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155A -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155A
KR20200034155A KR1020180113528A KR20180113528A KR20200034155A KR 20200034155 A KR20200034155 A KR 20200034155A KR 1020180113528 A KR1020180113528 A KR 1020180113528A KR 20180113528 A KR20180113528 A KR 20180113528A KR 20200034155 A KR20200034155 A KR 20200034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engaging
pres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학
이선무
배이수
하성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155A/ko
Publication of KR2020003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1Transformer bushing type or high voltage underground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은: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단자봉을 구비하는 단자판부와, 접속홀부에 삽입되며,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싱부와, 단자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되면,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단자봉과 외부 접속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UNIT FOR CONNECTING SECONDARY CONNECTION TERMINAL OF GROUND TRANSFORMER}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편리하게 부싱부와 단자판부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변압기는 22.9KV의 특고압 지중 배선선로에서 가정용이나 산업용의 각종 설비에 저압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상변압기는 변압기의 측벽에 부싱이 장착되고, 부싱의 외부 접속부에 단자판이 연결된다. 이때, 볼트결합에 의해 압착력을 가지는 단자판의 클램프부가 부싱의 외부 접속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볼트결합에 의해 단자판과 외부 접속부가 연결되므로, 단자판과 외부 접속부의 연결작업 및 교체작업 등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때 볼트결합을 위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럽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538호(발명의 명칭: 지상변압기의 단자판 연결구조, 공개일: 2011.02.1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부싱부와 단자판부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은: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단자봉을 구비하는 단자판부;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며,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싱부; 및 상기 단자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봉과 상기 외부 접속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부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홀부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단자봉과 상기 외부 접속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판부는, 제2차 케이블단자가 접속되는 단자연결홀부가 형성되는 단자판; 및 상기 단자판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접속홀부와, 상기 접속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결합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가 형성되는 상기 단자봉;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홀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접속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외부 접속부로부터 탈거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몸체; 상기 결합부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헤드; 상기 결합부헤드에서 상기 결합편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몸체와 소정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과 연결되며, 압력을 가하면 상기 걸림편을 가압하여 상기 걸림편을 탄성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결합편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탄성부가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봉은 외측면에 상기 설치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손가락 또는 가압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설치홀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걸림턱; 및 상기 설치홀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턱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걸림편은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걸림턱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걸림편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접속부는 반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봉은 상기 외부 접속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은 단자판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압력을 가하면 부싱부의 외부 접속부의 결합홀부로 삽입되거나 외부 접속부의 결합홀부로부터 탈거되는 결합부를 통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부싱부와 단자판부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봉이 반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접속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결합부와 결합홀부가 마주보도록 단자봉과 외부 접속부를 정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가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결합부를 통해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부싱부와 단자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A 부분을 부분 단면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결합부가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결합부가 결합홀부에 결합되면서 단자판부와 외부 접속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부싱부와 단자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A 부분을 부분 단면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결합부가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의 결합부가 결합홀부에 결합되면서 단자판부와 외부 접속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1)은 단자판부(100), 부싱부(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단자판부(100)는 접속홀부(121)가 형성되는 단자봉(120)을 구비한다. 단자봉(120)의 접속홀부(121)에는 뒤에 후술된 부싱부(200)의 외부 접속부(230)가 삽입된다.
부싱부(200)는 접속홀부(121)에 삽입되며, 결합홀부(231)가 형성되는 외부 접속부(230)를 구비한다. 부싱부(200)는 부싱부몸체(210), 내부 접속부(220) 및 외부 접속부(230)를 포함한다. 부싱부몸체(210)는 변압기(100)의 측벽에 장착된다. 내부 접속부(220)는 부싱부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접속부(220)에 제1차 케이블단자(40)가 접속도록 결합된다. 제1차 케이블단자(40)가 내부 접속부(220)에 결합되면, 내부 접속부(220)에 너트(20)가 결합된다.
결합부(300)는 단자봉(1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결합홀부(231) 측으로 이동되면, 결합홀부(231)에 삽입되어 단자봉(120)과 외부 접속부(230)를 결합한다. 결합부(300)는 가압에 의해 결합홀부(231)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면, 결합홀부(231)로부터 탈거되어 단자봉(120)과 외부 접속부(230)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00)는 단자봉(120)의 설치홀부(122) 상에 상하방향으로(도 3, 도 4 기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결합부(300)에 압력을 가해 결합부(300)를 하측으로(도 4, 도 5 기준) 이동시키면, 결합부(300)는 결합홀부(231)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단자봉(120)과 외부 접속부(23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단자판부(100)와 부싱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00)에 압력을 가해 결합부(300)를 상측으로(도 4 기준) 이동시키면, 결합홀부(231)로부터 탈거된다. 이로 인해, 단자봉(120)과 외부 접속부(23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단자판부(100)와 부싱부(200)가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홀부(231)로부터 결합부(300)가 탈거되는 것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결합부(300)를 결합홀부(231)로 삽입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로 반대로 작동되므로, 이는 생략한다.
탄성부(400)는 결합부(300)의 외측면을 감싸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부(30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탄성부(400)는 코일 스프링으로 결합부(300)의 외측면을 감싼다. 결합부(300)에 압력을 가해 결합부(300)를 하측으로(도 6 기준) 이동시키면, 탄성부(400)는 결합부(300)의 탄성가압부(360)에 의해 압축된다.
이후, 결합부(300)에 압력을 가해 결합부(300)를 상측으로(도 6 기준) 이동시키면, 탄성부(400)에 가해진 결합부(300)의 탄성가압부(360)의 압력이 해제되고, 탄성가압부(3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부(300)는 원위치로 복원된다.
단자판부(100)는 단자판(110)과 단자봉(120)을 포함한다. 단자판(110)은 제2차 케이블단자(40)가 접속되는 단자연결홀부(111)가 형성된다.
단자봉(120)은 단자판(1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접속홀부(121)와, 접속홀부(121)와 연통되며, 결합부(3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122)가 형성된다. 접속홀부(121)에 외부 접속부(230)가 삽입되도록 단자봉(12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도 2 기준) 형성된다. 설치홀부(122)는 접속홀부(121)와 연통되도록 단자봉(12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도 2 기준) 형성된다.
설치홀부(122)에는 복수개의 걸림턱(123)과, 탄성부(400)를 지지하는 탄성지지턱(124)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뒤에 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턱(123)은 제1걸림턱(123a)와 제2걸림턱(123b)을 포함하며, 제1걸림턱(123a)와 제2걸림턱(123b)는 설치홀부(122) 상의 길이방향으로(도 4 기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결합부(300)는 결합편(310), 결합부몸체(320), 걸림편(340), 가압부(350) 및 탄성가압부(360)를 포함한다. 결합편(310)은 외부 접속부(230)에 삽입되거나, 외부 접속부(230)로부터 탈거된다.
결합부몸체(320)는 결합편(310)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결합부몸체(320)는 결합편(310)에서 상측으로(도 4 기준) 연장형성되며, 너비가 결합편(310)보다 좁을 수 있다.
결합부헤드(330)는 결합부몸체(320)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결합부헤드(330)는 결합부몸체(320)에서 상측으로(도 4 기준) 연장형성된다.
걸림편(340)은 결합부헤드(330)에서 결합편(310)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결합부몸체(320)와 소정거리로 이격되며, 걸림턱(123)에 걸리는 걸림돌기(342)가 구비된다. 걸림편(340)은 걸림편몸체(341)와 걸림돌기(342)를 포함한다. 걸림편몸체(341)는 복수개로 결합부헤드(330)에서 결합편(310) 측으로 즉, 하측으로(도 4 기준) 연장형성되고, 결합부몸체(320)의 양측부와 소정거리로 이격된다. 걸림돌기(342)는 걸림편몸체(341)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1걸림턱(123a)와 제2걸림턱(123b)에 걸린다.
가압부(350)는 걸림편(340)과 연결되며, 압력을 가하면 걸림편(340)을 가압하여 걸림편(340)을 탄성시킨다. 도 5와 같이, 가압부(350)는 걸림편몸체(341)와 연결되며, 가압부(350)의 양측에 압력을 가하면, 가압부(350)는 걸림편몸체(341)에 압력을 가하여 걸림편몸체(341)를 탄성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342)는 제1걸림턱(123a)에 걸리는 것이 해제된다.
탄성가압부(360)는 결합편(310)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탄성부(400)가 탄성변형되도록 탄성부(400)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342)가 제1걸림턱(123a)에 걸리는 것이 해제되어 결합편(310)이 결합홀부(231)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가압부(360)는 결합편(310)와 함께 결합홀부(231) 측으로 이동되어 탄성부(400)를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이에 따라, 추후에 결합편(310)은 탄성부(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단자봉(120)은 외측면에 설치홀부(122)와 연통되며, 가압부(350)를 가압하는손가락 또는 가압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부(125)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가압부(350)를 용이하게 가압하여 걸림편몸체(341)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걸림턱(123)은 제1걸림턱(123a)과 제2걸림턱(123b)을 포함한다. 제1걸림턱(123a)은 설치홀부(122)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걸림돌기(342)가 걸린다. 제1걸림턱(123a)은 복수개로 설치홀부(122)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걸림턱(123b)은 설치홀부(122)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제1걸림턱(123a)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걸림돌기(342)가 걸린다. 제2걸림턱(123b)은 복수개로 설치홀부(122)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가압부(350)에 압력을 가하면, 걸림편(340)은 탄성변형되어 제1걸림턱(123a)의 걸림이 해제되고, 결합편(310)은 결합홀부(231) 측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가압부(350)의 압력에 걸림편몸체(341)가 탄성변형되면서 걸림돌기(342)가 제1걸림턱(123a)에 걸리는 것이 해제된다(도 4, 도 5 참조). 이에 따라, 결합편(310)는 결합홀부(231) 측으로 이동되어 결합홀부(231)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편(310)이 결합홀부(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부(350)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걸림편(340)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2걸림턱(123b)에 걸린다. 이로 인해, 결합편(310)이 결합홀부(23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외부 접속부(230)는 반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봉(120)은 외부 접속부(2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2 참조). 이로 인해, 결합부(300)와 결합홀부(231)가 마주보도록 단자봉(120)과 외부 접속부(230)를 정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300)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300)를 통해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1)은 단자판부(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압력을 가하면 부싱부(200)의 외부 접속부(230)의 결합홀부(231)로 삽입되거나 외부 접속부(230)의 결합홀부(231)로부터 탈거되는 결합부(300)를 통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부싱부(200)와 단자판부(10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10 : 변압기
20 : 너트 30 : 제1차 케이블단자
40 : 제2차 케이블단자 100 : 단자판부
110 : 단자판 111 : 단자연결홀부
120 : 단자봉 121 : 접속홀부
122 : 설치홀부 123 : 걸림턱
123a : 제1걸림턱 123b : 제2걸림턱
124 : 탄성지지턱 125 : 삽입홀부
200 : 부싱부 210 : 부싱부몸체
220 : 내부 접속부 230 : 외부 접속부
231 : 결합홀부 300 : 결합부
310 : 결합편 320 : 결합부몸체
330 : 결합부헤드 340 : 걸림편
341 : 걸림편몸체 342 : 걸림돌기
350 : 가압부 351 : 제1가압부
352 : 제2가압부 360 : 탄성부가압부
400 : 탄성부

Claims (11)

  1.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단자봉을 구비하는 단자판부;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며,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는 부싱부; 및
    상기 단자봉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봉과 상기 외부 접속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부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홀부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단자봉과 상기 외부 접속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부는,
    제2차 케이블단자가 접속되는 단자연결홀부가 형성되는 단자판; 및
    상기 단자판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접속홀부와, 상기 접속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결합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부가 형성되는 상기 단자봉;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홀부에는 복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탄성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외부 접속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외부 접속부로부터 탈거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몸체;
    상기 결합부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헤드;
    상기 결합부헤드에서 상기 결합편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몸체와 소정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과 연결되며, 압력을 가하면 상기 걸림편을 가압하여 상기 걸림편을 탄성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결합편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탄성부가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봉은 외측면에 상기 설치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상기 손가락 또는 가압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설치홀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걸림턱; 및
    상기 설치홀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턱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걸림편은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걸림턱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결합홀부 측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이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걸림편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2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부는 반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봉은 상기 외부 접속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KR1020180113528A 2018-09-21 2018-09-21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KR20200034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28A KR20200034155A (ko) 2018-09-21 2018-09-21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28A KR20200034155A (ko) 2018-09-21 2018-09-21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155A true KR20200034155A (ko) 2020-03-31

Family

ID=7000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28A KR20200034155A (ko) 2018-09-21 2018-09-21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41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727B1 (ko) * 2021-04-16 2021-06-11 김건우 지상변압기용 부싱
KR102307656B1 (ko) * 2020-06-15 2021-10-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분리형 연결단자, 회전부싱, 바이패스선, 자동절체개폐기, 거치스탠드, 절연커버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변압기 교체공법
KR20240020835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지상 변압기 2차 연결용 동관단자 커넥터
KR20240022149A (ko) 2022-08-11 2024-02-20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 저압부 일체형 접속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56B1 (ko) * 2020-06-15 2021-10-05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 교체용 분리형 연결단자, 회전부싱, 바이패스선, 자동절체개폐기, 거치스탠드, 절연커버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변압기 교체공법
KR102264727B1 (ko) * 2021-04-16 2021-06-11 김건우 지상변압기용 부싱
KR20240020835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지상 변압기 2차 연결용 동관단자 커넥터
KR20240022149A (ko) 2022-08-11 2024-02-20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 저압부 일체형 접속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4155A (ko) 지상변압기의 단자 연결유닛
US8062061B2 (en) Mechanism of fastening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to DIN rail
US10153590B2 (en) Socke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plugs from dropping off
JP2013115006A (ja) 端子台装置
CN102882027B (zh) 临时接地线夹装置
CN211265450U (zh) 一种易安装型mos晶体管
CN203481532U (zh) 一种插座及插座工装
CN109048728B (zh) 一种连接器快速装配可调工具
WO2015029920A1 (ja) 上プレート付勢ユニット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CN103368119A (zh) 母线槽插孔装置
KR102105469B1 (ko) 누전 차단기
CN104779483A (zh) 一种防脱插座
CN202865526U (zh) 可更换压电陶瓷驱动片的压电陶瓷选针器
KR101228015B1 (ko) 모선 및 자선 버스바용 다지점 연결장치
KR200303594Y1 (ko) 에어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 커넥터 구조
CN112086222B (zh) 具有保险丝的导线及保险丝安装方法
CN219811966U (zh) 一种便于更换防雷模块的浪涌保护器
CN215582322U (zh) 一种电路板安装组件
CN208596830U (zh) 一种无刷电机组装用接线端子插接装置
CN205335451U (zh) 连接器
CN211250227U (zh) 治具压持装置
CN202374630U (zh) 立式插件机用柔性压料杆
CN213936564U (zh) 一种自带螺母冷压端子
CN212169552U (zh) 一种气动执行器拧螺丝用的工装
CN210926983U (zh) 一种一进多出接线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