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021A - 모터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021A
KR20200086021A KR1020190002109A KR20190002109A KR20200086021A KR 20200086021 A KR20200086021 A KR 20200086021A KR 1020190002109 A KR1020190002109 A KR 1020190002109A KR 20190002109 A KR20190002109 A KR 20190002109A KR 20200086021 A KR20200086021 A KR 2020008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hase
parallel
coil part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793B1 (ko
Inventor
정재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793B1/ko
Priority to US16/701,060 priority patent/US20200220407A1/en
Priority to DE102019135510.9A priority patent/DE102019135510A1/de
Priority to CN201911358057.8A priority patent/CN111416457B/zh
Publication of KR2020008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793B1/ko
Priority to US17/735,064 priority patent/US20220263366A1/en
Priority to US17/735,080 priority patent/US20220263368A1/en
Priority to US17/735,072 priority patent/US202202633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02K3/20Windings for salient poles for auxiliary purposes, e.g. damping or commut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8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nular armature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ail safe, back up, redundant or other similar emergenc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모터장치 및 아우터 로터형 모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터장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티스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부; 스테이터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마그네트부가 배치되는 로터부; 및 복수의 티스부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에 병렬로 권선되는 3상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장치{MOTOR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역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장치는 구동력이 요구되는 다양한 장치에 설치된다. 모터장치는 로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된다.
차량의 전동식 부스터에는 모터장치가 설치된다. 전동식 부스터에는 페달 실린더가 연결되고, 페달 실린더에는 페달이 연결된다. 전동식 부스터의 모터장치에는 스크류부가 연결되고, 스크류부는 이송 너트부가 연결되고, 이송 너트부에는 푸시로드가 연결된다. 푸시로드는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된다. 스크류부와 이송 너트부에는 스크류 스토퍼가 설치된다. 스크류부가 모터장치에 회전됨에 따라 이송 너트부가 이송되고, 이송 너트부가 푸시로드를 이동시킴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가 가압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기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발생되거나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스위칭 소자 손상 등에 의해 전기시스템의 페일(fail)이 발생될 수 있다.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모터장치의 출력이 발생되지 못하면,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이 피스톤을 밀어냄에 따라 스크류부가 역회전된다. 스크류부의 역회전에 의해 이송 너트부가 모터장치 측으로 고속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송 너트부와 스크류부의 스토퍼가 서로 충돌됨에 따라 스토퍼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너트부가 모터장치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볼스크류와 샤프트가 역회전되고, 샤프트의 역회전에 의해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66404호(2014. 06. 02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모터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역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모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장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티스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부; 상기 스테이터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마그네트부가 배치되는 로터부; 및 복수의 상기 티스부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상기 코일부에 병렬로 권선되는 3상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상 코일부는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U상 코일은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상기 제1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상기 제2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상기 제3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0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7 코일부, 제2 코일부와 제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7 코일부 세트와 상기 제2, 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와 제9 코일부, 제4 코일부와 제10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3, 9 코일부 세트와 상기 제4, 10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5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6 코일부와 제12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5, 11 코일부 세트와 상기 제6, 12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10 코일부, 제5 코일부와 제14 코일부, 제6 코일부와 제15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10 코일부 세트, 상기 제5, 14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6,15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3 코일부와 제12 코일부, 제7 코일부와 제16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2, 11 코일부 세트, 상기 제3, 12 코일부 세트및 상기 제7, 16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4 코일부와 제13 코일부, 제8 코일부와 제17 코일부, 제9 코일부와 제1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4, 13 코일부 세트, 상기 제8, 17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9, 1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7 코일부, 제2 코일부와 제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7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2, 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와 제9 코일부, 제4 코일부와 제10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3, 9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4, 10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6 코일부와 제12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5, 11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6, 12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6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10 코일부, 제2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9 코일부와 제1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10 코일부 세트, 상기 제2, 11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9, 1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와 제12 코일부, 제4 코일부와 제13 코일부, 제5 코일부와 제14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3, 12 코일부 세트, 상기 제4, 13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5, 14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6 코일부와 제15 코일부, 제7 코일부와 제16 코일부, 제8 코일부와 제17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6, 15 코일부 세트, 상기 제7, 16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8, 17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3상 코일부는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U상 코일는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상기 제1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상기 제2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상기 제3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0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제7 코일부 및 제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 제4 코일부, 제9 코일부 및 제10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5 코일부, 제6 코일부, 제11 코일부 및 제12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5 코일부, 제6 코일부, 제10 코일부, 제14 코일부 및 제15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코일부, 제3 코일부, 제7 코일부, 제11 코일부, 제12 코일부 및 제16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W상 코일은 제4 코일부, 제8 코일부, 제9 코일부, 제13 코일부, 제17 코일부 및 제1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제7 코일부 및 제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 제4 코일부, 제9 코일부 및 제10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W상 코일은 제5 코일부, 제9 코일부, 제11 코일부 및 제12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16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제9 코일부, 제10 코일부, 제11 코일부 및 제1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 제4 코일부, 제5 코일부, 제12 코일부, 제13 코일부 및 제14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W상 코일은 제6 코일부, 제7 코일부, 제8 코일부, 제15 코일부, 제16 코일부 및 제17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코일부는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에 병렬로 권선되므로,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기 설정된 코일부에서 역기전력에 의해 순환전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는 상기 순환전류로 인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역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로터부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장치가 고속으로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의 소자가 손상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권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권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모터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권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는 스테이터부(110) 및 로터부(120) 및 3상 코일부(130)를 포함한다. 모터장치는 로터부(120)가 스테이터부(11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이너로터형 모터장치이다.
스테이터부(110)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부(1-12)가 형성된다. 스테이터부(110)의 외측에는 모터 케이싱(미도시)이 설치된다. 스테이터부(110)의 내측에는 로터부(120)에서 발생한 토크를 부하 전달하는 샤프트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스테이터부(110)는 복수의 판형 철심(미도시)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부(110)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철심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부(110)는 적어도 다른 두께를 갖는 2종 이상의 철심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부(110)는 스테이터부(110)의 축방향 전자기력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스테이터부(110)의 내측에는 복수의 티스부(T)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티스부(T) 사이에는 슬롯부(S)가 형성된다. 슬롯부(S)는 3상 코일부(130)에 전류가 인가될 때에 기전력이 발생되는 공간이다. 도 1에서 티스부(T)에 도시된 도면 부호는 티스부(T)에 권선된 코일부(1-12)를 의미한다.
로터부(120)는 스테이터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을 복수의 마그네트부(123)가 배치된다. 마그네트부(123)로는 자극이 착자된 영구자석이 적용된다. 마그네트부(123)는 슬롯부(S)(또는 코일부(1-12))의 개수와 다른 개수가 배치된다. 슬롯부(S)들의 개수를 마그네트부(123)의 개수로 나누면 정수값이 아니라 소수값이 되므로, 슬롯부(S)들은 소수값에 따라 기 설정된 위상차가 달라진다.
마그네트부(123)는 로터부(120)에서 코어부(121)의 표면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부(123)는 로터부(120)에서 코어부(121)의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부(123)는 로터부(120)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3상 코일부(130)는 복수의 티스부(T)에 감기는 복수의 코일부(1-12)을 포함하고,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12)가 병렬로 권선된다. 3상 코일부(130)는 티스부(T)의 폭방향으로 권선되므로, 해당 코일부(1-12)에는 일측의 티스부(T)에 권선된 코일부(1-12)의 절반과 타측의 티스부(T)에 권선된 코일부(1-12)의 절반이 각각 배치된다. 3상 코일부(130)는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12)가 병렬로 권선되므로, 해당 코일부(1-12)의 일측에는 코일부(1-12)가 정방향으로 권선되고, 해당 코일부의 타측에는 코일부(1-12)가 역방향으로 권선된다.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12)에는 병렬 회로가 형성되므로, 해당 슬롯부(S)의 양측에는 순환전류가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모터장치가 유압과 같은 외력에 의해 역회전되는 경우, 코일부(1-12)에서 유기되는 역기전력이 전기적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갖게 된다. 일정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12)를 병렬로 연결해 줌에 따라 병렬로 연결된 코일부(1-12)에 순환전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순환전류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므로, 로터부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너트부(미도시)가 후진되면서 샤프트부를 역회전시키고, 샤프트부가 로터부(120)를 역회전시킬 때에 로터부(120)의 종단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너트부와 볼스크류(미도시)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너트부와 볼스크류의 충격을 방지하므로, 너트부와 볼스크류부에서 스토퍼(미도시)의 충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의 기계적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부에 적용되는 톨러런스링(tollerance ring)과 같은 부품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로터부(120)가 고속으로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소자가 손상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3상 코일부(130)는 U상 코일(U), V상 코일(V) 및 W상 코일(W)을 포함한다. U상 코일(U), V상 코일(V) 및 W상 코일(W)은 각각 120°의 위상차가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U상 코일(U)은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1,2,7,8)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1,2,7,8)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2,7,8)를 직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3,4,9,10)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3,4,9,10)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3,4,9,10)를 직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5,6,11,12)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연결된 코일부(5,6,11,12)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5,6,11,12)를 직렬로 권선한다.
다시 말해, U상 코일(U)은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 세트(1,2,7,8)들을 병렬로 권선하고, 복수의 코일부 세트(1,2,7,8)들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2,7,8)끼리 직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 세트(3,4,8,9)들을 병렬로 권선하고, 복수의 코일부 세트(3,4,8,9)들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3,4,8,9)끼리 직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 세트(5,6,11,12)들을 병렬로 권선하고, 복수의 코일부 세트(5,6,11,12)들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5,6,11,12)끼리 직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 V상 코일(V) 및 W상 코일(W)은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12)에 각각 병렬로 권선되므로,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12)에서는 순환전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순환전류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므로, 로터부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너트부가 후진되면서 로터부(120)를 역회전시킬 때에 로터부(120)의 종단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너트부와 볼스크류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너트부와 볼스크류의 충격을 방지하므로, 너트부와 볼스크류부에서 스토퍼의 충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가 고속으로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소자가 손상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U상 코일(U)은 제1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코일부(1,2,7,8)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코일부(1,2,7,8)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코일부(1,2,7,8)를 직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코일부(3,4,9,10)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코일부(3,4,9,10)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코일부(3,4,9,10)를 직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3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코일부(5,6,11,12)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5,6,11,12)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코일부(5,6,11,12)를 직렬로 권선한다.
이러한 3상 코일부(130)의 권선 방식에 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로터부(120)는 10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스테이터부(110)는 12개의 코일부(1-12)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이때,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와 제7 코일부(7), 제2 코일부(2)와 제8 코일부(8)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1, 7 코일부 세트(1,7)와 제2, 8 코일부 세트(2.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와 제9 코일부(9), 제4 코일부(4)와 제10 코일부(10)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3, 9 코일부 세트(3,9)와 제4, 10 코일부 세트(4,10)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5)와 제11 코일부(11), 제6 코일부(6)와 제12 코일부(12)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5, 11 코일부 세트(5,11)와 제6, 12 코일부 세트(6,12)를 병렬로 권선한다. 여기서, 코일부 세트는 해당 코일(U,V,W)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코일부(1-12)를 의미한다.
U상 코일(U)은 제1, 7 코일부 세트(1,7)와 제2, 8 코일부 세트(2,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1 코일부(1)와 제2 코일부(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7 코일부(7)와 제8 코일부(8)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7,8,2 코일부(1,7,8,2)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제2,8,7,1 코일부(2,8,7,2)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7 코일부(1,7)와 제2,8 코일부(2,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3, 9 코일부 세트(3,9)와 제4, 10 코일부 세트(4,10)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3 코일부(3)와 제4 코일부(4)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9 코일부(9)와 제10 코일부(10)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9,10,4 코일부(3,9,10,4)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제4,10,9,3 코일부(4,10,9,3)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3,9 코일부(3,9)와 제4,10 코일부(4,10)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5, 11 코일부 세트(5,11)와 제6, 12 코일부 세트(6,12)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5 코일부(5)와 제6 코일부(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1 코일부(11)와 제12 코일부(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11,12,6 코일부(5,11,12,6)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제6,12,11,5 코일부(6,12,11,5)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5,11 코일부(5,11)와 제6,12 코일부(6,1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로터부(120)는 14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스테이터부(110)는 18개의 코일부(1-18)를 포함한다.
이때,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와 제10 코일부(10), 제5 코일부(5)와 제14 코일부(14), 제6 코일부(6)와 제15 코일부(15)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1, 10 코일부 세트(1,10), 제5, 14 코일부 세트(5,14) 및 제6, 15 코일부 세트(6,15)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코일부(2)와 제11 코일부(11), 제3 코일부(3)와 제12 코일부(12), 제7 코일부(7)와 제16 코일부(16)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2, 11 코일부세트(2,11), 제3, 12 코일부 세트(3,12) 및 제7, 16 코일부 세트(7,16)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4 코일부(4)와 제13 코일부(13), 제8 코일부(8)와 제17 코일부(17), 제9 코일부(9)와 제18 코일부(18)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4, 13 코일부 세트(4,13), 제8, 17 코일부 세트(8,17) 및 제9, 18 코일부 세트(9,18)를 병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은 제1, 10 코일부 세트(1,10), 제5, 14 코일부 세트(5,14) 및 제6, 15 코일부 세트(6,15)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5 코일부(5)와 제6 코일부(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4 코일부(14)와 제15 코일부(15)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14,15,6 코일부(5,14,15,6)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10 코일부 세트(1,10), 제5, 14 코일부 세트(5,14)와 제6, 15 코일부 세트(6,15)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2, 11 코일부 세트(2,11), 제3, 12 코일부 세트(3,12) 및 제7, 16 코일부 세트(7,16)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2 코일부(2)와 제3 코일부(3)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1 코일부(11)와 제12 코일부(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11,12,3 코일부(2,11,12,3)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2, 11 코일부 세트(2,11), 제3, 12 코일부 세트(3,12) 및 제7, 16 코일부 세트(7,16)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4,13 코일부(4,13), 제8,17 코일부(8,17) 및 제9,18 코일부(9,1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8 코일부(8)와 제9 코일부(9)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7 코일부(17)와 제18 코일부(18)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8,17,18,9 코일부(8,17,18,9)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4,13 코일부(4,13), 제8,17 코일부(8,17) 및 제9,18 코일부(9,1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로터부(120)는 14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스테이터부(110)는 12개의 코일부(1-12)를 포함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와 제7 코일부(7), 제2 코일부(2)와 제8 코일부(8)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1, 7 코일부 세트(1,7) 및 제2, 8 코일부 세트(2,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와 제9 코일부(9), 제4 코일부(4)와 제10 코일부(10)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3,9 코일부(3,9) 및 제4,10 코일부(4,10)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5)와 제11 코일부(11), 제6 코일부(6)와 제12 코일부(12)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5, 11 코일부 세트(5,11) 및 제6, 12 코일부 세트(6,12)를 병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은 제1, 7 코일부 세트(1,7) 및 제2, 8 코일부 세트(2,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1 코일부(1)와 제2 코일부(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7 코일부(7)와 제8 코일부(8)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7,8,2 코일부(1,7,8,2)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7 코일부 세트(1,7)와 제2, 8 코일부 세트(2,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3, 9 코일부 세트(3,9)와 제4, 10 코일부 세트(4,10)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3 코일부(3)와 제4 코일부(4)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9 코일부(9)와 제10 코일부(10)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9,10,4 코일부(3,9,10,4)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3, 9 코일부 세트(3,9)와 제4, 10 코일부 세트(4,10)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5, 11 코일부 세트(5,11)와 제6, 12 코일부 세트(6,12)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5 코일부(5)와 제6 코일부(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1 코일부(11)와 제12 코일부(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11,12,6 코일부(5,11,12,6)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제6,12,11,5 코일부(6,12,11,5)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5, 11 코일부 세트(5,11)와 제6, 12 코일부 세트(6,1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로터부(120)는 16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스테이터부(110)는 18개의 코일부(1-18)를 포함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와 제10 코일부(10), 제2 코일부(2)와 제11 코일부(11), 제9 코일부(9)와 제18 코일부(18)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1, 10 코일부 세트(1,10), 제2, 11 코일부 세트(2,11) 및 제9, 18 코일부 세트(9,1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와 제12 코일부(12), 제4 코일부(4)와 제13 코일부(13), 제5 코일부(5)와 제14 코일부(14)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3, 12 코일부 세트(3,12), 제4, 13 코일부 세트(4,13) 및 제5, 14 코일부 세트(5,14)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6 코일부(6)와 제15 코일부(15), 제7 코일부(7)와 제16 코일부(16), 제8 코일부(8)와 제17 코일부(17)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제6, 15 코일부 세트(6,15), 제7, 16 코일부 세트(7,16) 및 제8, 17 코일부 세트(8,17)를 병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은 제1, 10 코일부 세트(1,10), 제2, 11 코일부 세트(2,11) 및 제9, 18 코일부 세트(9,1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1 코일부(1)와 제2 코일부(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0 코일부(10)와 제11 코일부(11)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10,12,2 코일부(1,10,12,2)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10 코일부 세트(1,10), 제2, 11 코일부 세트(2,11) 및 제9, 18 코일부 세트(9,1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3, 12 코일부 세트(3,12), 제4, 13 코일부 세트(4,13) 및 제5, 14 코일부 세트(5,14)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3 코일부(3)와 제4 코일부(4)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2 코일부(12)와 제13 코일부(13)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12,13,4 코일부(3,12,13,4)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3, 12 코일부 세트(3,12), 제4, 13 코일부 세트(4,13) 및 제5, 14 코일부 세트(5,14)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6, 15 코일부 세트(6,15), 제7, 16 코일부 세트(7,16) 및 제8, 17 코일부 세트(8,17)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6 코일부(6)와 제7 코일부(7)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5 코일부(15)와 제16 코일부(1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6,15,16,7 코일부(6,15,16,7)를 따라 순환전류가 흐르거나 그 반대로 순환전류가 흐르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6, 15 코일부 세트(6,15), 제7, 16 코일부 세트(7,16) 및 제8, 17 코일부 세트(8,17)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권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130)는 U상 코일(U), V상 코일(V) 및 W상 코일(W)을 포함한다. U상 코일(U), V상 코일(V) 및 W상 코일(W)은 120°의 위상차가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U상 코일(U)는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1,2,7,8)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1,2,7,8)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2,7,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3,4,9,10)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3,4,9,10)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3,4,9,10)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5,6,11,12)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5,6,11,12)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5,6,11,12)를 병렬로 권선한다.
다시 말해, U상 코일(U)은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 세트(1,2,7,8)들을 병렬로 권선하고, 복수의 코일부 세트(1,2,7,8)들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1,2,7,8)끼리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 세트(3,4,9,10)들을 병렬로 권선하고, 복수의 코일부 세트(3,4,9,10)들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3,4,9,10)끼리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코일부 세트(5,6,11,12)들을 병렬로 권선하고, 복수의 코일부 세트(5,6,11,12)들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5,6,11,12)끼리 병렬로 권선한다.
따라서,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기 설정된 코일부(1-18)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면, 모터장치에는 역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로터부(120)의 역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전기시스템의 페일시 너트부가 후진되면서 볼스크류부를 역회전시키고, 볼스크류부가 로터부(120)를 역회전시킬 때에 로터부(120)의 종단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너트부와 볼스크류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너트부와 볼스크류의 충격을 방지하므로, 너트부와 볼스크류부에서 스토퍼의 충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가 고속으로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의 소자가 손상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U상 코일(U)은 제1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코일부(1,2,7,8)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코일부(1,2,7,8)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코일부(1,2,7,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코일부(3,4,9,10)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코일부(3,4,9,10)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코일부(3,4,9,10)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3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코일부(5,6,11,12)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코일부(5,6,11,12)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코일부(5,6,11,12)를 병렬로 권선한다.
이러한 3상 코일부(130)의 권선 방식에 관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터부(110)는 10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로터부(120)는 12개의 코일부(12)를 포함한다.
이때,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7 코일부(7) 및 제8 코일부(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9 코일부(9) 및 제10 코일부(10)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5), 제6 코일부(6), 제11 코일부(11) 및 제12 코일부(12)를 병렬로 권선한다.
상기 U상 코일에 권선된 코일부들 중에서, 제1 코일부(1)와 제7 코일부(7)는 18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 제2 코일부(2)와 제8 코일부(8) 역시 18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다. 또한, 상기 V상 코일에 권선된 코일부들 중에서, 제3 코일부(3)와 제9 코일부(9)는 18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 제4 코일부(4)와 제10 코일부(10) 역시 18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다. 또한, 상기 W상 코일에 권선된 코일부들 중에서, 제5 코일부(5)와 제11 코일부(11)는 18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 제6 코일부(6)와 제12 코일부(12) 역시 18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7 코일부(7) 및 제8 코일부(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1 코일부(1)와 제2 코일부(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7 코일부(7)와 제8 코일부(8)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 코일부(12)와 제7, 8 코일부(7,8)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2 코일부(1,2)와 제7, 8 코일부(7,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각각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9 코일부(9) 및 제10 코일부(10)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3 코일부(3)와 제4 코일부(4)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9 코일부(9)와 제10 코일부(10)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 4 코일부(3,4)와 제9, 10 코일부(9,10)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3, 4 코일부(3,4)와 제7, 10 코일부(7,10)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각각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5), 제6 코일부(6), 제11 코일부(11) 및 제12 코일부(12)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5 코일부(5)와 제6 코일부(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1 코일부(11)와 제12 코일부(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6 코일부(5,6)와, 제11, 12 코일부(11,12)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5, 6 코일부(5,6)와 제11, 12 코일부(11,1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스테이터부(110)는 14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로터부(120)는 18개의 코일부(18)를 포함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5 코일부(5), 제6 코일부(6), 제10 코일부(10), 제14 코일부(14) 및 제15 코일부(15)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2 코일부(2), 제3 코일부(3), 제7 코일부(7), 제11 코일부(11), 제12 코일부(12) 및 제16 코일부(16)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4 코일부(4), 제8 코일부(8), 제9 코일부(9), 제13 코일부(13), 제17 코일부(17) 및 제18 코일부(18)를 병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5 코일부(5), 제6 코일부(6), 제10 코일부(10), 제14 코일부(14) 및 제15 코일부(15)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5 코일부(5)와 제6 코일부(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4 코일부(14)와 제15 코일부(15)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 6 코일부(5,6) 및 제14, 15 코일부(14,15)에서는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코일부(1), 제5 코일부(15), 제6 코일부(6), 제10 코일부(10), 제14 코일부(14) 및 제15 코일부(15)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2 코일부(2), 제3 코일부(3), 제7 코일부(7), 제11 코일부(11), 제12 코일부(12) 및 제16 코일부(13)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2 코일부(2)와 제3 코일부(3)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1 코일부(11)와 제12 코일부(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3 코일부(2,3)와 제11, 12 코일부(11,12)에서는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2 코일부(2), 제3 코일부(3), 제7 코일부(7), 제11 코일부(11), 제12 코일부(12) 및 제16 코일부(16)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4 코일부(4), 제8 코일부(8), 제9 코일부(9), 제13 코일부(13), 제17 코일부(17) 및 제18 코일부(1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8 코일부(8)와 제9 코일부(9)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7 코일부(17)와 제18 코일부(18)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8, 9 코일부(8,9) 및 제17, 18 코일부(17,18)에서는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4 코일부(4), 제8 코일부(8), 제9 코일부(9), 제13 코일부(13), 제17 코일부(17) 및 제18 코일부(1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로터부(120)는 14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스테이터부(110)는 12개의 코일부(1-12)를 포함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7 코일부(7) 및 제8 코일부(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9 코일부(9) 및 제10 코일부(10)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5), 제9 코일부(9), 제11 코일부(11) 및 제12 코일부(12)를 병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7 코일부(7) 및 제8 코일부(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1 코일부(1)와 제2 코일부(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7 코일부(7)와 제8 코일부(8)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 코일부(1,2) 및 제7, 8 코일부(7,8)에서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7 코일부(7) 및 제8 코일부(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9 코일부(9) 및 제10 코일부(10)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3 코일부(3)와 제4 코일부(4)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9 코일부(9)와 제10 코일부(10)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4 코일부(3,4) 및 제9,10 코일부(9,10)에서는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9 코일부(9) 및 제10 코일부(10)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5), 제9 코일부(9), 제11 코일부(11) 및 제12 코일부(12)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5 코일부(5)와 제6 코일부(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1 코일부(11)와 제12 코일부(1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5, 6 코일부(5,6) 및 제11, 12 코일부(11,112)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5, 6 코일부(5,6)와 제11, 12 코일부(11,1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3상 코일부의 결선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에서 스테이터부(110)는 16극의 마그네트부(123)를 포함하고, 로터부(120)는 18개의 코일부(1-18)를 포함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9 코일부(9), 제10 코일부(10), 제11 코일부(11) 및 제18 코일부(18)를 병렬로 권선한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5 코일부(5), 제12 코일부(12), 제13 코일부(13) 및 제14 코일부(14)를 병렬로 권선한다. W상 코일(W)은 제6 코일부(6), 제7 코일부(7), 제8 코일부(8), 제15 코일부(15), 제16 코일부(16) 및 제17 코일부(17)를 병렬로 권선한다.
U상 코일(U)은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9 코일부(9), 제10 코일부(10), 제11 코일부(11) 및 제18 코일부(18)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U상 코일(U)에서 제1 코일부(1)와 제2 코일부(2)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0 코일부(10)와 제11 코일부(11)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 코일부(1,2) 및 제10, 11 코일부(10,11)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1 코일부(1), 제2 코일부(2), 제9 코일부(9), 제10 코일부(10), 제11 코일부(11) 및 제18 코일부(18)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모터장치에서 역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상 코일(V)은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5 코일부(5), 제12 코일부(12), 제13 코일부(13) 및 제14 코일부(14)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V상 코일(V)에서 제3 코일부(3)와 제4 코일부(4)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2 코일부(12)와 제13 코일부(13)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 4 코일부(3,4) 및 제12, 13 코일부(12,13)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3 코일부(3), 제4 코일부(4), 제5 코일부(5), 제12 코일부(12), 제13 코일부(13) 및 제14 코일부(14)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상 코일(W)은 제6 코일부(6), 제7 코일부(7), 제8 코일부(8), 제15 코일부(15), 제16 코일부(16) 및 제17 코일부(17)를 병렬로 권선하므로, W상 코일(W)에서 제6 코일부(6)와 제7 코일부(7)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30°의 위상차를 갖고, 제15 코일부(15)와 제16 코일부(16)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 역시 30°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6, 7 코일부(6,7) 및 제15, 16 코일부(15,16)에서는 각각 순환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병렬로 권선된 제6 코일부(6), 제7 코일부(7), 제8 코일부(8), 제15 코일부(15), 제16 코일부(16) 및 제17 코일부(17)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로터부(120)가 역회전을 하더라도 로터부(120)의 역방향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장치에서 발생되어 3상 단자로 나가는 역기전력에 의해 제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8: 코일부 110: 스테이터부
120: 로터부 121: 코어부
123: 마그네트부 130: 3상 코일부
S: 슬롯부 T: 티스부
U: U상 코일 V: V상 코일
W: W상 코일

Claims (21)

  1.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티스부가 형성되는 스테이터부;
    상기 스테이터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마그네트부가 배치되는 로터부; 및
    복수의 상기 티스부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위상차를 갖는 상기 코일부에 병렬로 권선되는 3상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코일부는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U상 코일은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상기 제1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상기 제2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상기 제3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직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0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7 코일부, 제2 코일부와 제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7 코일부 세트와 상기 제2, 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와 제9 코일부, 제4 코일부와 제10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3, 9 코일부 세트와 상기 제4, 10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5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6 코일부와 제12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5, 11 코일부 세트와 상기 제6, 12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10 코일부, 제5 코일부와 제14 코일부, 제6 코일부와 제15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10 코일부 세트, 상기 제5, 14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6,15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3 코일부와 제12 코일부, 제7 코일부와 제16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2, 11 코일부 세트, 상기 제3, 12 코일부 세트및 상기 제7, 16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4 코일부와 제13 코일부, 제8 코일부와 제17 코일부, 제9 코일부와 제1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4, 13 코일부 세트, 상기 제8, 17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9, 1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7 코일부, 제2 코일부와 제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7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2, 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와 제9 코일부, 제4 코일부와 제10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3, 9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4, 10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W)은 제5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6 코일부와 제12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5, 11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6, 12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6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10 코일부, 제2 코일부와 제11 코일부, 제9 코일부와 제18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1, 10 코일부 세트, 상기 제2, 11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9, 18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와 제12 코일부, 제4 코일부와 제13 코일부, 제5 코일부와 제14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3, 12 코일부 세트, 상기 제4, 13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5, 14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6 코일부와 제15 코일부, 제7 코일부와 제16 코일부, 제8 코일부와 제17 코일부를 각각 직렬로 권선하고, 상기 제6, 15 코일부 세트, 상기 제7, 16 코일부 세트 및 상기 제8, 17 코일부 세트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코일부는 U상 코일, V상 코일 및 W상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U상 코일는 제1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3 설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기계적으로 180°의 각도 차이를 갖고 전기적으로 동상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상기 제1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180°의 위상차를 갖는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상기 제2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되는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180°의 위상차를 갖는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상기 제3 설정 위상차가 20-30° 범위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병렬로 권선된 상기 코일부들 중에서 180°의 위상차를 갖는 상기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0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제7 코일부 및 제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 제4 코일부, 제9 코일부 및 제10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며,
    상기 W상 코일은 제5 코일부, 제6 코일부, 제11 코일부 및 제12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5 코일부, 제6 코일부, 제10 코일부, 제14 코일부 및 제15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2 코일부, 제3 코일부, 제7 코일부, 제11 코일부, 제12 코일부 및 제16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W상 코일은 제4 코일부, 제8 코일부, 제9 코일부, 제13 코일부, 제17 코일부 및 제1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4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2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제7 코일부 및 제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 제4 코일부, 제9 코일부 및 제10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W상 코일은 제5 코일부, 제9 코일부, 제11 코일부 및 제12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16극의 상기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부는 18개의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U상 코일은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제9 코일부, 제10 코일부, 제11 코일부 및 제18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V상 코일은 제3 코일부, 제4 코일부, 제5 코일부, 제12 코일부, 제13 코일부 및 제14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고,
    상기 W상 코일은 제6 코일부, 제7 코일부, 제8 코일부, 제15 코일부, 제16 코일부 및 제17 코일부를 병렬로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장치.
KR1020190002109A 2019-01-08 2019-01-08 모터장치 KR10224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109A KR102245793B1 (ko) 2019-01-08 2019-01-08 모터장치
US16/701,060 US20200220407A1 (en) 2019-01-08 2019-12-02 Motor apparatus
DE102019135510.9A DE102019135510A1 (de) 2019-01-08 2019-12-20 Motorvorrichtung
CN201911358057.8A CN111416457B (zh) 2019-01-08 2019-12-25 电机设备
US17/735,064 US20220263366A1 (en) 2019-01-08 2022-05-02 Motor apparatus
US17/735,080 US20220263368A1 (en) 2019-01-08 2022-05-02 Motor apparatus
US17/735,072 US20220263367A1 (en) 2019-01-08 2022-05-02 Mo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109A KR102245793B1 (ko) 2019-01-08 2019-01-08 모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021A true KR20200086021A (ko) 2020-07-16
KR102245793B1 KR102245793B1 (ko) 2021-04-28

Family

ID=7110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109A KR102245793B1 (ko) 2019-01-08 2019-01-08 모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20200220407A1 (ko)
KR (1) KR102245793B1 (ko)
CN (1) CN111416457B (ko)
DE (1) DE102019135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793B1 (ko) * 2019-01-08 202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장치
GB2586989B (en) * 2019-09-11 2022-07-27 Rolls Royce Plc Electric Machines
CN114362396A (zh) * 2021-12-29 2022-04-15 大连船用推进器有限公司 高效率低振动低噪声铜转子电动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514A (ko) * 2006-03-06 2007-09-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75910A (zh) * 2001-03-15 2002-10-23 株式会社萌利克 永久磁铁型三相ac回转电机
JP4112535B2 (ja) * 2004-07-30 2008-07-02 株式会社一宮電機 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EP1810388B1 (de) * 2004-11-10 2014-04-23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Elektromotor
DE102004055317A1 (de) * 2004-11-16 2006-05-24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Drehfeldmaschine und Primärteil
JP5740931B2 (ja) * 2010-03-03 2015-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分割ステータ、及びモータ
JP2013165532A (ja) * 2010-05-28 2013-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
JP2012222963A (ja) * 2011-04-08 2012-11-12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
JP2012228007A (ja) * 2011-04-15 2012-11-15 Asmo Co Ltd バスバー装置、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WO2013030913A1 (ja) * 2011-08-29 2013-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66404A (ko) 2012-11-23 2014-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모터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8141087B (zh) * 2015-10-28 2019-12-06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
CN109863691B (zh) * 2016-10-31 2023-04-04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和机以及空气调和机的控制方法
KR20190002109A (ko) 2017-06-29 2019-01-08 (주)애니스마트 녹음·무선통신·ess배터리충전기능을 갖는 스마트 멀티 전자 카드
EP3648319A4 (en) * 2017-06-30 2020-06-24 Guangdong Meizhi Compressor Co., Ltd. PERMANENT MAGNETIC MOTOR, COMPRESSOR AND COOLING SYSTEM
EP3695493B1 (en) * 2017-10-29 2024-03-20 Clearwater Holdings, Ltd. Modular electromagnetic machine
KR102245793B1 (ko) * 2019-01-08 202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514A (ko) * 2006-03-06 2007-09-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3367A1 (en) 2022-08-18
US20220263368A1 (en) 2022-08-18
DE102019135510A1 (de) 2020-07-09
US20220263366A1 (en) 2022-08-18
CN111416457A (zh) 2020-07-14
US20200220407A1 (en) 2020-07-09
CN111416457B (zh) 2023-02-03
KR102245793B1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6193B2 (ja) 永久磁石式三相二重化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99913B1 (ko) 모터
US9564779B2 (en) Permanent magnet motor
US20220263367A1 (en) Motor apparatus
WO2015019948A1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09428407B (zh) 定子芯
CN111130234B (zh) 具有混合齿设计的电机
CN112039247B (zh) 旋转电机以及定子绕组
EP2693613B1 (en) Hybrid electric reluctance machine
US20110025156A1 (en) Machine for fixing
CN109038994B (zh) 一种两相开关磁阻电机
JP2010161832A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JP2001103717A (ja) 複数ロータモータ
JP4525025B2 (ja) 回転電機
US20160049833A1 (en) Electric motor having a low short-circuit torque, drive device with a plurality of mo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motor
JP2010154583A (ja) 永久磁石同期電動機
KR102565035B1 (ko) 전기모터용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EP4047788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WO2023106337A1 (ja) ステータ及びモータ
US20150236577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unit
JP2021191082A (ja) モータ
JP6541532B2 (ja) スイッチドリラクタンスモータ
WO2019003678A1 (ja) モータ
EP1169765A1 (en) Brushless synchronous electric motor
CN115378155A (zh) 一种混合表嵌-辐条式永磁非对称磁轴偏移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