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373B1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8373B1 KR102558373B1 KR1020230086963A KR20230086963A KR102558373B1 KR 102558373 B1 KR102558373 B1 KR 102558373B1 KR 1020230086963 A KR1020230086963 A KR 1020230086963A KR 20230086963 A KR20230086963 A KR 20230086963A KR 102558373 B1 KR102558373 B1 KR 102558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pad
- unit
- live wire
- pin
- wire clam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개소의 서로 이격 된 접속패드를 밀착시켜는 이동유닛,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속패드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이동유닛을 구속 해제시키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접속패드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패드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와 열화상 카메라로 상기 과열개소를 검출하는 과열개소 검출단계, 상기 과열개소에 맞춰 상기 활선 클램프를 세팅하는 세팅단계, 세팅된 상기 활선 클램프를 상기 과열개소에 설치하는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시 휴전이 불가능한 과열개소에 임시로 과열을 해소할 수 있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속패드의 이격에 의한 저항값 상승으로 발생된 과열개소의 접속패드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착시킴으로써 과열을 해소시키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각 가정 또는 공장 등 전기사용지점까지 수송하기 위해서 송변전설비가 필요하다. 송변전설비에서 변전소 내 변압기와 철구, 변전소와 철탑간 등 전력선으로 연결된 부분에는 압축인류크램프 소켓 또는 부싱단자대 형태의 접속개소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접속개소 단자간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단자접속부에 체결된 볼트가 느슨해질 경우 단자에 과열이 발생한다.
이때 즉시 관련설비를 휴전하고 과열개소에 대해 보수를 수행해야 하지만 계통 여건상 즉시 휴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즉시 휴전하여 조치하기 불가능한 과열개소에 대해 활선상태에서 임시로 과열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송변전설비의 활선상태에서 휴전 없이 과열개소의 과열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공구(조작봉 등)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접속패드로 고정유닛을 가압함과 동시에 이동유닛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접속패드를 밀착시키는 원터치 형식으로 설치가 용이한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와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과열개소의 서로 이격 된 접속패드를 밀착시켜는 이동유닛, 바디에 고정되어 이동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고정유닛은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형으로 삽입되는 접속패드에 의해 가압되어 바디로부터 이동유닛을 구속 해제시키고, 이동유닛은 접속패드와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접속패드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는 임시로 단자를 장악함과 동시에 전류의 우회로를 제공함으로써 과열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원터치 형식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의 공구를 그대로 설치에 적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크기가 작아 인근 접지 또는 타상과의 혼촉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제2핀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설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제2핀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설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과열개소의 서로 이격된 접속패드를 밀착시켜는 이동유닛(10), 바디(3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2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접속패드(P)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이동유닛을 구속 해제시키고, 구속 해제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접속패드와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패드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제2핀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유닛(10)은 상기 접속패드(P)를 누르는 누름부재(11),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접속패드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볼트(12), 상기 바디(30)와 상기 누름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3),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14)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이동유닛의 최대 이동깊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유닛(10)의 최대 이동깊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볼트(12)의 타측에는 상기 과열개소에 상기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설치 시 사용되는 조작봉이 삽입되는 제1조작봉 삽입부(15)가 위치한다.
상기 고정유닛(20)은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11)에 고정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핀(20a)과, 상기 접속패드(P)에 의해 상기 바디(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핀의 고정부(22)를 상기 바디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핀(20b)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20)이 상기 바디(30)의 제2수평부가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패드(P)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핀(20a)은 상기 접속패드(P)와 상기 누름부재(11)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핀은 상기 바디(30)를 관통하며 상기 접속패드(P)와 상기 누름부재(11)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21), 상기 제1핀을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22),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바디로부터 이탈되면 전개되는 전개부(23), 상기 이동부와 상기 전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힌지(24), 상기 전개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힌지(25)를 포함하며 상기 전개부는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상기 바디(30)는 상기 접속패드(P)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1수평부, 제2수평부,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10)이 구속 해제되어 하강하면 상기 제2수평부와 상기 누름부재(11)에 의해 상기 접속패드가 밀착된다. 상기 제1수평부는 상기 볼트(12)가 삽입되는 제1홀(31), 상기 이동부(21)가 삽입되는 제2홀(32)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고정부(22) 및 제2핀(20b)이 삽입되는 제3홀(33)을 포함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2핀(20b)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제2핀은 제2탄성부재(27)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홀(33)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이다. 상기 접속패드(P)에 의해 상기 제2탄성부재(27)가 가압된 만큼 상기 제2핀(20b)이 상기 제3홀(33)로 이동하며 상기 제1핀의 고정부(22)를 밀어내게 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3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상기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는 도전성능 강화를 위해 상기 제1수평부와 상기 누름부재(1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과열개소의 전류 우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편조선 등 연성을 갖는 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40a)와 제2연결부재(4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볼트(12)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체결된다.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과열개소에 상기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를 설치 시 사용되는 조작봉이 삽입되는 제2조작봉 삽입부(34)가 위치한다. 상기 제1조작봉 삽입부(15)와 상기 제2조작봉 삽입부(34)는 활선상태에서 상기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위치 및 방향을 규정하지 않으나 도 3과 같이 상기 제1조작봉 삽입부와 상기 제2조작봉 삽입부의 관통 방향을 서로 수직하도록 형성하여 설치 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는 도체로 형성되며 동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탄성부재(13)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는 상기 제1탄성부재가 스프링으로 적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설치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열화상 카메라로 상기 과열개소를 검출하는 과열개소 검출단계(S10), 상기 과열개소에 맞춰 상기 활선 클램프를 세팅하는 세팅단계(S20), 세팅된 상기 활선 클램프를 상기 과열개소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제1핀의 고정부(22)를 가압하는 고정부 가압단계(S31),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바디의 수직부를 이탈하는 수직부 이탈단계(S32), 상기 제1핀(20a)이 상기 바디의 제1수평부를 관통하여 하강하는 제1핀 하강단계(S34), 상기 이동유닛(10)이 상기 바디의 제1수평부를 관통하여 하강하는 이동유닛 하강단계(S34),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던 접속패드가 밀착되는 접속패드 밀착단계(S3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 가압단계(S31)는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패드(P)가 상기 제2핀(20b)을 가압하여 상기 제2핀이 상기 바디의 수직부에 삽입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직부 이탈단계(S32)와 상기 제1핀 하강단계(S34) 중간에 상기 제1핀의 전개부(23)가 상기 힌지(24)를 기준으로 전개되는 전개부 전개단계(S33)가 진행되며, 상기 제1핀 하강단계(S34)와 상기 이동유닛 하강단계(S34)는 동시에 진행된다.
상기 수직부 이탈단계(S32)는 상기 제1핀의 고정부(22)가 상기 제2힌지(25)를 기준으로 전개되는 고정부 전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닛 하강단계(S34)와 상기 접속패드 밀착단계(35)의 중간에 상기 이동유닛(10)이 상기 너트(14)에 의해 정지되는 이동유닛 정지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세팅단계(S30)는 상기 너트(14)를 풀거나 조여서 상기 이동유닛(10)의 최대 이동깊이를 설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이동유닛의 최대 이동깊이는 상기 과열개소의 제원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원은 상기 접속패드(P)의 두께, 상기 이동유닛의 제1탄성부재(13)의 탄성계수, 제2탄성부재(27)의 탄성계수 등을 포함한다.
과열개소의 휴전 후 상기 제1조작봉 삽입부(15) 및 제2조작봉 삽입부(34)에 조작봉을 삽입하여 일정 힘 이상을 가하여 당김으로써 상기 활선 클램프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 후에는 또 다른 과열개소에 제원에 맞춰 세팅 후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이동유닛
20 : 고정유닛
30 : 바디
20a : 제1핀
20b : 제2핀
11 : 누름부재
12 : 볼트
13 : 제1탄성부재
14 : 너트
15 : 제1조작봉 삽입부
21 : 이동부
22 : 고정부
23 : 전개부
24 : 제1힌지
25 : 제2힌지
27 : 제2탄성부재
31 : 제1홀
32 : 제2홀
33 : 제3홀
34 : 제2조작봉 삽입부
40 : 연결부재
40a : 제1연결부재
40b : 제2연결부재
P : 과열개소 접속패드
20 : 고정유닛
30 : 바디
20a : 제1핀
20b : 제2핀
11 : 누름부재
12 : 볼트
13 : 제1탄성부재
14 : 너트
15 : 제1조작봉 삽입부
21 : 이동부
22 : 고정부
23 : 전개부
24 : 제1힌지
25 : 제2힌지
27 : 제2탄성부재
31 : 제1홀
32 : 제2홀
33 : 제3홀
34 : 제2조작봉 삽입부
40 : 연결부재
40a : 제1연결부재
40b : 제2연결부재
P : 과열개소 접속패드
Claims (1)
- 과열개소의 서로 이격 된 접속패드를 밀착시켜는 이동유닛;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접속패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이동유닛을 구속 해제시키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접속패드와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패드를 밀착시키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접속패드를 누르는 누름부재;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접속패드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볼트;
상기 바디와 상기 누름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를 포함하여, 상기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이동유닛의 최대 이동깊이를 설정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일측이 상기 누름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핀;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바디의 제2수평부가 형성된 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패드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핀은 상기 접속패드와 상기 누름부재가 접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접속패드에 의해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제1핀의 고정부를 상기 바디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6963A KR102558373B1 (ko) | 2017-08-17 | 2023-07-05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4361A KR102554300B1 (ko) | 2017-08-17 | 2017-08-17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KR1020230086963A KR102558373B1 (ko) | 2017-08-17 | 2023-07-05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4361A Division KR102554300B1 (ko) | 2017-08-17 | 2017-08-17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7516A KR20230107516A (ko) | 2023-07-17 |
KR102558373B1 true KR102558373B1 (ko) | 2023-07-24 |
Family
ID=655611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4361A KR102554300B1 (ko) | 2017-08-17 | 2017-08-17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KR1020230086963A KR102558373B1 (ko) | 2017-08-17 | 2023-07-05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KR1020230086964A KR102558374B1 (ko) | 2017-08-17 | 2023-07-05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4361A KR102554300B1 (ko) | 2017-08-17 | 2017-08-17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6964A KR102558374B1 (ko) | 2017-08-17 | 2023-07-05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5543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99699B (zh) * | 2020-07-27 | 2021-10-26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 一种并沟线夹安装工具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562Y1 (ko) * | 2002-12-03 | 2003-03-11 | 세명전기공업 (주) |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69937B2 (ja) * | 2010-08-23 | 2014-08-13 | 古河電工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 ルーズ電線把持部 |
-
2017
- 2017-08-17 KR KR1020170104361A patent/KR102554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7-05 KR KR1020230086963A patent/KR1025583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07-05 KR KR1020230086964A patent/KR1025583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562Y1 (ko) * | 2002-12-03 | 2003-03-11 | 세명전기공업 (주) |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9454A (ko) | 2019-02-27 |
KR102554300B1 (ko) | 2023-07-12 |
KR20230107516A (ko) | 2023-07-17 |
KR102558374B1 (ko) | 2023-07-24 |
KR20230107517A (ko) | 2023-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8373B1 (ko) | 임시보수용 활선 클램프 및 그 설치방법 | |
KR102333251B1 (ko) |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 |
KR101666993B1 (ko) |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 |
KR101344039B1 (ko) |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 |
CN214755178U (zh) | 一种旁路电缆与带电导线连接装置 | |
KR101028142B1 (ko) |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 |
KR20200034155A (ko) |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 |
KR20170136242A (ko) | 분리공구 | |
KR102290560B1 (ko) |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 |
KR101228015B1 (ko) | 모선 및 자선 버스바용 다지점 연결장치 | |
CN102769215A (zh) | 一种筒式开关试验型分线接线端子 | |
KR101477611B1 (ko) |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 |
CN105008941B (zh) | 用于限制力的装置和方法 | |
KR200460891Y1 (ko) | 배전선로용 풀림방지형 활선클램프 | |
CN100439783C (zh) | 电缆箝位装置 | |
CN211553107U (zh) | 无线温度传感器安装机构及无线温度传感器 | |
US9303789B2 (en) | Disconnect device for suspended lines | |
KR102559513B1 (ko) |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 |
CN218975371U (zh) | 一种便于外界导线快速安装的断路器 | |
CA2813629C (en) | Hot line stirrup connector | |
KR20190018219A (ko) |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 |
CN113851865A (zh) | 欧米伽型通用线夹 | |
CN205828318U (zh) | 一种塑壳断路器分合闸推头 | |
JP5973525B2 (ja) | カットアウト装置 | |
CN204117992U (zh) | 一种控制与保护开关电器的底板安装导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