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15U -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15U
KR20210000615U KR2020190003665U KR20190003665U KR20210000615U KR 20210000615 U KR20210000615 U KR 20210000615U KR 2020190003665 U KR2020190003665 U KR 2020190003665U KR 20190003665 U KR20190003665 U KR 20190003665U KR 20210000615 U KR20210000615 U KR 20210000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idle
inner body
idl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472Y1 (ko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190003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7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록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에 무리한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에 이를 흡수하는 공회전수단을 구비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재료비가 저렴한 부품으로 문닫힘감지기구를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닫힘감지기구를 별도로 문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 동력전달기구는, 록커가 일측에 구비되고 내측본체 내에 회전지지되며, 바깥둘레면에 공회전 지지면을 가지는 제1 공회전부재와, 제1 공회전부재의 공회전 지지면 외측에 끼워져 회전지지되는 공회전면을 가지고, 공회전면에 다수개의 요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바깥둘레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2 공회전부재와, 제1 공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요홈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된 걸림부재와, 제1 공회전부재와 걸림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걸림부재가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요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기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군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DIGITAL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본 고안은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커를 구동하여 문틀의 스트라이커에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록커구동부의 무리한 동력전달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문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 잠금 동작이 개시되도록 하는 기능이 간단한 푸쉬스위치와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카는 대중 목욕탕, 사우나, 찜질방, 대형 물놀이 시설 등의 탈의실 또는 도서관, 학교, 지하철 등의 물품보관소 등에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으로 하는 것이므로 문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잠금장치로서 최근에는 열쇠를 이용하는 기계식 보다 번호키나 전자 인식기로 동작하는 디지털 잠금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6157호의 락카용 문 쇄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 바깥쪽 면에 고정설치되는 외측본체(23)와, 문(20) 안쪽면에 고정설치되는 내측본체(22)를 구비한다.
외측본체(23)에는 번호키(41)와 전자 인식기(43)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40)와, 상기 키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부(50)가 구비된다.
내측본체(22)에는 문틀(10)에 구비된 스트라이커(11)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록커(21)와, 상기 록커(2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 및 동력전달기구(32)를 포함하는 록커구동부(60)와, 상기 제1 회로부(50)와 도선(51)으로 연결되고 제1 회로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록커구동부(6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회로부(70)와, 상기 제2 회로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록커구동부(60)의 구동모터(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3)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33)는 건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잠금장치는, 구동모터(31)를 구동하여 록커(21)를 잠그거나 열 때, 록커(21)의 위치를 위치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감지하여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록커(21)의 정지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구동모터(31)의 구동 특성상 관성의 법칙이 작용하여 구동모터(31)의 전원을 차단하여도 바로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록커(21)가 정지위치보다 더 진행하여 내측본체(22)에 부딪혀 충격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록커(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32)는 지름이 다른 여러개의 기어를 조합시킨 감속기어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무리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경우 상호 연결된 기어의 톱니가 손상되거나 기어의 회전지지를 위한 회전축이 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록커(21)가 내측본체(22)에 부딪힌 상태에서도 계속 이동하려는 힘 때문에 내측본체(22)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록커(21)의 반대 이동시 구동모터(31)의 부하가 커져 전류 소모가 많아지고 이로인해 건전지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구동모터(31)의 정지 시점을 조금 앞당기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록커(21)가 완전히 잠기지 않거나 완전히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는,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록커구동부(60)를 작동시킴으로써 록커(21)가 자동적으로 문틀(10)의 스트라이커(11)에 걸려 잠기도록 하는 기능이 더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2005-0045242호의 문 잠금장치에는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를 이용한 문닫힘감지수단이 알려져 있다.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를 이용하는 문닫힘감지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81)은 문틀(10)에 설치되고, 자석센서(82)는 문(20)이 닫혔을 때 상기 영구자석(81)과 대면하는 내측본체(22)에 설치된다. 따라서 문(20)이 닫혔을 때 자석센서(82)는 영구자석(81)의 자장을 감지하여 제2 회로부(70)에 신호를 보내면, 제2 회로부(70)가 록커구동부(60)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록커(21)가 문을 자동으로 잠글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81)과 자석센서(82)로 이루어지는 문닫힘감지수단은 영구자석(81)을 문틀(10)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락카에 따라서는 영구자석(81)의 설치가 곤란하여 별도의 고정브라켓이 추가적으로 고정되는 일도 있다. 락카는 통상 한 장소에 수백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가 많아, 영구자석(81)의 설치로 인해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영구자석(81)과 자석센서(82)는 자재비 단가가 높아 디지털 잠금장치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잠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본체(22) 내부에 록커구동부(60), 제2 회로부(70), 및 전원공급부(33)가 내장되는 것으로, 구동부(60)와 제2 회로부(70)는 내측본체(22)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33)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33)는 원통형상으로 된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내측본체(22)의 상하방향 높이 사이즈가 길어지게 된다. 내측본체(22)의 높이 사이즈가 길어지게 되면, 특히 신발을 보관하는 락카의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내측본체(22)의 하단이 신발과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의 개선이 절실한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록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에 무리한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에 이를 흡수하는 공회전수단을 구비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재료비가 저렴한 부품으로 문닫힘감지기구를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닫힘감지기구를 별도로 문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본체의 높이 사이즈를 축소시켜 특히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의 경우 내측본체의 하단이 신발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관함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문 안쪽면에 설치되는 내측본체와, 상기 내측본체 내에 설치되어 문틀의 스트라이커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록커와, 상기 내측본체 내에 설치되고 록커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기구로 이루어진 록커구동부와, 상기 록커구동부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록커가 일측에 구비되고 내측본체 내에 회전지지되며, 바깥둘레면에 공회전 지지면을 가지는 제1 공회전부재; 상기 제1 공회전부재의 공회전 지지면 외측에 끼워져 회전지지되는 공회전면을 가지고, 상기 공회전면에 다수개의 요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바깥둘레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2 공회전부재; 상기 제1 공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요홈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된 걸림부재; 상기 제1 공회전부재와 걸림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걸림부재가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요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기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군으로 이루어진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측본체에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커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문닫힘감지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닫힘감지기구는, 내측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상기 문틀의 스트라이커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부재; 상기 내측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택트스위치; 상기 내측본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택트스위치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택트스위치의 버튼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스위치조작위치로 이동할 때 택트스위치의 버튼을 동작시키는 제2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내측본체 내의 록커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하여 내측본체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킨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록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에 제1 및 제2 공회전부재, 걸림부재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공회전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동력전달기구에 무리한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 이를 흡수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록커가 잠금위치에서 내측본체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록커를 반대로 동작시킬 때 구동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건전지의 사용 수명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문닫힘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문이 잠기도록 하는 문닫힘감지기구를 내측본체에 설치한 레버부재,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기구적 구성과 택트스위치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가 높은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로 이루어지는 종래구성에 비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닫힘감지기구가 내측본체에만 구성되는 것이므로 락카에 설치시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측본체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를 록커구동부와 병렬배치하여 내측본체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킴으로써 특히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에 적용함에 있어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내측본체의 하단이 신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문닫힘감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나타낸 내측본체의 내부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록커구동부 및 문닫힘감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공회전수단의 제1 및 제2 공회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공회전수단의 동작상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문닫힘감지기구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는 문 바깥쪽 면에 고정설치되는 외측본체와, 문 안쪽면에 고정설치되는 내측본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외측본체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성 및 작용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내측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록킹구동부 및 문닫힘감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측본체(110) 내에는 문틀의 스트라이커(S)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록커(120)와, 상기 내측본체(110) 내에 설치되고 록커(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40) 및 동력전달기구(150)로 이루어진 록커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록커(120)는 문 닫힘위치에서 내측본체(110)의 잠금공간부(111)로 삽입된 스트라이커(S)의 걸림구멍(S1)에 삽입되는 잠금위치와 걸림구멍(S1)으로부터 인출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동력전달기구(150)는, 구동모터(140)와 록커(12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록커(120)에 전달하는 감속기어군(151)과, 감속기어군(151)과 록커(12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이 록커(120)에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공회전수단은 일측에 록커(120)가 일제로 형성된 원형판상의 제1 공회전부재(152)를 구비한다. 제1 공회전부재(152)는 중심이 내측본체(110) 내에 회전지지되어 록커(120)를 잠금위치와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공회전부재(152)는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둘레면에 공회전 지지면(153)이 형성되고, 이 공회전 지지면(153)에 제2 공회전부재(154)의 안둘레면에 형성된 공회전면(155)이 끼워져 제1 공회전부재(152)와 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지지되어 있다.
제2 공회전부재(154)의 공회전면(155)에는 다수개의 요홈(156)이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기어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공회전부재(152)에는 반경방향으로 작동홈(152a)이 형성되고, 이 작동홈(152a)에 걸림부재(158)가 설치되어 상기 제2 공회전부재(154)의 요홈(156)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공회전부재(152)와 걸림부재(158) 사이에는 탄성부재(159)가 탄력설치되어 걸림부재(158)가 상기 제2 공회전부재(154)의 요홈(156)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회전부재(154)의 공회전면(155)에 형성한 요홈(156)은 원호형상이고, 상기 걸림부재(158)는 원호형상에 일치하여 삽입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구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부재(159)는 일단은 제1 공회전부재(152)에 지지시키고 타단은 걸림부재(158)에 지지시킨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속기어군(151)은,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을 상기 제2 공회전부재(154)의 기어부(157)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다른 여러개의 기어를 조합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제2 공회전부재(154)의 기어부(157)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감속기어군(151)은 워엄기어와 워엄휘일을 포함하여 직경이 크고 작은 복수개의 스퍼어기어를 이맞물림 시킨 구성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모터(140)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제2 공회전부재(154)의 기어부(157)에 전달할 수 있는 기어의 조합이라면 무방하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록커구동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문닫힘감지기구(160)를 내측본체(110)에 구비한다.
문닫힘감지기구(160)는, 내측본체(110)에 일축(162)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문틀의 스트라이커(S)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레버부재(161)와, 상기 내측본체(1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택트스위치(163)를 구비한다.
또한 내측본체(110)에는 상기 레버부재(161)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164)가 설치되는 것으로, 레버부재(161)와 슬라이드부재(164)의 연동구조는 레버부재(161)에 피니언기어부(161a)를 형성하고 슬라이드부재(164)에는 상기 피니언기어부(161a)와 이맞물림하는 래크기어부(164a)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64)는 상기 택트스위치(163)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163)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택트스위치(163)와 슬라이드부재(164) 사이에는 제1 스프링(165)이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164)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스프링(165)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문 닫힘위치에서 문틀의 스트라이커(S)가 레버부재(161)를 가압하여 일축(16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부재(164)가 직선이동하여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을 조작하게 되고, 이를 택트스위치(163)와 연결된 제어부(도시 안됨)가 인식하여 록커구동부(130)를 구동함으로써 록커(120)가 스트라이커(S)의 걸림구멍(S1)에 삽입되어 문이 자동으로 잠기게 할 수 있다.
이때, 택트스위치(163)로서 사이즈가 작은 마이크로스위치를 적용할 경우, 그의 버튼(163a)의 조작 스트로크는 통상적으로 0.2mm에 불과하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164)의 직선이동 거리에 맞추어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을 가압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0.2mm로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부품의 제조 및 조립시 오차에 의해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 가압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압 거리가 0.2mm보다 길 경우,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져 손상될 수 있고, 반대로 0.2mm보다 짧을 경우,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이 정확하게 조작되지 않아 오동작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은 슬라이드부재(164)와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 사이에 제1 스프링(165)보다 외경이 작은 제2 스프링(166)을 설치하고, 이 제2 스프링(166)의 탄성력으로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을 조작하게 함으로써 버튼(163a)의 미세한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손상이나 오동작 없이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1)를 내측본체(110) 내에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121)는 내측본체(110) 내의 록커구동부(130)와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하여 내측본체(110)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락카의 문을 닫게 되면, 구동모터(140)가 구동하게 되고,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은 감속기어군(151)을 통해 감속되어 공회전수단의 제2 공회전부재(154)에 전달된다.
이때, 도 7a에서와 같이 제2 공회전부재(154)에 설치된 걸림부재(158)는 탄성부재(159)의 탄성력에 의해 요홈(156)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2 공회전부재(154)의 회전력이 제1 공회전부재(152)에 전달되어 제1 및 제2 공회전부재(152,154)는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써 록커(120)가 잠금위치(도 4 위치)로 이동하여 스트라이커(S)의 걸림구멍(S1)에 삽입됨으로써 문을 잠글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위치센서가 록커(120)의 잠금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4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구동모터(140)가 바로 정지할 수 없기 때문에, 록커(120)가 정지위치보다 더 진행하여 내측본체(110)에 부딪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동력전달기구(150)의 감속기어군(151)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공회전부재(154)는 계속 회전하려고 하고, 록커(120)측 제1 공회전부재(152)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도 7b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59)가 압축되면서 걸림부재(158)가 요홈(156)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 공회전부재(154)는 회전하고 제1 공회전부재(152)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구동모터(140)의 무리한 회전력이 제2 공회전부재(154)의 공회전으로 제1 공회전부재(152)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록커(120)는 더 이상 내측본체(110)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감속기어군(151)은 원활하게 회전되므로 상호 연결된 기어의 톱니가 손상되거나 기어의 회전지지를 위한 회전축이 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록커(120)가 내측본체(110)에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록커(120)의 반대 이동시 구동모터(140)에 부하가 걸릴 염려가 없어 전류 소모를 방지하여 전원공급부(121)의 건전지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문닫힘감지기구(160)에 의하면, 문닫힘위치에서 문틀의 스트라이커(S)가 내측본체(110)의 잠금공간부(111)로 삽입되면, 도 8a에서와 같이 레버부재(161)를 스트라이커(S)가 밀게 되므로, 도 8b에서와 같이 레버부재(161)는 일축(16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레버부재(161)의 피니언기어부(161a)와 슬라이드부재(164)의 래크기어부(164a)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64)는 택트스위치(163)(화살표 방향)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및 제2 스프링(165,166)은 압축된다. 이때 제2 스프링(166)이 압축되면서 압축에 의한 반발력으로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을 가압하므로 0.2mm의 미세한 스트로크 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도 8c에서와 같이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이 조작된 후에도 스트라이커(S)가 레버부재(161)를 밀어 슬라이드부재(164)를 계속 이동시키지만, 제2 스프링(166)이 더욱 압축되면서 택트스위치(163)의 버튼(163a)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화하게 되므로, 과도한 가압력에 의해 택트스위치(16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택트스위치(163)가 조작되어 문 닫힘상태가 감지되면, 택트스위치(163)에서 조작신호가 제어부(도시 안됨)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록커구동부(130)의 구동모터(140)를 구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잠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문이 닫힌 상태에서 문닫힘감지기구(160)인 레버부재(161)와 슬라이드부재(164)가 작동하여 택트스위치(163)를 조작함으로써 록커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자동 잠금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러한 문닫힘감지기구(160)가 택트스위치(163)와 레버부재(161), 슬라이드부재(164)로 이루어지는 기구적 구성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재료비가 높은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로 이루어지는 종래구성에 비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종래에 영구자석을 문들에 설치해야 하는 시공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본체(110)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121)가 록커구동부(130)의 수평위치에 병렬로 배치됨에 따라 내측본체(110)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써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의 경우,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신발이 내측본체(110)의 하단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내측본체 120 : 록커
121 : 전원공급부 130 : 록커구동부
140 : 구동모터 150 : 동력전달기구
151 : 감속기어군 152 : 제1 공회전부재
153 : 공회전 지지면 154 : 제2 공회전부재
155 : 공회전면 156 : 요홈
157 : 기어부 158 : 걸림부재
159 : 탄성부재 160 : 문닫힘감지기구
162 : 일축 161 : 레버부재
163 : 택트스위치 163a : 버튼
164 : 슬라이드부재 165 : 제1 스프링
166 : 제2 스프링 S : 스트라이커

Claims (3)

  1. 안쪽면에 설치되는 내측본체와, 상기 내측본체 내에 설치되어 문틀의 스트라이커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록커와, 상기 내측본체 내에 설치되고 록커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동력전달기구로 이루어진 록커구동부와, 상기 록커구동부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록커가 일측에 구비되고 내측본체 내에 회전지지되며, 바깥둘레면에 공회전 지지면을 가지는 제1 공회전부재;
    상기 제1 공회전부재의 공회전 지지면 외측에 끼워져 회전지지되는 공회전면을 가지고, 상기 공회전면에 다수개의 요홈이 원주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바깥둘레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된 제2 공회전부재;
    상기 제1 공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요홈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된 걸림부재;
    상기 제1 공회전부재와 걸림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걸림부재가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요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 공회전부재의 기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어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에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커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문닫힘감지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닫힘감지기구는, 내측본체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상기 문틀의 스트라이커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부재;
    상기 내측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택트스위치;
    상기 내측본체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택트스위치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택트스위치의 버튼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스위치조작위치로 이동할 때 택트스위치의 버튼을 동작시키는 제2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내측본체 내의 록커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하여 내측본체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KR2020190003665U 2019-09-04 2019-09-04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KR200493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65U KR200493472Y1 (ko) 2019-09-04 2019-09-04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65U KR200493472Y1 (ko) 2019-09-04 2019-09-04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15U true KR20210000615U (ko) 2021-03-15
KR200493472Y1 KR200493472Y1 (ko) 2021-04-07

Family

ID=7487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65U KR200493472Y1 (ko) 2019-09-04 2019-09-04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267B1 (ko) * 2021-10-22 2023-01-09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문용 멀티 포인트락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79U (ko) * 1998-04-18 1999-11-15 곽영갑 전자식 쇄정장치
JP2004162395A (ja) * 2002-11-13 2004-06-10 Goal Co Ltd 電気錠
KR200436157Y1 (ko) * 2007-01-15 2007-06-15 주식회사 마그마 락카용 문 쇄정장치
KR200443872Y1 (ko) * 2007-10-17 2009-03-23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79U (ko) * 1998-04-18 1999-11-15 곽영갑 전자식 쇄정장치
JP2004162395A (ja) * 2002-11-13 2004-06-10 Goal Co Ltd 電気錠
KR200436157Y1 (ko) * 2007-01-15 2007-06-15 주식회사 마그마 락카용 문 쇄정장치
KR200443872Y1 (ko) * 2007-10-17 2009-03-23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식 도어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267B1 (ko) * 2021-10-22 2023-01-09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문용 멀티 포인트락 시스템
WO2023068414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방화문용 멀티 포인트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72Y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2042B2 (en) Door accessory power system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TWI458884B (zh) 旋轉爪式閂鎖
JP2011515601A (ja) マイクロモータ施錠システム
KR100895874B1 (ko) 도어록
CN108643717B (zh) 多功能电控锁
WO2009142596A1 (en) Key box
KR20180114154A (ko) 전기기계식 잠금 래치
JP2019183492A (ja) 電気錠
AU2011283430B2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CN111886390B (zh) 释放机构、能量收集装置以及电子锁定系统
KR200493472Y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BG110916A (bg) Електромеханична ключалка
KR102150082B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CN211422180U (zh) 储物柜用数字锁装置
WO2013132921A1 (ja) 電気錠
KR200459876Y1 (ko)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JP4144425B2 (ja) 施錠装置
JPH09264084A (ja) 電気錠
KR20090002188U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도어 록킹 구조
JP4096398B2 (ja) 電気錠のクラッチ機構
KR101105562B1 (ko)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218375875U (zh) 一种静音电控锁体
JP5740331B2 (ja) 電気錠
JP2006233658A (ja) 遊技機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