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50A -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50A
KR20150133050A KR1020140059895A KR20140059895A KR20150133050A KR 20150133050 A KR20150133050 A KR 20150133050A KR 1020140059895 A KR1020140059895 A KR 1020140059895A KR 20140059895 A KR20140059895 A KR 20140059895A KR 20150133050 A KR20150133050 A KR 2015013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plate
yaw
camera modu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939B1 (ko
Inventor
김재웅
박정인
엄태근
Original Assignee
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팸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3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요(yaw)회전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요(yaw)모터; 상기 요모터의 요회전축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요(yaw)회전플레이트;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피치(pitch)회전축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피치(pitch)모터; 상기 피치모터의 피치회전축에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상측면에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가 설치되는 피치(pitch)회전플레이트;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된 보조회전축에 결합된 균형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피치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전방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마주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이 광원부와 마주하면, 상기 요모터와 피치모터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를 동시에 각각 회전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Shake the camera module test equipmen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위상차를 두어 실제 흔들림과 같은 조건 하에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로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비롯하여 스마트폰에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보급된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점점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점에서, 보다 고품질을 촬영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이 탑재된 AFA(Auto Focusing Actuator)를 개발 진행 중에 있으며, 이에 따른 손떨림 보정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기존의 손떨림 보정 모듈을 장착한 카메라모듈은, 특허 제0926451호와 같이 수평의 상태에서 지그에 결합하고, 그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검사가 이루어졌다.
여기서, 카메라모듈은 엑츄에이터와 렌즈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엑츄에이터와 렌즈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이하, '상태1')에서 결합된다는 가정하에, 엑츄에이터와 렌즈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이하, '상태2')에서 조립된다.
그러나, 엑츄에이터와 렌즈를 상태2에서 조립이 되고, 상태1가 되면, 엑츄에이터의 쳐짐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카메라모듈의 조립이 완성된 후 불량을 일으킬 확률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불량률을 증대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상술한 종래기술도 마찬가지로, 상태2에서만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 검사가 이루어지고, 특히, 상태2에서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 검사가 이루어진 후, 카메라 또는 휴대폰에 장착되기 때문에,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상태2에서 조립되고, 상태2에서 손떨림 보정 검사 등이 이루어진 카메라모듈이 일상생활에서 사용될 때는, 상태1에서 전방에 위치한 피사물을 촬영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할 때 전방에 위치한 피사물을 촬영한다는 것이다.
이는, 카메라모듈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엑유에이터와 렌즈가 상태2로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상태1를 뜻한다.
즉, 실생활에서 카메라 및 휴대폰 카메라를 사용시 카메라와 피사물이 전후에 배치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종래의 카메라모듈 손떨림 보정 검사는 상태2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상태2에서 손떨림 보정 검사를 마친 카메라모듈을 상태1에서 사용할 때 상태2에서 미쳐 발견되지 않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카메라 또는 휴대폰의 불량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카메라 또는 휴대폰의 카메라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공정이 더 발생하고, 제조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926451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위상차를 두어 실제 흔들림과 같은 조건 하에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로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과 광원부가 마주보도록 피치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모듈의 보정력을 검사할 때, 사용자가 카메라기기를 사용할 때처럼 전방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태와 동일 조건에서 보정력이 검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더 정확한 카메라모듈의 보정력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이 카메라기기에 설치되기 이전에 불량률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어서 카메라기기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요(yaw)회전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요(yaw)모터; 상기 요모터의 요회전축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요(yaw)회전플레이트;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피치(pitch)회전축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피치(pitch)모터; 상기 피치모터의 피치회전축에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상측면에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가 설치되는 피치(pitch)회전플레이트;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된 보조회전축에 결합된 균형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피치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전방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마주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이 광원부와 마주하면, 상기 요모터와 피치모터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를 동시에 각각 회전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요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요회전방지부; 및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피치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피치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회전방지부와 피치회전방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요센서인식부; 상기 요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이 평행하게 마주볼 때 상기 요센서인식부를 감지하는 요센서부; 상기 보조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피치센서인식부; 및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피치회전플에이트의 상측면이 평행하게 마주볼 때 상기 피치센서인식부를 감지하는 피치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센서부와 피치센서부가 각각 요센서인식부와 피치센서인식부를 감지하면, 상기 요모터와 피치모터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를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는, 상측면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모듈장착부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기기장착부 중 어느 하나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기장착부는,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제1결합부와, 상기 카메라기기가 고정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삽탈되고, 타측에 제2결합부가 관통결합된 간격조절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봉은, 상기 제1결합부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삽탈되고, 상기 제2결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기장착부는, 상기 간격조절봉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카메라기기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간격조절봉을 회전시키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기장착부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삽탈되고, 타측에 제2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결합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제한봉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측면을 관통하며 좌우로 길이방향을 갖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결합부재로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에는, 상기 카메라기기가 설치될 때, 상기 카메라기기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이 미리 정해진 설정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설정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X축의 제1라인홈과 Y축의 제2라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와의 이격된 거리를 검출하여 수직으로 회전된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과 광원부가 서로 평행상태임을 검출하는 거리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리검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레이저기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상기 레이저기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이저기의 배치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부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광원부가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가 각각 회전될 때 이동부에 의해서 전후, 좌우, 상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측에 상기 광원부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레일부와, 상기 전후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광원부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레일부와, 상기 좌우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광원부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레일부 및 상기 상하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위상차를 두어 실제 흔들림과 같은 조건 하에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로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과 광원부가 마주보도록 피치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모듈의 보정력을 검사할 때, 사용자가 카메라기기를 사용할 때처럼 전방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태와 동일 조건에서 보정력이 검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더 정확한 카메라모듈의 보정력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이 카메라기기에 설치되기 이전에 불량률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어서 카메라기기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의 피치회전플레이트가 광원부와 평행하게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의 기기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의 기기장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의 피치회전플레이트가 광원부와 평행하게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의 기기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의 기기장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는, 지지플레이트(10), 요(yaw)모터(11), 요(yaw)회전플레이트(15), 피치(pitch)모터(16), 피치(pitch)회전플레이트(19), 균형부(20), 광원부(49)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0)는 판 형상으로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상부에 평평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요모터(11)는, 지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요(yaw)회전축을 좌우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요회전축(12)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후술할 광원부(49)를 바라보았을 때,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요모터(11)에 의해서 회전된다.
요회전플레이트(15)는, 요모터(11)의 요회전축(12)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고,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피치모터(16)는, 요회전플레이트(15)의 일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18)에 설치된다.
또한, 피치모터(16)는 피치(pitch)회전축을 전후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피치회전축(17)은 후술할 광원부(49)를 바라보았을 때, 좌우를 가로지르며 수평으로 배치되어 전측방향 또는 후측방향으로 피치모터(16)에 의해서 회전된다.
피치회전플레이트(19)는, 피치모터(16)의 피치회전축(17)에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된다.
또한, 피치회전플레이트(19)는, 상측면에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50)가 설치된다.
한편, 피치회전플레이트(19)는, 상측면에 모듈장착부(25) 또는 기기장착부(28) 중 어느 하나이상이 설치된다.
모듈장착부(25)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되, 카메라모듈의 렌즈가 상측면으로 노출되게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기장착부(28)는,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50)가 장착되어 고정되되, 카메라기기(50)의 카메라모듈 렌즈가 상측면으로 노출되게 고정된다.
특히, 기기장착부(28)는, 제1결합부(29), 제2결합부(31), 간격조절봉(33), 간격조절부(36) 및 회전제한봉(34)을 포함한다.
제1결합부(29)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제1결합부(29)는, 상하측면을 관통하며 좌우로 길이방향을 갖는 장공(30)이 형성되고, 장공(30)을 관통하는 결합부재로 피치회전플레이트(19)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29)는 장공(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공간부(3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2결합부(31)는, 카메라기기(50)가 고정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되도록 제1결합부(29)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카메라기기(50)는 제1결합부(29)와 제2결합부(31)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결합부(29)와 제2결합부(31)에 맞물려 고정된다. 특히, 제1결합부(29)와 제2결합부(31)는 한쌍으로 다수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29)와 제2결합부(31)가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는 내입되어 카메라기기(5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홈(35)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봉(33)은 일측이 제1결합부(29)에 삽탈되고, 타측에 제2결합부(31)가 관통결합된다.
특히, 간격조절봉(33)은, 제1결합부(29)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삽탈되고, 제2결합부(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간격조절부(36)는, 간격조절봉(33)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고, 공간부(32)에 삽입되는 카메라기기(50)가 제1결합부(29)와 제2결합부(31) 사이에 고정되도록 간격조절봉(33)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간격조절봉(33)의 일측이 제1결합부(29)에 나사결합되며 삽탈된다. 이때,간격조절봉(33)은 제2결합부(31)에 관통되되 자유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결합부(31)는 간격조절봉(33)의 일측이 제1결합부(29)에 삽탈됨에 따라 간격조절봉(33)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움직이며, 이때, 공간부(32)의 폭은 조절된다.
회전제한봉(34)은, 일측이 제1결합부(29)에 삽탈되고, 타측에 제2결합부(31)가 결합되어 제2결합부(31)의 회전을 방지한다. 즉, 회전제한봉(34)은, 간격조절부(36)를 회전시키며 간격조절봉(33)에 결합된 제2결합부(3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상측면에는, 카메라기기(50)가 설치될 때, 카메라기기(50)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이 미리 정해진 설정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정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X축의 제1라인홈과 Y축의 제2라인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라인홈과 제2라임홈이 만나는 원점에 카메라기기(50)의 카메라모듈 렌즈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9)의 장공(30)과 간격조절부(36)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크기가 다른 카메라기기(50)를 다양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균형부(20)는, 요회전플레이트(15)의 타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18)에 설치된 보조회전축(21)에 결합된다.
이때, 보조회전축(21)은 피치회전플레이트(19)와 결합되어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균형부(20)는, 보조회전축(21)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균형부(20)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22)로 다수개 이루어지되,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일측에 결합된 피치모터(16)의 무게와 대응되는 무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균형부(20)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좌우 균형을 위한 것으로, 피치모터(16)의 무게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부(49)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가 피치모터(16)에 의해 회전되어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모듈과 마주도록 지지플레이트(10)의 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이동부는, 광원부(49)가 피치회전플레이트(19)를 향하도록 설치되되, 광원부(49)가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광원부(49)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요회전플레이트(15)와 피치회전플레이트(19)가 각각 회전될 때 이동부에 의해서 전후, 좌우, 상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광원부(49)는 이동부에 의해서 수동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동부는, 광원부(49)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후레일부(43), 전후이동부(44), 좌우레일부(45), 좌우이동부(46), 상하레일부(47) 및 상하이동부(48)를 포함한다.
먼저, 광원부(49)가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은, 사용자가 광원부(49)의 정면을 바라는 보는 방향 즉, 카메라모듈이 광원부(49)를 바라보는 광원부(49)의 측면을 기준으로 한 방향이다.
전후레일부(43)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방측에 광원부(49)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전후이동부(44)는, 전후레일부(43)에 결합되어 광원부(49)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전후이동부(44)는 전후레일부(4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전후레일부(43)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가 회전하여 카메라모듈과 광원부(49)가 마주하였을 때 최소 30cm, 최대 70cm로 이격될 수 있도록 피치회전플레이트(19)와 30cm 이격되어 설치되고, 최소 40cm의 길이를 갖는게 바람직하다.
좌우레일부(45)는, 전후이동부(44)의 상부에 광원부(49)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이동부(46)는, 좌우레일부(45)에 결합되어 광원부(49)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좌우이동부(46)는, 좌우레일부(45)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하레일부(47)는, 전후이동부(44)의 상부에 광원부(49)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상히이동부는, 상하레일부(47)에 결합되어 광원부(49)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하이동부(48)는, 상하레일부(47)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는, 요모터(11)와 피치모터(16)의 회전에 따라 카메라모듈을 좌우, 전후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광원부(49)의 이동까지 더하여진 손떨림과 피사체의 움직임 조건에서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어부는, 카메라모듈이 광원부(49)와 마주하면, 요모터(11)와 피치모터(16)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요회전플레이트(15)와 피치회전플레이트(19)를 동시에 각각 회전시키면서,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통해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한다.
또한, 제어부는, 요회전플레이트(15)와 피치회전플레이트(19)가 동시에 각각 회전될 수 있도록 요모터(11)와 피치모터(16)를 제어하되, 진동은 1~15Hz이고, 회전각도는 ±2도이며, 진동 각은 1~1.5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는, 위상차를 두어 실제 흔들림 효과를 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부는, 요모터(11)와 피치모터(16)를 설정각도로만 제어하기 이전에, 피치회전플레이트(19)에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기기(50)가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작동스위치가 눌려지면, 피치모터(16)를 제어하여 수평상태인 피치회전플레이트(19)를 수직상태 즉, 피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과 광원부(49)가 마주하여 평행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여기서, 카메라모듈을 피치회전플레이트(19)에 설치할 때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상측면에 설치하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모듈의 보정력을 검사할 때는, 카메라모듈을 실제 사용할 때, 즉, 사용자가 카메라기기(50)를 사용할 때처럼 전방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태와 동일 조건에서 보정력이 검사될 수 있도록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상측면과 광원부(49)가 마주보도록 피치회전플레이트(19)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검사장치는, 보다 더 정확한 카메라모듈의 보정력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이 카메라기기(50)에 설치되기 이전에 불량률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어서 카메라기기(50)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는 요회전방지부(26), 피치회전방지, 요센서인식부(13), 요센서부(14), 피치센서인식부(23) 및 피치센서부(24)를 포함한다.
요회전방지부(26)는, 지지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요회전축(12)과 일체로 회전하는 요회전플레이트(15)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피치회전방지부(27)는, 요회전플레이트(15)에 설치되어, 피치회전축(17)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즉, 요회전방지부(26)와 피치회전방지부(27)는, 제어부에 의해 요회전플레이트(15)와 피치회전플레이트(19)가 회전될 때,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요센서인식부(13)는, 요회전축(12)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요센서부(14)는, 요회전플레이트(15)가 회전되면서 광원부(49)와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상측면이 평행하게 마주볼 때 요센서인식부(13)를 감지한다.
피치센서인식부(23)는, 보조회전축(21)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한다.
피치센서부(24)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가 회전되면서 광원부(49)와 피치회전플에이트의 상측면이 평행하게 마주볼 때 피치센서인식부(23)를 감지한다.
요센서부(14)와, 피치센서부(24)는,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상측면과 광원부(49)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지점에서 진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부는, 요센서부(14)와 피치센서부(24)가 각각 요센서인식부(13)와 피치센서인식부(23)를 감지하면, 요모터(11)와 피치모터(16)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요회전플레이트(15)와 피치회전플레이트(19)를 각각 동시에 회전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는, 거리검출부(39)를 더 포함한다.
거리검출부(39)는, 지지플레이트(10)의 상부에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광원부(49)와의 이격된 거리를 검출하여 수직으로 회전된 피치회전플레이트(19)의 상측면과 광원부(49)가 서로 평행상태임을 검출한다.
이러한, 거리검출부(39)는, 고정플레이트(40), 레이저기(41) 및 고정핀(42)을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40)는, 지지플레이트(10)에 설치된다.
레이저기(41)는 고정플레이트(40)의 상측에 배치되어 광원부(49)를 향하여 레이저를 발산한다.
고정핀(42)은, 고정플레이트(40)에 고정되되, 레이저기(4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레이저기(41)의 배치된 위치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거리검출부(39)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광원부(49)의 양쪽에 이격된 거리를 각각 검출함과 동시에 광원부(49)의 평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광원부(49)의 상태를 파악하여 보다 더 정확한 보정력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지플레이트 11: 요모터
12: 요회전축 13: 요센서인식부
14: 요센서부 15: 요회전플레이트
16: 피치모터 17: 피치회전축
18: 측면플레이트 19: 피치회전플레이트
20: 균형부 21: 보조회전축
22: 무게추 23: 피치센서인식부
24: 피치센서부 25: 모듈장착부
26: 요회전방지부 27: 피치회전방지부
28: 기기장착부 29: 제1결합부
30: 장공 31: 제2결합부
32: 공간부 33: 간격조절봉
34: 회전제한봉 35: 삽입홈
36: 간격조절부 37: 제1라인홈
38: 제2라인홈 39: 거리검출부
40: 고정플레이트 41: 레이저기
42: 고정핀 43: 전후레일부
44: 전후이동부 45: 좌우레일부
46: 좌우이동부 47: 상하레일부
48: 상하이동부 49: 광원부
50: 카메라기기

Claims (13)

  1.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요(yaw)회전축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요(yaw)모터;
    상기 요모터의 요회전축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요(yaw)회전플레이트;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피치(pitch)회전축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피치(pitch)모터;
    상기 피치모터의 피치회전축에 결합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상측면에 카메라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가 설치되는 피치(pitch)회전플레이트;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된 보조회전축에 결합된 균형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피치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전방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마주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이 광원부와 마주하면, 상기 요모터와 피치모터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를 동시에 각각 회전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모듈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을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요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요회전방지부; 및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피치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피치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회전방지부와 피치회전방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요센서인식부;
    상기 요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이 평행하게 마주볼 때 상기 요센서인식부를 감지하는 요센서부;
    상기 보조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피치센서인식부; 및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피치회전플에이트의 상측면이 평행하게 마주볼 때 상기 피치센서인식부를 감지하는 피치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센서부와 피치센서부가 각각 요센서인식부와 피치센서인식부를 감지하면, 상기 요모터와 피치모터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를 각각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는,
    상측면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모듈장착부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카메라기기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기기장착부 중 어느 하나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장착부는,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 제1결합부와,
    상기 카메라기기가 고정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삽탈되고, 타측에 제2결합부가 관통결합된 간격조절봉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봉은, 상기 제1결합부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삽탈되고, 상기 제2결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기장착부는,
    상기 간격조절봉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상기 카메라기기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간격조절봉을 회전시키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장착부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삽탈되고, 타측에 제2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결합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제한봉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측면을 관통하며 좌우로 길이방향을 갖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결합부재로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에는,
    상기 카메라기기가 설치될 때, 상기 카메라기기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이 미리 정해진 설정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설정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X축의 제1라인홈과 Y축의 제2라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와의 이격된 거리를 검출하여 수직으로 회전된 피치회전플레이트의 상측면과 광원부가 서로 평행상태임을 검출하는 거리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검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레이저기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상기 레이저기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이저기의 배치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상기 피치회전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광원부가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요회전플레이트와 피치회전플레이트가 각각 회전될 때 이동부에 의해서 전후, 좌우, 상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측에 상기 광원부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레일부와,
    상기 전후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광원부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레일부와,
    상기 좌우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광원부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레일부 및
    상기 상하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KR1020140059895A 2014-05-19 2014-05-19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KR10159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95A KR101591939B1 (ko) 2014-05-19 2014-05-19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95A KR101591939B1 (ko) 2014-05-19 2014-05-19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50A true KR20150133050A (ko) 2015-11-27
KR101591939B1 KR101591939B1 (ko) 2016-02-04

Family

ID=5484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895A KR101591939B1 (ko) 2014-05-19 2014-05-19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9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6020A (zh) * 2017-07-14 2017-09-01 爱佩仪(东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二维角度振动平台
CN108801573A (zh) * 2018-06-14 2018-11-13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航天器高分辨率相机光轴抖动微振动源地面模拟装置
CN109632088A (zh) * 2019-01-17 2019-04-16 南京易纹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光源照度检测和矫正的自动控制系统
KR20190122016A (ko) * 2018-04-19 2019-10-29 (주)포산인더스트리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CN110620919A (zh) * 2018-06-20 2019-12-27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学防抖测试装置、系统、防抖率确定方法及装置
CN111103754A (zh) * 2020-02-12 2020-05-05 重庆三峡学院 一种光学图像稳定器的性能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64B1 (ko) * 2010-09-16 2011-02-14 (주)아이솔루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6020A (zh) * 2017-07-14 2017-09-01 爱佩仪(东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二维角度振动平台
CN107116020B (zh) * 2017-07-14 2022-07-19 爱佩仪(东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二维角度振动平台
KR20190122016A (ko) * 2018-04-19 2019-10-29 (주)포산인더스트리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CN108801573A (zh) * 2018-06-14 2018-11-13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航天器高分辨率相机光轴抖动微振动源地面模拟装置
CN110620919A (zh) * 2018-06-20 2019-12-27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光学防抖测试装置、系统、防抖率确定方法及装置
CN109632088A (zh) * 2019-01-17 2019-04-16 南京易纹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光源照度检测和矫正的自动控制系统
CN109632088B (zh) * 2019-01-17 2024-02-02 南京易纹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光源照度检测和矫正的自动控制系统
CN111103754A (zh) * 2020-02-12 2020-05-05 重庆三峡学院 一种光学图像稳定器的性能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39B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39B1 (ko)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US8698878B2 (en) 3-D auto-convergence camera
US98978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misalignment between display panel and film patterned retarder
KR20170066821A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TWI583967B (zh) 立體顯示裝置檢測系統及其檢測方法
CN107884422B (zh) 光学检测设备
CN106461903B (zh) 透镜元件搬送机构、透镜驱动装置、光轴调整装置用的控制器、光学模组制造设备及其制造方法
CN218896055U (zh) 极片检测设备和极片检测系统
KR101819576B1 (ko) 광학식 손떨림 보정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213962B1 (ko) 카메라 위치 조절 장치
KR101394398B1 (ko) 카메라 모듈 조정 장치 및 그의 셋팅 방법
KR101415942B1 (ko) 카메라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KR20080107681A (ko) 자동 검사장비의 마스크 촬영장치
KR101942467B1 (ko) 듀얼 카메라용 엑츄에이터 모듈의 검사 장치
KR20150116153A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검사 방법
KR102325610B1 (ko) 손떨림보정용 엑츄에이터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44210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CN203616521U (zh) 一种视场角调整装置
TWI595264B (zh) 可多方向調整鏡頭的顯微取像設備
JP2010286746A (ja) ステレオカメラの光軸調整装置及び光軸調整方法
CN103718027A (zh) 外观检查装置
KR101799643B1 (ko) 입체 표시 장치의 교정 장비
CN214037575U (zh) 线阵相机组安装机构
KR102329643B1 (ko) 모바일카메라용 오토포커싱 또는 손떨림 방지장치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40308B1 (ko) 카메라 모듈의 광축 정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