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16A -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16A
KR20190122016A KR1020180045630A KR20180045630A KR20190122016A KR 20190122016 A KR20190122016 A KR 20190122016A KR 1020180045630 A KR1020180045630 A KR 1020180045630A KR 20180045630 A KR20180045630 A KR 20180045630A KR 20190122016 A KR20190122016 A KR 2019012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amera module
source box
flar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408B1 (ko
Inventor
윤승욱
Original Assignee
(주)포산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산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포산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8004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4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카메라 모듈(M)을 고정하는 카메라 고정지그(10)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을 향하여 시험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박스(20)와;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를 고정 지지하는 지그지지부(30)와; 상기 광원박스(20)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원지지부(40)와; 상기 지그지지부(30)와 상기 광원지지부(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50)와;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경로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입력부(60)와; 상기 입력부(60)에 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레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Flare test system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카메라 고정지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향하여 시험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박스와;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를 고정 지지하는 지그지지부와; 상기 광원박스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원지지부와; 상기 지그지지부와 상기 광원지지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광원박스의 회전경로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상기 광원박스의 회전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레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촬상장치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는 물론이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문자 데이터 외에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되는 화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기들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각종 유닛들, 특히 광학렌즈도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학렌즈가 소형화되면 피사체를 촬영할 때 빛의 회절 및 산란이 증가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촬상 화면이 희뿌옇게 되는 소위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상기 플레어 현상은 입사광이 렌즈 표면과 경통 내벽 등에 반사되어 생기는 현상으로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그래서 광학렌즈를 포함하는 촬상기기의 제조과정에서는 반드시 플레어 현상의 발생 여부 및 발생 정도를 시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5292호(2010년 11월 12일)에는, 암실(暗室) 내에서 광학렌즈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의 빛을 조사하면서 플레어의 발생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렌즈 플레어 테스트 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6은 상기 ‘렌즈 플레어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암실(暗室) 구조의 집적부스(10)와, 그 내부에 설치된 렌즈셋팅 스테이지(20) 및 광원 스테이지(30), 그리고 상기 광원 스테이지(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렌즈셋팅 스테이지(20)에다 촬상기기(CA)의 광학렌즈(PLZ)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광원 스테이지(30)의 광원소스(SC)로부터 시험광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40)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렌즈(PLZ)로 조사되는 시험광선의 입사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어떤 위치에서 플레어가 발생하는지를 시험한다.
첨부 도 6에서 도면부호 ‘60’은 ‘예비광 박스’이고, 기타 미설명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5292호(2010년 11월 12일)
상기 도 6과 같은 종래의 ‘렌즈 플레어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광원 스테이지(30)로부터 상기 광학렌즈(PLZ)로 조사되는 시험광선의 입사각도와 상기 촬상기기(CA)가 화상을 캡쳐하는 시간 등을 모두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결과를 산업적으로 표준화 또는 규격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에서 조사되는 시험광선의 조도 및 입사 각도와 시험대상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 등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설정하여 플레어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측정해 낼 수 있는 플레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에서 조사되는 시험광선의 조도 및 입사각도와 시험대상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 등을 표준화 및 규격화 함으로써, 플레어 측정 결과를 상기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현상을 개선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플레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카메라 고정지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향하여 시험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박스와;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를 고정 지지하는 지그지지부와; 상기 광원박스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원지지부와; 상기 지그지지부와 상기 광원지지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광원박스의 회전경로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상기 광원박스의 회전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험광선의 조도와 입사각도, 그리고 시험대상 카메라 모듈의 촬상시간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조건에서 정확하게 플레어 발생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둘째, 플레어 측정장치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산업현장에서 공간 활용도가 높다.
셋째, 운용방법이 용이하고 자동화 되어 있어서 최소한의 인원과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측정장치의 부분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측정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상기 플레어 측정장치에서 입력부의 화면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측정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6은 종래 플레어 측정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 고정지그(10)와 광원박스(20), 지그지지부(30), 광원지지부(40), 베이스부(50), 입력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상기 제어부(70)는 보이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1의 플레어 측정장치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수평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X축 방향’이라 하고, 수직방향을 ‘상하방향’ 또는 ‘Y축 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는 플레어 측정대상이 되는 카메라 모듈(M)을 고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면 여러 형태의 카메라 모듈(M)을 호환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상태로 양쪽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집게발(11)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광원박스(20)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M)을 향하여 시험광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반사판(21) 위에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판(21)의 중앙에 설치된 LED 램프(22)와, 상기 LED 램프(22)의 양쪽에 설치된 한쌍의 형광등(2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에 할로겐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LED 램프(22)는 점광원을 중심으로 태양과 같은 직사광을 발생하기 때문에 조도 조절이 용이하고, 나아가 빛의 산란 및 난반사로 인해 카메라 모듈(M) 내에 남는 빛의 잔상을 측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형광등(23)은 광원의 확산 현상으로 인해서 빛의 굴절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굴절 현상을 측정하는데 용이하다.
상기 지그지지부(30)는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지지부(30)는 지지통체(31)와 승강바(32) 및 가로지지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통체(31)는 상기 베이스부(5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직립 설치되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광원박스(20)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지지대(32)는 상기 지지통체(31) 내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상기 지지통체(31) 위로 노출되어 있으며,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로지지대(33)는 상기 승강바(32)의 상단에서 상기 광원박스(20)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는 상기 가로지지대(33) 상에 설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로지지대(33)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M)은 상기 광원박스(20)로부터 전후,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며, 특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광원지지부(40)는, 상기 광원박스(20)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회전통체(41)와 세로회전팔(4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통체(41)는 상기 베이스부(50) 상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직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회전팔(42)은 상기 회전통체(41)의 상단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3’은 상기 회전통체(41)와 상기 세로회전팔(42)을 연결하는 ‘힌지부’이다.
상기 광원박스(20)는 상기 세로회전팔(42)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세로회전팔(42) 위에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4’는 상기 광원박스(20)와 세로회전팔(42)을 연결하는 ‘힌지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통체(41)의 상단에는 상기 세로회전팔(42)의 회전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분도기(4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회전팔(42)의 단부에는 상기 분도기(44)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침(42a)이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세로회전팔(4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침(42a)과 분도기(44)를 통해서 상기 세로회전팔(42)의 X축 방향의 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50)는 상기 지그지지부(30)와 상기 광원지지부(4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바람직하기로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50)의 하단에는 본 발명의 플레어 측정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롤러(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50)의 상면에서는 상기 회전통체(41)의 X축 방향 회전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분도눈금(52)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회전통체(41)의 하단에는 상기 분도눈금(52)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침(40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50)의 내부에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통체(4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1a)과, 상기 베어링(41a) 하단에 구비된 구동풀리(41b)와, 상기 구동풀리(41b)를 회전시켜 주는 제1 구동모터(41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41b)와 제1 구동모터(41c)는 구동벨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통체(41)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세로회전팔(42) 끝에 설치된 광원박스(20)가 X축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베이스부(5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통체(41)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통체(4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나사봉(41d)과, 상기 나사봉(41d)을 회전시켜 주는 제2 구동모터(41e)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41d)에는 승강브라켓(41f)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봉(41d)이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면 상기 승강브라켓(41f)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41g’는 상기 제2 구동모터(41e)의 회전력을 상기 나사봉(41d)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이다.
상기 승강브라켓(41f)의 일측은 상기 나사봉(41d)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회전통체(41) 밖으로 노출되어 상기 세로회전팔(42)의 중간 부위를 받쳐준다. 따라서 상기 나사봉(41d)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브라켓(41f)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동시에 상기 세로회전팔(42)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끝에 설치된 광원박스(20)가 Y축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통체(41)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브라켓(41f)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첨부 도 3은 상기 광원박스(20)가 Y축 방향으로 상한각까지 회전한 상태(A) 및 하한각까지 회전한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박스(20)는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으로 60도, 우측으로 60도, 상측으로 100도, 하측으로 45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한다.
상기 입력부(60)는,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경로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상기 입력부(60)는 종래의 입력수단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LCD 터치 스크린 형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60)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광원조작부(61)와 회전각 설정부(62), 캡쳐각 설정부(63), 카메라 조작부(64) 및 씬(scene) 저장부(65)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광원조작부(61)에서는 ‘+ / -’버튼을 이용하여 광원, 즉 형광등과 LED의 조도 레벨을 설정하고, ‘ON / OFF’를 제어한다. 그리고, 회전각 설정부(62)에서는 ‘X 시작각’ 및 ‘X 정지각’과‘Y시작각’ 및 ‘Y 정지각’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박스(20)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회전을 시작하는 위치와 정지하는 위치를 설정한다. ‘모터원점’ 버튼을 누르면, 상기 광원박스(20)가 ‘X 시작각’ 및 ‘Y시작각’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캡쳐각 설정부(63)에서는, 상기 회전각 설정부(62)에 입력된 회전범위 내에서 ‘X 캡쳐각’및 ‘Y 캡쳐각’에다 상기 광원박스(20)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이동각도를 설정한다. 즉,‘X 캡쳐각’에‘5도’를 입력하고, ‘Y 캡쳐각’에 ‘120도’를 입력하면, 상기 광원박스(20)가 상기 회전각 설정부(62)에 입력된‘X 시작각’ 및 ‘Y시작각’에서 출발하여 X축 방향으로 5도 이동한 다음 Y축 방향으로 120도 이동하고, 다시 X축 방향으로 5도 이동한 다음 Y축 방향으로 120도 이동하는 동작을 계속 반복한다. 이러한 회전동작은 상기 회전각 설정부(62)에 입력된‘ X 정지각’ 및 ‘Y 정지각’에서 마감된다.
상기 카메라 조작부(64)에는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설정한다. 즉 ‘셔트 ON’에다 ‘3초’를 입력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셔트가 3초 경과시 마다 한번씩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셔트가 개방되는 시간 동안에는 상기 광원박스(20)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씬(scene) 저장부(65)에서는 상기 입력부(60)에 설정된 입력값 전체를 하나의 작동모드로 저장한다. 첨부 도 4의 입력부(60)에서는 모두 5가지의 서로 다른 작동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X 각도’나 ‘Y 각도’에 특정한 각도를 입력하고 ‘기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광원박스(20)가 바로 입력된 각도로 이동한다. 또한 상하좌우 방향을 표시하는 4개의 화살표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박스(20)의 위치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60) 상단의‘정지’버튼을 누르면 모든 시스템의 작동이 정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입력부(60)에 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5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70)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첨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측정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플레어 측정장치는 통상적인 암실 내에서 작동한다. 상기 플레어 측정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입력부(60)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가동하면, 미리 설정된 입력값에 상기 광원박스(20)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이때 카메라 고정지그(1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M)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M)이 촬영한 사진들은 촬영한 시간과 그 당시 광원의 좌표, 즉 X축 및 Y축 위치 등과 함께 모두 상기 카메라 모듈(M)에 저장된다. 상기 광원박스(20)가 시작각에서 정지각 까지 모두 회전하고 나면, 상기 카메라 모듈(M)에 저장된 사진들과 함께 관련 정보들은 컴퓨터로 이송한 다음, 상기 광원이 어떤 위치에 있을 때 플레어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여부를 관찰한다. 이러한 시험결과는 상기 카메라 모듈(M)의 플레어 발생을 저감시키는 자료로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어 측정장치는 카메라 모듈(M)의 플레어 발생여부를 측정하는 용도 이외에도 카메라 렌즈의 포커싱(focusing) 작업이나 영상을 검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10; 고정지그 11; 집게발
20; 광원박스 21; 반사판
22; LED 램프 23; 형광등
24,43; 힌지부 30; 지그지지부
31; 지지통체 32; 승강바
33; 가로지지대 40; 광원지지부
40a,42a; 각도침 41; 회전통체
41a; 베어링 41b; 구동풀리
41c,41e; 구동모터 41d; 나사봉
41f; 승강브라켓 41g; 감속기
42; 세로회전팔 44; 분도기
50; 베이스부 51; 이동롤러
52; 분도눈금 60; 입력부
61; 광원조작부 62; 회전각 설정부
63; 캡쳐각 설정부 64; 카메라 조작부
65; 씬(scene) 저장부 70; 제어부
M; 카메라 모듈

Claims (12)

  1. 카메라 모듈(M)을 고정하는 카메라 고정지그(10)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을 향하여 시험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광원박스(20)와;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를 고정 지지하는 지그지지부(30)와;
    상기 광원박스(20)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원지지부(40)와;
    상기 지그지지부(30)와 상기 광원지지부(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50)와;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경로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입력부(60)와;
    상기 입력부(60)에 설정된 입력값에 따라 상기 광원박스(20)의 회전동작과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박스(20)는, 반사판(21)의 중앙에 설치된 LED 램프(22)와, 상기 LED 램프(22)의 양쪽에 설치된 한쌍의 형광등(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지지부(30)는, 상기 베이스부(50)의 일측에 직립 설치된 지지통체(31)와, 상기 지지통체(31)에 상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승강바(32)와, 상기 승강바(32)의 상단에서 상기 광원박스(20)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가로지지대(33)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는 상기 가로지지대(3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체(31)는, 상기 베이스부(50) 상에서 상기 광원박스(20)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는 상기 가로지지대(33) 상에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지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50) 상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직립 설치되어 있는 회전통체(41)와, 상기 회전통체(41)의 상단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세로회전팔(42)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박스(20)는 상기 세로회전팔(42)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5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통체(4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1a)과, 상기 베어링(41a) 하단에 구비된 구동풀리(41b)와, 상기 구동풀리(41b)를 회전시켜 주는 제1 구동모터(41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체(4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나사봉(41d)과, 상기 나사봉(41d)을 회전시켜 주는 제2 구동모터(41e)와, 상기 나사봉(41d)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세로회전팔(42)의 중간 부위를 받쳐주는 승강브라켓(41f)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체(41)의 상단에는 상기 세로회전팔(42)의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도기(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회전팔(42)의 단부에는 상기 분도기(44)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침(42a)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박스(20)는, 상기 세로회전팔(42) 위에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힌지부(2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박스(20)는, 상기 카메라 고정지그(10)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으로 60도, 우측으로 60도, 상측으로 100도, 하측으로 45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60)는, 상기 광원박스(20)에 설치된 광원을 제어하는 광원조작부(61)와, 상기 광원박스(20)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회전을 시작하는 위치와 정지하는 위치를 설정하는 회전각 설정부(62)와, 상기 회전각 설정부(62)에 설정된 회전범위 내에서 상기 광원박스(20)가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각도를 설정하는 캡쳐각 설정부(63)와, 상기 카메라 모듈(M)의 촬상시간을 설정하는 카메라 조작부(64)와, 상기 입력부(60)에 설정된 입력값 전체를 하나의 작동모드로 저장하는 씬(scene) 저장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베이스부(5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M)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KR1020180045630A 2018-04-19 2018-04-19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KR102041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30A KR102041408B1 (ko) 2018-04-19 2018-04-19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30A KR102041408B1 (ko) 2018-04-19 2018-04-19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16A true KR20190122016A (ko) 2019-10-29
KR102041408B1 KR102041408B1 (ko) 2019-11-06

Family

ID=6842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30A KR102041408B1 (ko) 2018-04-19 2018-04-19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95301A (zh) * 2022-08-15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摄像头测试方法和测试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5843A (ja) * 1999-01-21 2000-08-04 Nikon Corp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100622965B1 (ko) * 2003-12-26 2006-09-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소자 시험 방법 및 장치
KR100995292B1 (ko) 2010-06-14 2010-11-19 (주)아이솔루션 렌즈 플레어 테스트 시스템
KR20150116153A (ko) * 2014-04-07 2015-10-15 (주)하이비젼시스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검사 방법
KR20150133050A (ko) * 2014-05-19 2015-11-27 팸텍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5843A (ja) * 1999-01-21 2000-08-04 Nikon Corp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100622965B1 (ko) * 2003-12-26 2006-09-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소자 시험 방법 및 장치
KR100995292B1 (ko) 2010-06-14 2010-11-19 (주)아이솔루션 렌즈 플레어 테스트 시스템
KR20150116153A (ko) * 2014-04-07 2015-10-15 (주)하이비젼시스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검사 방법
KR20150133050A (ko) * 2014-05-19 2015-11-27 팸텍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95301A (zh) * 2022-08-15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摄像头测试方法和测试设备
CN116095301B (zh) * 2022-08-15 2023-10-31 荣耀终端有限公司 摄像头测试方法和测试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408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840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flat workpieces
JP2002082067A (ja) 基板検査装置
JP3990666B2 (ja) デジタル画像取り込み装置
JPH11160242A (ja) 基板検査装置
CN110567989A (zh) 屏蔽玻璃缺陷检测方法
TW201447422A (zh) 液晶面板檢查裝置
JP2020091300A (ja) 半導体デバイスの側面の検査装置
WO2014030330A1 (ja) ストロボ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0902636B1 (ko) 적외선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2041408B1 (ko) 카메라 모듈의 플레어 측정장치
US20060170886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ojector
KR100744604B1 (ko) 카메라 모듈 초점 조절장치 및 초점 조절방법
KR101015807B1 (ko) 표면 검사 장치 및 표면 검사 방법
JP2005211581A (ja) 顔撮影装置
CN106200036B (zh) 点灯检测设备
JP6935262B2 (ja) 外観検査装置
JP2006250836A (ja) 分光光度計
JP5397889B2 (ja) カップ取付け装置
JP2000266638A (ja) 基板検査装置
KR101157081B1 (ko) 조명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JP2001133226A (ja) 撮影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21086121A (ja) 撮像装置及び表面検査装置
JP2015194576A (ja) 照明装置
TWI247105B (en) Imaging process device of panel for display
KR20090107814A (ko) 기판 검사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기판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