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530B1 -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530B1
KR101277530B1 KR1020070008283A KR20070008283A KR101277530B1 KR 101277530 B1 KR101277530 B1 KR 101277530B1 KR 1020070008283 A KR1020070008283 A KR 1020070008283A KR 20070008283 A KR20070008283 A KR 20070008283A KR 101277530 B1 KR101277530 B1 KR 10127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composition
hair dye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334A (ko
Inventor
김정훈
이인호
윤일기
김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0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5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모제 시술 전 두피의 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한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비타민E 또는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 전 두피보호용 조성물을 미리 두피에 바른 후 염색을 하면, 산화영구염모제에 의해 유발되는 두피의 자극을 완화킬 수 있으며, 산화영구염모제의 염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모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접촉성 피부염등의 피부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염색력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 비타민E, 에델바이스, 산화영구염모제, 두피보호, 염모제

Description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 for scalp-care before haircoloring}
본 발명은 염색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 부터 선택된 1종이상 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비타민E 또는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산화영구염모제는 주로 2개의 제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1제는 디아민계 유기염료,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티오글리콜산암모늄, 향료,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지방산알콜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2제에는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지방산알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화영구염모제는 모발에 적용하기 직전에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염색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산화영구염모제들을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할 경우, 염모제를 이루고 있는 성분인 과산화수소,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계면활성제 등에 의해 두피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에는 통상적으로 홍반, 부종, 가려움증, 두피 통증, 피부발작 등이 포함된다.
상기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체의 피부나 두피에 자극을 주는 성분을 감량할 경우, 염모제의 염색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극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성분을 염모제 자체에 함유할 경우, 목적하는 자극완화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염색력 저하 및 제형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70847에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과 관련되어 개시하고 있으나, 오일상으로만 구성되어 두피에 적용할 경우 시술의 까다로움이 있으며, 모발에 묻을 경우 불균염성과 염색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5-170838에는 염모용 전체리제 조성물에서 타우린의 사용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균염성과 견고성을 제공하고 염모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는 그 사용목적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산화영구염모제를 사용 시 두피에 생기는 두피자극을 완화시키며, 두피에 적용하였을 경우 염모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물(水)을 함유하는 제형을 기본으로 하는 조성물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비타민E,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두피자극완화 조성물을 두피에 바름으로써, 염모제에 의해 유발되는 두피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색 전에 사용하는 수용성의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비타민E 또는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색 전에 사용하는 수용성의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아미노산과 비타민E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은 항산화작용을 갖고 있어서, 염모제를 시술할 경우의 높은 pH조건 및 과산화수소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산소에 의한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막의 손상과 함께 조직의 손상을 막아주기 때문에, 염색전 두피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도포하면,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염모제 시술 시 두피에 적용과 수세가 용이하며, 염색 시 불균염성이 적으며, 염색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없다.
본 조성물에 사용되는 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99.0중량%를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90.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아미노산 중 타우린(Taurine)은 분자식 H2NCH2CH2SO3H이며 삼투압 조절작용, 항산화작용, 해독작용, 막안정화작용, 신경조절작용, 시신경보호작용, 강심작용 및 신경세포 발달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뇌졸중, 두뇌세포 보호, 심부전, 시력 증강, 백내장 예방 등 성인병에도 탁월한 작용을 나타냄이 밝혀지고 있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0.5내지 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메티오닌(Methionine)은 화학식 C5H11NO2S 이며, 대부분 단백질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사람의 필수아미노산 중의 하나이다. 간과 동맥에서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또 시스테인과 타우린의 합성원료이다. L-메티오닌은 a-adenosyl methionine(SAM)로 대사되어 우울, 염증, 간질환, 근육통을 완화한다.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특히 유리기가 피부와 손톱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메티오닌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0.5내지 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히스티딘(Histidine)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화학식 C6H9N3O2이며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으로 약 11% 함유한다. 일본의에히메(愛媛)大의 연구팀에 의해 뇌경색 급성기 치료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히스티딘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되었으며, 뇌에서 생체활성물질 히스타민으로 분해되어 뇌조직의 사멸을 억제한다. 히스티딘의 함량은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미노산의 전체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아미노산의 함량이 0.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두피자극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비타민E는 토코페롤로도 불리우며, 지용성 비타민이다. 지방조직에 저장되며 인체에서 강력한 항산화작용으로 암을 예방하고 생식기능을 돕고 유산과 불임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혈류촉진작용, 혈전방지, 콜레스테롤치저하, 성기능, 운동기능, 심장기능강화, 항산화작용으로 동맥경화,암, 노화의 원인물질 억제, 화상이나 상처의 치유를 촉진, 세포막의 산화지질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비타민E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0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내지 1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타민E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에델바이스는 고산식물로서 높이 10~20cm이며, 전체적으로 흰 면모가 덮여 있다. 잎은 뿌리에서 비교적 많이 나오고 줄기에 약간 있으며 선형(線形)이다. 줄기 끝에 포가 모여 달려서 사방으로 퍼지고 중앙에 약간의 두상화(頭狀花)가 달린다. 이와 비슷한 종류는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고, 유럽에서 시베리아, 히말라야, 중국, 한국, 일본 및 사할린 등에 분포하지만 극지에는 없다. 에델바이스 꽃과 줄기 및 잎에 함유된 Chlorogenic acid 와 flavonoids glucosides 성분에 의한 항산 화 효과를 나타내며, 뿌리부위의 Bisabolane-derivatives and lignans 성분에 의한 항염효과를 갖는다.
에델바이스 추출물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0.0중량 %가 바람직하고, 0.1내지 25.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델바이스 추출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델바이스 추출물은 에델바이스 식물의 꽃과 잎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글리세롤 등의 알코올류나 정제수, 또는 이러한 용매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델바이스 추출물 제조 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델바이스 추출물은 에델바이스 식물을 30℃, 상대습도 35%의 조건에서 15일간 건조한 다음, 잘게 분쇄하였다. 또한, 추출용제는 70중량%의 정제수와 30중량%의 1,3-부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에델바이스 식물의 분쇄물 10중량%에 상기의 비율로 제조한 추출용제를 90중량%로 혼합하여 75℃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예보다 매우 우수한 두피의 자극을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기존의 오일성분으로만 구성된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 대비 효과가 우수하거나 동일하고, 염모제의 염색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염모제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외부의 자극원으로 부터의 두피자극 저하 목적으로 다양한 화장품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모발 및 두피에 적용할 수 있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성상의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액, 크림, 겔, 현탁액, 유탁액 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교예 1 및 2는 오일성분만으로 구성된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이며, 실시예 1 내지 8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비타민E,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이다. 비교예 1 및 2의 제조는 상온의 조건에서 오일성분들을 충분히 교반하여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8은 수상을 약 40℃로 가온한 후 아미노산과 비타민E, 에델바이스 추출물, Methyl parabene을 용해시킨 다음, 수용성 점증제를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성분명(중량%) 비교예
1 2
Mineral oil 50 65
JoJoba oil 15 -
Iso-paraffin 5 -
Sweet almond oil decyl esters 2 -
Squalene 12 12
Hydrogenated polydecene 7 22.8
Macadamia oil 4.8 -
Isostearyl alcohol 4 -
Propyl parabene 0.2 0.2
총 량 100 100
성분명
(중량%)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Taurine 3.0 - - - - 2.0 - - 2.0 - - 1.0 - -
Methionine - 3.0 - - - - 2.0 - - 2.0 - - 1.0 -
Histidine - - 3.0 - - - - 2.0 - - 2.0 - - 1.0
Vitamine E - - - 3.0 - 1.0 1.0 1.0 - - - 1.0 1.0 1.0
에델바이스 추출물 - - - - 3.0 - - - 1.0 1.0 1.0 1.0 1.0 1.0
Xantan gum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Sodium acrylates copolymer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Sodium hydroxide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Methyl parabene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Water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95.5
총 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상기 [표 1]의 조성비로 제조된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시험자의 선정은 시험부위인 팔부위(Fore-arm)피부에 피부질환이 없는 성인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부위 별로 미리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을 15ul/2cm2 로 도포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개의 제제로 구성된 산화영구염모제를 이용하여 1제와 2제를 혼합한 다음, 시험부위에 적용하여 30분 경과 후 패치를 제거하였다. 피 실험자의 피부상태는 30분이 경과된 후에 육안으로 홍반의 형성 및 부종의 유무에 대한 관찰을 하여 피부자극성 여부를 판정하였다. 하기의 [표 2]에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가 되는 가이드라인을 표기하였으며, 또한, 하기의 [수학식1]으로 피부자극 지수를 구하였다.
반응 점 수 증상 및 판단기준
- 0 아무런 반응 없음
-/+ 0.5 약한 홍반
+ 1.0 명확한 홍반
++ 2.0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3.0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Figure 112007008027345-pat00001
상기의 [표2]와 [수학시 1]에 의해 두피자극 완화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08027345-pat00002
상기 [표 3]의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 1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염모제 단독 시술할 때보다 두피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물을 함유하며,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 중 1종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타민E를 함유하는 실시예 4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에서 두피자극 완화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동시에 함유한 실시예 6 내지 8 및 아미노산과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실시예 9 내지 11에서 더 좋은 두피자극 완화효과가 있다. 특히, 아미노산과 비타민E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실시예 12 내지 14의 두피자극 완화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오일성분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내지 2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의 조성비로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14의 조성물에 의한 산화영구염모제의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였다. 실험용 사람 모발 1g당 비교예 1내지 2 및 실시예 1내지 14를 0.2g씩 고르게 도포한 다음, 산화 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6% 과산화수소 용액과 1:1로 혼합한 다음 도포하고, 20분 경과 후에 샴푸로 씻어내고 건조하였다. 건조 후에 모발상에서의 발색력 차이를 전문 패널 7명의 평가를 받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발색력 1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상기 [표 4]의 평가기준으로 ◎는 염색성 우수, ○는 염색성 양호, △는 염색성 다소 약함, X는 염색성 약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물을 함유하는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은 오일성분만으로 구성된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보다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과 비타민E와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용성의 염색 전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염모제에 의한 두피의 자극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성분만 구성된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에 비하여 산화영구 염모제의 염색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두피 자극 완화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과 비타민E와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용성의 염색 전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염모제에 의해 유발되는 두피자극을 완화시키며, 산화영구염모제의 염색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오일상으로만 구성된 염색 전 두피보호 조성물 보다 그 효능도 더욱 우수하다.

Claims (5)

  1.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 메티오닌, 히스티딘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0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의 두피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한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E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며, 비타민E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의 두피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한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며,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의 두피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한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물을 함유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물은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1.0 내지 99.0 중량% 함유하는 두피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KR1020070008283A 2007-01-26 2007-01-26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KR10127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283A KR101277530B1 (ko) 2007-01-26 2007-01-26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283A KR101277530B1 (ko) 2007-01-26 2007-01-26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334A KR20080070334A (ko) 2008-07-30
KR101277530B1 true KR101277530B1 (ko) 2013-06-21

Family

ID=3982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283A KR101277530B1 (ko) 2007-01-26 2007-01-26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5410C1 (ru) * 2018-08-27 2019-04-18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 Талагаева Еле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в краску для воло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6498A (zh) 2009-04-27 2016-08-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DE202012013018U1 (de) 2011-12-19 2014-08-20 Mary Kay Inc. Kombination von Pflanzenextrakten zur Verbesserung des Hauttons
EP2873414A1 (en) * 2013-11-19 2015-05-20 DSM IP Assets B.V. Use of an edelweiss extract in hair care for the prevention of hair graying
JP6803670B2 (ja) * 2016-03-01 2020-12-23 有限会社岡田技研 頭皮保護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13A (ko) * 2001-08-07 2004-03-04 인데나 에스피아 두피장해 치료용 경구 조성물
JP2005170838A (ja) 2003-12-10 2005-06-30 Hoyu Co Ltd 染毛用前処理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13A (ko) * 2001-08-07 2004-03-04 인데나 에스피아 두피장해 치료용 경구 조성물
JP2005170838A (ja) 2003-12-10 2005-06-30 Hoyu Co Ltd 染毛用前処理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5410C1 (ru) * 2018-08-27 2019-04-18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предприниматель Талагаева Еле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в краску для воло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334A (ko)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525B1 (ko) 두족류의 먹물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0839588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WO2004002440A1 (de) Haut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melanotan ii und deren verwendung als hautbraunungsmittel
KR101277530B1 (ko)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KR102006950B1 (ko)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EP3203977B1 (en) Dermatological kit comprising compositions based on hibiscus flower and buriti oil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10189119A1 (en) Composition for permanent wave
EP3542863B1 (de) Haaröl und seine verwendung
KR101339841B1 (ko) 모발처리제 조성물
CN110897924B (zh) 修复组合物、应用及含有该修复组合物的化妆品
US2006026332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oy products and organic salts of certain metals
RU229595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веками
EP2082725B1 (de) Sonnenschutz-Kosmetikset und kosmetisches Verfahren zur Behandlung sensitiver Haut
KR102217697B1 (ko)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KR101677546B1 (ko) Msm 및 달팽이 점액여과물을 포함하는 도포 타입의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1212B1 (ko)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US9855208B2 (en) Cosmetic products for aged skin
KR102012019B1 (ko) 튼살 예방 및 치료용 패치
KR20140132081A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KR20110058753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8754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RU2266733C1 (ru) Липосом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и ухода за жирным типом воло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