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658A -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658A
KR20200078658A KR1020207017024A KR20207017024A KR20200078658A KR 20200078658 A KR20200078658 A KR 20200078658A KR 1020207017024 A KR1020207017024 A KR 1020207017024A KR 20207017024 A KR20207017024 A KR 20207017024A KR 20200078658 A KR20200078658 A KR 2020007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base
inkjet printing
area
ink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218B1 (ko
Inventor
잉잉 쑹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01L27/3246
    • H01L27/3283
    • H01L51/0005
    • H01L51/0026
    • H01L51/5012
    • H01L51/5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이 제조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AA)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0)을 제공하는 단계; 및 잉크젯 인쇄 영역이 기판(10)을 완전히 덮도록 기판(10)에 대해 잉크젯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된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AA)에 형성된 필름 두께의 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본 개시내용은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기 전계발광 기판에서, 발광 필름 층의 필름 형성 방법은 주로 잉크젯 인쇄, 노즐 코팅, 스핀 코팅, 스크린 인쇄 등을 포함한다. 잉크젯 인쇄 기술은 높은 재료 이용률 및 큰 크기의 제품으로 인해 대량 생산을 달성하는 중요한 방법으로서 간주된다. 그러나, 잉크젯 인쇄가 수행될 때,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 영역과 에지 영역에서 용매 분위기(solvent atmosphere)가 불일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 영역과 에지 영역에서 픽셀들에 형성되는 필름의 형태 및 두께는 불일치하며, 이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에서의 기술적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여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잉크젯 인쇄 영역이 베이스를 완전히 덮도록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전에, 제조 방법은: 베이스의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스페이서 층은 무기 재료로 만들어진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전에, 제조 방법은: 베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픽셀 정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 픽셀 정의 층은 행렬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돌출부는 잉크를 수용(receiving)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 슬롯(accommodation slot)을 정의함 - ; 및 베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잉크젯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수용 슬롯들에 수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돌출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후에, 제조 방법은: 베이스 상의 잉크를 경화시켜, 발광 필름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발광 필름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발광 필름 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적외선으로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열하여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발광 필름 층을 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스페이서 층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들의 상부 표면보다 낮다.
선택적으로, 베이스의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무기 재료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무기 재료 층을 패터닝하여 비-디스플레이 영역에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스페이서 층은 픽셀 정의 층 전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의 경계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30% 더 크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의 경계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보다 30% 더 크다.
선택적으로, 잉크젯 인쇄 영역은 복수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의 폭은 잉크젯 인쇄 헤드(inkjet-print head)의 인쇄 폭과 같고,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는: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에 대해 하나씩 잉크젯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인쇄할 때 잉크젯 인쇄 헤드를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인접한 2개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에서 잉크젯 인쇄 헤드를 반대 방향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잉크젯 인쇄 헤드는 초기 시간에 베이스의 영역 외부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에 위치한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들은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다음의 특정 실시예들과 함께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제한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형성된 4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검출 영역 상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두께의 분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 층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상에 형성된 픽셀 정의 층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라인 C-C'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층 및 픽셀 정의 층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라인 D-D'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 영역과 베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인쇄에서의 인쇄 방향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의 검출 영역 e와 검출 영역 f에서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두께들의 분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참조 번호들의 목록:
10-베이스; 11-스페이서 층; 11a-리세스; 12-픽셀 정의 층; 121-돌출부; AA-디스플레이 영역; NA-비 디스플레이 영역; P-잉크젯 인쇄 영역; P1-잉크젯 인쇄 서브-영역; 및 V-수용 슬롯.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잉크젯 인쇄가 수행될 때, 용매 분위기는 인쇄 영역의 에지에서 더 얇고, 용매 분위기는 인쇄 영역의 중간에서 더 두껍다. 관련 기술에서, 잉크젯 인쇄가 수행될 때, 잉크젯 인쇄의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초과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영역의 1개 또는 2개의 픽셀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에서의 용매 분위기와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간에서의 용매 분위기 사이의 큰 차이를 초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간에서의 픽셀들과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사이의 필름 두께 및 픽셀 형태의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형성된 4개의 검출 영역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검출 영역 상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두께의 분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각각의 곡선은 픽셀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픽셀에 형성된 필름 층의 두께 분포를 나타내고; 상이한 곡선들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까운 검출 영역의 에지로부터 각각 0 mm, 4 mm, 5 mm, 6 mm 및 12 mm 이격된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들의 두께 분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AA의 에지에 가까운 검출 영역 a, 검출 영역 b, 및 검출 영역 c에서,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들은 상당한 두께 차이를 갖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 근처의 검출 영역 d에서,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들은 작은 두께 차이를 갖는다. 검출 영역 a, 검출 영역 b, 및 검출 영역 c에서, 검출 영역들의 에지들로부터 12 mm 이격된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들의 두께들만이 검출 영역 d에서 픽셀에 형성된 필름 층의 두께에 대해 작은 차이를 갖고, 검출 영역들의 에지들로부터 0 mm, 4 mm, 5 mm, 및 6 mm 이격된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들의 두께들은 검출 영역 d에서 픽셀에 형성된 필름 층의 두께에 대해 상당한 차이를 갖는다. 상기한 바로부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AA에 대해, 디스플레이 영역 AA의 에지에 가까운 픽셀에 형성된 필름 층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영역 AA의 중심 근처의 픽셀에 형성된 필름 층의 두께와 상당히 다르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필름 형성의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잉크젯 인쇄 영역이 베이스를 완전히 덮도록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시에, 잉크젯 인쇄 영역은 전체 베이스를 덮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와 잉크젯 인쇄 영역의 에지 사이에는 특정 거리가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 및 중간에서의 픽셀들은 둘 다 풍부한(rich) 용매 분위기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 및 중간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들은 유사한 두께 및 형태를 가지며, 그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필름 형성의 균일성을 개선시키고 디스플레이의 균일성을 개선시킨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의 경계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30% 더 크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의 경계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보다 30%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와 잉크젯 인쇄 영역의 에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와 중간 사이의 용매 분위기의 차이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필름 형성의 균일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조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AA)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NA)을 포함하는 베이스(10)를 제공하는 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디스플레이 영역(A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시베이션 층, 및 발광 유닛의 애노드와 같은 구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A) 상에 스페이서 층(11)을 형성하는 단계(S2)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층(11)의 두께는 0.5㎛ 내지 1.5㎛일 수 있다. 스페이서 층(11)은 무기 재료로 만들어진다. 무기 재료는 구체적으로 실리콘의 질화물(nitride), 실리콘의 산화물(oxide), 및 실리콘의 산질화물(oxynit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는 구체적으로: 무기 재료 층을 형성하는 단계 - 무기 재료는 실리콘의 질화물, 실리콘의 산화물, 및 실리콘의 산질화물 중 어느 하나의 재료 층을 포함함 - ; 및 예를 들어, 노광, 현상 및 에칭을 포함해, 무기 재료 층을 패터닝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A)에서 무기 재료 층을 제거함으로써, 비-디스플레이 영역(NA)에 스페이서 층(1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디스플레이 영역(AA) 상에 픽셀 정의 층(12)을 형성하는 단계(S3)를 추가로 포함한다. 픽셀 정의 층(12)은 행렬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121)를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121)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들(121)은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 슬롯(V)을 정의할 수 있고, 수용 슬롯들(V) 각각은 픽셀에 대응한다. 단계(S3)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0) 상에 유기 재료 층을 형성하는 단계 - 유기 재료 층은 유기 불소-함유 수지 재료(organic fluorine-containing resin material)를 포함함 - ; 및 예를 들어, 노광 및 현상을 포함해, 유기 재료 층을 패터닝하여, 픽셀 정의 층(1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들(S2 및 S3)에서, 스페이서 층(11)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돌출부들의 상부 표면보다 낮다. 스페이서 층(11)의 상부 표면은 베이스(10)로부터 떨어진 표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층(11)의 전체 상부 표면은 베이스(10)로부터 떨어진 돌출부들의 표면보다 낮을 수 있거나,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층(11)의 상부 표면의 일부분은 돌출부들의 상부 표면보다 낮을 수 있다. 스페이서 층(11)의 상부 표면의 일부분이 돌출부들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경우에, 스페이서 층(11)에 리세스(recess)(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스페이서 층(11) 상에 인쇄된 잉크가 수용 슬롯들(V)의 일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A)에 형성된 필름 층의 불균일을 야기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베이스(10)에 대해 잉크젯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S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인쇄 영역(P)과 디스플레이 영역(AA)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영역(AA)의 길이 방향(도 7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P)의 경계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AA)의 경계까지의 거리(a)는 디스플레이 영역(AA)의 길이보다 30% 더 크고; 디스플레이 영역(AA)의 폭 방향(도 7에서의 상하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P)의 경계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AA)의 경계까지의 거리(b)는 디스플레이 영역(AA)의 폭보다 30% 더 크다. 베이스(10)의 디스플레이 영역(AA)에 대해 잉크젯 인쇄를 수행하는 잉크는 수용 슬롯들(V)에 수집된다. 잉크는, 발광 유닛의 기능성 필름 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 예를 들어, 정공 주입 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 정공 수송 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 및 발광 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일 수 있다. 잉크젯 인쇄가 수행될 때, 베이스(10)는 지지 테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비-디스플레이 영역(NA)에 스페이서 층(11)이 제공되기 때문에, 비-디스플레이 영역(NA) 상에 인쇄된 잉크는 스페이서 층(11) 상에 형성되어 베이스(10)의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신호 라인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신호 라인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잉크젯 인쇄 영역(P)은 복수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은 디스플레이 영역(A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의 폭은 잉크젯 인쇄 헤드의 인쇄 폭과 같다. 단계(S4)는: 복수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에 대해 잉크의 잉크젯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P1) 각각에서의 잉크젯 인쇄 헤드의 인쇄 방향들은 도 8에서 화살표들로 표시된다.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P1) 중 어느 하나에서 인쇄할 때, 잉크젯 인쇄 헤드는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하고; 잉크젯 인쇄 헤드는 인접한 2개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에서 반대 방향들로 이동한다. 이것은, 인쇄 영역 전체에 걸쳐 용매 분위기의 균일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잉크젯 인쇄 헤드는 초기 시간에 베이스(10)의 영역 외부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즉, 도 7 및 도 8에서 가장 좌측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에 위치한다. 잉크젯 인쇄에서, 잉크젯 인쇄 헤드는 제로 속도에서 목표 속도로 점진적으로 가속할 필요가 있다. 잉크젯 인쇄 헤드는 먼저 베이스(10)의 영역 외부에서 완전히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P1)을 인쇄하므로, 잉크젯 인쇄 헤드가 베이스(10) 상에 인쇄하기 전에 목표 속도로 가속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잉크젯 인쇄 헤드가 베이스(10)를 균일한 속도로 인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서의 필름 형성의 균일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베이스(10) 상의 잉크를 경화시켜, 발광 필름 층을 형성하는 단계(S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비-디스플레이 영역(NA) 상의 발광 필름 층을 제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AA) 이외의 더미 픽셀들을 제거함으로써, 좁은 프레임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단계(S6)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는 적외선으로 비-디스플레이 영역(NA)을 가열하여 비-디스플레이 영역(NA) 상의 발광 필름 층을 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적외선으로 비-디스플레이 영역(NA)을 가열하는 단계는 10.5㎛ 내지 10.7㎛ 범위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 레이저로 비-디스플레이 영역(NA)을 조사(irradi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제 응용들에서, 적외선 가열은 10.6㎛의 파장을 갖는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비-디스플레이 영역(NA)에 무기 재료로 만들어지는 스페이서 층(11)이 제공되기 때문에, 적외선 가열 프로세스가 스페이서 층(11)의 구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페이서 층(11)이 베이스(10)의 비-디스플레이 영역(NA) 상의 신호 라인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도 7의 검출 영역 e와 검출 영역 f에서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두께들의 분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픽셀들에 형성된 필름 층의 두께는 검출 영역들 e 및 f에서 500 내지 600 Å의 범위에 있고, 필름 층들의 두께의 차이가 작으므로, 제품의 상이한 영역들에서의 디스플레이 밝기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개선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들 및 개선들은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2)

  1.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잉크젯 인쇄 영역(inkjet-printed area)이 상기 베이스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층은 무기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픽셀 정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픽셀 정의 층은 행렬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잉크를 수용(receiving)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 슬롯(accommodation slot)을 정의함 - ;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잉크젯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상기 수용 슬롯들에 수집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 상의 잉크를 경화시켜, 발광 필름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상기 발광 필름 층을 제거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상기 발광 필름 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적외선으로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열하여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상기 발광 필름 층을 승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층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제조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무기 재료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기 재료 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스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층은 상기 픽셀 정의 층 전에 형성되는,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 방향에서, 잉크젯 인쇄 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30% 더 크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 방향에서, 상기 잉크젯 인쇄 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까지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폭보다 30% 더 큰,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 영역은 복수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의 폭은 잉크젯 인쇄 헤드(inkjet-print head)의 인쇄 폭과 같고,
    상기 베이스를 잉크젯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에 대해 하나씩 잉크젯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인쇄할 때 상기 잉크젯 인쇄 헤드를 상기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인접한 2개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에서 상기 잉크젯 인쇄 헤드를 반대 방향들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인쇄 헤드는 초기 시간에 상기 베이스의 영역 외부의 잉크젯 인쇄 서브-영역에 위치하는, 제조 방법.
KR1020207017024A 2018-04-16 2018-12-05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372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37854.7 2018-04-16
CN201810337854.7A CN108428808B (zh) 2018-04-16 2018-04-16 有机电致发光基板的制作方法
PCT/CN2018/119333 WO2019200939A1 (zh) 2018-04-16 2018-12-05 有机电致发光基板的制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658A true KR20200078658A (ko) 2020-07-01
KR102372218B1 KR102372218B1 (ko) 2022-03-08

Family

ID=6316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24A KR102372218B1 (ko) 2018-04-16 2018-12-05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6293B2 (ko)
EP (1) EP3783682B1 (ko)
JP (1) JP7263265B2 (ko)
KR (1) KR102372218B1 (ko)
CN (1) CN108428808B (ko)
WO (1) WO2019200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8808B (zh) 2018-04-16 2019-1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基板的制作方法
CN112331808B (zh) * 2019-12-30 2023-07-28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弱粘性薄膜、喷墨印刷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与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819A (ko) * 2003-12-30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260554A (zh) * 2014-09-24 2015-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喷墨打印方法及设备、显示基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1205A1 (en) 2000-05-02 2002-01-31 Shunpei Yamazaki Film-forming apparatus, method of clean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evice
JP3628997B2 (ja) 2000-11-27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JP2004087217A (ja) 2002-08-26 2004-03-18 Canon Electronic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884351B2 (ja) * 2002-08-26 2007-02-2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48371B1 (ko) 2003-11-21 2011-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적 공급 설비,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2010277944A (ja) 2009-06-01 2010-12-09 Panasonic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473009B1 (en) 2009-08-27 2017-10-25 Kaneka Corporation Integ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11187208A (ja) * 2010-03-05 2011-09-22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el素子並びに有機elディスプレイ
KR101920766B1 (ko) * 2011-08-09 2018-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3111300A1 (ja) 2012-01-26 2013-08-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41119A (ko) 2012-09-27 201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4170B1 (ko) * 2013-07-25 2020-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329795B2 (ja) 2014-03-27 2018-05-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El表示装置及び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4779200B (zh) * 2015-04-13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的制备方法、显示基板半成品以及显示装置
CN104766931B (zh) * 2015-04-20 2016-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的制造方法、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05118845B (zh) 2015-07-23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基板及制备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206134682U (zh) * 2016-09-28 2017-04-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柔性显示面板
CN107799575B (zh) 2017-10-31 2020-04-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器基板、其制造方法、显示器及补偿构件贴片
CN108428808B (zh) 2018-04-16 2019-1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基板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819A (ko) * 2003-12-30 2005-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260554A (zh) * 2014-09-24 2015-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喷墨打印方法及设备、显示基板的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3682A1 (en) 2021-02-24
WO2019200939A1 (zh) 2019-10-24
EP3783682B1 (en) 2023-07-26
KR102372218B1 (ko) 2022-03-08
CN108428808B (zh) 2019-11-05
CN108428808A (zh) 2018-08-21
US20210273191A1 (en) 2021-09-02
JP7263265B2 (ja) 2023-04-24
EP3783682A4 (en) 2022-01-05
JP2021518970A (ja) 2021-08-05
US11296293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823B2 (en) Method of producing an organic EL light-emitting device
KR101255740B1 (ko) 발광 디바이스용 패턴화 방법
US941296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4260554B (zh) 喷墨打印方法及设备、显示基板的制作方法
US7737631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repellant and border are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72218B1 (ko) 유기 전계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JP569232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712215B1 (ko) 레이저 열전사용 마스크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열전사방법
US20190333973A1 (e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1108229A (zh) 蒸镀掩模以及蒸镀掩模的制造方法
EP3712947B1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867255B2 (ja) 有機el用メタルマスク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CN108428723B (zh) 像素界定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基板、喷墨打印方法
KR102557891B1 (ko)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1021353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158799B2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patterning semiconductor film using thereof
WO2021088144A1 (zh) Oled背板的制备方法及oled背板
US2017027904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259718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JP200525971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CN110459696B (zh) 显示基板及制造方法、显示装置
KR100881497B1 (ko) 박막패턴층의 제조방법
JP2011119078A (ja) 機能膜の製造方法
JP2006190855A (ja) パターン形成基板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9184925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