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520A -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520A
KR20200076520A KR1020180165667A KR20180165667A KR20200076520A KR 20200076520 A KR20200076520 A KR 20200076520A KR 1020180165667 A KR1020180165667 A KR 1020180165667A KR 20180165667 A KR20180165667 A KR 20180165667A KR 20200076520 A KR20200076520 A KR 2020007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lens
respect
lense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036B1 (ko
Inventor
채종현
강민우
안성호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8016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방법은, 경통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제1렌즈군을 형성하는 단계; 서로 접합된 2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을 상기 제1렌즈군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렌즈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SYSTEM FOR ALIGNING OF LENS AND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 예는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 카메라폰, PDA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서 고화소를 구현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가 점차 늘어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은 운전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차량 내부의 모니터를 통해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 후진시나 주차시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뿐만 아니라 현재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기기 등에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끔 소형이면서도 고성능의 촬상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복수 개의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이 불일치되면, 이미지 품질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조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으로 광축을 정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조심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제1렌즈군에 대하여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을 정렬할 수 있는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방법은, 경통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제1렌즈군을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을 상기 제1렌즈군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렌즈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렌즈군을 제1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군을 상기 제1수평방향에 수직한 제2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경통에 상기 제2렌즈군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은 서로 접합된 2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시스템은, 경통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의 상측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을 지지하고,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위치 조절부;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의 광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수평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은 서로 접합된 2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은, 조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은, 제1렌즈군에 대한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해상력, 밝기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한편, 도 1에 따른 렌즈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렌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시스템(1)은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을 정렬할 수 있다. 렌즈 조심 시스템(1)은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을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시스템(1)은 제1렌즈군(11), 제2렌즈군(12) 및 조심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군(11)은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군(11)은 경통(B)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군(11)은 대물 렌즈를 포함하여 4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군(11)은 경통(B)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1렌즈군(11)이 경통(B) 내부에 삽입되고, 경통(B)의 일측에는 캡(cap)이 체결될 수 있다.
제2렌즈군(12)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군(12)은 접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군(12)은 접안 렌즈를 포함하여 2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렌즈는 서로 접합된 상태일 수 있다. 제2렌즈군(12)은 조심에 유리하게 적용되도록, 민감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2렌즈군(12)은 제1렌즈군(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렌즈군(12)은 렌즈 조심 장치(13)에 의하여, 제1렌즈군(1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렌즈 조심 장치(13)는 제1렌즈군(11) 및 제2렌즈군(12)의 광축을 정렬할 수 있다. 렌즈 조심 장치(13)는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렌즈군(11)은 위치는 고정되고,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광축을 정렬할 수 있다. 렌즈 조심 장치(13)는 제1렌즈군(11)에 대하여 제2렌즈군(12)을 3축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조심 장치(13)는 제1렌즈군(11)에 대하여 제2렌즈군(12)의 틸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렌즈 조심 장치(13)는 수평 위치 조절부(131), 높이 조절부(132), 틸팅 조절부(133), 조사부(134), 검출부(135) 및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위치 조절부(131)는 제1렌즈군(11)의 상측에서 제2렌즈군(12)을 지지할 수 있다. 수평 위치 조절부(131)는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수평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수평 위치 조절부(131)는 제2렌즈군(12)을 제1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 위치 조절부(131)는 제2렌즈군(12)을 제1수평방향에 수직한 제2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평 위치 조절부(131)는 제2렌즈군(12)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부(132)는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132)는 제2렌즈군(12)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틸팅 조절부(133)는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조절부(133)는 제1렌즈군(11)에 대하여 제2렌즈군(12)을 3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조사부(134)는 제1렌즈군(11) 및 제2렌즈군(12)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부(134)는 도 1의 상태를 기준으로 제2렌즈군(12)의 상측에서 제1렌즈군(11)의 하측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조사부(134)는 제1렌즈군(11)의 하측에서 제2렌즈군(12)의 상측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조사부(134)에서 조사된 광은, 제1렌즈군(11) 및 제2렌즈군(12)을 투과하여 검출부(135)에 이를 수 있다.
검출부(135)는 조사부(134)에서 조사된 광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35)는 조사부(134)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부(134)가 제2렌즈군(12)의 상측에서 제1렌즈군(11)의 하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경우, 검출부(135)는 제1렌즈군(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조사부(134)가 제1렌즈군(11)의 하측에서 제2렌즈군(12)의 상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경우, 검출부(135)는 제2렌즈군(1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검출부(135)는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광축 정렬 상태는 광축 정렬 여부, 어긋난 방향 및 정도, 틸팅 여부, 틸팅 각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35)는 조사된 광을 분석하여 제2렌즈군(12)이 제1렌즈군(11)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났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35)는 조사된 광을 분석하여 제2렌즈군(12)의 제1렌즈군(11)에 대한 틸팅 여부, 틸팅 각도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6)는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제1렌즈군(11) 및 제2렌즈군(12)의 광축이 일치되도록 수평 위치 조절부(131) 및 틸팅 조절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6)는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에 따라, 수평 위치 조절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6)는 수평 위치 조절부(131)를 제어하여,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어긋난 방향으로 어긋난 정도만큼 제2렌즈군(12)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36)는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에 따라, 틸팅 조절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6)는 틸팅 조절부(133)를 제어하여,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틸팅 방향으로 틸팅 각도만큼 제2렌즈군(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조사부(134)에서 광을 조사하고, 검출부(135)에서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고, 제어부(136)는 검출된 정렬 상태를 피드백하여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검출부(135)에서 광축이 정렬된 것으로 검출될 때까지, 상기 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광축이 정렬된 것으로 검출되면, 제어부(136)는 높이 조절부(132)를 제어하여, 제1렌즈군(11)에 대한 제2렌즈군(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6)는 제2렌즈군(12)이 경통(B)에 안착될 때까지, 제2렌즈군(12)을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렌즈군(12)이 경통(B)에 안착되면, 제2렌즈군(12) 및 경통(B) 사이에 본딩 처리하여 제2렌즈군(12)을 경통(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별적인 렌즈가 아닌 제1렌즈군(11)에 대하여 제2렌즈군(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광축을 정렬하는 것이므로, 조심 작업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축 정렬 상태 피드백을 통하여, 복수 개의 렌즈의 해상력 및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방법(200)은 렌즈 조심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렌즈 광축을 정렬할 수 있다. 렌즈 조심 방법(200)은 제1렌즈군에 대한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복수 개의 렌즈의 광축을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심 방법(200)은 제1렌즈군 형성 단계(210), 제1렌즈군의 상측에 제2렌즈군 위치 단계(220), 광 조사 단계(230), 정렬 상태 검출 단계(240), 제2렌즈군 위치 정렬 단계(250), 제2렌즈군 높이 조절(260) 및 제2렌즈군 고정(27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은, 경통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제1렌즈군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군은 대물 렌즈를 포함하여 4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군은 경통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단계 220은, 서로 접합된 2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을 제1렌즈군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군은 접안 렌즈를 포함하여 2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렌즈는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단계 230은,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렌즈군에서 제1렌즈군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1렌즈군에서 제2렌즈군을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단계 240은,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제1렌즈군에 대한 제2렌즈군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광축 정렬 상태는, 광축 정렬 여부, 어긋난 방향 및 정도, 틸팅 여부, 틸팅 각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240은 제2렌즈군이 제1렌즈군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났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240은 제2렌즈군의 제1렌즈군에 대한 틸팅 여부, 틸팅 각도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250은,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제2렌즈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250은 단계 240에서 검출된 어긋난 방향으로 어긋난 정도만큼 제2렌즈군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250은, 제2렌즈군을 제1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251) 및 제2렌즈군을 제1수평방향에 수직한 제2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25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50은 단계 240에서 검출된 틸팅 방향으로 틸팅 각도만큼 제2렌즈군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축이 정렬된 것으로 검출될 때까지, 단계 230, 단계 240 및 단계250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60은, 제1렌즈군에 대한 제2렌즈군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260은, 광축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제2렌즈군이 경통에 안착될 때까지, 제2렌즈군은 하향 이동될 수 있다.
단계 270은, 경통에 상기 제2렌즈군을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제2렌즈군 및 경통 사이에 본딩 처리하여 제2렌즈군을 경통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렌즈 조심 시스템
11: 제1렌즈군
12: 제2렌즈군
B: 경통

Claims (8)

  1. 경통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제1렌즈군을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을 상기 제1렌즈군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렌즈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조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렌즈군을 제1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군을 상기 제1수평방향에 수직한 제2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조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경통에 상기 제2렌즈군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서로 접합된 2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심 방법.
  5. 경통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의 상측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을 지지하고,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위치 조절부;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 정렬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조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광축 정렬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의 광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수평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에 대한 상기 제2렌즈군의 상대적인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서로 접합된 2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심 시스템.
KR1020180165667A 2018-12-19 2018-12-19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67A KR102217036B1 (ko) 2018-12-19 2018-12-19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667A KR102217036B1 (ko) 2018-12-19 2018-12-19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20A true KR20200076520A (ko) 2020-06-29
KR102217036B1 KR102217036B1 (ko) 2021-02-22

Family

ID=7140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667A KR102217036B1 (ko) 2018-12-19 2018-12-19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6697A (zh) * 2020-12-10 2021-03-1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镜片对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016A (ja) * 1984-01-17 1985-08-07 Ricoh Co Ltd レンズ系調整組立装置
JPH11344657A (ja) * 1998-06-01 1999-12-14 Sony Corp レンズの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4182222A (ja) * 2013-03-18 2014-09-29 Olympus Corp レンズ組立体の製造方法、レンズ組立体の製造装置、およびレンズ組立体
KR20160115359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옵트론텍 광축의 자가 정렬이 가능한 광학장치
KR20160129651A (ko) * 2015-04-29 2016-11-09 솔브레인이엔지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016A (ja) * 1984-01-17 1985-08-07 Ricoh Co Ltd レンズ系調整組立装置
JPH11344657A (ja) * 1998-06-01 1999-12-14 Sony Corp レンズの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4182222A (ja) * 2013-03-18 2014-09-29 Olympus Corp レンズ組立体の製造方法、レンズ組立体の製造装置、およびレンズ組立体
KR20160115359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옵트론텍 광축의 자가 정렬이 가능한 광학장치
KR20160129651A (ko) * 2015-04-29 2016-11-09 솔브레인이엔지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6697A (zh) * 2020-12-10 2021-03-1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镜片对位方法
CN112526697B (zh) * 2020-12-10 2022-07-2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镜片对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036B1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606A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optical axis of an optical system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KR101591939B1 (ko)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KR101573681B1 (ko) 카메라 모듈 초점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2217036B1 (ko) 렌즈 조심 장치 및 그 방법
JP5957621B2 (ja) 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撮像モジュール製造装置
JP6261678B1 (ja) レーザ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及びウォータジェットレーザ加工機
US20210170524A1 (en) Laser beam adjustment system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US20130120762A1 (en) Diaphragm position measuring method, diaphragm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diaphragm positioning method and diaphragm positioning apparatus
JP5747396B1 (ja) 光軸調整装置
JPWO2013021496A1 (ja) 調整装置および光学部品実装装置
KR101588971B1 (ko)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화각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94396A1 (ja) レンズ素子搬送機構、レンズ駆動装置、光軸調整装置並びに、光学モジュール製造設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30256A (ja) 撮像装置の焦点調整方法および焦点調整装置
KR10161232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검사 방법
TW202241623A (zh) 雷射加工裝置的調整方法以及雷射加工裝置
KR20030068280A (ko) 콜리메이터 검사장치
JP6544361B2 (ja) 眼底像形成装置
JP6422819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KR102574468B1 (ko) 렌즈모듈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모듈 정렬방법
KR102019488B1 (ko)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102052102B1 (ko)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US9823162B2 (en) Lens focusing device and replaceable chart display module thereof
KR102173947B1 (ko) 레이져 가공 동축 비젼시스템
JP2010286746A (ja) ステレオカメラの光軸調整装置及び光軸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