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082B1 -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 Google Patents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082B1
KR102150082B1 KR1020190079033A KR20190079033A KR102150082B1 KR 102150082 B1 KR102150082 B1 KR 102150082B1 KR 1020190079033 A KR1020190079033 A KR 1020190079033A KR 20190079033 A KR20190079033 A KR 20190079033A KR 102150082 B1 KR102150082 B1 KR 10215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or
locker
switch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102019007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닫힘감지수단으로 재료비가 낮은 기구식으로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닫힘감지수단을 별도로 문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을 편리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켜 특히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의 경우 신발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관함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는, 케이스에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문닫힘감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문닫힘감지수단은, 케이스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문틀의 걸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부재와, 케이스에 설치되어 컨트롤보드와 연결된 택트스위치와, 케이스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택트스위치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케이스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INNER BADY OF DIGITAL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본 발명은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 잠금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이 간단한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디지털 잠금장치의 설치작업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낮추고 높이 사이즈를 단축하여 락카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카는 대중 목욕탕, 사우나, 찜질방, 대형 물놀이 시설 등의 탈의실 또는 도서관, 학교, 지하철 등의 물품보관소 등에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으로 하는 것이므로 문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잠금장치로서 최근에는 열쇠를 이용하는 기계식 보다 번호키나 전자 인식기로 동작하는 디지털 잠금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6157호의 락카용 문 쇄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 바깥쪽 면에 고정설치되는 외측본체(23)와, 문(20) 안쪽면에 고정설치되는 내측본체(22)를 구비한다.
외측본체(23)에는 번호키(41)와 전자 인식기(43)로 이루어지는 키입력부(40)와, 상기 키입력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회로부(50)가 구비된다.
내측본체(22)에는 문틀(10)에 구비된 걸이부재(11)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잠금부재(21)와, 상기 잠금부재(2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 및 구동기구(32)를 포함하는 구동부(60)와, 상기 제1 회로부(50)와 도선(51)으로 연결되고 제1 회로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부(6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회로부(70)와, 상기 제2 회로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60)의 구동모터(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3)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33)는 건전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잠금장치는,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부(60)를 작동시킴으로써 잠금부재(21)가 자동적으로 문틀(10)의 걸이부재(11)에 걸려 잠기도록 하는 기능이 더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2005-0045242호의 문 잠금장치에는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를 이용한 문닫힘감지수단이 알려져 있다.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를 이용하는 문닫힘감지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81)은 문틀(10)에 설치되고, 자석센서(82)는 문(20)이 닫혔을 때 상기 영구자석(81)과 대면하는 내측본체(22)에 설치된다. 따라서 문(20)이 닫혔을 때 자석센서(82)는 영구자석(81)의 자장을 감지하여 제2 회로부(70)에 신호를 보내면, 제2 회로부(70)가 구동부(60)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잠금부재(21)로 문을 자동으로 잠글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81)과 자석센서(82)로 이루어지는 문닫힘감지수단은 영구자석(81)을 문틀(10)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락카에 따라서는 영구자석(81)의 설치가 곤란하여 별도의 고정브라켓이 추가적으로 고정되는 일도 있다. 락카는 통상 한 장소에 수백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가 많아, 영구자석(81) 설치로 인해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영구자석(81)과 자석센서(82)는 자재비 단가가 높아 디지털 잠금장치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잠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본체(22) 내부에 구동부(60), 제2 회로부(70), 및 전원공급부(33)가 내장되는 것으로, 구동부(60)와 제2 회로부(70)은 내측본체(22) 상부에 배치되고, 전원공급부(33)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33)는 원통형상으로 된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통상 4개의 전지를 사용하므로, 내측본체(22)의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내측본체(22)의 상하방향 높이 사이즈가 길어지게 된다. 내측본체(22)의 높이 사이즈가 길어지게 되면, 특히 신발을 보관하는 락카의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내측본체(22)가 신발과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의 개선이 절실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닫힘감지수단으로 재료비가 낮은 기구식으로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닫힘감지수단을 별도로 문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을 편리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켜 특히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의 경우 신발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관함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 안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문틀의 걸이부재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보드와, 상기 컨트롤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문닫힘감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문닫힘감지수단은, 케이스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상기 문틀의 걸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부재;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보드와 연결된 택트스위치; 상기 케이스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동작시키는 스위치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케이스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택트스위치 사이에 완충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슬라이드부재가 스위치조작위치로 이동할 때 완충코일스프링이 택트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스위치조작위치로 계속 이동하여도 완충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택트스위치의 스위치버튼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완화되어 택트스위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를 상기 구동부의 수평방향에 병렬로 배치하여 케이스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킨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 안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문틀의 걸이부재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보드와, 상기 컨트롤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를 상기 구동부의 수평방향에 병렬로 배치하여 내측본체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킨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문닫힘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문이 잠기도록 하는 문닫힘감지수단을 케이스에 설치한 레버부재,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기구적 구성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재료비가 높은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로 이루어지는 종래구성에 비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닫힘감지수단이 케이스에만 구성되는 것이므로 락카에 설치시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닫힘잠금기구를 구성함에 있어 택트스위치의 조작이 완충코일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택트스위치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택트스위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를 구동부와 병렬배치하여 케이스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킴으로써 특히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에 적용함에 있어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신발이 케이스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에서 문닫힘감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의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내부를 구동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내부를 전원공급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서 구동부의 동작상태도.
도 1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서 문닫힘감지수단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는, 문 안쪽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케이스(110)는 잠금부재(120), 구동부(130),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보드(140), 전원공급부(150) 및 문닫힘감지수단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케이스본체(111)와 커버(112)로 분리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부재(120)는 케이스(11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문 닫힘상태에서 문틀의 걸이부재(101)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1) 및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구동기구는 구동모터(13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워엄(132) 및 워엄휘일(133)과, 상기 워엄휘일(133)과 이맞물림된 중간기어(134)와, 상기 중간기어(134)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직선이동부재(135)로 이루어진다.
직선이동부재(135)의 직선이동에 의해 잠금부재(120)가 연동되어 문틀의 걸이부재(101)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이부재(101)로부터 걸림해제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직선이동부재(135)와 잠금부재(120)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136)이 설치된 것으로, 직선이동부재(135)에 형성된 상,하부단턱(137,138)과 잠금부재(120)에 형성된 상,하부돌기(121,122) 사이에 탄력 설치되고, 상,하부단턱(137,138)과 상,하부돌기(121,122)의 위치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이동부재(135)의 상승시에는 직선이동부재(135)의 하부단턱(138)과 잠금부재(120)의 상부돌기(121) 사이에서 압축코일스프링(136)이 압축되면서 이 압축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잠금부재(120)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직선이동부재(135)의 하강시에는 직선이동부재(135)의 상부단턱(137)과 잠금부재(120)의 하부돌기(122) 사이에서 압축코일스프링(136)이 압축되면서 이 압축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잠금부재(120)가 잠금위치로 이동되며, 잠금부재(120)의 하강중 문틀의 걸이부재(101) 구멍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고 주변에 걸릴 경우, 압축코일스프링(136)이 더욱 압축되면서 직선이동부재(135)는 계속 하강하여도 잠금부재(120)는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잠금기능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구동부(130)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보드(140)는, 상기 구동부(1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구비된 번호키 또는 전자인식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1)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전원공급부(1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보드(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1.2V~9V의 전압을 내는 원통형의 건전지를 사용하고, 어느 정도의 사용기간을 유지하기 위해 4개의 건전지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110) 내의 구동부(130)와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하여 케이스(110)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는, 케이스(110)에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130)를 작동시키는 문닫힘감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닫힘감지수단은, 케이스(110)에 일축(161)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문틀의 걸이부재(101)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레버부재(162)와,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컨트롤보드(140)와 연결된 택트스위치(163)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110)에는 상기 레버부재(162)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164)가 설치되는 것으로, 레버부재(162)와 슬라이드부재(164)의 연동구조는 레버부재(162)에 피니언기어부(165)를 형성하고 슬라이드부재(164)에는 상기 피니언기어부(165)와 이맞물림하는 래크기어부(166)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64)는 상기 택트스위치(163)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을 동작시키는 스위치 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택트스위치(163)와 슬라이드부재(164) 사이에는 탄성부재(167)가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164)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167)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문 닫힘위치에서 문틀의 걸이부재(101)가 레버부재(162)를 가압하여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부재(164)가 직선이동하여 택트스위치(163)를 조작하게 되고, 이를 택트스위치(163)와 연결된 컨트롤보드(140)가 인식하여 구동부(130)를 구동함으로써 문이 자동으로 잠기게 할 수 있다.
이때, 택트스위치(163)로서 사이즈가 작은 마이크로스위치를 적용할 경우, 그의 스위치버튼(163a)의 조작 스트로크는 통상적으로 0.2mm에 불과하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164)의 직선이동 거리에 맞추어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를 가압하는 거리를 정확하게 0.2mm로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부품의 제조 및 조립시 오차에 의해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 가압 거리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압 거리가 0.2mm보다 길 경우,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져 손상될 수 있고, 반대로 0.2mm보다 짧을 경우,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가 정확하게 조작되지 않아 오동작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재(164)와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 사이에 탄성부재(167)보다 직경이 작은 완충코일스프링(168)을 설치하고, 이 완충코일스프링(168)의 탄성력으로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을 조작하게 함으로써 스위치버튼(163a)의 미세한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손상이나 오동작 없이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의 (a)에서와 같이 락카의 문을 닫게 되면, 문닫힘위치에서 문틀의 걸이부재(101)가 레버부재(162)를 밀게 되므로, 걸이부재(101)는 일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레버부재(162)의 피니언기어부(165)와 슬라이드부재(164)의 래크기어부(166)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64)는 택트스위치(163)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167)와 완충코일스프링(168)은 압축된다. 이때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완충코일스프링(168)은 압축되면서 압축에 의한 반발력으로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을 가압하므로 0.2mm의 미세한 스트로크 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도 11의 (c)에서와 같이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이 조작된 후에도 슬라이드부재(164)는 계속 이동하지만, 완충코일스프링(168)이 더욱 압축되면서 택트스위치(163)의 스위치버튼(163a)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완화하게 되므로, 과도한 가압력에 의해 택트스위치(16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택트스위치(163)가 조작되어 문 닫힘상태가 감지되면, 택트스위치(163)에서 조작신호가 컨트롤보드(140)로 전달되고, 컨트롤보드(140)는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1)를 구동시켜 자동 잠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1)가 구동되면, 워엄(132) 및 워엄휘일(133)에 의해 회전력이 중간기어(134)에 전달되고, 중간기어(134)에 의해 직선이동부재(135)가 연동하여 하강하게 된다.
직선이동부재(135)가 하강하게 되면,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직선이동부재(135)의 상부단턱(137)과 잠금부재(120)의 하부돌기(122) 사이에서 압축코일스프링(136)이 압축되면서 이 압축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잠금부재(120)도 함께 하강하여 잠금위치로 이동되므로, 문틀의 걸이부재(101)에 걸림유지되어 문이 잠기게 된다.
이때,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잠금부재(120)의 하강중 문틀의 걸이부재(101)에 정확하게 걸리지 않고 걸이부재(101)의 주변이나 다른 물체에 걸릴 경우, 직선이동부재(135)는 계속 하강하여도 압축코일스프링(136)이 더욱 압축되면서 잠금부재(120)는 하강하지 않게 되므로, 잠금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구동부(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문이 잠긴 상태에서 외측본체로부터 번호키 또는 전자인식기의 개방신호가 컨트롤보드(140)에 전달되면, 컨트롤보드(140)는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1)를 반대로 구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경로를 통해 직선이동부재(135)를 상승시키게 된다.
직선이동부재(135)의 상승시에는 도 10의 (c)에서와 같이 직선이동부재(135)의 하부단턱(138)과 잠금부재(120)의 상부돌기(121) 사이에서 압축코일스프링(136)이 압축되면서 이 압축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잠금부재(120)도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잠금부재(120)가 문틀의 걸이부재(101)로부터 걸림해제되면서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하여 문을 열 수 있게 되며, 문을 열게 되면, 도 11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레버부재(162)를 누르고 있던 문틀의 걸이부재(101)가 이격되므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67)와 완충코일스프링(168)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64)와 레버부재(162)는 다시 원위치하게 되고, 택트스위치(163)도 조작해제된 상태로 원위치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이 닫힌 상태에서 문닫힘감지수단인 레버부재(162)와 슬라이드부재(164)가 작동하여 택트스위치(163)를 조작함으로써 컨트롤보드(140)가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자동 잠금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러한 문닫힘감지수단이 레버부재(162), 슬라이드부재(164)로 이루어지는 기구적 구성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재료비가 높은 영구자석과 자석센서로 이루어지는 종래구성에 비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종래에 영구자석을 문들에 설치해야 하는 시공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10)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150)가 구동부(130)의 수평위치에 병렬로 배치됨에 따라 케이스(110)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써 내부 공간이 협소한 신발 보관함의 경우,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신발이 케이스(11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1 : 걸이부재 110 : 케이스
120 : 잠금부재 121,122 : 상,하부돌기
130 : 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5 : 직선이동부재 136 : 압축코일스프링
137,138 : 상,하부단턱 140 : 컨트롤보드
150 : 전원공급부 161 : 일축
162 : 레버부재 163 : 택트스위치
164 : 슬라이드부재 167 : 탄성부재
168 : 완충코일스프링

Claims (4)

  1. 문 안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문틀의 걸이부재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보드와, 상기 컨트롤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문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문닫힘감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문닫힘감지수단은,
    케이스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문의 닫힘위치에서 상기 문틀의 걸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부재;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보드와 연결된 택트스위치;
    상기 케이스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택트스위치로부터 이격하는 대기위치와 택트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동작시키는 스위치조작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케이스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슬라이드부재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택트스위치 사이에 완충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슬라이드부재가 스위치조작위치로 이동할 때 완충코일스프링이 택트스위치의 스위치버튼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스위치조작위치로 계속 이동하여도 완충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택트스위치의 스위치버튼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완화되어 택트스위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를 상기 구동부의 수평방향에 병렬로 배치하여 케이스의 높이 사이즈를 단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4. 삭제
KR1020190079033A 2019-07-01 2019-07-01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KR10215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33A KR102150082B1 (ko) 2019-07-01 2019-07-01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33A KR102150082B1 (ko) 2019-07-01 2019-07-01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082B1 true KR102150082B1 (ko) 2020-08-31

Family

ID=7223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33A KR102150082B1 (ko) 2019-07-01 2019-07-01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0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157Y1 (ko) * 2007-01-15 2007-06-15 주식회사 마그마 락카용 문 쇄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157Y1 (ko) * 2007-01-15 2007-06-15 주식회사 마그마 락카용 문 쇄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0119B2 (ja) 自動スイッチ装置及び冷却装置
CN104453457B (zh) 一种电子锁及其控制方法
KR20180114154A (ko) 전기기계식 잠금 래치
CN104329882A (zh) 冰箱
KR100747983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KR20110120926A (ko) 자물쇠 박스
CN208618938U (zh) 一种模块化门锁
CN211673251U (zh) 一种柜门开合装置
KR102150082B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내측본체
CN109083511B (zh) 一种自动开关门装置
CN103882656A (zh) 电磁门盖锁
KR102274300B1 (ko) 스마트 잠금장치의 구동장치
KR200493472Y1 (ko) 락카용 디지털 잠금장치
CN218881873U (zh) 一种保管箱锁机构
CN109723277B (zh) 智能门锁的前面板组件及智能门锁
KR102006297B1 (ko)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200445048Y1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도어 록킹 구조
CN212749994U (zh) 共享电源的锁止机构及其终端装置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CN108175358B (zh) 一种洗碗机的开门驱动装置
CN209687047U (zh) 一种防技术开启的电磁离合器
JP4144425B2 (ja) 施錠装置
KR100533059B1 (ko) 도어록 장치
JPH09264084A (ja) 電気錠
KR20110089027A (ko) 도어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