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763A -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763A
KR20200084763A KR1020190104470A KR20190104470A KR20200084763A KR 20200084763 A KR20200084763 A KR 20200084763A KR 1020190104470 A KR1020190104470 A KR 1020190104470A KR 20190104470 A KR20190104470 A KR 20190104470A KR 20200084763 A KR20200084763 A KR 2020008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pair
magnetic force
locking
fasten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777B1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02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9486B1/ko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28Linearly reciproc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는, 차량 대시보드에 형성된 박스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개폐장치로서, 서로 연동된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설치되어 단부에 구비된 체결단을 통해 상기 박스설치부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에 동시에 삽탈되는 한 쌍의 락킹로드; 한 쌍의 상기 체결단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락킹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자력발생부; 및 상기 자력발생부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체결단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락킹로드를 작동시켜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자력발생부와 이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된 작동영역의 수가 종래에 비해 저감됨에 따라 작동에 따른 누적 공차, 소음 및 유격, 작동불량의 발생 등이 최소화될 수 있고, 글로브박스의 개폐 작동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차량의 고급화에 부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글로브박스에 구비된 노브의 조작과 연동하여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용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동작하게 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 등의 안전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앞 열에 설치되는 대시보드(Dash Board)의 조수석 쪽에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물품 등을 수납 보관하는 글로브박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글로브박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면부에 구비된 노브의 기계적 조작을 통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하우징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노브를 누르거나 당기게 되면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맞물림 작동 또는 로터리 방식의 축회전에 의해 한 쌍의 락킹로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됨으로써, 글로브박스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적 개폐방식의 글로브박스와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글로브박스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된 글로브박스 커버(2)에 누름버튼(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누름버튼(12)에 의한 동작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고, 글로브박스 커버(2)의 록킹공(24)에 록킹수단이 결합되며, 록킹수단을 탄지하는 탄성부재가 글로브박스 하우징(3)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록킹수단은 글로브박스 상부 커버(2)의 일측에 보조 로드(18)가 인출되는 보조로드 입출공(22)과 대응되어 연동하는 좌측 로드(32)와, 좌측 로드(32)에 형성된 랙기어부(34)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36)와, 누름버튼(12)의 작동에 연동되는 작동케이블(50)이 연결되고 피니언기어(36)에 맞물리는 랙기어부(38)가 형성되어 록킹공(24)에 삽입되는 우측 로드(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글로브박스 커버(2)에 대한 글로브박스 하우징(3)의 개방이 누름버튼(12)을 통한 기계적 작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고급화와 고품질화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계적 작동방식의 개폐장치는, 누름버튼에 가해진 조작력이 직접적으로 로드에 전달되지 않고, 피니언기어와 랙기어부와 같은 다수의 작동영역을 거쳐 힘의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전달되도록 한 것이므로, 그 작동에 따른 공차가 누적해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확하고 정밀한 작동의 구현이 구조적으로 어렵고, 작동영역들에서 소음과 유격이 발생할 수 있어 작동감의 저하는 물론, 작동불량이 유발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자동차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의 중점이 경쟁심화로 제조상의 효율화에서 더 나아가 자동차의 고품질 및 고급화로 점차 옮겨가고 있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에 관련한 부분에서도 다양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작동영역이 서로 연동되는 기계적 작동으로 글로브박스를 개폐하던 종래의 방식을 탈피하여 제어된 전자기력에 의해 정확하고 정밀한 개폐작동이 가능하고, 소음과 기계적 고장의 염려가 저감될 수 있으며, 글로브박스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고급화에 부합하는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 대시보드에 형성된 박스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개폐장치로서, 서로 연동된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설치되어 단부에 구비된 체결단을 통해 상기 박스설치부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에 동시에 삽탈되는 한 쌍의 락킹로드; 한 쌍의 상기 체결단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락킹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자력발생부; 및 상기 자력발생부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체결단 사이에는,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홈에 끼워지도록 강제하는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의 일면에는, 상기 글로브박스가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락킹홈에 원활히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유도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과 상기 락킹로드 사이에는, 상기 글로브박스의 열림과 닫힘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경사면이 상기 락킹홈을 마주하도록 상기 체결단을 상대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차량 대시보드에 형성된 박스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박스설치부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에 삽탈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단; 상기 체결단 각각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한 쌍의 자력발생부; 및 상기 자력발생부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발생부와 상기 체결단 사이에는,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홈에 끼워지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의 일면에는, 상기 글로브박스가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홈에 원활히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유도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는, 상기 글로브박스의 열림과 닫힘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경사면이 상기 락킹홈을 마주하도록 상기 체결단을 상대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차량 대시보드에 형성된 박스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박스설치부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에 삽탈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글로브박스가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락킹홈으로 안내하는 유도경사면이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단;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탄성체; 상기 체결단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글로브박스의 열림과 닫힘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경사면이 상기 락킹홈을 마주하도록 상기 체결단을 상대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체결단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락킹로드를 작동시켜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자력발생부와 이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계된 작동영역의 수가 종래에 비해 저감됨에 따라 작동에 따른 누적 공차, 소음 및 유격, 작동불량의 발생 등이 최소화될 수 있고, 글로브박스의 개폐 작동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차량의 고급화에 부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가 탑재된 글로브박스 및 대시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계식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가 탑재된 글로브박스 및 대시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종래 기계식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기계적 작동으로 글로브박스(30)를 개폐하던 종래의 방식을 탈피하여 제어된 전자기력에 의해 개폐작동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하는 한편, 작동 소음과 작동부에 대한 기계적 고장의 염려를 최소화함으로써, 글로브박스(30)의 사용상 편의성과 차량의 고급화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기능 내지 작동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로드(110), 하나의 자력발생부(120), 스위치부(130) 및 탄성체(140) 등을 포함하여 제1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단(112), 한 쌍의 자력발생부(120), 스위치 및 탄성체(140) 등을 포함하여 제2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150)를 더 포함하여 제1,2 실시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변형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차량 대시보드(10)에 형성된 박스설치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글로브박스(30)의 내측에 설치되어 박스설치부(20)에 형성된 락킹홈(115)과 상호작용 하면서 글로브박스(3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락킹로드(110)는, 한 쌍의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각각이 서로 연동된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도록 글로브박스(3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연동된 작동에 의해 단부에 구비된 체결단(112)은 박스설치부(20)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115)에 동시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서로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축회전하는 연동로드(113)의 양단부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된 한 쌍의 락킹로드(11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중앙에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맞물려 직선운동하는 랙기어가 구비된 한 쌍의 락킹로드(110)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구조로 구현된 한 쌍의 락킹로드(110)는, 중앙의 연동로드(113)나 피니언기어를 기준으로 어느 한 측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다른 한 측은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락킹로드(110) 단부의 체결단(112) 각각은 락킹홈(115)에 동시에 삽입되거나 동시에 이탈되며 글로브박스(30)의 잠금 작동과 잠금해제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단(112)은, 락킹로드(110)와 별개로 형성되어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거나 락킹로드(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홈(115)과 마주하게 되는 어느 일면에는 유도경사면(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경사면(112a)은, 글로브박스(30)가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될 때, 락킹홈(115)으로부터 체결단(112)이 원활히 이탈되거나 락킹홈(115)으로 원활히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작용 내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체결단(1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글로브박스(30)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와 마주하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글로브박스(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체결단(112)이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의 안내에 따라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며 락킹홈(115)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에 대향되는 면에 유도경사면(112a)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단(112)은 후술할 자력발생부(120)와의 관계에서 인력이나 척력과 같은 자기력이 상호 간에 작용할 수 있도록 철, 니켈, 코발트 등과 같은 강자성체를 소재로 하거나 이들을 조합한 합금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또는 락킹로드(110)와 접하는 쪽에 영구자석을 결합시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자력발생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력에 반응하는 한 쌍의 체결단(112)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락킹로드(110)를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인가받아 체결단(112)에 대하여 전자기력인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력발생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로드(11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체결단(112)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상태로 글로브박스(30) 내측에 단독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양 쪽 체결단(112) 모두에 대하여 자력발생부(120)가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력발생부(12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스위치부(130)의 전기적 접속에 따른 차량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용 전원을 인가받아 인접한 체결단(112)을 끌어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인력의 작용으로 인해 한 쌍의 락킹로드(110)는 회전하는 연동로드(113)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며 글로브박스(30)를 잠금해제시키게 되어 사용자는 글로브박스(30)를 당겨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되거나 글로브박스(30)가 완전 개방되는 경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제어부(50)나 후술할 스위치부(130)는 체결단(112)에 작용하는 인력이 제거되도록 자력발생부(120)에 인가된 차량용 전원을 단절시키는 제어 또는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제어부(50)는, 차량에 탑재된 각종 장치나 동력계에 전원을 인가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각 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차량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나 별도로 구비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등과 같이 모듈화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술한 자력발생부(120)에 차량용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단절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용화된 기계식 노크스위치 또는 터치패널로 구현되어 글로브박스(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스위치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자력발생부(120), 차량제어부(50) 및 차량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력발생부(120)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斷續)하게 된다.
탄성체(140)는, 상술한 자력발생부(120)가 체결단(112)을 끌어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동안 체결단(112)이 락킹홈(115)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 즉, 글로브박스(3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코일형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자력발생부(120)와 체결단(112)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탄성체(140)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120)와 체결단(112) 사이에 구비되어 체결단(112)을 락킹홈(115) 쪽으로 탄성지지하게 되면, 연동로드(113)에 의해 반대쪽에 위치한 다른 체결단(112)도 인접한 락킹홈(115)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자력발생부(120)가 구비되지 않은 쪽의 다른 체결단(112)에도 탄성체(140)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 락킹로드(110) 없이 한 쌍의 체결단(112)과, 이에 대하여 각각 인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자력발생부(120)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분명히 구별된다.
여기서의 체결단(112)은, 박스설치부(20)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115)에 삽탈되도록 글로브박스(30)에 각각 설치되고, 자력발생부(120)는 체결단(112) 각각에 대한 전자기력의 상호작용으로 글로브박스(3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130)는 이러한 한 쌍의 자력발생부(120)에 대한 전원제공을 동시에 단속하도록 이루어져 글로브박스(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체(140)는 자력발생부(120)와 체결단(112) 사이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각 체결단(112)이 락킹홈(115)에 끼워지도록 강제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스위치부(130)를 누르거나 터치하지 않으면, 차량전원(40)은 자력발생부(120)에 인가되지 않아 양단부의 체결단(112)은 각각 탄성체(140)에 의해 락킹홈(115) 쪽으로 탄성지지되고, 이로 인해 글로브박스(30)는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폐쇄된 글로브박스(30)의 전면에 배치된 스위치부(130)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차량제어부(50)는 차량전원(40)을 한 쌍의 자력발생부(120)에 동시에 인가하여 체결단(112)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작동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체결단(112)은 모두 락킹홈(115)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글로브박스(30)는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이 가능한 상태의 글로브박스(30)를 당기거나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차량제어부(50)는 자력발생부(120)에 인가된 차량전원(40)을 해제시켜 체결단(112)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작동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체결단(112)은 모두 탄성체(140)에 의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되고, 이후 사용자가 글로브박스(30)를 폐쇄시키기 위해 닫게 되면, 체결단(112)은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와 접촉하는 유도경사면(112a)의 안내에 따라 안쪽으로 슬라이드된 후 락킹홈(115)의 내측에 삽입되어 글로브박스(30)를 폐쇄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구성에 회전구동부(150)가 더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구동부(150)는, 글로브박스(30)의 열림과 닫힘에 대응하여 상술한 유도경사면(112a)이 락킹홈(115)을 마주하도록 체결단(112)을 상대회전시키며 체결단(112)과 함께 글로브박스(30)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구성요소로서, 체결단(112)과 락킹로드(110) 사이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되, 회전축은 체결단(112)과 결합되고, 몸체는 락킹로드(110)에 고정되는 소형의 압전모터일 수 있다.
압전모터는, 전원의 인가로 발생되는 압전세라믹의 진동에너지를 구동력으로 하여 회전축과 연결된 로터를 회전시키는 저소음 동력장치로서, 빠른 반응속도, 정밀한 위치제어와 소형화가 가능하고, 자계 및 고주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부(150)는, 스위치부(130), 차량제어부(50) 및 차량전원(4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부(130)의 전기적 접속(누름이나 터치) 등에 대응한 차량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차량용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이때, 차량제어부(50)는, 글로브박스(30)의 열림과 닫힘에 대응하여 상술한 유도경사면(112a)이 락킹홈(115)을 정확히 마주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15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스위치부(130)를 누르거나 터치하지 않으면, 차량전원(40)은 회전구동부(150) 및 자력발생부(120)에 인가되지 않아 양단부의 체결단(112)은 각각 탄성체(140)에 의해 락킹홈(115) 쪽으로 탄성지지되고, 이로 인해 글로브박스(30)는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폐쇄된 글로브박스(30)의 전면에 배치된 스위치부(130)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차량제어부(50)는 차량전원(40)을 한 쌍의 회전구동부(150)에 동시에 인가하여 각 체결단(112)의 유도경사면(112a)이 락킹홈(115)의 걸림돌기를 마주하도록 회전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체결단(112)은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와의 관계에서 외력에 의해 글로브박스(30)가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글로브박스(30)를 개방시키기 위해 당기게 되면, 체결단(112)은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에 의한 저항없이 유도경사면(112a)의 안내에 따라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며 락킹홈(115)의 내측으로부터 이탈되어 글로브박스(30)의 개방을 허용하게 되고, 이후 탄성체(140)에 의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30)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소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위치부(130)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차량제어부(50)는 차량전원(40)을 한 쌍의 회전구동부(150)에 동시에 인가하여 각 체결단(112)의 유도경사면(112a)이 락킹홈(115)의 걸림돌기를 마주하도록 회전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체결단(112)은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와의 관계에서 외력에 의해 글로브박스(30)가 폐쇄되는 것을 저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락킹홈(115)의 걸림돌기에 의한 저항없이 원활하게 글로브박스(3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개폐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실시예의 구성에 회전구동부(150)가 더 포함되거나 또는 자력발생부(120)가 없는 제2 실시예의 구성에 회전구동부(150)가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회전구동부(150)의 배치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로 설명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도 4 참조)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체결단(112)에 대하여 전자기력인 인력이 스위치부(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글로브박스(30)의 개폐작동에 의한 누적 공차, 소음 및 유격, 작동불량의 발생 등이 최소화될 수 있고, 글로브박스(30)의 개폐 작동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됨으로 인해 차량의 고급화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대시보드 20: 박스설치부
30: 글로브박스 40: 차량용 전원
50: 차량제어부
100: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110: 락킹로드 112: 체결단
112a: 유도경사면 113: 연동로드
115: 락킹홈 120: 자력발생부
130: 스위치부 140: 탄성체
150: 회전구동부

Claims (1)

  1. 차량 대시보드에 형성된 박스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글로브박스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박스설치부의 내부 양측에 함몰형성된 한 쌍의 락킹홈에 삽탈되도록 상기 글로브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글로브박스가 열림방향 또는 닫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락킹홈으로 안내하는 유도경사면이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단;
    상기 체결단이 상기 락킹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탄성체;
    상기 체결단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글로브박스의 열림과 닫힘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경사면이 상기 락킹홈을 마주하도록 상기 체결단을 상대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에 대한 전원제공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KR1020190104470A 2019-01-02 2019-08-26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KR10236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70A KR102365777B1 (ko) 2019-01-02 2019-08-26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44A KR102049486B1 (ko) 2019-01-02 2019-01-02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KR1020190104470A KR102365777B1 (ko) 2019-01-02 2019-08-26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44A Division KR102049486B1 (ko) 2019-01-02 2019-01-02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763A true KR20200084763A (ko) 2020-07-13
KR102365777B1 KR102365777B1 (ko) 2022-02-22

Family

ID=8049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70A KR102365777B1 (ko) 2019-01-02 2019-08-26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388A (zh) * 2021-07-26 2022-01-28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断电可解锁式电动手套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12B1 (ko) * 2011-03-23 2012-08-30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KR20170136717A (ko) * 2016-06-02 2017-12-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터치형 글로브박스 록킹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12B1 (ko) * 2011-03-23 2012-08-30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KR20170136717A (ko) * 2016-06-02 2017-12-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터치형 글로브박스 록킹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388A (zh) * 2021-07-26 2022-01-28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断电可解锁式电动手套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777B1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956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KR100535763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KR102365776B1 (ko)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JP2018520288A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CN104179404B (zh) 门锁装置
KR102365777B1 (ko)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KR102049486B1 (ko) 글로브박스용 전자식 개폐장치
CN106917548B (zh) 一种与箱包边框一体安装的指纹箱包锁
JP4181609B1 (ja) 冷蔵庫用開扉装置
KR101178412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모듈
JP5320646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装置
KR102147861B1 (ko) 독립된 푸시-풀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잠금장치
CN218597986U (zh) 一种车门门锁开关及车辆
KR10069207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2004092204A (ja) ドア開閉操作装置
JP2010095988A (ja) 車両用ストライカ機構
KR20060097466A (ko) 2단 도어록
JP2003097108A (ja) 収納庫の施・解錠装置
KR200493472Y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171559B1 (ko) 차량의 파워윈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75043B1 (ko) 글로브박스용 개폐장치
CN219176085U (zh) 文件柜锁体结构
JP2021067151A (ja) ドアラッチ装置
KR20020044976A (ko) 자동차의 도어 록 작동 장치
KR20080008486A (ko) 버스의 플랩도어 핸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