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964A -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964A
KR20100103964A KR1020090022058A KR20090022058A KR20100103964A KR 20100103964 A KR20100103964 A KR 20100103964A KR 1020090022058 A KR1020090022058 A KR 1020090022058A KR 20090022058 A KR20090022058 A KR 20090022058A KR 20100103964 A KR20100103964 A KR 2010010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gent
hair
scalp
dy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328B1 (ko
Inventor
진관용
Original Assignee
진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관용 filed Critical 진관용
Priority to KR102009002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원물질들로 이루어진 염료중간체,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천연추출물로 된 두피보호제, 포도씨오일 및 피마자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보호 및 두피보호에 유효한 민들레추출물과 같은 천연추출물을 포함시켜 두피유해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통해 두피트러블을 개선하고, 두피에 대하여 우수한 수렴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두피트러블을 방지함과 아울러 두피를 보호할 수 있으며,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주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여 윤기 있는 머릿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가정이나 미용실 등에서 머리염색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염모제는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및 산화염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나눠진다. 이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는 일시적으로 모발에 흡착되지만 영구염모제(퍼머넌트,헤어다이)로 불리는 것이 산화염료이다. 이와 같은 산화염료는 산화되어 발색하는 색원물질을 사용하고 염모할 때는 수용성이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화학반응에 따라서 불용성이 되어 모발 속에 잔류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산화염료를 사용한 산화 염모제는 제1제와 제2제로 구성되는데, 제1제에는 염료중간체인 디아민계 화합물과 알칼리제가 함께 들어 있고, 제2제는 산화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제의 염료중간체는 산화제와 혼합되면 염료로 바뀌면서 색을 나타내는 색원물질인데, 이러한 염료중간체로는 p-페닐렌디아민(흑색), p-톨루엔디아민(다갈색-흑갈색), 모노니트로-p-페닐렌디아민(적색), p-아미노페놀(다갈색), o-아미노페놀(황갈색), p-페닐렌디아민 + p-아미노페놀(암갈색-적자색)과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서로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면 그에 따라 다른 색상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의 알칼리제는 모발을 팽윤, 연화시켜서 모발 내부로 염료가 침투하도록 도와주고,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알칼리제의 일례로는 암모니아 또는 모노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암모니아는 염색이 오래가고 휘발성이라 모발손상이 적으나 냄새가 강하고 자극적인 단점이 있고, 상기 모노에탄올아민은 냄새가 없고 두피에 자극이 없으나 비휘발성 물질이라 모발에 많이 남아 손상이 심하고, 모발에 침투가 늦어 염색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제2제인 산화제는 모발의 천연색소인 멜라닌을 탈색시키고, 상기한 염료중간체에 작용하여 염료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산화제로는 통상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하지만, 기존 산화 염모제는 제1제의 주요성분인 파라페닐아민, 디아미노토 루엔스, 디아미노아이솔 등의 화학물질이 대부분 두피에 독성 또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기 때문에 접촉성 피부염 또는 두피질환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산화 염모제는 강한 산성 또는 알칼리성분을 사용함에 따라 모발성분을 용해시켜 모발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산화 염모제는 모발 내부에서의 산화중합에 의해 염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발의 윤기 및 광택이 없어지고 모발이 심하게 손상되는 경우가 있어 부자연스러운 색이 되기도 하고 감촉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염모제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피보호에 유효한 민들레 추출물 등의 천연추출물을 포함시켜서 두피유해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통해 두피트러블을 개선하고, 두피에 대하여 우수한 수렴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두피트러블을 방지함과 동시에 두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발보호에 유효한 천연추출물을 포함시킴과 아울러 알칼리제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방 지함은 물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고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있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색원물질들로 이루어진 염료중간체,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천연추출물로 된 두피보호제, 포도씨오일 및 피마자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 로 이루어진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두피보호제인 천연추출물은 상기 민들레추출물 이외에 감초추출물, 베타-글루칸, 헤나잎추출물, 하수오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창포추출물, 녹차추출물, 콜라겐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두피보호제인 천연추출물은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모발보호제는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염료중간체는 m-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α-나프톨, 레조시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료중간체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1제는 용제, 산화방지제, 모발광택제, 자외선차단제, 점도조절제, 유화제, 착향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파이트 및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발광택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이며, 자외선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세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2제는 산화제인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제, pH조절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모발보호제,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안정제 및 착향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은 민들레추출물과 같은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서 염모제의 사용시 두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포도씨오일 및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모발보호제를 포함시킴과 아울러 알칼리제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염색 후에 올 수 있는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은 염료중간체, 두피보호제 및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제1제와,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피보호제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피보호제인 천연추출물은 외용약재로 사용할 때 청열(淸熱), 소염(消炎), 소양(消痒 : 습윤(濕潤)), 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는 것들을 전제한 것으로서, 상기 민들레추출물 이외에 감초추출물, 베타-글루칸, 헤나잎추출물, 하수오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창포추출물, 녹차추출물, 콜라겐 중 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민들레추출물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 옆으로 퍼지는 민들레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민들레추출물은 타라솔, 타라세놀, 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루티오닌 성분은 소염(消炎)효능, 즉 염증발생에 관여하는 혈중 면역글리불린의 농도를 낮추고, 제2제의 산화제를 사용함에 따라 유발된 세포의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초추출물은 한방에서 모든 약재와 조화를 이루며 효능을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글리시히진(glycyrrhizin), 트리터레노이드(triterpenoid),
글리콘(glycon), 폴리페놀(polyphenol), 글라브리딘(glabridin) 및 다당류 등의 다양한 성분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분말형태의 감초추출물을 적용하게 되 는데, 이러한 감초추출물은 소염(消炎)의 효능인 항염작용과 함께 두피에 영양을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염색시 두피를 진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아우레오바시즘(Aureobasidium)이란 미생물의 일종으로써 자일리톨 등과 같은 기능성 당알콜과 플루란과 같은 가식성다당류 생산 균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꽃송이버섯을 비롯한 상황버섯, 영지버섯 등 약용버섯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베타-글루칸은 소염(消炎)의 효능인 항균작용과 함께 두피의 피부재생 및 두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나잎추출물은 인도를 비롯하여 북아프리카 및 파키스탄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헤나의 잎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헤나잎추출물은 소염(消炎)효능인 살균효과가 있어 피부병의 예방, 부스럼, 화상, 타박상 등의 약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헤나잎의 천연식물성 단백질인 로소니아(lawsonia)가 모발의 주성분인 케라틴(keratin)단백질과 잘 결합되어 모발을 감싸는 효과가 있으므로 탈색제 성분이 별도로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자연스럽게 코팅해 주는 장점이 있고 손상된 모발을 건강하고 탄력있게 해주는 트리트먼트 기능을 한다. 아울러, 헤나잎추출물은 두피에 자극이 없으며 두피를 중화시킴으로써 두피에서 과다 피지가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수오추출물은 하수오(何首烏, Pleuropterus multiflours TURCZ)에서 추출되는데, 이러한 하수오는 적하수오와 백하수오가 있으며, 레시틴, 앙트라티논 유도체(레인, 크리소파노르, 피스키온 등), 지방, 전분, 스티르벤, 배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한약재 또는 민간요법의 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성분을 함유 함에 따라 하수오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로 피부 노화를 지연 또는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 혈액 순환을 강화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활혈(活血)의 효능으로써 두피의 혈행을 촉진하여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을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백피추출물은 뽕나무 뿌리의 속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상백피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상백피추출물은 한방에서 외용약재로 사용할 때 청열(淸熱), 소염(消炎), 소양(消痒 : 습윤)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상백피추출물에는 혈당 강하 물질과 멀버리푸란(mulberryfuran)과 페노리플라보노이드(phenylflavonoid)와 같은 물질이 있고, 탄닌(tanin), 스코포레틴(scoporetin) 등과 곤충 호르몬의 일종인 엑디스테론, 인코스테론 등을 함유하고 있어, 두피의 염증을 완화시켜 주고 염증으로 인한 열을 내려주며 가려움이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효능이 있다.
상기 창포추출물은 창포(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즉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 )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향기가 있고 연못이나 수로, 습지에서 자라는 창포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창포추출물은 소염(消炎), 활혈(活血)의 효능으로써, 다양한 정유성분의 활성이 효과적인 살균효과와 두피의 혈액순환촉진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녹차추출물(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은 녹차(Thea sinensis)에서 추출되는데, 그 성분에는 카페인, 푸린 염기, 탄닌산, 단백질, 아미노산, 아미드 등이 있고, 탄수화물로서 당(糖), 덱스트린, 녹말, 셀룰로오스, 펙틴이 있으며, 식물 색 소로서 엽록소,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유도체, 안토시안 그 밖에 정유(精油), 납질, 수지류(樹脂類), 유기산, 효소, 비타민, 무기 성분 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녹차추출물은 모공을 조여 주는 타닌산과 세정력이 강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있어 비듬이 적게 발생하도록 작용하며, 카데킨 성분의 살균작용 및 샴푸와 린스의 독성을 제거해 주므로 두피 건강을 지켜준다. 또 녹차는 피부 진정 효과와 재생 효과가 뛰어나고 녹차의 비타민D 성분으로 인해 모발이 윤기 있고 부드러워 지고 두피에 비듬 발생을 억제시킨다.
상기 콜라겐은 진피, 인대, 건, 골, 연골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하나로서, 피부의 표피 아래 진피의 70%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물 또는 식물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콜라겐은 소염(消炎), 소양(消痒 : 습윤(濕潤))의 효능으로써, 함염작용과 함께 두피를 윤기 있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두피보호제는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피재생촉진제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두피보호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제1제의 제형, 즉 크림제, 로션제, 겔제로 제조되는 제1제의 제형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천연추출물에 있어, 민들레, 헤나잎, 상백피, 창포, 하수오, 녹차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제 1추출예>
원료를 멸균처리하는 단계,
멸균한 원료에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정제수로 된 혼합액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물을 여과망을 통해 1차 여과한 후 적량의 보존제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1차 여과물을 제균처리한 후 여과필터로 2차 여과하는 단계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제 2추출예>
원료를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초임계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이산화탄소를 소정기압 및 소정온도로 가압 가온시키는 단계,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는 단계,
상기 초임계 추출기의 도출밸브를 조절하여 추출조 압력이 소정기압 및 소정온도를 유지하면서 추출하는 단계, 추출결과물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물로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발보호제는 모발에 발수성의 박막을 형성하여 수세 및 일광에 따른 염료의 탈색을 느리게 하여 모발표면에 우수한 컨디션닝효과를 줌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모발보호제로는 포도씨오일 및 피마자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존에는 오일(동물성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첨가할 경우 알칼리제 또는 pH조절제(에탄올아민 등)와의 화학반응에 의해 오일에 함유된 지방산이 염모제의 다른 성분과 반응하여 염모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염모제의 색상이 블랙일 경우 pH조절제의 사용을 배제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모발표면에 우수한 컨디션닝효과를 줌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며 모발에 윤기를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염모제의 색상이 그 밖의 색상, 예컨대 다크브라운, 라이트브라운, 제 1내추럴, 제 2내추럴과 같은 색상일 경우 미량의 pH조절제를 첨가하지만 이때에는 상기 포도씨오일 및 피마자유에 포함되어 있는 리놀레익산(linolenic acid)과 올레익산(oleic acid) 등의 풍부한 불포화지방산이 화학반응을 통해 검화되어 침투제역할을 하는 숍(soap)을 생성함에 따라 컨디셔닝효과 이외에도 침투제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염모에 유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상기 염료중간체는 m-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α-나프톨, 레조시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염료중간체는 염색색상에 따라, 즉 블랙, 다크브라운, 라이트브라운 등과 같은 염색색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함에 있어서,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 제1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제와, 산화방지제와, 모발광택제와, 자외선차단제와, 계면활성제와, 점도조절제와, 유화제와, 착향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각 구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정제수가 적용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지방과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산소의 제거 등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진행하여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 및 소듐설파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광택제는 염모 후의 광택 및 감촉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자외선에 의해 두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화제는 제1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 예컨대 모발보호제, 모발광택제, 자외선차단제와 같은 성분들이 용제와 원활히 혼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염색시 모발의 표피에 있는 지질막을 제거하여 모발에 염료의 침투를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코카마이드이이에이 및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염모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세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향제는 화학물질의 냄새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통상의 향료가 적용된다.
이에,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500 중량%, 상기 모발광택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5.000 중량%,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5.000 중량%, 상기 유화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00 ~ 7.000 중량%,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00 ~ 10.000 중량%, 상기 착향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제는 산화제인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pH조절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모발보호제,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안정제 및 착향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은 염색 직전에 상기한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제와, 제2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의 제1제로써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용제 정제수 to 100
산화방지제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 0.001 - 1.000
산화방지제 소듐설파이트 0.001 - 0.500
염료중간체 m-아미노페놀 0.001 - 10,000
염료중간체 p-페닐렌디아민 0.001 - 10.000
염료중간체 황산4-에톡시-엠-페닐렌디아민 0.001 - 10.000
염료중간체 p-아미노페놀 0.001 - 10.000
염료중간체 α-나프톨 0.001 - 10.000
염료중간체 레조시놀 0.001 - 10.000
감초추출분말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01 - 20.000
두피보호제 베타-글루칸 0.001 - 20.000
두피보호제 헤나잎추출물 0.001 - 20.000
두피보호제 하수오추출물 0.001 - 20.000
두피보호제 상백피추출물 0.001 - 20.000
두피보호제 창포추출물 0.001 - 20.000
두피보호제 녹차추출물 0.001 - 20.000
두피보호제 콜라겐 0.001 - 20.000
두피보호제 민들레추출물 0.001 - 20.000
모발보호제 포도씨오일 0.001 - 2.000
모발보호제 피마자유 0.001 - 10.000
유화제 적정 선택 2.000 - 7.000
계면활성제 코카마이드이이에이/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0.001 - 10.000
점도조절제 세테아릴알코올 2.000 - 10.000
모발광택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0.001 - 5.000
자외선차단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0.001 - 5.000
착향제 향료 0.300
상기한 표 1의 조성에 따라 염모제 조성물의 제1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조기기의 세척상태를 확인하고, 용제와 감초추출분말과 산화방지제를 제조탱크에 투입한 후 85℃에서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과는 별도로 염료중간체를 계량한 후 85℃에서 투입하되, 상기 제조탱크에 포함된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완전 용해시킨다.
상기 제조탱크에 모발보호제와 모발광택제와 자외선차단제와 유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85℃에서 교반, 유화시키고, 유화 후 45℃로 냉각한 다음 pH조절제(에탄올아민으로써, 염모제 색상이 블랙 이외의 경우 첨가함.)와 두피보호제를 순차적으로 투입, 교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물의 점도와 면상태를 확인하고 질소치환을 해줌으로써 산화를 방지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의 제1재 제조공정이 구현된다.
표 2는 산화제인 제2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함량
정제수 용제 to 100
금속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01 - 0.500
pH조절제 테트라소듐포스페이트 0.001 - 0.500
보습제 프로필렌글라이콜 0.001 - 2.000
보습제 피이지-14엠 0.001 - 0.500
점도조절제 파라핀 0.001 - 2.000
점도조절제 세테아릴알코올 0.001 - 10.000
모발보호제 미네랄오일 0.001 - 10.000
유화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0.001 - 10.000
모발보호제 피이지-75라놀린 0.001 - 10.000
과산화수소안정제 페나세틴 0.001 - 0.500
유화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001 - 2.000
주성분(산화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0.001 - 10.000
착향제 향료 0.100 - 0.500
pH조절제 포스포릭애씨드 0.001 - 0.500
상기한 표 2의 조성에 따라 염모제 조성물의 제2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조기기의 세척상태를 확인하고, 용제와 금속이온봉쇄제와 pH조절제(테트라소듐포스페이트)를 제조탱크에 투입하여 용해한다.
상기 혼합물과는 별도로 용기에 보습제를 계량, 분산시킨 후 제조탱크에 투입하여 80℃에서 용해시킨다.
별도의 유상용해조에 점도조절제와 모발보호제와 유화제와 과산화수소안정제를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제조탱크에 투입한다.(균질기는 2500RPM으로 패들(PADDEL)은 35RPM으로 교반유지하며 2분간 수행한다.)
유화 후에는 45℃로 냉각한 다음 산화제와 착향제와 pH조절제(포스포릭애씨드)를 순차적으로 제조탱크에 투입한 후 교반한다.(균질기는 2500RPM으로 패들(PADDEL)은 35RPM으로 교반유지하며 2분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점도 및 면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제2제의 제조공정이 구현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시험용 모발에 균등하게 도포한 후, 약 20~25분이 경과한 뒤에 샴푸처리하여 미온수로 행구고 물기를 건조시킨 후, 모발에 대한 염착성 및 염색견뢰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가 표 3에 기록되어 있다. (비교예는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산화 염모제임.)
실시예 비교예
염착성 68 59
염색 견뢰도 매우 양호 양호
상기 표 3의 염착성은 염색한 모발과의 색차를 분광공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인데, 색차가 클수록 염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염색견뢰도는 상기의 염착된 모발을 땀성분과 유사한 산성용액에 담궈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그 변색정도를 관찰한 결과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의 두피보호 및 모발보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두피질환, 예컨대 염증성 탈모증 및 모낭염과 같은 두피질환이 있거나 두피의 국소부위에 염증이 있는 남성 및 여성 사용자 100명에게 임상실험한 결과가 하기의 표 4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에는 1회에 30~40㎖씩 염모제를 투여하였고, 2개월간 6회에 걸쳐서 염색하였으며, 표 4 및 표 5는 그 이후의 두피상태 및 모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두피보호효과 효과체험인원
매우 우수함 40
우수함 20
두피질환 감소 14
효과 없음 6
결과 회수 못함. 20
여기서, 매우 우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두피질환이 완치된 경우이고, 우수한 효과는 두피질환이 완치단계에 있는 경우이며, 두피질환 감소는 더 이상의 두피질환이 발생하지 않고 기존 염증도 감소된 경우이고, 효과 없음은 시험 전 두피질환과 대비하여 변화가 없는 경우이고, 결과를 회수 못함은 사용자로부터 임상실험결과를 회수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
실시예 비교예
모발 손상인원 3 20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비교예(일반 산화염모제)와 대비하여 볼 때 모발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실험인원 중 74%가 두피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현격한 두피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실험인원 중 97%가 모발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색원물질들로 이루어진 염료중간체,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천연추출물로 된 두피보호제, 포도씨오일 및 피마자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보호제인 천연추출물은 상기 민들레추출물 이외에 감초추출물, 베타-글루칸, 헤나잎추출물, 하수오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창포추출물, 녹차추출물, 콜라겐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보호제인 천연추출물은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보호제는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중간체는 m-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 α-나프톨, 레조시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중간체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는 용제, 산화방지제, 모발광택제, 자외선차단제, 점도조절제, 유화제, 착향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 함한 염모제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파이트 및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발광택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이며, 자외선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세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는 산화제인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제, pH조절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모발보호제,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안정제 및 착향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090022058A 2009-03-16 2009-03-16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104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58A KR101045328B1 (ko) 2009-03-16 2009-03-16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58A KR101045328B1 (ko) 2009-03-16 2009-03-16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64A true KR20100103964A (ko) 2010-09-29
KR101045328B1 KR101045328B1 (ko) 2011-06-30

Family

ID=4300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058A KR101045328B1 (ko) 2009-03-16 2009-03-16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330B1 (ko) * 2017-10-11 2018-05-29 광덕신약주식회사 헤나 및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20180124448A (ko) * 2017-05-12 2018-11-21 (주)화니핀코리아 초정탄산수를 함유하는 모발 손상방지 및 모발 개선용 후처리제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49A (ko) * 2017-05-12 2018-11-21 (주)화니핀코리아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3108B1 (ko) * 2019-08-05 2020-04-21 송은나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193192B1 (ko) * 2020-09-14 2020-12-18 주식회사 엠제이뷰티인터네셔널 염색약 및 그 제조방법
KR102383053B1 (ko) * 2021-07-28 2022-04-11 박영진 모발보호 효과가 우수한 염모용 산화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115B1 (ko) 2015-09-17 2018-05-31 반효정 포공영 헤어 미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298B1 (ko) 2017-03-31 2017-11-20 신재성 헤나를 포함 하는 염색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염색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589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태평양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발생성 억제용 모발 화장료조성물
KR100608711B1 (ko) 2004-06-04 2006-08-02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용 조성물
KR100625180B1 (ko) * 2006-03-16 2006-09-20 박정금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0011B1 (ko) 2007-09-05 2009-05-29 조점화 곱슬머리 웨이브 처리를 위한 천연식물 원료추출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448A (ko) * 2017-05-12 2018-11-21 (주)화니핀코리아 초정탄산수를 함유하는 모발 손상방지 및 모발 개선용 후처리제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49A (ko) * 2017-05-12 2018-11-21 (주)화니핀코리아 초정 탄산수를 활용한 두피의 각질 및 비듬 제거와, 모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330B1 (ko) * 2017-10-11 2018-05-29 광덕신약주식회사 헤나 및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2103108B1 (ko) * 2019-08-05 2020-04-21 송은나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193192B1 (ko) * 2020-09-14 2020-12-18 주식회사 엠제이뷰티인터네셔널 염색약 및 그 제조방법
KR102383053B1 (ko) * 2021-07-28 2022-04-11 박영진 모발보호 효과가 우수한 염모용 산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28B1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087289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0625180B1 (ko)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1809561B1 (ko) 커피추출물, 암라파우더 및 마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996B1 (ko) 천연물로 조성된 염모제
EP360799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passiflore et des cellules d&#39;edelweiss et utilisations
KR20200113600A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67361B1 (ko)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천연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9788B1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277530B1 (ko)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1653642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102162904B1 (ko) 항균, 피부 자극 완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제거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6257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퍼머넌트용 조성물
KR20100084040A (ko)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KR10091373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9278A (ko) 천연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염모제용 혼합첨가제 조성물
KR20150045275A (ko) 가래나무 열매 청피(靑皮) 추출물 천연 염모제 조성물
KR20130042761A (ko) 두피자극 완화용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2616B1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