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30B1 -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30B1
KR100913730B1 KR1020080125208A KR20080125208A KR100913730B1 KR 100913730 B1 KR100913730 B1 KR 100913730B1 KR 1020080125208 A KR1020080125208 A KR 1020080125208A KR 20080125208 A KR20080125208 A KR 20080125208A KR 100913730 B1 KR100913730 B1 KR 10091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balsam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연범
조승현
최지수
김진숙
선일규
진관용
Original Assignee
선일규
진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규, 진관용 filed Critical 선일규
Priority to KR102008012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Abstract

본 발명은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여 착색효과를 높일 수 있고, 선명한 발색력과 이를 오래 지속시킬 있는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은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 조성물은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형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모, 봉숭아, 추출물, 염모제, 2제형, 화장료, 함수 에탄올

Description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HAIRDYE COMPOSITION AND COSMETICS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IMPATIENS BALSAMINA L.}
본 발명은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 또는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여 착색효과를 높일 수 있고, 선명한 발색력과 이를 오래 지속시킬 있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에게 미를 가꾸는 일은 스스로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타인에게 과시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현대에 와서, 생활이 여유 있게 되면서 사람들은 아름다워지는 일에 보다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문화 수준이 발달할수록 얼굴 화장 못지않게 두발 미용도 중시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헤어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드라이, 퍼머, 염색, 셋팅 등 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헤어케어가 많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화학적 처리는 두피와 모발에 손상을 주게 되고,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인한 자외선 증가 때문에 모발의 손상과 변색이 더욱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두피와 모발 손상의 요인으로는 화학적 요인, 물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다. 화학적 요인으로는 잦은 파마, 염색 또는 헤어 스트레이트로 인한 모발손상, 그리고 물리적 요인으로는 과격한 세발, 헤어브러싱에 의한 마찰로 인한 손상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외선 일광 열에 의한 손상이 환경적 요인에 속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발 표면의 큐티클층(cuticle;모발을 구성하는 최외각층)을 약화시키고 파괴시켜 모발내부의 단백질 용출 및 변성을 가져오며, 수분 유지 기능을 상실시켜 모발 변색, 모발 갈라짐, 더 나아가서 탈모, 모발의 부스러짐 등의 현상을 발생 시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일으킨다(화장품학, 수문사).
이와 같은 두피 및 모발 손상의 요인 중에서 가급적 완전하게 염색시키며 염색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염모제 즉, 2제형 산화 영구 염모제의 경우 1제의 알카리와 2제의 과산화수소에 의해 멜라닌의 탈색 등의 반응이 수반되므로, 두피자극은 물론, 모발손상정도가 다른 일시적 염모제(비산화형염모제)에 비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두피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여 착색효과를 최대할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현재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염색시 알칼리성 조건에 노출된 모발은 쉽게 강도를 잃게 되어 끊어지기 쉽고 윤기, 광택 등이 떨어지며, 모발 염색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 환경(일광 샴푸, 화학적, 시술 등)에 의해 탈색 또는 퇴색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와 같은 탈색 혹은 퇴색을 최소화하고 모발의 견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당업계의 주요 당면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영구 염모제 사용에 따른 두피자극과 모발손상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지금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여러 가지 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서 모발에 광택과 컨디셔닝을 부여하고, 두피를 보호할 목적으로 고분자량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류와 그의 혼합 에멀젼,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등의 오일성분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컨디셔닝제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물질들이 염료의 침투성을 떨어뜨려 염색에는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아 염모제에 다량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천연 지향적 성향이 뚜렷하게 발휘되어 인공으로 합성하거나 가공한 제품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천연 원료를 함유하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바, 모발제품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천연 약용식물 또는 한약재를 사용한 한방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청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여 착색효과를 높일 수 있고, 선명한 발색력과 이를 오래 지속시킬 있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은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봉숭아 추출물은 봉숭아의 지상부분인 줄기, 꽃 및 과육을 추출용매에 넣은 후 1~15일간 냉침한 후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및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함수 에탄올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은,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형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제는 제 1제 조성물 총 중량 중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 0.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제는 제 1제 조성물 총 중량 중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 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 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피자극과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여 착색효과를 높일 수 있고, 선명한 발색력과 이를 오래 지속시킬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선화는 봉선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이다. 이전에는 봉선화, 금봉화, 지갑화, 봉사, 봉새 등으로 불렀지만, 현재는 '봉숭아'가 표준어가 되었다. 이러한 봉숭아는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이 원산으로 지금은 전세계에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오래전부터 가정에서 원예 식물로 재배하고 있다. 봉선화과는 주로 열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2속 약 500종 이상이 있고, 온대에도 수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속 2종이 분포하고 있다. 봉선화는 외래종이지만, 우리나라에 산이나 계곡 습지에 자생하는 물봉선은 순수 토종 식물이다.
이러한 봉선화 및 물봉선의 변종 및 가지 수를 보면, 가야물봉선, 검물봉선, 노랑물봉선, 물봉선, 미색물봉선, 봉선화(봉숭아), 제주물봉선, 처진물봉선, 흰물봉선, 흰봉선화 등이 있다. 이 중 물봉선을 야봉선화(野鳳仙花)라고 부르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고 청양해독, 거부(去腐)의 효능이 있어 악창과 피부궤양에 짓찧어 붙여 사용한다. 또한 봉선화(鳳仙花)란 이름에 유래에 대하여 1621년 중국의 군방보(郡芳譜)에서는 "머리와 날개 꼬리와 발이 우뚝 서 있어서 흡사 펄떡이는 봉황새의 형상과 같다 하여 봉선화라고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봉선화의 학명은 "Impatiens balsamina"라고 하는데, "im(없다) + patiens(인내)", 즉 익은 삭과는 건드리기만 해도 쉽게 터져 씨를 쏟아 버려 참을성이 없다는 뜻에서 유래하였고, "balsamina"는 발삼유을 만들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영어로 "Touch me not" 으로 건드리기만 하면 터지는 열매를 보고 붙인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종자를 급성자(急性子)라고 부르는데 쉽게 터지는 열매를 두고 붙인 별명이다. 실제 봉선화는 종족 번식을 위해서 씨앗을 폭발적으로 튀게 하여 작은 씨앗들을 분산시킨다.
한편, 한국에서는 봉선화로 손톱에 물들이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는데, 손톱을 아름답게 물들이기 위한 것보다는 옛날에 의학이 발달하지 못하여 소아의 사망률이 높아 남녀의 구별 없이 아이들의 손톱에 봉숭아로 물들여서 병마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뜻에서 물을 들였다고 한다. 그 유래는 최소한 백제 시대 이전부터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봉선화의 효능효과는 항균작용, 항암작용, 여드름, 종기, 혈액순환 촉진, 손발톱 무좀, 습진, 진통작용, 독사에 물린데, 류마티즘, 타박상, 무좀, 활혈, 진통, 소종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습관성 관절통, 월경통, 임파선염을 치료하는데 종종 쓰인다. 또한 이의 성분은 씨에 들어있는 지방산의 약 50%는 불포화도가 높은 파리나르산이다. 꽃에는 라우손과 그의 메틸에 테르, 시아니딘, 델피니딘, 펠라르고니딘, 말비딘 등의 안토시안과 켐페롤, 쿼세틴이 있다. 씨에 발사미나스테롤, 사포닌, 쿼세틴과 켐페롤의 배당체, 싹튼 어린 식물에 인돌-3-아세토니트릴, 줄기에 켐페롤, 쿼세틴, 펠라르고니딘과 시아니딘의 3배당체(글루코시드), 잎에 1,2,4-트리히드록시나프탈렌-4-글루코시드, 켐페롤과 3-아라비노시드, 뿌리에 시아니딘모노글루코시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봉숭아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봉숭아의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의 방법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여름철 꽃이 필 때 봉숭아의 지상부분을 잘라서 줄기, 꽃, 열매(과육)를 햇볕에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건조된 줄기, 꽃, 과육부분을 잘게 파쇄하여 1~20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1~15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 때,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세린, 함수 에탄올, 함수 부틸렌 글리세린 및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였고, 이들 추출용매는 한가지의 추출용매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된 추출용매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추출용매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함수 에탄올인데, 이는 함수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면 유효성분이 가장 잘 용출되고 또한 모발로부터 용출되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적어 알칼리와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모발 단백질 용출에 대한 보호 효과가 가장 좋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은 2제형 산화 염모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2제형 산화형 염모제로서,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를 각각 제조 및 포장하고, 사용 전에 일정한 비율로 섞어 모발에 적용하는 염모제로, 반드시 1제와 2제가 하나의 제품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염료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p-페닐렌디아민, 레조시놀, p-아미노페놀 및 p-아미노-o-크레솔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진한 갈색에서 가장 예쁜 색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은 상기 제 1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 0.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 0.1~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자들이 여러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봉숭아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때는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일 수 없어 착색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비하여 모발에 대한 색소의 염착력을 높이는 효과가 미미하고 제품의 안정성면에서 불리하고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케어제품, 예컨대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등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봉숭아의 지상부분을 잘라서 줄기, 꽃, 열매(과육)를 햇볕에 건조시켰다. 완전 건조시킨 원료(줄기, 꽃, 과육) 1kg 을 잘게 파쇄하여, 추출 용매로 물 10kg 에 넣고, 7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여 21g(건조중량)의 봉숭아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8]
하기 표 1의 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용출된 유효성분의 건조중량)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구분 용매 건조중량(단위:g)
실시예 2 메탄올 22
실시예 3 에탄올 25
실시예 4 글리세린 21
실시예 5 부틸렌글리콜 22
실시예 6 프로필렌글리콜 24
실시예 7 함수 에탄올 26
실시예 8 함수 부틸렌글리콜 25
실시예 9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23
표 1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추출용매로 함수 에탄올(실시예 7)을 사용한 결과 유효성분이 가장 잘 용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서 추출된 봉숭아추출물에 대하여 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을 측정함으로써 두피의 보습 기능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무모쥐(Hairless mouse)에 엘틸올레이트 0.1㎖ 씩을 1주일 동안 매일 2회씩 도포해 각질을 유발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9를 무모 생쥐에 처리하여 최종적인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과각질화가 심하게 되어 표피의 장벽 기능이 소실된 경우는 TEWL 값이 높게 나타나고, 무모생쥐의 표피 장벽기능이 회복된 경우에는 반대로 TEWL 값이 감소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본 실험은 알칼리와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모발 단백질 용출에 대한 보호 효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3g의 모발을 10㎖의 과산화수소(6%)와 암모니아(1.68%)의 1:1 혼합용액에 넣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9 각각을 첨가한 후에 상온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액 0.5㎖ Rapod-Con protein concentration kit(Elpis Biotech.)를 사용하여 농축시킨 후, 용출 단백질을 단백질 특정 표준 방법인 브래드포드(Bradford)방법으로 정량하였다. 다음 표 2는 2.5㎎ 사람 모발케라틴 단백질을 100%로 하고 어떠한 추출물로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케라틴 단백질의 결합 효과를 %로 표시한 것이다.
[표 2]
구분 모발 용출 단백질
대조군 100%
실시예 1 40%
실시예 2 35%
실시예 3 30%
실시예 4 43%
실시예 5 32%
실시예 6 38%
실시예 7 21%
실시예 8 34%
실시예 9 39%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7이 모발로부터 용출되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실험은 상기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증식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를 위해 먼저 96 microwell plate에 5% fetal bovine serum(FBS)용액 100㎕씩 넣은 다음, 2% FBS 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시료를 일정농도 분산시켜 묽혀 100㎕씩 다시 첨가하였다.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포피(foreskin)조직에서 얻은 서유아세포를 well당 4000개씩 100㎕ 배지에 분산시켜 가한 후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200㎕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DMSO를 well당 150 ㎕씩 가한 후 10분간 흔들어 녹인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봉숭아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구분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농도(㎍/㎖) 세포 증식 효과(%)
대조군 100 100
실시예 1 100 104
실시예 2 100 108
실시예 3 100 117
실시예 4 100 106
실시예 5 100 111
실시예 6 100 114
실시예 7 100 125
실시예 8 100 116
실시예 9 100 11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은 세포증식 효과가 없는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9는 세포증식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두피 세포가 성장하는데도 영양을 공급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염모에 사용되는 봉숭아 추출물을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도 그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12 및 비교예 1]
하기 표 4 및 표 5의 조성과 각각의 제조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0~12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표 4는 실시예 10~12(봉숭아 추출물은 실시예 7을 사용) 및 비교예 1의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제에 관한 것이고, 표 5는 실시예 10~12 및 비교예 1의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단위는 중량%이다.
[표 4]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p-페닐렌디아민 0.400 0.400 0.400 0.400
레조시놀 0.280 0.280 0.280 0.280
p-아미노페놀 0.105 0.105 0.105 0.105
p-아미노-o-크레솔 0.125 0.125 0.125 0.125
세테아릴알코올 10.00 10.00 10.00 10.00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6.00 6.00 6.00 6.00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2.00 2.00 2.00 2.00
스테아릭애씨드 1.50 1.50 1.50 1.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4.00 4.00 4.00 4.00
봉숭아 추출물 0.50 1.00 1.50 -
소듐설페이트 0.50 0.50 0.50 0.50
모노에탄올아민(90%) 5.00 5.00 5.00 5.0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방법: p-페닐렌디아민, 레조시놀, p-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소듐설페이트를 75℃로 가열 용해시킨 정제수에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스테아릭애씨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를 75℃로 가열 용해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하고 45℃로 냉각한 다음, 봉숭아 추출물과 모노에탄올아민(90%)을 투입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표 5]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과산화수소수(35%) 17.10 17.10 17.10 17.10
세테아릴알코올 3.50 3.50 3.50 3.50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2.40 2.40 2.40 2.40
스테아릭애씨드 1.50 1.50 1.50 1.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인산 0.10 0.10 0.10 0.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 방법: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용해시킨 정제수를 75℃로 가온하고,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스테아릭애씨드를 75℃로 가열 용해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하고, 40℃로 냉각한 다음, 과산화수소수(35%)를 투입하여 완전 혼합하고, 인산으로 pH를 3~4로 조정한다.
[실험예 4]
어떠한 화학시술도 하지 않은 사람모발을 탈색제를 이용하여 탈색시킨 다음, 무게 2.5g 길이 100mm 로 제작된 모발피스에 상기 표 4 및 표 5 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0~12 및 비교예 1의 제 1제와 제 2제를 1:1 동량 혼합하여 충분히 도포되도록 바르고,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샴푸로 1회 세정하고 자연바람을 이용하여 24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상기 염모 처리한 모발피스와 미처리 모발피스의 색차(ΔE)를 분광광도 색차계(Spectrophotometer CR-300 Minolta Co., Ltd. Japan, 광원: 제논 램프, 파장: 400~ 700nm, 반사각도: 8°)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색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모발을 이용하여 퇴색도(물빠짐) 정도를 측정하였다. 색의 퇴색도는 염모 처리한 모발을 샴푸로 30회 세정하고 자연바람을 이용하여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다음 세정 전 모발피스와의 색차(ΔE)를 분광광도 색차계(Spectrophotometer CR-300 Minolta Co., Ltd. Japan, 광원: 제논 램프, 파장: 400 ~ 700nm, 반사각도: 8°)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모발착색력(ΔE) 71 75 82 66
모발퇴색도(ΔE) 17 15 10 35
상기 표 6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2제형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서 봉숭아 추출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모발 착색력의 색차가 크고 모발 퇴색도의 색차가 더 작게 나타나 염료의 착색 효과가 높으면서도 염모 후 색의 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제조와 분석실험 가운데 몇 개를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피 수분 손실방지에 의한 보습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로서,
    상기 염모제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산화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제와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형 조성물로서,
    상기 제1제는 p-페닐렌디아민, 레조시놀, p-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소듐설페이트를 75℃로 가열 용해시킨 정제수에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스테아릭애씨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를 75℃로 가열 용해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하고 45℃로 냉각한 다음, 봉숭아 추출물과 모노에탄올아민(90%)을 투입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킨 것이고,
    상기 제2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용해시킨 정제수를 75℃로 가온하고,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스테아릭애씨드를 75℃로 가열 용해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하고, 40℃로 냉각한 다음, 과산화수소수(35%)를 투입하여 완전 혼합하고, 인산으로 pH를 3~4로 조정한 것이며,
    상기 봉숭아 추출물은 꽃이 핀 상태의 봉숭아의 지상부분인 줄기, 꽃 및 과육을 절단하여 햇빛에 건조시킨 후, 잘게 파쇄하여 물, 메탄올 ,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및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에 넣은 후 1~15일간 냉침한 다음, 이를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냉각 콘덴서가 달리 증류 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는 제 1제 조성물 총 중량 중 상기 봉숭아 추출물 0.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는 제 1제 조성물 총 중량 중 상기 봉숭아 추출물 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8. 삭제
KR1020080125208A 2008-12-10 2008-12-10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91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08A KR100913730B1 (ko) 2008-12-10 2008-12-10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08A KR100913730B1 (ko) 2008-12-10 2008-12-10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730B1 true KR100913730B1 (ko) 2009-08-24

Family

ID=4121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208A KR100913730B1 (ko) 2008-12-10 2008-12-10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8629A1 (en) * 2016-02-29 2017-09-08 Unilever Plc Oxidative coloration of hair with reduced hair damage
KR101885994B1 (ko) * 2017-03-15 2018-08-06 산청군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20190066767A (ko) 2017-12-06 2019-06-14 조현주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45A (ja) * 1997-05-07 1999-01-26 Nippon Rimefu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
KR100291278B1 (ko) * 1995-03-01 2001-09-17 조지안느 플로 봉선화종식물또는식물의일부를분쇄한생성물을포함하는모발염색조성물과그적용
KR20050015147A (ko) * 2003-08-04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영구 염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78B1 (ko) * 1995-03-01 2001-09-17 조지안느 플로 봉선화종식물또는식물의일부를분쇄한생성물을포함하는모발염색조성물과그적용
JPH1121245A (ja) * 1997-05-07 1999-01-26 Nippon Rimefu Kk 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
KR20050015147A (ko) * 2003-08-04 2005-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영구 염모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8629A1 (en) * 2016-02-29 2017-09-08 Unilever Plc Oxidative coloration of hair with reduced hair damage
US10588837B2 (en) 2016-02-29 2020-03-17 Conopco, Inc. Oxidative coloration of hair with reduced hair damage
KR101885994B1 (ko) * 2017-03-15 2018-08-06 산청군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20190066767A (ko) 2017-12-06 2019-06-14 조현주 봉선화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10295325A (ja) 健康食品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102368903B1 (ko)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091373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Maregesi et al. Documentation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traditional beauty products used in Missenyi District of Tanzania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5275A (ko) 가래나무 열매 청피(靑皮) 추출물 천연 염모제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Tran et al. Plant flavonoids as potential natural antioxidants in phytocosmetics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130042761A (ko) 두피자극 완화용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332216A (zh) 一种面膜套组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2360708B1 (ko)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Santhosham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hair dye
Vartak et al.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in the Cosmetics Industry
KR20190106086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