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002A - 노면 청소용 스위퍼 - Google Patents

노면 청소용 스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002A
KR20200086002A KR1020190002062A KR20190002062A KR20200086002A KR 20200086002 A KR20200086002 A KR 20200086002A KR 1020190002062 A KR1020190002062 A KR 1020190002062A KR 20190002062 A KR20190002062 A KR 20190002062A KR 20200086002 A KR20200086002 A KR 20200086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cket frame
mounting frame
hinge bracke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098B1 (ko
Inventor
조병봉
Original Assignee
조병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봉 filed Critical 조병봉
Priority to KR102019000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0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4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taking- up the sweepings, e.g. for collecting, for loading
    • E01H1/047Collec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hopper or by means for unloading the h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더, 스키드 로더, 지게차와 같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에 있는 쓰레기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로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 양측에 각각 하부힌지브라켓(110)이 결합되는 버킷 프레임(100); 버킷 프레임(100)의 개방면(101)을 향해 회동하도록 버킷 프레임(1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면 양측에 각각 상부힌지브라켓(210)이 결합되는 장착프레임(200); 노면과 회전마찰되도록 장착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300); 및 하부힌지브라켓(110)과 상부힌지브라켓(210)을 연결하는 댐퍼로서, 설정된 압축한계에서 충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완충 작용을 하는 고체로 된 완충블록(410)을 구비하는 댐퍼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면 청소용 스위퍼{A sweeper for road cleaning}
본 발명은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더, 스키드 로더, 지게차와 같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에 있는 쓰레기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 등에서는 별도의 청소차량을 구비하지 않고 로더, 스키드 로더, 지게차와 같은 건설기계 혹은 특수차량에 노면 청소용 스위퍼를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727020호("노면 청소차량")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은 스키드로더(1)의 전방에 승하강붐대(2)와 틸팅실린더(4)에 의해 틸팅 및 승하강 자유롭게 버켓(5)이 설치되고, 버켓(5)의 전방 상부에는 하방이 개구된 커버(6)가 개폐실린더(7)에 의해 개폐되게 설치되며, 커버(6)의 전방내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브러쉬(8)가 설치되고, 커버(6)의 외측 전방에 원판브러쉬장치(9)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은 청소시에 발생하는 쓰레기와 흙먼지를 외부로 날리지 않으면서 곧바로 집진통에 담아서 주변을 더럽히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노면을 청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은 청소 과정에서 비산되어 커버(6)의 내부면과 원통형브러쉬(8)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털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나 방법이 없었다. 이로 인해, 부착된 이물질들을 수시로 청소해야 함에 따른 불편은 물론, 부착된 이물질로 인해 청소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7020호(공고일자 2007년06월14일, 발명의 명칭 : 노면 청소차량)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러쉬와 장착프레임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털 수 있고, 이물질을 터는 과정에서 부품이 손상·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킷 프레임과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 양측에 각각 하부힌지브라켓(110)이 결합되는 버킷 프레임(100);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개방면(101)을 향해 회동하도록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면 양측에 각각 상부힌지브라켓(210)이 결합되는 장착프레임(200); 노면과 회전마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300); 및 상기 하부힌지브라켓(110)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210)을 연결하는 댐퍼로서, 설정된 압축한계에서 충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완충 작용을 하는 고체로 된 완충블록(410)을 구비하는 댐퍼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00)가 노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상기 버킷 프레임(100)으로 쓸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브러쉬(300) 및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비산된 이물질이 부착되고, 상기 버킷 프레임(100)을 상기 장착프레임(200)과 같이 상승시킨 후, 상기 버킷 프레임(100)을 순간적으로 내리면, 상기 장착프레임(200)은 허공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버킷 프레임(100)이 먼저 내려가면서 상기 댐퍼부재(400)가 신장되는 신장모드와, 먼저 내려간 버킷 프레임(100)을 향해 상기 장착프레임(200)이 나중에 내려가면서 상기 댐퍼부재(400)가 압축되는 압축모드와, 상기 댐퍼부재(400)가 상기 압축한계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완충블록(410)에 충격이 발생하는 충격모드와, 상기 완충블록(410)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드가 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400)는, 봉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힌지브라켓(2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힌지브라켓(110)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삽입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리브(421)가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피스톤(420)과, 원통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힌지브라켓(1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피스톤(4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블록(410)은, 상기 실린더(430)의 타단면에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우레탄 고무로서, 그 중공에 상기 피스톤(420)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브라켓(210)은,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편(211)과, 상기 고정편(211)의 상면에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리브(212)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힌지브라켓(110)은,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삽입공이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측지지편(111)과, 상기 일측지지편(111)과 마주보게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도록 상단부가 U자 형상으로 갈라져 형성되는 타측지지편(1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따르면, 버킷 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을 동시에 들어올렸다가 버킷 프레임만 순간적으로 내려 충격을 유발하는 방식을 통해, 브러쉬와 장착프레임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너트를 정·역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브러쉬의 크기에 맞춰, 버킷 프레임과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완충블록의 탄성계수가 특정범위 내로 설정됨으로써, 이물질을 터는 과정에서 부품이 손상·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포함된 댐퍼부재의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서 이물질이 털리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도 5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 포함된 댐퍼부재의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는 로더, 스키드 로더, 지게차와 같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에 있는 쓰레기나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로서, 버킷 프레임(100), 장착프레임(200), 브러쉬(300, 도 6에 표시)와 댐퍼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킷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하부힌지브라켓(110)이 결합된다.
버킷 프레임(100)의 개방된 개방면(101)으로 후술되는 브러쉬(300)에 의해 쓸려진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고, 유입된 이물질은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 수집공간으로 수집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키드 로더의 전방에 설치된 붐대는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며, 붐대의 커플러 부분에 버킷 프레임(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버킷 프레임(100)의 배면에는 붐대의 커플러 부분에 연결되도록 연결부속(103)이 결합된다.
상부힌지브라켓(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211)과 한 쌍의 힌지리브(212)로 구성된다. 고정편(211)은 장착프레임(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강판이다. 한 쌍의 힌지리브(212)는 고정편(211)의 상면에 장착프레임(20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장착프레임(2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프레임(100)의 개방면(101)을 향해 회동하도록 버킷 프레임(1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면 양측에 각각 상부힌지브라켓(210)이 결합되는 프레임이다.
하부힌지브라켓(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지지편(111)과 타측지지편(112)을 구비한다. 일측지지편(111)은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삽입공이 장착프레임(20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타측지지편(112)은 ㄴ자 형상으로, 일측지지편(111)과 마주보게 버킷 프레임(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도록 상단부(112a)가 U자 형상 또는 O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측지지편(111)과 타측지지편(112) 사이의 간격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측지지편(111) 및 타측지지편(112) 양측에 각각 내입홈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에 각각 한 쌍의 간격유지바(113)가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300, 도 6 참조)는 노면과 회전마찰되도록 장착프레임(200)의 내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브러쉬(3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프레임(200)의 상부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축과 브러쉬의 회전축이 체인-스프라켓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댐퍼부재(4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힌지브라켓(110)과 상부힌지브라켓(210)을 연결하는 댐퍼(damper)로서, 설정된 압축한계에서 충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완충 작용을 하는 고체로 된 완충블록(41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댐퍼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블록(410), 피스톤(420) 및 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완충블록(410)은 실린더(430)의 타단면에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우레탄 고무로서, 그 중공에 피스톤(420)이 삽입된다.
피스톤(420)은 봉 형상의 일단부가 상부힌지브라켓(2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힌지브라켓(110)을 향해 연장되며 삽입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리브(421)가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피스톤(420)은 스토퍼리브(421)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피스톤부(420a)와, 제1 피스톤부(420a)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부힌지브라켓(210)에 힌지결합되는 제2 피스톤부(420b)와, 일단부가 제2 피스톤부(420b)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피스톤부(420a) 및 실린더(430)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제3 피스톤부(420c)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리브(421)는 제1 피스톤부(420a)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제2 피스톤부(420b)는 제1 피스톤부(420a)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되며, 제3 피스톤부(420c)는 제2 피스톤부(420b)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피스톤부(420a), 제2 피스톤부(420b) 및 제3 피스톤부(420c)가 한 몸체로 움직이게 된다.
피스톤(420)과 상부힌지브라켓(210)의 힌지결합을 매개하기 위해, 힌지연결구(500)와 너트부(600)가 더 포함된다.
힌지연결구(500)는 한 쌍의 힌지리브(212) 사이에 힌지결합되고, 피스톤(420)의 상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한 쌍의 측편(510)을 구비한다.
너트부(600)는 복수로 구성되어, 한 쌍의 측편(510)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420)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되는 간격조절너트(610)와, 한 쌍의 측편(510) 중, 어느 하나의 측편(510)에 밀착되도록 피스톤(420)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되는 풀림방지너트(620)로 구성된다.
풀림방지너트(620)를 조금 푼 상태에서, 간격조절너트(610)를 정·역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버킷 프레임(100)과 장착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브러쉬(300)의 크기에 맞춰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실린더(430)는 일단부가 하부힌지브라켓(1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피스톤(4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실린더(430)는 피스톤(420)과 상대운동하면서 피스톤(4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기능과, 피스톤(420)의 스토퍼리브(421)에 의해 상단면이 가압되는 완충블록(410)의 하단면을 밀착지지하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피스톤(420)의 슬라이딩 운동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완충블록(410)의 하단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430)의 상단부에 마찰지지부(440)가 구비된다. 마찰지지부(440)는 지지블록(441), 마찰가이드블록(442), 고정블록(443) 및 다수의 체결구(444)로 구성된다.
지지블록(441)은 완충블록(410)과 대등한 단면을 가지며 실린더(430)의 상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지지블록(441)에 원형으로 다수의 너트홀이 형성된다.
마찰가이드블록(442)은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MC 나일론 또는 테프론으로 구성된다. 마찰가이드블록(442)의 중공에 피스톤(42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마찰되는 방식으로 피스톤(420)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이 안내된다.
마찰가이드블록(442)의 하단부는 제1 직경으로 구성되어 지지블록(441)과 피스톤(4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중단부는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지지블록(441)에 밀착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1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다단 샤프트 형상을 이룬다.
고정블록(443)은 다수의 관통홀이 상기 너트홀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배열된 원통 형상으로, 그 중공에 피스톤(420)이 삽입되며, 고정블록(443)과 피스톤(420) 사이의 공간에 마찰가이드블록(442)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다수의 체결구(444)는 고정블록(443)의 관통홀을 통해 지지블록(441)의 너트홀에 각각 체결되는 구성이다. 체결구(444)가 체결되면, 마찰가이드블록(442)은 지지블록(441)과 고정블록(443) 사이에 압박고정되며, 완충블록(410)은 피스톤(420)이 삽입된 상태로 피스톤(420)의 스토퍼리브(421)와 고정블록(443) 사이에 개재된다.
실린더(430)와 하부힌지브라켓(110)의 힌지결합을 매개하기 위해, 축부재(700)가 더 포함된다.
축부재(700)는 일단부가 일측지지편(111)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타측지지편(112)의 갈라진 상단부에 지지되며, 외주면에 실린더(430)의 하단부가 용접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430)의 하단부가 축부재(700)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댐퍼부재(400)는 버킷 프레임(100)과 장착프레임(200) 간의 각도 변화에 따라 피스톤(420)이 실린더(43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신축된다.
이때, 피스톤(420)이 실린더(430)에 삽입되는 한계인 압축한계는, 피스톤(420)의 스토퍼리브(421)가 완충블록(410)에 닿을 때로 정의된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서 이물질이 털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에서 이물질이 털리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브러쉬(300)가 노면에 존재하는 이물질(M)을 버킷 프레임(100)으로 쓸어 넣는 과정에서, 브러쉬(300) 및 장착프레임(200)의 내부에는 비산된 이물질이 부착된다는 것을 전제로,
먼저, 도 5의 (a)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프레임(100)을 장착프레임(200)과 같이 노면으로부터 상승시킨다.
그 다음, 버킷 프레임(100)을 순간적으로 내린다. 그러면, 도 5의 (b)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프레임(200)은 관성에 의해 허공에 떠 있는 상태로, 버킷 프레임(100)이 먼저 내려가면서 댐퍼부재(400)가 신장되는 신장모드가 된다.
이후, 도 5의 (c)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려간 버킷 프레임(100)을 향해 장착프레임(200)이 나중에 내려가면서, 댐퍼부재(400)가 압축되는 압축모드가 된다.
압축모드가 계속 되다가 댐퍼부재(400)가 압축한계에 도달하는 시점, 즉 피스톤(420)의 스토퍼리브(421)가 완충블록(410)에 충돌하는 시점에, 완충블록(410)에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황을 충격모드라고 정한다.
상기 충격모드에서, 브러쉬(300) 및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M)이 관성에 의해 털어지고, 차량의 전진 및 브러쉬 회전에 따라, 털어진 이물질(M)이 장착프레임(200)에 모아지게 된다.
종래에는 브러쉬 및 상하 프레임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나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스위퍼 내부를 수시로 청소해야 함은 물론, 부착된 이물질로 인해 청소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버킷 프레임(100)과 장착프레임(200)을 동시에 들어올렸다가 버킷 프레임(100)만 순간적으로 내려 충격을 유발하는 방식을 통해, 브러쉬와 장착프레임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충격모드 후에는, 완충블록(410)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드 상태가 된다. 브러쉬(300) 및 버킷 프레임(100)이 낙하되는 중량이 상당한 바, 그 충격을 그대로 받게 되면, 스위퍼의 각 부품, 특히 체결부가 손상·변형될 수 있는데, 완충블록(410)이 충격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이물질을 터는 과정에서 부품이 손상·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부합될 수 있도록, 완충블록(410)의 탄성계수는 피스톤(420)의 스토퍼리브(421)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는 저탄성계수와, 이물질(M)이 털릴 정도의 충격력이 발생될 수 있는 고탄성계수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면 청소용 스위퍼는, 버킷 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을 동시에 들어올렸다가 버킷 프레임만 순간적으로 내려 충격을 유발하는 방식을 통해, 브러쉬와 장착프레임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털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너트를 정·역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브러쉬의 크기에 맞춰, 버킷 프레임과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완충블록의 탄성계수가 특정범위 내로 설정됨으로써, 이물질을 터는 과정에서 부품이 손상·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버킷 프레임
200 : 장착프레임
300 : 브러쉬
400 : 댐퍼부재

Claims (4)

  1.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 양측에 각각 하부힌지브라켓(110)이 결합되는 버킷 프레임(100);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개방면(101)을 향해 회동하도록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상면 양측에 각각 상부힌지브라켓(210)이 결합되는 장착프레임(200);
    노면과 회전마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300); 및
    상기 하부힌지브라켓(110)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210)을 연결하는 댐퍼로서, 설정된 압축한계에서 충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완충 작용을 하는 고체로 된 완충블록(410)을 구비하는 댐퍼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00)가 노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상기 버킷 프레임(100)으로 쓸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브러쉬(300) 및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비산된 이물질이 부착되고,
    상기 버킷 프레임(100)을 상기 장착프레임(200)과 같이 상승시킨 후, 상기 버킷 프레임(100)을 순간적으로 내리면,
    상기 장착프레임(200)은 허공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버킷 프레임(100)이 먼저 내려가면서 상기 댐퍼부재(400)가 신장되는 신장모드와, 먼저 내려간 버킷 프레임(100)을 향해 상기 장착프레임(200)이 나중에 내려가면서 상기 댐퍼부재(400)가 압축되는 압축모드와, 상기 댐퍼부재(400)가 상기 압축한계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완충블록(410)에 충격이 발생하는 충격모드와, 상기 완충블록(410)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드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400)는, 봉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힌지브라켓(2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힌지브라켓(110)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삽입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리브(421)가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피스톤(420)과, 원통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힌지브라켓(1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피스톤(4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실린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블록(410)은, 상기 실린더(430)의 타단면에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우레탄 고무로서, 그 중공에 상기 피스톤(42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브라켓(210)은,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편(211)과, 상기 고정편(211)의 상면에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리브(212)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힌지브라켓(110)은,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삽입공이 상기 장착프레임(200)의 회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측지지편(111)과, 상기 일측지지편(111)과 마주보게 상기 버킷 프레임(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도록 상단부가 U자 형상으로 갈라져 형성되는 타측지지편(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용 스위퍼.
KR1020190002062A 2019-01-08 2019-01-08 노면 청소용 스위퍼 KR102137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62A KR102137098B1 (ko) 2019-01-08 2019-01-08 노면 청소용 스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62A KR102137098B1 (ko) 2019-01-08 2019-01-08 노면 청소용 스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002A true KR20200086002A (ko) 2020-07-16
KR102137098B1 KR102137098B1 (ko) 2020-07-23

Family

ID=7183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062A KR102137098B1 (ko) 2019-01-08 2019-01-08 노면 청소용 스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6908A (zh) * 2021-03-11 2021-07-13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垃圾箱结构及清洁机器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459Y1 (ko) * 2005-02-04 2005-05-03 박성용 노면 청소용 블러쉬
KR100619452B1 (ko) * 2006-03-16 2006-09-06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
KR100727020B1 (ko) 2006-10-02 2007-06-14 이춘기 노면 청소차량
KR101284959B1 (ko) * 2012-11-23 2013-07-10 조병두 암반용 브러시 장치
KR101934070B1 (ko) * 2018-07-13 2018-12-31 김관국 스키드로더 설치용 브러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459Y1 (ko) * 2005-02-04 2005-05-03 박성용 노면 청소용 블러쉬
KR100619452B1 (ko) * 2006-03-16 2006-09-06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살수차용 후방 브러쉬
KR100727020B1 (ko) 2006-10-02 2007-06-14 이춘기 노면 청소차량
KR101284959B1 (ko) * 2012-11-23 2013-07-10 조병두 암반용 브러시 장치
KR101934070B1 (ko) * 2018-07-13 2018-12-31 김관국 스키드로더 설치용 브러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6908A (zh) * 2021-03-11 2021-07-13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垃圾箱结构及清洁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098B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6505A (en) Sliding door
KR102137098B1 (ko) 노면 청소용 스위퍼
KR102221170B1 (ko) 고정지그장치
CN109024411A (zh) 一种扫刷装置和扫地机
KR102029536B1 (ko) 청소 도구
CN108714006A (zh) 用于扫地机器人的吸尘装置
CN107338751B (zh) 一种具有输送带的扫地车
CN107997683A (zh) 一种家用缝隙灰尘清理装置
KR200273894Y1 (ko) 도로청소차의 쓰레기 흡입장치
KR200492006Y1 (ko) 노면 청소용 스위퍼
US20080115316A1 (en) Vacuum Having Wheels And Shock Absorbing Features
EP0888910B1 (fr) Dispositif à butée de limitation de course associée à un soufflet protecteur, en particulier pour amortisseur de véhicule
CN1390104A (zh) 用于真空吸尘器的缓冲器结构的脚轮
CN109098130B (zh) 多功能扫路机扫刷防撞装置
CN108857759A (zh) 一种家具加工用柱状条木打磨装置
CN208899390U (zh) 一种扫刷装置和扫地机
JP7261976B2 (ja) 門扉
KR101869244B1 (ko) 회동방지장치가 병렬로 구비된 반전 집초기
CN208858780U (zh) 一种具有石墨铜套的轴承、铰接式车架和扫地机
CN207293200U (zh) 垃圾箱及垃圾车
CN205273014U (zh) 一种新型多功能美术练习装置
CN218074812U (zh) 一种扫地机的清洁装置
CN109432749A (zh) 一种单机版自动供球设备
CN217200240U (zh) 一种易于排污的刮板及刮板输送机
JP3639024B2 (ja) 野球練習用投球機の衝撃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