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459A - 인류클램프 - Google Patents

인류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459A
KR20200089459A KR1020190006190A KR20190006190A KR20200089459A KR 20200089459 A KR20200089459 A KR 20200089459A KR 1020190006190 A KR1020190006190 A KR 1020190006190A KR 20190006190 A KR20190006190 A KR 20190006190A KR 20200089459 A KR20200089459 A KR 2020008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insertion hole
clamp
sectional area
composit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철현
정헌수
Original Assignee
세명전기공업 (주)
권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전기공업 (주), 권철현 filed Critical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to KR102019000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459A/ko
Publication of KR2020008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인류 클램프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류 클램프는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강 클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강 클램프는 내부에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소정의 압축 공정에 의해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압축 고정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강 클램프의 삽입공은 상기 삽입공의 개구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류클램프{DEADEND CLAMP}
본 개시서는 압축력으로 전선을 고정하는 인류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압축력에 의해 전선의 복합 코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류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송전을 위해 다수 개의 송전 철탑이 설치된다. 인류클램프는 이러한 송전 철탑 간에 전선을 지지 연결시키는 장비로서 송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류클램프는 송전선의 인장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송전선의 선단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의 연결부 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류클램프는 송전선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송전선의 구성이 변함에 따라 인류클램프도 그에 맞춰 발전해왔다. 종래에는 강심과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된 송전선을 주로 사용했으나, 송전 효율의 증대를 위해 고효율 송전선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송전선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허용전류에서도 온도에 의한 처짐이 방지되기 위해 전선 중심에 탄소복합소재를 포함하는 복합 코어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코어는 탄소복합소재를 둘러싸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튜브가 전선을 압축 고정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18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15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5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198호
실시예들에 따르면, 압축력에 의해 전선 중 적어도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인류클램프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류클램프는 압축 공정 이후 전선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선의 복합 코어에 발생하는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일 측면에 있어서, 인류클램프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류 클램프는,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강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강 클램프는 내부에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소정의 압축 공정에 의해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압축 고정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강 클램프의 삽입공은 상기 삽입공의 개구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상기 삽입공의 개구부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전도성 외층 및 상기 전도성 외층을 지지하는 복합 코어(composite core)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복합 코어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코어는 탄소복합 코어 및 상기 탄소복합 코어를 둘러싸는 알루미늄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상기 강 클램프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단면적 및 상기 복합 코어의 단면적의 합이 상기 압축 공정에서의 압축 단면적보다 작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 클램프는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은, 상기 강 클램프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단면적 및 상기 복합 코어의 단면적의 합이 상기 압축 공정에서의 압축 단면적보다 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강 클램프에 전선의 적어도 일부를 압축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에 내구도가 약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에 포함된 튜브가 단차를 형성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을 강 클램프에 압축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전력의 송전을 위한 전선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에서 강 클램프가 클램프 본체(10)로부터 분해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비교예에 따른 강 클램프에 전선이 압축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S10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 클램프에 전선이 압축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압축 공정 과정에서 강 클램프의 단면의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클램프 본체에 대한 압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전력의 송전을 위한 전선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도성 외층(4) 및 전도성 외층(4)을 지지하는 복합 코어(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외층(4)은 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외층(4)은 복수 개의 알루미늄 선재가 나선형으로 감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외층(4)은 알루미늄 외에 다른 금속이나 합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합 코어(1)는 전도성 외층(4)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복합 코어(1)는 전도성 외층(4)을 지지함으로써, 전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코어(1)는 탄소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탄소복합 코어(2) 및 탄소복합 코어(2)를 둘러싸는 튜브(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3)는 연질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낸 전선을 LSCC(Low Sag Composite Core) 전선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나타낸 전선은 본 개시서에서 다루는 인류클램프에 삽입될 수 있는 전선 중 일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할 뿐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는 클램프 본체(10), 강 클램프(20), 연결 브라켓(30) 및 점퍼 터미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강 클램프(20)는 클램프 본체(10)에 형성된 결합공의 제1 단에 삽입될 수 있다. 강 클램프(20)는 압축 공정에 의해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 안에 압축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의 제2 단에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다.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의 제2 단에 삽입된 전선 중 적어도 일부는 강 클램프(20)의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나타낸 전선 중 복합 코어(1)가 강 클램프(20)의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30)은 클램프 본체(10)와 점퍼 터미널(40)을 연결할 수 있다. 점퍼 터미널(40)에는 점퍼선이 삽입될 수 있다. 인류클램프는 클램프 본체(10)에 삽입되는 전선과 점퍼 터미널(40)에 삽입되는 점퍼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점퍼선을 통해 전력이 송전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에서 강 클램프(20)가 클램프 본체(10)로부터 분해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강 클램프(20)는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다. 강 클램프(20)는 외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영역(21)을 포함할 수 있다. 강 클램프(20)가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에 삽입되면, 압축 공정이 실시될 수 있다. 압축 공정에 의해 강 클램프(20)의 적어도 일부는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에 압축 고정될 수 있다. 압축 공정에서 클램프 본체(10)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가 강 클램프(20)의 돌출부들 사이로 밀려나옴으로써, 강 클램프(20)의 압축 고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강 클램프(20)의 삽입공에는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전선의 적어도 일부는 압축 공정에 의해 강 클램프(20)의 삽입공 내부에 압축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상술한 압축 고정 과정에서 전선의 일부가 손상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비교예에 따른 강 클램프(70)에 전선이 압축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강 클램프(70)의 삽입공(71)에 전선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의 복합 코어(1)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강 클램프(70)의 삽입공(71)에 삽입될 수 있다. 복합 코어(1)는 탄소복합 코어(2) 및 튜브(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는 연질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정 이전 삽입공(71)의 단면적은 복합 코어(1)의 단면적보다 근소하게 클 수 있다. 즉, 삽입공(71)의 직경은 복합 코어(1)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클 수 있다. 압축 공정은 복합 코어(1)를 삽입공(71) 안에 고정시키기 위해 실시될 수 있다. 강 클램프(70)에 대해 압축력이 가해짐으로써, 압축 공정이 실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압축 공정 이후 강 클램프(70)의 삽입공(71)의 단면적이 압축 공정 전 복합 코어(1)의 단면적보다 작아질 수 있다. 즉, 압축 공정 이후 삽입공(71)의 직경이 압축 공정 전 복합 코어(1)의 직경보다 작아질 수 있다. 튜브(3)에 포함된 연질 알루미늄 중 일부가 삽입공(71)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영역(50)에는 연질 알루미늄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71)의 개구부를 경계로 튜브(3)의 두께가 불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영역(50)에서 튜브(3)가 계단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선 공사시 전선에 작용하는 외력 또는 인장력이나 가선 공사 후 풍력 등에 의해 전선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 영역(50)에 응력이 집중되어 튜브(3)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선이 송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류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램프 본체(10)는 강 클램프(20)가 삽입되는 결합공(1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공(12)의 일단에는 강 클램프(20)가 삽입되고, 결합공(12)의 타단에는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강 클램프(20)는 삽입공(2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공(22)은 삽입공(22)의 개구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S10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삽입공(22)은 삽입공(22)의 단면적이 개구부 방향으로 증가하는 영역(23)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23)에서는 삽입공(22)의 직경이 개구부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영역(23)에서, 삽입공(22)의 단면적은 개구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영역(23)에서 삽입공(22)의 단면적은 개구부 방향으로 단조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영역(23)에서, 삽입공(22)의 직경은 개구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영역(23)에서 삽입공(22)의 직경은 개구부 방향으로 단조 증가할 수 있다.
영역(23)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 삽입공(22)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삽입공(22)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상술한 삽입공(22)의 직경은 삽입공(22)의 단면적과 관련된 다른 파라미터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공(22)이 개구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23)을 포함함으로써, 도 4b에서 나타낸 튜브(3)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강 클램프(70)에 전선이 압축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강 클램프(20)의 삽입공(22)에 전선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선의 복합 코어(1)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강 클램프(20)의 삽입공(22)에 삽입될 수 있다. 압축공정 이전 삽입공(22)의 단면적은 복합 코어(1)의 단면적보다 근소하게 클 수 있다. 즉, 삽입공(22)의 직경은 복합 코어(1)의 직경보다 근소하게 클 수 있다. 압축 공정은 복합 코어(1)를 삽입공(22) 안에 고정시키기 위해 실시될 수 있다. 강 클램프(70)에 대해 압축력이 가해짐으로써, 압축 공정이 실시될 수 있다. 압축 공정에 의해 삽입공(22)의 적어도 일부분은 단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삽입공(22)의 구체적인 형상도 압축 공정 동안 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축 공정 이후 중 영역(2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강 클램프(20)의 삽입공(22)의 단면적이 압축 공정 전 복합 코어(1)의 단면적보다 작아질 수 있다. 압축 공정 전, 영역(2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있던 튜브(3)의 연질 알루미늄 중 일부가 압축 공정 후 영역(23)으로 밀려나올 수 있다.
영역(23)에서 삽입공(22)의 단면적이 개구부 방향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연질 알루미늄이 단차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영역(23)에서 삽입공(22)의 단면적이 개구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단조 증가하기 때문에 튜브(3)의 두께가 불연속적으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튜브(3)가 계단 형상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선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선의 특정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응력 집중 현상에 의한 튜브(3)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압축 공정 과정에서 강 클램프(20)의 단면의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강 클램프(20)의 외벽에 압축력이 가해짐으로써, 압축 공정이 실시될 수 있다. 압축 공정 전, 삽입공(22)의 단면적이 복합 코어(1)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압축 공정 과정에서 강 클램프(20)의 외면은 압축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삽입공(22)의 모양도 근소하게 변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압축 공정 이후 강 클램프(20)의 외벽이 육각형 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압축 공정 이전보다 삽입공(22)의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영역(2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있던 튜브(3)의 연질 알루미늄 중 일부가 영역(23)으로 밀려날 수 있다. 도 9b에서는 압축 공정에서 압축 단면적이 정육각형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압축 단면적의 구체적인 형상은 압축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와 공정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의 영역(2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삽입공(22)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단면적(S1) 및 복합 코어(1)의 단면적(S2)의 합이 도 9b에서 나타낸 압축 단면적(S3)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압축비(R)라는 파라미터를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압축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S1은 삽입공(22)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단면적을 나타내고, S2는 복합 코어(1)의 단면적을 나타내고, S3는 압축 단면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3는 도 9b에서 나타낸 정육각형의 면적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의 영역(2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R>1일 수 있다. 즉, 삽입공(22)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에서 압축비 R이 1보다 클 수 있다. R>1인 영역에서는 압축 공정 과정에서 튜브(3)의 연질 알루미늄 중 적어도 일부가 R>1인 영역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
반면, 도 8의 영역(23)중 적어도 일부에서는 R<1일 수 있다. 즉, 압축 단면적보다 삽입공(22)의 외벽과 내벽 사이의 단면적 및 복합 코어(1)의 단면적의 합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R<1인 영역은, R>1인 영역에서 밀려나온 연질 알루미늄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0은 클램프 본체(10)에 대한 압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선의 복합 코어(1)는 강 클램프(20)의 삽입공 내부에 압축 고정될 수 있다. 강 클램프(20)는 영역(17)에 대한 압축 공정에 의해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에 압축 고정될 수 있다. 영역(17)에 대한 압축 공정에서 클램프 본체(10)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분이 강 클램프(20)의 외벽에 형성된 돌출부들 사이로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강 클램프(20)의 고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전선의 적어도 일부는 영역(15)에 대한 압축 공정에 의해 클램프 본체(10)의 결합공에 압축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인류클램프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강 클램프에 전선의 적어도 일부를 압축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에 내구도가 약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에 포함된 튜브가 단차를 형성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을 강 클램프에 압축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본 개시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클램프 본체
20 : 강 클램프
30 : 연결 브라켓
40 : 점퍼 터미널

Claims (7)

  1. 인류클램프에 있어서,
    내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강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강 클램프는 내부에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소정의 압축 공정에 의해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압축 고정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강 클램프의 삽입공은 상기 삽입공의 개구부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인류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상기 삽입공의 개구부 말단에 형성되는 인류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전도성 외층 및 상기 전도성 외층을 지지하는 복합 코어(composite core)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복합 코어 중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인류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코어는 탄소복합 코어 및 상기 탄소복합 코어를 둘러싸는 알루미늄 튜브를 포함하는 인류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인류클램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영역은, 상기 강 클램프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단면적 및 상기 복합 코어의 단면적의 합이 상기 압축 공정에서의 압축 단면적보다 작은 영역을 포함하는 인류클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 클램프는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은, 상기 강 클램프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단면적 및 상기 복합 코어의 단면적의 합이 상기 압축 공정에서의 압축 단면적보다 큰 영역을 포함하는 인류클램프.
KR1020190006190A 2019-01-17 2019-01-17 인류클램프 KR20200089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90A KR20200089459A (ko) 2019-01-17 2019-01-17 인류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90A KR20200089459A (ko) 2019-01-17 2019-01-17 인류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59A true KR20200089459A (ko) 2020-07-27

Family

ID=7189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90A KR20200089459A (ko) 2019-01-17 2019-01-17 인류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45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82Y1 (ko) 2000-03-27 2000-09-15 세명전기공업주식회사 송전선 고정용 압축인류클램프
KR200291155Y1 (ko) 2002-07-09 2002-10-11 세명전기공업 (주)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KR200306562Y1 (ko) 2002-12-03 2003-03-11 세명전기공업 (주)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KR20130058198A (ko) 2011-11-25 2013-06-04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82Y1 (ko) 2000-03-27 2000-09-15 세명전기공업주식회사 송전선 고정용 압축인류클램프
KR200291155Y1 (ko) 2002-07-09 2002-10-11 세명전기공업 (주)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KR200306562Y1 (ko) 2002-12-03 2003-03-11 세명전기공업 (주)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KR20130058198A (ko) 2011-11-25 2013-06-04 한국전력공사 압축인류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246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US10833498B2 (en) Assembly component of compression type anchor clamp, anchor structure of power-transmission line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mpression type anchor clamp
JP5060800B2 (ja) 自立型乾式終端接続部
US10700504B2 (en) Assembly component of compression joint member, compression joint structure of power-transmission line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mpression joint member
JP2005339850A (ja) アルミ線ケーブル用端子の防水構造
KR20200089459A (ko) 인류클램프
JP6168923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3160110U (ja) 撚り合せ電線の引き留め端部構造
KR20160145090A (ko) 특히 중-고열 제한 및 높은 전기 로드들에서의 저팽창에 대한, 베어 오버헤드 전기 라인들에 대한 도체
US8664529B2 (en) Ultra high performance connectors for power transmission applications
JP5003942B2 (ja) 超電導ケーブル、および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部
JPH11121053A (ja) 圧縮型電線接続管
JP2009296710A (ja) 自立型乾式終端接続部
JP2006325321A (ja) ポリマー套管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2003123542A (ja) 架空絶縁電線
CN111786328B (zh) 一种用于固定空间行波管高压电缆的法兰盘
JP2006286333A (ja) Frp棒の端末固定構造
JPH0851709A (ja) 圧縮型引留クランプおよびプレハブ電線
JP2005312283A (ja) 超電導ケーブル用プーリングアイ及びプーリングアイを用いた超電導ケーブルの布設方法
CN213278534U (zh) 一种防潮电气接线端子
JP2009151951A (ja) 電線接続体
JPH0487212A (ja) 撚合せ電線
RU114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ма провода
JPH0837712A (ja) 光ファイバ複合架空地線の塔頂部の防食方法
JPH09140037A (ja) 圧縮型引留め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