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038A -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038A
KR20200086038A KR1020190002161A KR20190002161A KR20200086038A KR 20200086038 A KR20200086038 A KR 20200086038A KR 1020190002161 A KR1020190002161 A KR 1020190002161A KR 20190002161 A KR20190002161 A KR 20190002161A KR 20200086038 A KR20200086038 A KR 2020008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plate
seal
car
seal protection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340B1 (ko
Inventor
강정규
Original Assignee
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규 filed Critical 강정규
Priority to KR102019000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바닥부로부터 인출되어 카 실 및 해치 실 상면을 덮기 위한 실보호판; 및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보호판과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와 연동하여, 상기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실보호판을 상기 카 실 및 해치 실 방향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카도어가 닫히면 상기 실보호판을 상기 카의 바닥부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실보호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SAFETY ENTRANCE GUIDE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의 카 실 및 승강장 하부의 해치 실 사이의 틈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사람 및 산업차량이 안전하게 출입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도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 측 바닥면 및 승강장의 승강장도어 측 바닥면 끝부분에는 각각 실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구 측 바닥에 구비된 카 실(SILL) 및 승강장 출입구 측 바닥에 구비된 해치 실(SILL) 사이에 틈새 및 높이 차가 발생되게 된다.
카 실 및 해치 실 사이의 틈새 및 높이 차는 지게차와 같은 산업차량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진입할 때 높이 차로 인한 지게차의 흔들림을 유발시키며, 지게차에 의한 하중으로 인해 카 실 및 해치 실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게차와 같은 산업차량이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할 때 산업차량의 진입을 쉽게 감지하지 못하여 산업차량이 진입하는 도중 카도어가 닫혀서 산업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리베이터 내부로 사람 및 산업차량이 안전하게 출입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바닥부로부터 인출되어 카 실 및 해치 실 상면을 덮기 위한 실보호판; 및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보호판과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와 연동하여, 상기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실보호판을 상기 카 실 및 해치 실 방향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카도어가 닫히면 상기 실보호판을 상기 카의 바닥부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실보호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보호판구동부는, 상기 실보호판의 저면에 연결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에 치합되고 회전하여 상기 래크를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보호판구동부는, 상기 실보호판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래크; 상기 각각의 래크의 이격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래크에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 풀리,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보호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보호판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실보호판의 저면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라이딩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라이딩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의 출입구의 좌/우측면에 구비되고, 승강장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다수의 출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출입감지센서는 지게차의 포크를 감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를 이용하면 엘리베이터에 사람 및 산업차량이 출입할 때 카 실 및 해치 실 간의 틈새로 인한 하이힐 등의 신발이 걸리는 문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산업차량의 출입시 카 실 및 해치 실 간의 틈새로 인한 산업차량의 흔들림 등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여 사람 및 산업차량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보호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의 출입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입감지센서가 지게차의 포크를 감지하여 카도어가 상승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보호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산업차량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는 실보호판(100) 및 실보호판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실보호판(100)은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부(12)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11)가 개방되면 바닥부(12)로부터 인출되어 카 실(21) 및 해치 실(22) 상면을 덮도록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실보호판구동부(200)와 연결된다.
실보호판구동부(200)는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부(12)에 구비되어 실보호판(100)과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11)와 연동하여, 카도어(11)가 개방되면 실보호판(100)을 카 실(21) 및 해치 실(22) 방향으로 인출시키고 카도어(11)가 닫히면 실보호판(100)을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부 방향으로 복귀시킨다.
실보호판구동부(200)는 한 쌍의 래크(210), 한 쌍의 피니언(220) 및 구동수단(2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래크(210)는 실보호판(100)의 저면 양측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한 쌍의 피니언(220)은 각각의 래크(210)의 이격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240)의 양단에 결합되어 각각의 래크(210)에 치합된다.
구동수단(230)은 회전축(240) 및 한 쌍의 피니언(220)을 회전시킨다. 구동수단(230)은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부(12)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31), 구동모터(231)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 풀리(232), 회전축(240)에 결합되는 제2 풀리(233), 및 제1 풀리(232) 및 제2 풀리(233)에 연결되는 벨트(2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수단(230)은 구동축이 회전되면, 제1 풀리(232)가 회전되고, 제1 풀리(232)가 회전되면 벨트(234)로 연결된 제2 풀리(233)가 제1 풀리(232)와 함께 회전되고, 제2 풀리(233)가 회전되면 한 쌍의 피니언(220)이 결합된 회전축(240)이 회전하여 회전축(240) 양측의 피니언(220)이 각각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피니언(220)에 치합된 래크(210)가 한 쌍의 피니언(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한다. 상기 구동모터(231)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11)를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반(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11)가 개방될 때 실보호판(100)을 인출하기 위한 회전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카도어(11)가 폐쇄될 때 실보호판(100)이 복귀되기 위한 회전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카도어(11)의 개폐와 연동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는 실보호판(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00)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10), 복수의 제1 슬라이딩 롤러(320) 및 복수의 제2 슬라이딩 롤러(3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10)은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부(12) 양측에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10)은 실보호판(10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슬라이딩 롤러(320) 및 복수의 제2 슬라이딩 롤러(330)는 실보호판(100)의 저면 양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슬라이딩 롤러(320) 및 제2 슬라이딩 롤러(330) 간의 간격은 각각의 제1 슬라이딩 롤러(320) 및 제2 슬라이딩 롤러(330)가 각각의 가이드프레임(31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제1 슬라이딩 롤러(320) 및 제2 슬라이딩 롤러(330)는 실보호판(100)이 전진 및 후진 이동될 때 가이드프레임(310) 내에서 회전하여 가이드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가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카(10)가 승강장에 정지하여 카도어(11)가 열리면 실보호판구동부(200)는 카도어(11)의 개방 동작과 연동되어 실보호판(100)을 인출하도록 작동한다.
즉, 카도어(11)가 개방되면, 실보호판구동부(200)는, 구동모터(2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모터(231)의 구동축, 벨트(234)로 연결된 제1 풀리(232) 및 제2 풀리(2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회전축(2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40)의 양측의 피니언(2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220)은 한 쌍의 래크(210)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래크(210)는 실보호판(100)의 전진 방향, 즉 카 실(21) 및 해치 실(22)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실보호판(100)이 전진 이동하면 도 4와 같이 실보호판(100)은 카 실(21) 및 해치 실(22)의 상부에 위치하여 카 실(21) 및 해치 실(22)을 덮어서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보호판(100)이 카 실(21) 및 해치 실(22)의 상부를 덮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산업차량, 예를 들어, 지게차가 엘리베이터 내에 진입할 때 카 실(21) 및 해치 실(22) 사이의 틈을 지나면서 발생되는 흔들림 없이 실보호판(100) 상면을 지나면서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10)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도어(11)가 닫히면 실보호판구동부(200)는 카도어(11)의 닫힘 동작과 연동되어 실보호판(100)이 복귀되도록 작동한다.
즉, 카도어(11)가 닫히면, 실보호판구동부(200)는, 구동모터(2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모터(231)의 구동축, 벨트(234)로 연결된 제1 풀리(232) 및 제2 풀리(23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회전축(2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40)의 양측의 피니언(2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220)은 한 쌍의 래크(210)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래크(210)는 실보호판(100)의 후진 방향, 즉 카 실(21) 및 해치 실(22)로부터 멀어져서 엘리베이터 카(10)의 바닥부(12)를 향해 복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의 출입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출입감지센서가 지게차의 포크를 감지하여 카도어가 상승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 1에 도시된 실보호판 및 실보호판 구동부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는 다수의 출입감지센서(400)를 더 포함한다.
다수의 출입감지센서(400)는 승강장의 출입구의 좌/우측면에 구비되고, 승강장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각각의 출입감지센서(400)는 지게차의 포크를 감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출입감지센서(400)에 의하면, 지게차의 경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진입할 때 포크의 전단부가 승강장의 출입구에 진입하면 다수의 출입감지센서(400)는 지게차의 포크 진입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승강장에서 카도어(11)가 닫히고 있는 상황이더라도 지게차의 포크의 진입만으로도 카도어(11)가 다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장의 카도어(11)가 닫히고 있는 상황에서도 산업차량의 진입을 신속히 감지하여 산업차량이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10)에 진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를 이용하면 엘리베이터에 사람 및 산업차량이 출입할 때 카 실 및 해치 실 간의 틈새로 인한 하이힐 등의 신발이 걸리는 문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산업차량의 출입시 카 실 및 해치 실 간의 틈새로 인한 산업차량의 흔들림 등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여 사람 및 산업차량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바닥부로부터 인출되어 카 실 및 해치 실 상면을 덮기 위한 실보호판; 및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보호판과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카도어와 연동하여, 상기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실보호판을 상기 카 실 및 해치 실 방향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카도어가 닫히면 상기 실보호판을 상기 카의 바닥부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실보호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보호판구동부는,
    상기 실보호판의 저면에 연결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에 치합되고 회전하여 상기 래크를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보호판구동부는,
    상기 실보호판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래크;
    상기 각각의 래크의 이격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래크에 치합되는 한 쌍의 피니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 풀리,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보호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보호판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실보호판의 저면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프레임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슬라이딩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슬라이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승강장의 출입구의 좌/우측면에 구비되고, 승강장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는다수의 출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출입감지센서는 지게차의 포크를 감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산업차량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KR1020190002161A 2019-01-08 2019-01-08 산업차량의 안전한 출입을 위한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KR10223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161A KR102239340B1 (ko) 2019-01-08 2019-01-08 산업차량의 안전한 출입을 위한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161A KR102239340B1 (ko) 2019-01-08 2019-01-08 산업차량의 안전한 출입을 위한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038A true KR20200086038A (ko) 2020-07-16
KR102239340B1 KR102239340B1 (ko) 2021-04-09

Family

ID=7183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161A KR102239340B1 (ko) 2019-01-08 2019-01-08 산업차량의 안전한 출입을 위한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28B1 (ko) * 2020-12-31 2021-11-02 주식회사 삼일승강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및 승강장간 문턱틈 보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255A (ja) * 1994-11-22 1996-06-0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閉塞装置
JP2002321888A (ja) * 2001-04-27 2002-11-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装置
JP2011026013A (ja) * 2009-07-21 2011-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3255A (ja) * 1994-11-22 1996-06-0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閉塞装置
JP2002321888A (ja) * 2001-04-27 2002-11-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装置
JP2011026013A (ja) * 2009-07-21 2011-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28B1 (ko) * 2020-12-31 2021-11-02 주식회사 삼일승강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및 승강장간 문턱틈 보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40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567B1 (ja) 乗り場扉ロック装置
KR102054600B1 (ko) 승강기 시스템의 안전 장치
KR20200086038A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출입 가이드장치
CN107810157B (zh) 井道中的电梯轿厢位置区域
JP201809545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930298B2 (ja) 乗客コンベアの進入防止装置
JP622994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2017128422A (ja) エレベータ
JP201218407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09081476A1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KR101977184B1 (ko) 탑승 안전 유도형 엘리베이터
CN109153543B (zh) 电梯门装置
RU242417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JP6548489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605550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11099470B (zh) 电梯系统
JP201321640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5721594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6433417B2 (ja) 駐車装置
JP6676386B2 (ja) 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搬器扉の開閉装置
JP635140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KR100259500B1 (ko) 엘리베이터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915509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乗降構造体
JP467993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836442B1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