 2006-03-16 2006-09-20 박정금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9728B1 (ko) * 2007-01-29 2008-05-15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봉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180B1 (ko) * 2006-03-16 2006-09-20 박정금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9728B1 (ko) * 2007-01-29 2008-05-15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봉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786A (ko) * 2015-12-22 2017-06-30 박민선 사카로미세스속 효모분해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및 모발용의 외용도포제
KR101888419B1 (ko) 2015-12-22 2018-08-14 박민선 사카로미세스속 효모분해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및 모발용의 외용도포제
KR102314207B1 (ko) * 2021-02-09 2021-10-18 주식회사 세리화장품 천연색 헤어칼라 염색을 위한 자연유래 염모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83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353B1 (ko) 모발 염색용 염모제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087289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0930839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위한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5911A (ko) 한방 발효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1422B1 (ko) 허브컴플렉스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2365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67361B1 (ko)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천연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4430B1 (ko)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
KR100774973B1 (ko) 모발 보호제 조성물
KR102088597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20210006603A (ko)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530960B1 (ko)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572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45526B1 (ko)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