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562Y1 -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562Y1
KR200306562Y1 KR20-2002-0036035U KR20020036035U KR200306562Y1 KR 200306562 Y1 KR200306562 Y1 KR 200306562Y1 KR 20020036035 U KR20020036035 U KR 20020036035U KR 200306562 Y1 KR200306562 Y1 KR 200306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ce plate
clamp
compression
hexa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기
Original Assignee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전기공업 (주) filed Critical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to KR20-2002-0036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5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 본체의 접속면판과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을 체결하는 육각볼트와 육각너트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므로서, 육각볼트와 육각너트의 초기 압축조임력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조절되어 접속면판의 접속면 전체에 골고루 가해지면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송전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전선(60)이 접속되어 철탑(70) 암측에 연결되는 클램프 본체(10)의 접속면판(11)에, 점퍼선(61)을 압축고정하는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이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로 체결되고, 상기 접속면판(11)(21) 외측면에는 보강판(30)(31)이 각각 결합되는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육각볼트(50)의 외경에 코일압축판(41)과 코일스프링(40)을 차례로 결합하여 자연 온냉현상으로 인한 접속면판(11)(21)의 팽창수축시에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초기 압축조임력이 코일스프링(40)의 폭넓은 탄성조절작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compression type deadend clamp for transmission lines}
본 고안은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 본체의 접속면판과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을 체결하는 육각볼트와 육각너트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므로서, 육각볼트와 육각너트의 초기 압축조임력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조절되어 접속면판의 접속면 전체에 골고루 가해지면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송전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 장거리 송전 수송 설비인 각 철탑간 전선을 지지 연결시켜 양질의 전기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압축형 인류클램프는 송전선로 자체 중량 및 풍압에 의한 진동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가설 및 송전상 연결이 용이토록 제작되며,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양질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도전성이 높은 고순도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져 있다.
상기 종래의 압축형 인류클램프의 구성과 역할 및 사용방법은 본 고안 출원인의 선등록 제20-0291155호의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이하 '선등록 고안'이라 한다.)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선등록 고안은 종래의 압축형 인류클램프가 접속면판의 접속부를 압축하는 조임 강도에 비해 볼트, 너트의 압축부 면적이 적어 국부적 과다 조임을 받게 되고, 시공 후 자연의 온냉현상 반복에 의한 본체와 점퍼터미널의 수축, 팽창발생의 원인에 의하여 볼트, 너트가 느슨해져 전기저항이 증가, 클램프 가열 등 불완전 접속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송전선로의 송전효율이 저하되어 많은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상기 볼트와 너트가 닿는 접속면판 외측면에 경도 및 내력이 볼트, 너트보다 강한 보강판재를 각각 접착제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압축형 인류클램프의 문제점을 해결한 선등록 고안을 더욱 합리적으로 개량한 고안으로서,
본체와 점퍼터미널의 접속면판을 육각볼트, 육각너트로 체결시 보강판과 함께 코일압축판과 코일스프링을 장착하므로서, 코일스프링의 폭넓은 탄성작용이 자연 온냉현상 반복에 의한 접속면판의 팽창, 수축을 자동조절하여 접속면판부의 초기 압축조임력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는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압축형 인류클램프의 가설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6는 종래의 압축형 인류클램프의 조립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접속면판 12:스리브 13:강클램프
20:점퍼터미널 21:접속면판 22:스리브
30:보강판 31:보강판
40:코일스프링 41:코일압축판
50:육각볼트 51:육각너트
60:송전선 61:점퍼선 70:철탑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송전선(60)이 접속되어 철탑(70) 암측에 연결되는 클램프 본체(10)의 접속면판(11)에, 점퍼선(61)을 압축고정하는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이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로 체결되고, 상기 접속면판(11)(21) 외측면에는 보강판(30)(31)이 각각 결합되는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육각볼트(50)의 외경에 코일압축판(41)과 코일스프링(40)을 차례로 결합하여 자연 온냉현상으로 인한 접속면판(11)(21)의 팽창수축시에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초기 압축조임력을 코일스프링(40)의 폭넓은 탄성조절작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본체(10)와 점퍼터미널(20)의 체결과정 및 작용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서로 압축연결된 강클램프(13)와 송전선(60)이 스리브(12)와 함께 압축고정된 본체(10)는 철탑(70)암측의 애자장치와 조립연결된다.
본체(10)가 철탑(7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접속면판(11)에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을 맞댄다.
이때 보강판(30)(31)은 서로 맞닿인 접속면판(11)(21)의 양측 외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접속면판(11)과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을 맞댄 상태에서 코일압축판(41)과 코일스프링(40)이 차례로 결합된 육각볼트(50)를 본체(10)의 접속면판(11)과 보강판(30)측의 체결 홀(부호생략)로 삽입하여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과 보강판(31)측의 체결 홀(부호생략)로 관통시킨 후 육각볼트(50)의 나사부에 육각너트(51)를 조립하여 접속면판(11)(21)의 알루미늄면이 서로 긴밀히 밀착되도록 조여준다.
상기 코일압축판(41)은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조임과 동시에 코일스프링(40)을 보강판(30) 사이에서 압축조절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접속면판(11)(21)을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가 조여주는 과정에서 경도 및 내력이 강한 보강판(30)(31)에 의해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가 맞닿는 부위의 접속면판(11)(21)은 파여들어가지 않게되고 보강판(30)과 코일압축판(41) 사이에 위치한 코일스프링(40)은 압축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압축 조임력이 국부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보강판(30)(31)에 의해 접속면판(11)(21)의 접속면 전체에 골고루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조임으로 수축된 코일스프링(40)은 자연 온냉현상으로 인한 접속면판(11)(21)의 팽창수축시에 폭넓은 탄성조절력으로 즉각 대응하여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초기 압축조임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와 점퍼터미널(20)의 상호 접속이 완료되면 송전선(60)으로 수송된 전기는 본체(10)의 접속면판(11)과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 그리고 스리브(22)에 압축고정된 점퍼선(61)이 반대측 철탑아암에 연결된 인류클램프의 점퍼터미널(20)과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도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접속면판(11)(21)을 수개의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로서 체결할 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코일압축판(41)이 육각볼트(50) 외경에 결합된 각각의 코일스프링(40)을 동시에 압축시킴으로서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이 접속면판(11)(21)을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접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와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11)(21) 양쪽 외측면에 각각 강재질의 보강판(30)(31)를 부착하되, 본체(10) 접속면판(11)의 보강판(30) 외측면에는 코일스프링(40)이 맞닿이도록 결합하므로써 접속면판(11)(21) 표면을 파들어 가는 현상이 방지되고,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압축조임력이 접속면 전체로 균일하게 작용함과 동시에, 자연 온냉현상으로 접속면판(11)(21)의 팽창수축시에도 코일스프링(40)의 폭넓은 탄성작용으로 초기 압축조임력이 장기간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불완전 접속으로 인해 저항이 증가되어 접속부가 가열되고 전력의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송전선로의 안정적 운용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는 효과를 득할 수 있다.

Claims (1)

  1. 송전선(60)이 접속되어 철탑(70) 암측에 연결되는 클램프 본체(10)의 접속면판(11)에, 점퍼선(61)을 압축고정하는 점퍼터미널(20)의 접속면판(21)이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로 체결되고, 상기 접속면판(11)(21) 외측면에는 보강판(30)(31)이 각각 결합되는 압축형 인류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육각볼트(50)의 외경에 코일압축판(41)과 코일스프링(40)을 차례로 결합하여 자연 온냉현상으로 인한 접속면판(11)(21)의 팽창수축시에 육각볼트(50)와 육각너트(51)의 초기 압축조임력이 코일스프링(40)의 폭넓은 탄성조절작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KR20-2002-0036035U 2002-12-03 2002-12-03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KR200306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035U KR200306562Y1 (ko) 2002-12-03 2002-12-03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035U KR200306562Y1 (ko) 2002-12-03 2002-12-03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562Y1 true KR200306562Y1 (ko) 2003-03-11

Family

ID=4940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035U KR200306562Y1 (ko) 2002-12-03 2002-12-03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5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26B1 (ko) 2008-07-19 2009-01-19 (주)화신파워텍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KR20190019454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36302A (ko)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속개소 과열방지 클램프
KR20200089459A (ko) 2019-01-17 2020-07-27 세명전기공업 (주) 인류클램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26B1 (ko) 2008-07-19 2009-01-19 (주)화신파워텍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KR20190019454A (ko) *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102554300B1 (ko) * 2017-08-17 2023-07-12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20230107516A (ko) * 2017-08-17 2023-07-17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20230107517A (ko) * 2017-08-17 2023-07-17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102558374B1 (ko) * 2017-08-17 2023-07-24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102558373B1 (ko) * 2017-08-17 2023-07-24 한국전력공사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36302A (ko) 2017-09-27 2019-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속개소 과열방지 클램프
KR20200089459A (ko) 2019-01-17 2020-07-27 세명전기공업 (주) 인류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04405Y (zh) 带电紧固针式绝缘子的工器具
KR200306562Y1 (ko)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US7481684B2 (en) Z-shaped transformer bar electrical connector
CN102683917A (zh) 管母线锥形紧压器
KR200291155Y1 (ko)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CN213484004U (zh) 一种输电线路用线缆快速连接装置
KR101891718B1 (ko)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CN111430950A (zh) 板式电力连接夹线装置
KR100877082B1 (ko) 행어케이블 연결커넥터 및 행어케이블 시공공법
CN203135324U (zh) 一种输电线路维修用收紧工具
CN100414690C (zh) 一种大功率器件及其散热器件的压装方法
CN204947517U (zh) 一种插接母线的高可靠性连接组件
CN210201444U (zh) 一种线路开断结构
CN214674227U (zh) 一种新型铁附件卡紧装置
CN114123030A (zh) 一种三联耐张绝缘子串更换工具及其更换方法
JP3195558B2 (ja) プレハブカマレス工法用連結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連結金具類
CN217063216U (zh) 合金力矩j型线夹
CN202534793U (zh) 管母线锥形连接装置
US2182151A (en) Cable connector
CN205724774U (zh) 单联单挂点耐张串
CN107732474B (zh) 一种全预制直流高压绝缘管型母线接头
CN201233970Y (zh) 接地线束紧连接器
CN217087448U (zh) 一种防滑强握力耐张线夹
KR200303406Y1 (ko) 송전 철탑의 볼트 고정장치
CN212257057U (zh) 一种减少绝缘件运行中电弧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