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642B1 -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642B1
KR101653642B1 KR1020090024743A KR20090024743A KR101653642B1 KR 101653642 B1 KR101653642 B1 KR 101653642B1 KR 1020090024743 A KR1020090024743 A KR 1020090024743A KR 20090024743 A KR20090024743 A KR 20090024743A KR 101653642 B1 KR101653642 B1 KR 10165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hair dye
dye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670A (ko
Inventor
김태윤
김왕기
김종협
박재정
백석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2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642B1/ko
Priority to CN201410403390.7A priority patent/CN104127332B/zh
Priority to PCT/KR2009/007044 priority patent/WO2010062138A2/en
Priority to CN201410403462.8A priority patent/CN104146911B/zh
Priority to CN200980147701.5A priority patent/CN102227209B/zh
Publication of KR2010010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는 모발에의 염착성을 향상시켜 염색성과 색상의 지속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염색 시 염모제로 인해 발생하는 알레르기나 염증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해주고 피부 자극완화효과도 탁월하여 염모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케라틴, 자란, 고삼, 황련, 염모제, 염착성, 알레르기

Description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Compositions for the oxidative dyeing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모제는 염색된 색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에 따라 영구염모제, 반영구염모제, 일시염모제 및 기타 염모제로 구분된다.
영구염모제는 일반적으로 “산화형염모제”라고 한다. 산화형염모제는 산화형 염료를 사용하여 염료의 산화반응에 의해 색을 나타내는 원리이다. 산화형 영구염모제는 1제형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제인 염모제와 2제인 산화제로 구성되어 있다. 1제에는 색을 내기 위한 염료로써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가 들어있고, 모발을 팽윤시키고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시켜 산화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암모니아 및 모노에탄올아민과 같은 알칼리제가 들어 있다. 또한 환원제 또는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염료의 산화반응을 조절하고, 금속이온을 봉쇄하는 목적으로 킬레이트제가 사용된다. 이 외에도 패티알코올류,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 폴리머 등의 모발 컨디셔닝제 및 향 등이 포함되어 있다. 2제인 산화제에 들어 있는 과산화수소는 모발의 멜라닌을 분해하여 모발의 바탕색을 밝게 하고, 염료의 산화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영구 염모제는 비산화형 염료인 산성염료 또는 염기성 염료 등을 사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염료들은 산화중합반응을 하지 않고, 그 자체로 색을 띠는 염료로서 모발의 아미노산과의 이온결합에 의해 모발에 부착되어 모발을 염색시킨다. 산화형 염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서 모발 깊숙이(코텍스층까지) 들어가지는 못한다.
일시 염모제는 안료나 펄 등을 필름형성제를 이용하여 모발 표면에 부착시켜 일시적으로 모발에 착색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기타 염모제로는 헨나, 인디고 및 카모마일 등의 식물성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모제, 질산은 및 초산납의 산화에 의해 모발을 염색시키는 금속성 염모제 등이 있다.
산화형염모제는 일반적으로 1제와 2제를 혼합함으로써 1제에 들어있는 염료간에 산화중합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색을 나타낸다. 또한 2제에 들어있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모발에 있는 멜라닌 색소가 분해되어 모발을 탈색시킴으로써 모발의 바탕색을 밝게 하여 보다 선명한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산화형염료는 크기가 작아서 모발의 코텍스층까지 들어갈 수 있으나, 산화반 응에 의해 중합체가 형성되면 모발속으로 들어가기가 어렵게 된다. 이렇게 산화형염료가 모발속으로 침투하기 전에 중합반응을 일으켜 분자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모발에서의 염색성도 저하되고, 염색 후 색상지속성도 떨어지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염료의 반응성을 조절하고, 모발로의 침투가 잘 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염색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6-0033932 "몰식자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함유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및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7-0123256호 "오배자 또는 한련초를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산화형염모제의 염색성과 색상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자란, 고삼, 황련의 천연성분이 염색성 향상과 색상지속성 향상, 그리고 염색으로 인한 모발 손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성과 색상지속성이 향상되고 모발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및 상기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혼합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염모제를 이용하여 모발에의 염착성을 향상시켜 염색성과 색상지속성이 향상되고 모발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염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및 산화염색용 혼합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및 알칼리제, 항산화제, 환원제 등을 함유하는 제 1제 및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구성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또는 제 1제만으로 구성되는 1제형 산화형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또는 제 2제 및 이의 혼합물에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거나 산화형 염모제와 사용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첨가제에 모발에의 염착성을 향상시켜 색상 표현력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화형 염모제와 사용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첨가제로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모발에의 염착성을 향상시켜 색상 표현력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칼리제, 수용성 항산화제 및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구성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화형염모제는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제 1제 또는 제 2제 및 이들의 혼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며, 제 3제의 혼합첨가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란의 추출방법은 하기와 같다.
a) 포제를 통한 자란의 가공 단계
자란을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는 공정 또는 이들이 혼합된 공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삶는 경우 60~100℃, 30분~2시간/ 찌는 경우 120~150℃, 3~6시간/ 볶는 경우 100~180℃, 10분~1시간/ 굽는 경우 80~100℃, 10분~1시간 등에서 용이하게 선정된 다.
b) 자란 추출물의 수득 단계
상기 a) 단계를 거친 자란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자란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이 사용된다.
자란은 백급려伶燭대암풀이라고도 한다. 양지 쪽에서 자란다. 높이 40cm로 육질이며 속은 흰색이다. 줄기는 단축되어 둥근 알뿌리로 되고 여기에서 5~6개의 잎이 서로 감싸면서 줄기처럼 된다. 잎은 길이 20~30cm, 나비 2~5cm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집처럼 되며 세로 주름이 많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 6~7개가 총상으로 달리며 홍자색으로 지름 3cm 정도이다. 포는 길이 2~3cm로 꽃이 피기 전에 1개씩 떨어진다. 화피갈래조각은 길이 2.5~3cm, 나비 0.6~0.8cm로 끝이 뾰족하고 반쯤 벌어지며 맥이 있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방에서는 덩이줄기를 백급이라고 하며 수렴제, 지혈제, 배농제(排膿劑)로서 상처와 위궤양 등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가슴앓이, 기침과 호홉곤란 치료에 사용하며, 또 점질이 있어 풀을 만들기도 한다. 한국, 일본, 타이완, 티벳 동부지역, 중국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고삼의 추출방법은 하기와 같다.
a) 포제를 통한 고삼의 가공 단계
고삼을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는 공정 또는 이들이 혼합된 공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삶는 경우 60~100℃, 30분~2시간/ 찌는 경우 120~150℃, 3~6시간/ 볶는 경우 100~180℃, 10분~1시간/ 굽는 경우 80~100℃, 10분~1시간 등에서 용이하게 선정된다.
b) 고삼 추출물의 수득 단계
상기 a) 단계를 거친 고삼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삼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이 사용된다.
고삼이라는 이름은 맛이 써서 고(苦)라는 글자를 사용하고 효능이 삼과 유사하다하여 삼(參)이라는 글자를 사용한다. 뿌리의 생김새 때문에 도둑놈의 지팡이라는 식물명을 가지고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잔류성이며 약성은 매우 쓰고 차다. 하초습열로 인한 이질, 대하, 음부소양증, 피부가려움증 등에 사용하며 방광열로 인하여 소변을 잘 못보고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 약리효과로는 백혈구감소증 치료 및 항방사능작용, 관상동맥혈류량 증가, 심장근육 강화, 혈당 낮추는 작용, 항종양, 항 균, 면역기능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고삼은 원주형이며 바깥 면은 어두운 갈색 ~ 황갈색이며 세로 주름이 뚜렷하고 가로로 긴 피목(皮目)이 있다. 주피를 벗기면 황백색을 띠며 꺾은 면은 약간 섬유성이다. 고골(苦骨), 고직(苦?), 교괴(驕槐), 금경(芩莖), 토괴(?槐), 녹백(祿白), 능낭(陵郎), 백경(白莖), 수괴(水槐), 야괴(野槐), 지괴(地槐), 호마(虎麻)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황련의 추출방법은 하기와 같다.
a) 포제를 통한 황련의 가공 단계
황련을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는 공정 또는 이들이 혼합된 공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삶는 경우 60~100℃, 30분~2시간/ 찌는 경우 120~150℃, 3~6시간/ 볶는 경우 100~180℃, 10분~1시간/ 굽는 경우 80~100℃, 10분~1시간 등에서 용이하게 선정된다.
b) 황련 추출물의 수득 단계
상기 a) 단계를 거친 황련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자란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이 사용된다.
한방에서는 11월경에, 재식 5~6년 된 황련, 왜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 에 말린 것을 황련(黃連)이라 하며, 건위,진정,소염,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위염, 장염, 복통, 구토, 이질, 심계(心悸), 번열(煩熱), 정신불안, 인후종통(咽喉腫痛)), 토혈, 코피, 하혈, 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상기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은 분말, 추출물 또는 농축액으로 사용가능하며 제 1제 또는 제 2제 및 이들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며, 상기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분말, 추출물 또는 농축액인 천연성분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염색성 및 색상지속성의 향상이나 모발손상의 완화 및 자극완화의 특성이 효과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염료의 산화중합반응을 억제하여 발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염색성 및 색상지속성 향상용 조성물은 자란, 황련, 고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서 분말, 추출물 또는 농축액인 천연성분을 제 3제의 혼합첨가제로 더 함유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 3제의 혼합첨가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0.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되며 다른 첨가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3제의 혼합첨가제는 염색시 상기 제 1제 또는 제 2제 및 이들의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를 사용한다. 이는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염색성, 색상지속성 향상 및 모발손상 완화에 효과가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염료의 산화중합반응을 억제하여 발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염색 후 모발 손상도 완화시킬 수 있고, 염색으로 인한 자극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중성에서 알칼리의 pH 범위인 6 내지 12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pH 8 내지 11의 알칼리성의 조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pH 범위가 6 미만인 경우 제 2제에 포함되는 산화제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고 모발의 큐티클을 넓히고 모발내부에 처리제가 효율적으로 침투하는 작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pH 범위가 12를 초과하는 경우 모발의 단백질의 손상이나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되는 알칼리제로는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통상적으로 염모제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제 1제에 통상적인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함유한다.
상기 산화염료 전구체 및 커플러로는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염료 전구체로는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 염산 톨루엔-2,5-디아민, 염산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황산 p-페닐렌디아민, 황산 p-메칠아미노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p-아미노페놀, 황산 톨루엔-2,5-디아민, 황산 p-페닐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커플러로는 2-메틸-5-히드록시에틸 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α-나프톨, 레조시놀, 2-메틸레조시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염료 전구체와 혼합 사용되어 모발에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접염료(direct dyes)를 첨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직접염료로는 아리아놀(Arianol) 염료,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염산니트로-p-페닐렌디아민, 피크라민산 기타 식물성 염료인 헨나(Henn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금속 봉쇄제, 용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향료 및 컨디셔닝제 등이 사용되어지나, 이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 토코페롤류 등을 들 수 있고, 금속 봉쇄제로서 이디티에이(EDTA), 디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EDTA), 펜타소듐펜티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용제로서는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칠렌글리콜 등을 사용 할 수 있고,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성 계 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점증제로서는 탄소수 12 내지 22의 고급알코올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점증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비이온성 중합체 및 음이온성 중합체,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컨디셔닝제로는 양이온성 중합체, 4급화 암모늄염 또는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의 제 2제에 함유되는 산화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알칼리 금속 브로메이트, 페리시아니드, 퍼보레이트 및 퍼설페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제에도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고급 지방알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제,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페나세틴 등의 안정화제, 디소듐이디티에이 등의 금속 봉쇄제, 인산 등의 pH 조정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제 1제 및 제 2제는, 상술한 성분 이외에, 통상은 물을 더 함유하고 있다. 상기 물로서는,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염모제 조성물로 이용되는 각 성분을 충분히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양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는 다양한 종류의 염모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염모제 세트로는 자란, 황련, 고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1제 또는 제 2제 또는 이들의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염모제 세트에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3제의 혼합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염모제 세트의 예로는 첫째,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칼리제,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제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구성된 염모제 세트이며, 둘째,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칼리제,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제 1제; 및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구성된 염모제 세트이고, 셋째,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칼리제,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의 혼합물에 자란, 황련, 고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염모제 세트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3종류의 염모제 세트에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 3제의 혼합첨가제가 더 포함된 염모제 세트가 그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하기 직전에,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이때,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비율은 일반적으로 중량비(제 1제: 제 2제)로 1:1 내지 1:3으로 하나 특별히 이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나 파우더 타입 등 제 1제형으로 구성된 산화형 염모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모하는 방법으로서는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제 1 제 또는 제 2제 및 이 들의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염모제를 물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염모제를 염색하고자 하는 모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여 모발에 도포한다.
상기 모발에 염모제를 도포하여 염색을 한 후, 그 상태로 또는 열처리를 하거나 비닐, 캡 등으로 모발보호필름(비닐, 캡 등)으로 감싸고, 상온에서 방치하여 염색된 모발을 통상의 린스제 및 샴푸제로 세정하고, 건조시키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염색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염색용 염모제는 모발에의 염착성을 향상시켜 염색성과 색상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염색 후 염색시 발생하는 모발손상을 줄여주어 자연스러운 염색이 가능하게 하며, 천연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존의 염모제로 인한 피부 알레르기나 자극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해주고 피부 자극 완화로 두피 안정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염모제 제 1제는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제 1제 조성물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세테아릴알콜 7.0 7.0 7.0 7.0 7.0 7.0 7.0 7.0
미네랄오일
(경질유동이소파라핀)
3.0 3.0 3.0 3.0 3.0 3.0 3.0 3.0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2.0 2.0 2.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0 1.0 1.0 1.0 1.0 1.0 1.0 1.0
자란 0.4 2.0 - - - 0.5 1.0 -
황련 0.4 - 2.0 - 0.5 - - -
고삼 0.4 - - 2.0 0.5 0.5 - -
디소듐이디티에이 0.2 0.2 0.2 0.2 0.2 0.2 0.2 0.2
에리소르빈산 0.5 0.5 0.5 0.5 0.5 0.5 0.5 0.5
소듐설파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p-페닐렌디아민 0.5 0.5 0.5 0.5 0.5 0.5 0.5 0.5
p-아미노페놀 0.1 0.1 0.1 0.1 0.1 0.1 0.1 0.1
m-아미노페놀 0.2 0.2 0.2 0.2 0.2 0.2 0.2 0.2
레조시놀 0.36 0.36 0.36 0.36 0.36 0.36 0.36 0.36
p-아미노-o-크레솔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암모니아수(28%) 2.0 2.0 2.0 2.0 2.0 2.0 2.0 2.0
모노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1.0 1.0
조합향 0.3 0.3 0.3 0.3 0.3 0.3 0.3 0.3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제 2제 조성물 (단위: 중량%)
성분 함량
세테아릴알코올 3.5
미네랄오일(경질유동이소파라핀) 1.0
경질유동이소파리핀 1.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0.5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1.5
페나세틴 0.03
디소듐이디티에이 0.2
인산 0.16
과산화수소수(35%) 17
정제수 to 100
혼합첨가제(제 3제) 조성물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8
자란 34
고삼 33
황련 33
* 실시예 8은 비교예 1의 제 1제와 표 2의 제 2제를 60g:60g의 비로 혼합시 혼합첨가제(제3제)를 1g씩 함께 혼합하여 염색
[ 시험예 1] 염색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염모제 조성물의 염착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제 1제 조성물과 상기 표 2의 제 2제 산화제 조성물을 1:1 비율로 혼합한 후 모발무게의 2배 되는 양을 취해 길이 12cm의 실험용 사람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모발은 흰머리가 약 30% 포함된 것을 이용하였다. 도포 후 통상적인 염모제 방치 시간인 30분간 방치한 후 샴푸액을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1분간 세척한 후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해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모발을 색차계(기종: Hunterlab Labscan XE)를 이용하여 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색차계로 측정한 명도값인 L*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L* 값이 클수록 색이 밝음을 의미하고, 작을수록 색이 진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염색 후의 L* 값이 작을수록 염색성이 우수함을 뜻한다.
상기 실시예 8은 비교예 1의 염모제와 상기 표 2의 제 2제 산화제 조성물을 60g:60g의 비율로 혼합할 때 상기 제 3제의 혼합첨가제를 1g씩 함께 혼합한 것으로 혼합 후 모발무게의 2배 되는 양을 취해 길이 12cm의 실험용 사람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모발은 흰머리가 약 30% 포함된 것을 이용하였다. 도포 후 통상적인 염모제 방치시간인 30분간 방치한 후 샴푸액을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1분간 세척한 후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해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모발을 색차계(기종: Hunterlab Labscan XE)를 이용하여 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색차계 측정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명도
(L*)
14.95 13.30 15.01 13.92 14.88 14.52 15.10 14.85 16.01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로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천연성분을 함유한 염모제 및 상기 천연성분을 혼합첨가제로 사용한 실시예 8의 염모제 모두에서 비교예 1에 비하여 염색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색상 지속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로 염색한 모발을 샴푸액에 넣은 후 shaker를 이용하여 30분간 200rpm의 속도로 흔들어 준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헹구어 헤어드라이어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L* 값을 측정하여 표 4의 명도값과의 차이인 ΔL* 값을 이용해 색상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ΔL* 값이 작을수록 색상 지속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명도차 측정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명도차
(ΔL*)
2.53 2.74 2.66 2.34 2.58 2.97 2.37 2.92 4.01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로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천연성분을 함유한 염모제 및 상기 천연성분을 혼합첨가제로 사용한 실시예 8의 염모제 모두에서 비교예 1에 비하여 염색색상 지속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시험예 3] 모발 손상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모발 손상감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염색한 모발을 전문 패널 5명이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모발
감촉
Χ
◎: 매우 부드러움, ○: 부드러움, △: 보통, Χ: 거침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조성물로 자란, 고삼, 황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천연성분을 함유한 염모제 및 상기 천연성분을 혼합첨가제로 사용한 실시예 8의 염모제 모두에서 비교예 1에 비하여 염색 후 모발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어 모발 보호 효과가 역시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카리제, 수용성 항산화제 및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를 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성분인 자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성분은 제 1제 또는 제 2제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성분은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혼합첨가제인 제 3제로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성분은 제 1제 또는 제 2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성분은 제 3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6. 삭제
  7. a) 천연성분인 자란을 제 1제 또는 제 2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하는 제1항의 염모제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염모제를 염색하고자 하는 모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염색 후, 모발을 그 상태로 또는 열처리를 하거나 모발보호필름으로 감싸고, 상온에서 방치한 후 염색된 모발을 세정하고, 건조시키는 후 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염색 방법.
  8. a) 천연성분인 자란을 제 3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하는 제3항의 염모제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염모제를 염색하고자 하는 모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염색 후, 모발을 그 상태로 또는 열처리를 하거나 모발보호필름으로 감싸고, 상온에서 방치한 후 염색된 모발을 세정하고, 건조시키는 후 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염색 방법.
  9.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카리제, 수용성 항산화제 및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 1제; 및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세트로서,
    상기 제 1제 또는 제 2제에 천연성분인 자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제 세트.
  10.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카리제, 수용성 항산화제 및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 1제;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 및 천연성분인 자란을 함유하는 혼합첨가제인 제 3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세트.
KR1020090024743A 2008-11-28 2009-03-24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65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43A KR101653642B1 (ko) 2009-03-24 2009-03-24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CN201410403390.7A CN104127332B (zh) 2008-11-28 2009-11-27 含有天然物质的氧化染色用组合物
PCT/KR2009/007044 WO2010062138A2 (en) 2008-11-28 2009-11-27 Composition for the oxidative dyeing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CN201410403462.8A CN104146911B (zh) 2008-11-28 2009-11-27 含有天然物质的氧化染色用组合物
CN200980147701.5A CN102227209B (zh) 2008-11-28 2009-11-27 含有天然物质的氧化染色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43A KR101653642B1 (ko) 2009-03-24 2009-03-24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70A KR20100106670A (ko) 2010-10-04
KR101653642B1 true KR101653642B1 (ko) 2016-09-05

Family

ID=4312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43A KR101653642B1 (ko) 2008-11-28 2009-03-24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584A (ko) * 2017-01-04 2018-07-12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20200127545A (ko) 2019-05-03 2020-11-11 서정용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71B1 (ko) * 2019-02-01 2020-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염색용 제제
WO2020159290A1 (ko) * 2019-02-01 2020-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염색용 제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28B1 (ko) * 2006-11-20 2007-09-07 (주)아모레퍼시픽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0812118B1 (ko) * 2006-11-30 2008-03-12 (주)아모레퍼시픽 동시매염기술을 이용한 천연염모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898B1 (ko) * 2007-04-27 2008-12-10 김경숙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28B1 (ko) * 2006-11-20 2007-09-07 (주)아모레퍼시픽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0812118B1 (ko) * 2006-11-30 2008-03-12 (주)아모레퍼시픽 동시매염기술을 이용한 천연염모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584A (ko) * 2017-01-04 2018-07-12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101957774B1 (ko) * 2017-01-04 2019-07-04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20200127545A (ko) 2019-05-03 2020-11-11 서정용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70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89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0625180B1 (ko) 염모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66154A (ja) 少なくとも1つのオルトジフェノール、1つの金属塩、過酸化水素及び(重)炭酸塩を含む組成物から出発する染髪方法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JP2010138175A (ja) オルトジフェノールから出発し、拭取り、乾燥または無濯ぎ段階を含む染色方法
KR101653642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8694B1 (ko) 모발 코팅 및 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0569788B1 (ko) 상심자, 상엽 또는 상백피를 포함하는 염모제용 조성물
KR101625470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562615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1제형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WO2013094282A1 (ja) 毛髪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並びに非治療的な美容方法
EP1348419B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grenadier pour le maintien de la coloration capillaire
KR101292828B1 (ko) 달팽이 점액 추출물이 함유된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73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JPH0940530A (ja) 頭髪用化粧料
KR20150045275A (ko) 가래나무 열매 청피(靑皮) 추출물 천연 염모제 조성물
KR100608711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염모용 조성물
KR20130042761A (ko) 두피자극 완화용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113885A1 (en) Herb hair dye preparations
KR100947544B1 (ko) 모발 스타일링 개선용 조성물
KR102569046B1 (ko) 흑호두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KR101793635B1 (ko) 산화 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458877B1 (ko) 오배자, 함초 및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826006B1 (ko) 천연 염료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