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040A -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040A
KR20100084040A KR1020090003433A KR20090003433A KR20100084040A KR 20100084040 A KR20100084040 A KR 20100084040A KR 1020090003433 A KR1020090003433 A KR 1020090003433A KR 20090003433 A KR20090003433 A KR 20090003433A KR 20100084040 A KR20100084040 A KR 20100084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omposition
total weight
hai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기 filed Critical 이원기
Priority to KR102009000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4040A/ko
Publication of KR2010008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공된 염모제 조성물은 색 원물질들로 이루어진 염료중간체, 알칼리제 역할을 수행하는 pH조절제,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인 두피재생촉진제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Hair dye composition}
본 발명은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에 생긴 상처회복에 유효한 성분을 포함시켜서 두피질환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두피의 상처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미용실 등에서 머리염색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염모제는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및 산화염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나눠진다. 이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는 일시적으로 모발에 흡착되지만 영구염모제(퍼머넌트,헤어다이)로 불리는 것이 산화염료이다. 이와 같은 산화염료는 산화되어 발색하는 색원물질을 사용하고 염모할 때는 수용성이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화학반응에 따라서 불용성이 되어 모발 속에 잔류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산화염료를 사용한 산화 염모제는 제1제와 제2제로 구성되 는데, 제1제에는 염료중간체인 디아민계 화합물과 알칼리제가 함께 들어 있고, 제2제는 산화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제의 염료중간체는 산화제와 혼합되면 염료로 바뀌면서 색을 나타내는 색원물질인데, 이러한 염료중간체로는 p-페닐렌디아민(흑색), p-톨루엔디아민(다갈색-흑갈색), 모노니트로-p-페닐렌디아민(적색), p-아미노페놀(다갈색), o-아미노페놀(황갈색), p-페닐렌디아민 + p-아미노페놀(암갈색-적자색)과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서로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면 그에 따라 다른 색상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의 알칼리제는 모발을 팽윤, 연화시켜서 모발 내부로 염료가 침투하도록 도와주고,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알칼리제의 일례로는 암모니아 또는 모노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암모니아는 염색이 오래가고 휘발성이라 모발손상이 적으나, 냄새가 강하고 자극적이고, 상기 모노에탄올아민은 냄새가 없고 두피에 자극이 없으나 비휘발성 물질이라 모발에 많이 남아 손상이 심하고, 모발에 침투가 늦어 염색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제2제인 산화제는 모발의 천연색소인 멜라닌을 탈색시키고, 상기한 염료중간체에 작용하여 염료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산화제로는 통상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하지만, 기존 산화 염모제는 제1제의 염료중간체 주요 성분 중에서 2-메칠-5-히드록시에칠아미노페놀, m-아미노페놀, 톨루엔-2.5,-디아민, p-페닐렌디아 민, N.N'-비스(2히드록시에칠)-p-페닐렌디아민설페이트, p-메칠아미노페놀,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화학물질과, 알칼리제를 함유하고 있어서 두피에 독성 또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기 때문에 두피에서 접촉성 피부염 또는 두피질환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염증성 탈모증 및 모낭염과 같은 두피질환이 있거나, 두피에 상처 또는 예민한 부위가 국소적으로 존재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이 가중되므로 염모제의 사용을 자제해야 하는데, 실제 두피질환이 있는 사용자는 이러한 사실을 알면서도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염모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병세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염모제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피질환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두피에 생긴 상처회복에 유효한 성분을 포함시켜서 두피의 상처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두피의 상처회복을 촉진시킴으로써 두피질환이 있거나 두피의 국소부위에 상처가 있는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두피질환 및 국소부위 상처가 악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 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색원물질들로 이루어진 염료중간체, 알칼리제 역할을 수행하는 pH조절제,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인 두피재생촉진제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 로 이루어진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두피재생촉진제는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염료중간체는 황산톨루엔-2,5-디아민, m-아미노페놀, 레조시놀, o-아미노페놀, α-나프톨, p-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2-아미노-5-니트로페놀,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n-페닐-p-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료중간체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되며, 상기 m-아미노페놀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1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pH조절제는 L-아르기닌 및 에탄올아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1제는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색소용해제, 모발코팅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침투제, 점도조절제, 모발보호제, 컨디셔닝제, 실리콘정발제, 착향제,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이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파이드 및 아스코빅애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색소용해제는 에탄올이고, 상기 모발코팅제는 폴리퀘터늄-10이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카마이드이이에이 및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침투제는 올레익애씨드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세테아릴알코올이며, 상기 모발보호제는 라놀린알코올이고, 상기 컨디셔닝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정발제는 디메치콘코폴리올 및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착향제는 향료이며, 상기 착색제는 오징어먹물색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5 중량%,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 중량%, 상기 색소용해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 중량%, 상기 모발코팅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 중량%, 상기 보습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침투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모발보호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컨디셔닝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4 중량%, 상기 실리콘정발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2 중량%, 상기 착향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상기 착색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2제는 산화제인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제, pH조절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기제,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안정제, 착향제 및 실리콘정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은 두피재생촉진제인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을 포함시킴으로써 염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피상처의 회복 및 재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두피질환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두피질환이 악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페닐렌디아민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성분을 사용을 배제함과 동시에 m-아미노페놀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두피에 자극이 덜한 L-아르기닌을 포함한 pH조절제를 적용함으로써 염모제의 사용 시 두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은 염료중간체, pH조절제 및 두피재생촉진제를 포함하는 제1제와,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피재생촉진제에는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이 적용된다.
상기 두피재생촉진제인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은 인도양 연안의 마다가스카르섬 일대에서 자생하는 "센텔라아시아티카"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예컨대 WO2004/062678호에 기재된 센텔라아시아티카의 추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의 성분, 즉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아시아트산(Asiatic-acid) 및 마데카스산(Madecassic-acid) 등과 같은 성분은 피부세포의 재생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두피재생촉진제는 염색과정에서 제1제 염료중간체의 디아민계 원료나, 제2제의 산화제가 두피의 상처나 예민한 부위에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할 경우 사용자의 두피에 있는 상처를 회복시키고, 이미 두피질환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두피에 있는 상처를 회복시켜서 두피질환이 악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두피재생촉진제는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피재생촉진제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두피에 있는 상처의 회복효과를 기대 할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제1제의 제형, 즉 크림제, 로션제, 겔제로 제조되는 제1제의 제형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중간체는 황산톨루엔-2,5-디아민, m-아미노페놀, 레조시놀, o-아미노페놀, α-나프톨, p-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2-아미노-5-니트로페놀,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n-페닐-p-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염료중간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함에 있어서 염색에 수반되는 두피질환 또는 알레르기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 즉 페닐렌디아민의 사용을 배제함은 물론 m-아미노페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염료중간체는 염색색상에 따라, 즉 블랙, 다크브라운, 라이트브라운 등과 같은 염색색상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함에 있어서,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되는데, 상기 m-아미노페놀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1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H조절제는 알칼리제로써 제2재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제를 촉진시키는 기능과 함께, 모발 내부로 염료가 침투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에탄올아민 및 두피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L-아르기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에탄올아민은 암모니아와 산화에틸렌을 반응시켜 생성되므로 두피에 자극적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량을 최소화하고 L-아르기닌의 적용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L-아르기닌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널리 존재하는 것으로서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며, 염료중간체 중 하나인 α-나프톨을 작용시키면 특유한 붉은색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L-아르기닌은 암모니아의 유독작용에 대하여 인체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두피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에탄올아민의 사용에 의한 부작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H조절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되는데, L-아르기닌과 에탄올아민을 1 : 1의 비율로 혼합사용하는 경우 만족할 만한 발색 및 탈색효과와 함께 두피의 자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에 제1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제와, 금속이온봉쇄제와, 산화방지제와, 색소용해제와, 염료중간체와, 모발코팅제와, 보습제와, 계면활성제와, 침투제와, 모발보호제와, 컨디셔닝제와, 실리콘정발제와, 착향제와, 착색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각 구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정제수가 적용되며,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로 이루어진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지방과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산소의 제거 등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진행하여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소듐설파이드 및 아스코빅애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색소용해제는 상기 염료중간체가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에탄올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코팅제는 모발의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퀘터늄-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습제는 염색모나 손상모에서 손실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모발이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염색시 모발의 표피에 있는 지질막을 제거하여 모발에 염료의 침투를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코카마이드이이에이 및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침투제 역시 모발에 염료의 침투를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염모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세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보호제와 컨디션닝제는 모발표면에 염료가 고착되는 것을 도와주고, 모발에 발수성의 박막을 형성하여 수세 및 일광에 따른 염료의 탈색을 느리게 하여 모발표면에 우수한 컨디션닝효과를 줌으로써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모발보호제는 라놀린알코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디셔닝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정발제는 모발의 표피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윤기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메치콘코폴리올 및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향제는 화학물질의 냄새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통상의 향료가 적용된다.
상기 착색제는 제1제의 착색물질로써, 오징어먹물색소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오징어먹물색소는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 755525호로 등록된 "두족류의 먹물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에 개시된 오징어먹물색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오징어먹물색소에 포함되어 있는 유멜라닌, 페오멜라닌이 모발의 멜라닌과 유사한 분자구조를 갖고 있어 머리카락을 더욱 선명하게 해주고 역할을 수행하고, 오징어먹물색소에는 항균, 항염작용이 있기 때문에 염색 후에 올 수 있는 두피에 대한 피부트러블이나 알레르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5 중량%,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 중량%, 상기 색소용해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 중량%, 상기 모발코팅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 중량%, 상기 보습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침투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모발보호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컨디셔닝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4 중량%, 상기 실리콘정발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2 중량%, 상기 착향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상기 착색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제는 산화제인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제, pH조절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기제,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안정제, 착향제 및 실리콘정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은 염색직전에 상기한 제1제와, 제2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제와, 제2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1제로써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용제 정제수 to 100
금속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01 - 0.500
산화방지제 소듐설파이트 0.001 - 0.500
산화방지제 아스코빅애씨드 0.001 - 0.500
색소용해제 에탄올 0.001 - 1.000
염료중간체 황산톨루엔-2,5-디아민 0.001 - 10.000
염료중간체 m-아미노페놀 0.001 - 0,1
염료중간체 레조시놀 0.001 - 10.000
염료중간체 o-아미노페놀 0.001 - 10.000
염료중간체 α-나프톨 0.001 - 10.000
염료중간체 p-아미노페놀 0.001 - 10.000
염료중간체 p-아미노-o-크레솔 0.001 - 10.000
염료중간체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0.001 - 10.000
염료중간체 2-아미노-5-니트로페놀 0.001 - 10.000
염료중간체 황산4-에톡시-엠-페닐렌디아민 0.001 - 10.000
염료중간체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001 - 10.000
염료중간체 N-페닐-p-페닐렌디아민 0.001 - 10.000
염료중간체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0.001 - 10.000
모발코팅제 폴리쿼터늄-10 0.001 - 2.000
보습제 글리세린 0.001 - 10.000
계면활성제 코카마이드디이에이 0.001 - 10.000
계면활성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0.001 - 10.000
침투제 올레익애씨드 0.001 - 10.000
점도조절제 세테아릴알코올 0.001 - 10.000
모발보호제 라놀린알코올 0.001 - 10.000
컨디셔닝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0.001 - 2.000
컨디셔닝제 C12-15알킬벤조에이트 0.001 - 2.000
pH조절제 에탄올아민 0.001 - 10.000
pH조절제 L-아르기닌 0.001 - 10.000
실리콘정발제 디메치콘코폴리올 0.001 - 2.000
실리콘정발제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0.001 - 10.000
두피재생촉진제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 0.001 - 20.000
착색제 오징어먹물색소 0.01 - 10.000
착향제 향료 0.100 - 0.500
상기한 표 1의 조성에 따라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1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1재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제조기기의 세척상태를 확인하고(S1), 용제와 금속이온봉쇄제와 산화방지제를 제조탱크에 투입한 후 85℃에서 혼합한다(S2).
상기 혼합물과는 별도로 염료중간체를 계량한 후 85℃에서 투입하되, 상기 제조탱크에 포함된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완전 용해시킨다(S3).
상기 혼합물과는 별도로 용기에 모발코팅제와 보습제를 분산시킨 후 제조탱크에 투입하여 85℃에서 교반하고(S4), 별도의 유상용해조에 pH조절제(L-아르기닌)와, 계면활성제(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와 침투제와 점도조절제와 모발보호제와 컨디셔닝제를 85℃에서 교반하여 용해한다.(S5)
이후에는 제조탱크에 있는 염료중간체의 용해를 확인한 후 상기 유상용해조에서 용해된 물질들을 제조탱크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유화시킨다.(S6 : 진공상태에서 균질기는 2500RPM으로 패들(PADDEL)은 35RPM으로 교반유지하며 5분간 수행한다.)
유화 후에는 45℃로 냉각한 다음 계면활성제(코카마이드디이에이)와 pH조절제(에탄올아민)와 실리콘정발제와 두피재생촉진제와 향료 및 착색제를 순차적으로 제조탱크에 투입한 후 교반한다.(S7 : 진공상태에서 균질기는 2500RPM으로 패들(PADDEL)은 35RPM으로 교반유지하며 진공상태에서 4분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물의 점도와 면상태를 확인하고 질소치환을 해줌으로써 산화를 방지하는 단계(S8)를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의 제1재 제조공정이 구현된다.
표 2는 산화제인 제2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용제 to 100
금속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01 - 0.500
pH조절제 테트라소듐포스페이트 0.001 - 0.500
보습제 프로필렌글라이콜 0.001 - 2.000
보습제 피이지-14엠 0.001 - 0.500
점도조절제 파라핀 0.001 - 2.000
점도조절제 세테아릴알코올 0.001 - 10.000
기제 미네랄오일 0.001 - 10.000
계면활성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0.001 - 10.000
계면활성제 피이지-75라놀린 0.001 - 10.000
과산화수소안정제 페나세틴 0.001 - 0.500
계면활성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001 - 2.000
주성분(산화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0.001 - 10.000
착향제 향료 0.100 - 0.500
pH조절제 포스포릭애씨드 0.001 - 0.500
실리콘정발제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0.001 - 2.000
상기한 표 2의 조성에 따라 두피쟁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2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2재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조기기의 세척상태를 확인하고(S11), 용제와 금속이온봉쇄제와 pH조절제를 제조탱크에 투입하여 용해한다.(S12)
상기 혼합물과는 별도로 용기에 보습제를 계량, 분산시킨 후 제조탱크에 투입하여 80℃에서 용해시킨다.(S13)
별도의 유상용해조에 점도조절제와 기제와 계면활성제와 과산화수소안정제를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제조탱크에 투입한다.(S14 : 균질기는 2500RPM으로 패들(PADDEL)은 35RPM으로 교반유지하며 2분간 수행한다.)
유화 후에는 45℃로 냉각한 다음 산화제와 착향제와 pH조절제와 실리콘정발제를 순차적으로 제조탱크에 투입한 후 교반한다.(S15 : 균질기는 2500RPM으로 패들(PADDEL)은 35RPM으로 교반유지하며 2분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점도 및 면상태를 확인(S16)함으로써 제2재의 제조공정이 구현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두피질환, 예컨대 염증성 탈모증 및 모낭염과 같은 두피질환이 있거나 두피의 국소부위에 염증이 있는 남성 및 여성 사용자 100명에게 임상실험한 결과가 하기의 표 3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에는 1회에 30~40㎖씩 염모제를 투여하였고, 2개월간 6회에 걸쳐서 염색하였으며, 표 3은 그 이후의 두피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효과 효과체험인원
매우 우수함 40
우수함 20
두피질환 감소 14
효과 없음 6
결과 회수 못함. 20
여기서, 매우 우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두피질환이 완치된 경우이고, 우수한 효과는 두피질환이 완치단계에 있는 경우이며, 두피질환 감소는 더 이상의 두피질환이 발생하지 않고 기존 염증도 감소된 경우이고, 효과 없음은 시험 전 두피질환과 대비하여 변화가 없는 경우이고, 결과를 회수 못함은 사용자로 부터 임상실험결과를 회수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볼 때,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실험인원 중 74%가 두피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현격한 두피재생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는 염모제 조성물에 두피제생촉진제인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을 포함시킴으로써 염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피상처의 회복 및 재생에 도움을 주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페닐렌디아민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성분을 사용을 배제함과 동시에 m-아미노페놀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두피에 자극이 덜한 L-아르기닌을 추가로 포함시켜서 pH를 조절함으로써 염모제의 사용 시 두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1제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의 제2제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9)

  1. 색원물질들로 이루어진 염료중간체, 알칼리제 역할을 수행하는 pH조절제, 센텔라아시아티카정량추출물인 두피재생촉진제를 포함하는 제1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제2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재생촉진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중간체는 황산톨루엔-2,5-디아민, m-아미노페놀, 레조시놀, o-아미노페놀, α-나프톨, p-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2-아미노-5-니트로페놀, 황산4-에톡시-m-페닐렌디아민,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n-페닐-p-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중간체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되며, 상기 m-아미노페놀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1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H조절제는 L-아르기닌 및 에탄올아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는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색소용해제, 모발코팅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침투제, 점도조절제, 모발보호제, 컨디셔닝제, 실리콘정발제, 착향제,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이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소듐설파이드 및 아스코빅애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색소용해제는 에탄올이고, 상기 모발코팅제는 폴리퀘터늄-10이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카마이드이이에이 및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침투제는 올레익애씨드이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세테아릴알코올이며, 상기 모발보호제는 라놀린알코올이고, 상기 컨디셔닝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C12-15알킬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정발제는 디메치콘코폴리올 및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착향제는 향료이며, 상기 착색제는 오징어먹물색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8.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5 중량%,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 중량%, 상기 색소용해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 중량%, 상기 모발코팅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 중량%, 상기 보습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침투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모발보호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 상기 컨디셔닝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4 중량%, 상기 실리콘정발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12 중량%, 상기 착향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중량%, 상기 착색제는 상기 제1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 1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는 산화제인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용제, pH조절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기제, 계면활성제, 과산화수소안정제, 착향제 및 실리콘정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KR1020090003433A 2009-01-15 2009-01-15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KR20100084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433A KR20100084040A (ko) 2009-01-15 2009-01-15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433A KR20100084040A (ko) 2009-01-15 2009-01-15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40A true KR20100084040A (ko) 2010-07-23

Family

ID=4264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433A KR20100084040A (ko) 2009-01-15 2009-01-15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40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8502A (ja) * 2015-11-02 2017-05-25 ライオン株式会社 乳化型染毛剤組成物
KR20180080584A (ko) 2017-01-04 2018-07-12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102114392B1 (ko) * 2020-01-20 2020-05-22 안영희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286697B1 (ko) * 2020-11-24 2021-08-05 신홍철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8502A (ja) * 2015-11-02 2017-05-25 ライオン株式会社 乳化型染毛剤組成物
KR20180080584A (ko) 2017-01-04 2018-07-12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102114392B1 (ko) * 2020-01-20 2020-05-22 안영희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286697B1 (ko) * 2020-11-24 2021-08-05 신홍철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525B1 (ko) 두족류의 먹물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JP2014024766A (ja) 不安定染料を安定的に配合した肌、毛髪の着色を目的とした外用剤
KR100633439B1 (ko) 모발 염색제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EP1047385A1 (fr) Composition pour la coloration de fibres keratiniques depourvue d'ammoniaque
KR20190047637A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ZA200400475B (en) Hair colouring compositions
JP5547906B2 (ja) 2剤式酸化染毛・脱色剤用第1剤
US20070269399A1 (en)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composition
KR20100084040A (ko) 두피재생촉진 염모제 조성물
US20040151679A1 (en) Dissolving agent for melanin
RU2493814C1 (ru) Состав для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KR100832044B1 (ko) 겔타입의 모발염색용 조성물
JP7185812B2 (ja) 染色専用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KR20100106670A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20100061261A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459086B1 (ko) 5,6-디히드록시인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모제 조성물
CN113164338B (zh) 包含氧亚烷基化的脂肪醇和氧亚烷基化的脂肪酰胺的氧化组合物
EP1587488A1 (fr) Composition pour la coloration permanente de fibres keratiniques
KR20090085764A (ko) 알로에추출물 및 참숯을 함유하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KR102314207B1 (ko) 천연색 헤어칼라 염색을 위한 자연유래 염모제의 제조 방법
FR3008890B1 (fr) Extrait de chene,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extrait et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US20220362122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s With Amine Derivatives
KR20170116486A (ko) 염모제 조성물
KR102223332B1 (ko) 리포좀 포장된 l-아르기닌 및 유기 지방산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14

Effective date: 2016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