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718B1 -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718B1
KR101891718B1 KR1020180030828A KR20180030828A KR101891718B1 KR 101891718 B1 KR101891718 B1 KR 101891718B1 KR 1020180030828 A KR1020180030828 A KR 1020180030828A KR 20180030828 A KR20180030828 A KR 20180030828A KR 101891718 B1 KR101891718 B1 KR 10189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ransmission t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택
Original Assignee
(주)동성기술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기술감리단 filed Critical (주)동성기술감리단
Priority to KR102018003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송전탑의 연결된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이를 보강하는 한편, 송전탑으로부터 클램프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REINFORCEMENT APPARATUS FOR CONNECTION PORTION OF POWER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기술 분야 중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송전탑의 연결된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이를 보강하는 한편, 송전탑으로부터 클램프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는 전력공급을 위하여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변전소를 통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시설이다.
송전선로는 송전탑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송전탑들은 송전선들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발전소와 변전소의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송전탑들은 고전력을 송신하는 송전선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시설물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산악지대에 주로 설치된다.
산악지대에 설치되는 송전탑은 철골구조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반면 평지에 설치되는 송전탑은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원통형상의 마디체를 조립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각 마디체는 용접으로 연결된다.
한편, 송전탑은 송전선로의 하중과 풍력에 의해 부하가 발생되어 용접된 부위에 크랙이 발생될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이렇게 미세한 크랙이 발생될 경우 초기에 적절한 보수작업을 하지 않는다면 크랙의 범위가 점차 커지게 되므로 송전탑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그러나, 송전탑은 전기가 흐르고 있으므로 크랙이 발생부위에 대한 용접 보강 작업은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 불가능하므로 물리적인 보강방안이 절실히 필요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이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보강 작업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70714호(2014.01.08.)에는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는 송전탑으로부터 클램프의 하강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20-0470714호(2014.01.08.)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송전탑의 연결된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이를 보강하는 한편, 송전탑으로부터 클램프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형구조물로 된 송전탑(100)의 연결된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장착되며, 상기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장착되는 클램프(2); 상기 복수개의 클램프(2)를 연결하고 상호 조임력이 발휘되도록 체결되는 체결구(4); 상기 복수의 클램프(2)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강 패드(6)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2)는,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편체이며, 상기 편체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브라켓(22)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에는 체결구(4)가 결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22)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클램프(2)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리브(24)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4)는, 일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의 통공에 결합되는 볼트(42)와, 상기 볼트(42)의 끝단에 결합되며 타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에 밀착 지지되는 너트(44)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패드(6)와 클램프(2)의 내주면 사이에 마찰패드(7)가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선단이 상기 보강 패드(6)를 가압하는 가압수단(9)이 포함되며, 상기 가압수단(9)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끝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는 외주면에 상기 가압수단(9)이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6)가 형성되는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전탑(100)으로부터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하부지지판(210,220); 하부가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을 통과하면서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230);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를 상기 송전탑(1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40); 및 상기 고정수단(240)과 상기 하부지지판(2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5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250)은, 외력에 의한 상기 클램프(2)의 흔들림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클램프(2)를 지지하면서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이음부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탑의 연결된 용접부위에 장착되어 휨모멘트에 대항하여 보정력을 제공함으로써 크랙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안전성능이 향상될 수 있어 크랙이 커지기 전까지 송전탑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력 등에 의한 클램프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일부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일부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실용신안 제0470714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실용신안 제0470714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70714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는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로 대체하고, 송전탑으로부터 클램프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70714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이하 "보강장치"라한다)(A1)는, 관형구조물로 된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장착되는 클램프(2), 복수개의 클램프(2)를 연결하고 상호 조임력이 발휘되도록 체결되는 체결구(4) 및 복수의 클램프(2)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강 패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전탑(100)은 파이프 형상으로 된 관형구조물이며,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체를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설되어 조립되는데, 각 단위체의 연결부위는 플랜지 결합과 용접 결합 방식을 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장치(A1)가 적용되는 부위는 용접에 의해 접합된 부위에 해당된다.
클램프(2)는 송전탑(100)의 외주면, 특히 용접부위에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편체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클램프(2a~2d)가 조립되어 원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2) 편체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브라켓(22)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브라켓(22)에 체결구(4)가 결합된다.
체결구(4)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브라켓(22)에는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2)과 클램프(2)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보강력이 발휘되는 리브(24)가 더 형성된다.
리브(24)는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판재이며, 브라켓(22)과 클램프(2)의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각기 용접되는데 브라켓(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4)는, 복수개의 클램프(2)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며, 또한 조임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클램프(2)들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하여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는 조임력이 발휘될 수 있다.
체결구(4)의 일 실시예로서, 일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의 통공에 결합되는 볼트(42)와, 상기 볼트(42)의 끝단에 결합되며 타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에 밀착 지지되는 너트(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너트(44)와 타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의 사이에 개재되는 판형스프링(46)이 포함된다.
상기 판형스프링(46)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접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접된 클램프(2)들의 브라켓(22)에 각기 볼트(42)와 너트(44) 및 판형스프링(46)이 체결된 후 너트(44)를 조이면 판형스프링(46)이 압축되면서 브라켓(22)에 강한 힘으로 밀착됨으로써 인접된 클램프(2)들간의 강한 협지력이 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 패드(6)와 클램프(2)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패드(7)가 더 포함된다.
마찰패드(7)는 외면이 마찰력이 높도록 거칠기를 갖는 소재로써 클램프(2)와 보강 패드(6) 사이에 개재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어 보강 패드(6)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선단이 상기 보강 패드(6)를 가압하는 가압수단(9)이 더 포함된다.
가압수단(9)의 가압작용에 의해 보강 패드(6)가 내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송전탑(100)의 용접부위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는 가압수단(9)이 나사 결합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2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6)에 가압수단(9)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가압수단(9)은 상기 결합부재(26)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끝단에 머리부가 형성되어 볼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25)이 형성된다. 이들 장공(25)이 형성됨으로써 클램프(2)는 더욱 유연해질 수 있어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밀착률이 높아지고, 들뜸 현상이 배제될 수 있어 클램프(2)의 조임력이 송전탑의 외주면에 전반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으므로 견고한 결합력이 발휘될 수 있게 되어 크랙과 같은 변형이 더이상 성장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전탑(100)의 용접부위에 보강 패드(6)를 밀착시키고, 보강 패드(6)의 외면에 4개의 클램프(2)를 밀착시켜 대략 원형으로 이루도록 배열한다.
이후 각 클램프(2)의 브라켓(22)끼리 체결구(4)를 결합시켜 연결하고, 체결구의 조임는 힘의 증가에 의해 각 클램프(2) 및 클램프(2)의 내주면에 개재된 보강 패드(6)가 송전탑(100)의 용접부위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가압수단(9)을 조임으로써 보강 패드(6)를 압착하여 용접부위에 가압되도록 하여 고정력이 증강될 수 있다.
이렇게 장착이 완료됨으로써 클램프(2)의 조임력에 의해 송전탑(100)의 용접부위에 대한 협지력이 발생됨으로 용접부위에 대한 보강력이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부위에 체결되는 보강장치(A1) 외에도 그 상부와 하부에 각기 보강장치(A1)가 더 체결되고, 이들 3개의 보강장치(A1)를 연결하는 샤프트(미도시)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샤프트를 장착하여 적어도 3개의 보강장치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보강력이 배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전탑(100)으로부터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2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외력 등에 의한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하부지지판(210,220), 하부가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을 통과하면서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230),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를 상기 송전탑(1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40) 및 상기 고정수단(240)과 상기 하부지지판(2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50)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은 상기 각 클램프(2)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2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을 통과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수단(240)은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단부가 상기 지지바(2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41),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41)로 나사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2)를 향하는 가압바(242) 및 상기 가압바(242)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레버(243)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바(242)는 상기 조절레버(243)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클램프(2)를 가압하면서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가 상기 송전탑(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240)은 상기 가압바(242)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압착판(244) 및 상기 압착판(244)에 구비되어 상기 송전탑(100)을 압착되는 압착부재(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판(244)은 상기 송전탑(10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곡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바(2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가압바(242)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245)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조절레버(243)의 조임 회전에 따른 상기 압착판(244)의 가압에 의해 상기 송전탑(100)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고정수단(240)이 상기 송전탑(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250)은 고정수단(240)과 상기 하부지지판(2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외력에 의한 상기 클램프(2)의 흔들림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클램프(2)를 지지하면서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상부지지판(210)으로부터 상기 지지바(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30)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26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지지판(2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200)는 외력 등에 의한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하면서 상기 클램프(2)의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2 : 클램프 4 : 체결구
6 : 보강 패드 7 : 마찰패드
9 : 가압수단 22 : 브라켓
46 : 판형스프링 100 : 송전탑
200 : 지지부 210 : 상부지지판
220 : 하부지지판 230 : 지지바
240 : 고정수단 241 : 고정부재
242 : 가압바 243 : 조절레버
244 : 압착판 245 : 압착부재
250 : 스프링 260 : 이탈방지부재

Claims (1)

  1. 관형구조물로 된 송전탑(100)의 연결된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장착되며,
    상기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장착되는 클램프(2);
    상기 복수개의 클램프(2)를 연결하고 상호 조임력이 발휘되도록 체결되는 체결구(4);
    상기 복수의 클램프(2)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보강 패드(6)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2)는,
    송전탑(10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편체이며, 상기 편체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브라켓(22)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에는 체결구(4)가 결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22)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클램프(2)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리브(24)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4)는,
    일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의 통공에 결합되는 볼트(42)와, 상기 볼트(42)의 끝단에 결합되며 타측 클램프(2)의 브라켓(22)에 밀착 지지되는 너트(44)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패드(6)와 클램프(2)의 내주면 사이에 마찰패드(7)가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선단이 상기 보강 패드(6)를 가압하는 가압수단(9)이 포함되며,
    상기 가압수단(9)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끝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는 외주면에 상기 가압수단(9)이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6)가 형성되는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전탑(100)으로부터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클램프(2)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하부지지판(210,220);
    하부가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을 통과하면서 상기 상,하부지지판(210,2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230);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를 상기 송전탑(1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40); 및
    상기 고정수단(240)과 상기 하부지지판(22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50); 및
    상기 상부지지판(210)으로부터 상기 지지바(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240)은,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양단부가 상기 지지바(23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41);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41)로 나사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2)를 향하는 가압바(242);
    상기 가압바(242)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레버(243);
    상기 가압바(242)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압착판(244); 및
    상기 압착판(244)에 구비되어 상기 송전탑(100)을 압착되는 압착부재(245)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바(242)는,
    상기 조절레버(243)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클램프(2)를 가압하면서 상기 지지바(230)의 하부가 상기 송전탑(1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250)은,
    외력에 의한 상기 클램프(2)의 흔들림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기 클램프(2)를 지지하면서 상기 클램프(2)의 하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이음부 보강장치.
KR1020180030828A 2018-03-16 2018-03-16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KR10189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28A KR101891718B1 (ko) 2018-03-16 2018-03-16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28A KR101891718B1 (ko) 2018-03-16 2018-03-16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718B1 true KR101891718B1 (ko) 2018-08-27

Family

ID=6345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28A KR101891718B1 (ko) 2018-03-16 2018-03-16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451A (ko) * 2019-07-11 2021-01-20 (주) 진흥이엔지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KR102238096B1 (ko) * 2019-10-08 2021-04-08 (주)빅라인 마스트폴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마스트 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178B1 (ko) * 2011-11-16 2012-03-21 이희삼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배전선로의 랙크밴드
KR200470714Y1 (ko) 2013-05-13 2014-01-0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178B1 (ko) * 2011-11-16 2012-03-21 이희삼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배전선로의 랙크밴드
KR200470714Y1 (ko) 2013-05-13 2014-01-0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451A (ko) * 2019-07-11 2021-01-20 (주) 진흥이엔지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KR102297500B1 (ko) * 2019-07-11 2021-09-03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KR102238096B1 (ko) * 2019-10-08 2021-04-08 (주)빅라인 마스트폴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마스트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718B1 (ko) 송전탑의 이음부 보강장치
US20120248271A1 (en) Panel Lock Solar Clamp
CN105421666B (zh) 预应力碳纤维板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778687A (zh) 一种装配组合可更换模数式伸缩装置及其制备工艺
CN106877228A (zh) 一种电缆弯曲固定结构
KR200470714Y1 (ko) 송전탑의 용접부위 보강장치
KR20130003689A (ko)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의 길이조절장치 및 이 길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길이와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흙막이벽용 강관 버팀보
CN215107609U (zh) 一种高效适用的预应力碳纤维板张拉夹具
GB2084636A (en) Device for affixing a rail to a concrete support
RU253946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с помощью композиционной напрягаемой арматуры
CN105696549A (zh) 新型钢筋笼内支撑结构及其应用
CN207442409U (zh) 一种用于市政工程的电缆支架
KR20140017921A (ko) 수직 방향의 스프링 텐션을 이용한 벨트 크리너 가압장치
CN112963414B (zh) 大型清洁能源装备防松抗弯自动补偿把合螺栓结构
JP3974546B2 (ja) レール締結装置
CN213018296U (zh) 减震高温膨胀节
CN214617828U (zh) 一种带压堵漏钢带锁紧装置
CN103394828B (zh) 一种便捷排气歧管连接支架校正用工装
KR200306562Y1 (ko) 송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CN212063410U (zh) T型引流装配式耐张线夹
CN215669068U (zh) 一种用于临时支撑与固有结构的固定连接装置
CN112128528B (zh) 一种容器设备的横向支撑组件
CN213115459U (zh) 建筑用钢管脚手架的连墙件
CN115234023B (zh) 梁体加固钢结构及其加固方法
CN114293828B (zh) 一种钢板仓的防屈曲仓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