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364B1 -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364B1
KR101013364B1 KR1020100090948A KR20100090948A KR101013364B1 KR 101013364 B1 KR101013364 B1 KR 101013364B1 KR 1020100090948 A KR1020100090948 A KR 1020100090948A KR 20100090948 A KR20100090948 A KR 20100090948A KR 101013364 B1 KR101013364 B1 KR 10101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bject
shake correction
test system
correction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관
Original Assignee
(주)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0009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가 설치되는 피사체 설치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거리 조절 유닛; 및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테스트 카메라가 셋팅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조절 유닛의 전후 이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카메라 셋팅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카메라를 흔들리도록 구동하는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의 진동,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 등의 카메라 흔들림, 그리고, 피사체의 흔들림 등을 고려하여,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피사체의 밝기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테스트 카메라는 실제환경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테스트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CAMERA TREMBLING CORRECTION TEST SYSTEM}
본 발명은 카메라의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 성능을 테스트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 카메라의 수요자들은 높은 화질의 영상에 대한 욕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카메라의 영상은 흔들림에 의하여 영상의 왜곡 등과 같은 화질의 저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촬상시에 흔들림에 의하여 발생되는 번짐(blur), 해상도 저하(resolution reduction), 선예도 저하(sharpness reduction)와 같은 현상은 카메라의 영상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흔들림에는, 촬영자의 손 떨림에 따른 카메라의 흔들림, 피사체의 흔들림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셔트 속도(shutter speed)가 느리면 느릴수록,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특성의 저하에 따라, 흔들림에 따른 화질의 저하는 크게 나타난다. 이때, 주변 환경이 어두워지면, 카메라에서 바라보는 피사체의 밝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내부 프로세싱(processing) 작업의 속도가 느려져, 결국, 셔트 속도(shutter speed)는 느려진다.
한편,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카메라는 흔들림에 따른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여 화질 저하를 저감시키는 흔들림 보정 장치를 내부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실제 상황에서 흔들림에 따른 영상 화질의 저하가 얼마나 보정되는지 여부 즉, 흔들림 보정 성능이 카메라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상황과 근접한 상황에서 기제작된 카메라 또는 흔들림 보정 장치에 의한 흔들림 보정 성능을 효과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상황과 근접한 상황에서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 성능을 효과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가 설치되는 피사체 설치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거리 조절 유닛; 및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테스트 카메라가 셋팅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조절 유닛의 전후 이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카메라 셋팅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카메라를 흔들리도록 구동하는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가 설치되는 피사체 설치 유닛으로서, 상기 피사체가 흔들리도록 구동되는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거리 조절 유닛; 및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테스트 카메라가 셋팅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조절 유닛의 전후 이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카메라 셋팅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의 진동,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 등의 카메라 흔들림, 그리고, 피사체의 흔들림 등을 고려하여,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피사체의 밝기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테스트 카메라는 실제환경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테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피사체 설치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피사체로 제공될 수 있는 테스트 패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셋팅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집적부스(100), 피사체 설치 유닛(200), 거리 조절 유닛(300) 및 카메라 셋팅 유닛(400)을 구비하며, 바람직하기로는, 피사체 상태 제어기(500) 및 카메라 상태 제어기(6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집적부스(100)는 내부에 암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200), 상기 거리 조절 유닛(300) 및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4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사체 상태 제어기(500) 및 상기 카메라 상태 제어기(600)는 상기 집적부스(10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2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에 설치되며, 테스트 대상이 되는 테스트 카메라(TC)가 촬상 대상이 되는 피사체(TG)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피사체 설치 유닛(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200)은 피사체 진동판(210) 및 테스트 챠트판(220)을 구비한다.
상기 피사체 진동판(210)은 상기 테스트 챠트판(220)의 받침대로서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진동한다. 상기 테스트 챠트판(220)은 상기 피사체 진동판(210)에 장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테스트 카메라(TC, 도 1 및 도 2 참조)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피사체(TG)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사체(TG)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들(PAT1~PAT5)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패턴들(PAT1~PAT5)은 상기 테스트 챠트판(220)은 4개의 모서리 부근과 가운데 부근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패턴들(PAT1~PAT5)은 직사각형 모양이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변의 중앙을 경계로 나누어지는 4개의 작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흑색과 백색이 이웃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테스트 패턴들(PAT1~PAT5)은 조금(약 5도 정도) 기울져 있다.
이와 같이, 흑색과 백색이 서로 이웃하고 조금 기울져 있음에 따라, 상기 테스트 패턴들(PAT1~PAT5)은 선예도 평가에 유리하다. 즉, 테스트 카메라(TC, 도 1 및 도 2 참조)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하거나 진동할 때, 수평 라인(HL) 및 수직 라인(VL)에서 선예도의 차이가 두드러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테스트 챠트판(220)은 투명판으로 구현되며,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200)은 조명판(23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판(230)은 상기 테스트 챠트판(220)에 부착되되,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부착된다. 상기 조명판(230)은 상기 테스트 챠트판(220)을 조명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사체(TG)의 밝기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는 피사체(TG) 및 주변환경의 밝기에 따른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용이하게 테스트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피사체 상태 제어기(5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피사체 상태 제어기(500)는 상기 집적부스(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명판(230)을 제어하여 상기 피사체(TG)의 주변환경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집적부스(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피사체 상태 제어기(500)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TG)의 주변환경의 밝기 조절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사체 상태 제어기(500)는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200)의 흔들림을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피사체(TG)의 흔들림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사체(TG)는 흔들림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거리 조절 유닛(300)은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3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400)에는, 상기 피사체(TG)를 촬상하는 상기 테스트 카메라(TC)가 셋팅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400)은 상기 거리 조절 유닛(300)의 전후 이동 레일(310)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를 이동한다. 그 결과, 피사체 설치 유닛(200)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카메라(TC)까지의 거리가 조절된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셋팅 유닛(40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400)은 베이스판(410), 기기 진동판(420), 높이 조절대(430) 및 스윙 기구(44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410)은 상기 거리 조절 유닛(300)의 상기 전후 이동 레일(310)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100)의 내부 전면(FS)과 내부 후면(BS)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기기 진동판(420)은 상기 베이스판(410)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기기 진동판(420)은 진동 모터(421)를 내장하여 진동한다.
이때, 상기 진동 모터(421)는 1Hz 내지 15Hz로 진동되되, 1Hz씩 미세조절이 가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진동 모터(421)에 의하여,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는 진동에 따른 흔들림 보정 성능이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대(430)는 상기 기기 진동판(420)에 설치되며,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높이 조절대(430)는 구체적으로 몸통 기둥(431), 삽입 기둥(432) 및 기둥 연결 볼트(43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는 상기 피사체(TG)를 촬상하기에 적절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통 기둥(431)은 상기 기기 진동판(420)에 결속되며, 상기 삽입 기둥(432)은 상기 몸통 기둥(431)의 홀에 삽입되며,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 연결 볼트(433)는 상기 몸통 기둥(431)과 상기 삽입 기둥(432)을 결속시킨다.
상기 스윙 기구(440)는 상기 높이 조절대(430)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거치대(DCA)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스윙 기구(440)는 구체적으로 반원체(441), 제1 원형체(442), 제1 체결제(443), 제2 원형체(444), 제2 체결제(445) 및 상기 카메라 거치대(DCA)를 포함한다.
상기 반원체(441)는, 종방향(즉, 상하 방향)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체(441)는 상기 높이 조절대(430)에 결속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원형체(442)는 종방향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체(441)의 안쪽에서 상기 반원체(441)와 체결된다.
상기 제1 체결제(443)는 상기 제1 원형체(442)를 상기 반원체(441)에 체결시킨다. 상기 제1 체결제(443)는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볼트(443a) 및 제1 회전 모터(44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 볼트(443)는 상기 제1 원형체(442)를 상기 반원체(441)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 모터(443b)는 상기 제1 체결 볼트(443a)를 횡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스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원형체(442)를 횡방향으로 스윙한다.
상기 제2 원형체(444)는 종방향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형체(442)의 안쪽에서 상기 제1 원형체(442)와 체결된다.
상기 제2 체결제(445)는 상기 제2 원형체(444)를 상기 제1 원형체(442)에 체결시킨다. 상기 제2 체결제(445)는 구체적으로 제2 체결 볼트(445a) 및 제2 회전 모터(445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체결 볼트(445)는 상기 제2 원형체(444)를 상기 제1 원형체(442)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 모터(445b)는 상기 제2 체결 볼트(445a)를 종방향으로 스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원형체(444)를 종방향으로 스윙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 모터(443b) 및 상기 제2 회전 모터(445b)에 따른 스윙의 폭은 중앙을 기준으로 ±90°까지 가능하게 하되, ±1°씩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 회전 모터(443b) 및 상기 제2 회전 모터(445b)에 의하여,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스윙에 따른 흔들림 보정 성능이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거치대(DCA)는 상기 제2 원형체(444)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거치대(DCA)는 상기 기기 진동판(421)의 진동 모터(421)의 구동에 따라 진동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거치대(DCA)는 상기 제1 회전 모터(443b)의 구동에 따라 횡방향으로 스윙하는 효과를 얻으며, 상기 제2 회전 모터(445b)의 구동에 따라 종방향으로 스윙하는 효과를 얻는다.
그 결과, 상기 카메라 거치대(DCA)에 거치되는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는 진동,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하면서, 테스트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카메라 상태 제어기(6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상태 제어기(500)는 상기 집적부스(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400)을 제어하여 상기 테스트 카메라(TC)의 흔들림을 제어한다. 즉, 상기 테스트 카메라(TC)는 상기 카메라 상태 제어기(500)에 의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의 스윙 및 진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의 진동,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 등의 카메라 흔들림, 그리고, 피사체의 흔들림 등을 고려하여,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카메라의 흔들림 보정 성능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피사체(TG)의 밝기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테스트 카메라(TC)는 실제환경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용이하게 테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후 이동 레일(310), 테스트 챠트판(220), 피사체(TG) 등은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또는 두께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가 설치되는 피사체 설치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거리 조절 유닛; 및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테스트 카메라가 셋팅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조절 유닛의 전후 이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카메라 셋팅 유닛으로서, 상기 테스트 카메라를 흔들리도록 구동하는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셋팅 유닛은
    상기 거리 조절 유닛의 전후 이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장착되며, 진동되는 기기 진동판;
    상기 기기 진동판에 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대; 및
    상기 높이 조절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거치대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스윙하도록 제어되는 스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기구는
    종방향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체로서, 상기 높이 조절대에 설치되는 상기 반원체;
    종방향의 원형 형상의 제1 원형체으로서, 상기 반원체의 안쪽에서 상기 반원체와 체결되는 상기 제1 원형체;
    상기 제1 원형체를 반원체에 체결시키는 제1 체결제로서, 상기 제1 원형체를 횡방향으로 스윙시키는 제1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체결제;
    종방향의 원형 형상의 제2 원형체으로서, 상기 제1 원형체의 안쪽에서 상기 제1 원형체와 체결되는 상기 제2 원형체;
    상기 제2 원형체를 상기 제1 원형체에 체결시키는 제2 체결제로서, 상기 제2 원형체를 종방향으로 스윙시키는 제2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제2 체결제; 및
    상기 제2 원형체에 체결되는 상기 카메라 거치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4. 제1 내지 제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집적부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상태 제어기로서, 상기 테스트 카메라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상기 카메라 상태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5.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부스;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가 설치되는 피사체 설치 유닛으로서, 상기 피사체가 흔들리도록 구동되는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거리 조절 유닛; 및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테스트 카메라가 셋팅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조절 유닛의 전후 이동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집적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를 이동하는 카메라 셋팅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은
    진동되는 피사체 진동판; 및
    상기 피사체 진동판에 설치되는 테스트 챠트판으로서, 상기 피사체가 형성되는 상기 테스트 챠트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챠트판은 투명판이며,
    상기 피사체 설치 유닛은
    상기 테스트 카메라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의 상기 테스트 챠트판에 부착되는 조명판으로서, 상기 테스트 챠트판을 조명하는 조명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집적부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피사체 상태 제어기로서, 상기 피사체의 주변환경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판을 제어하며, 피사체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상기 피사체 상태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KR1020100090948A 2010-09-16 2010-09-16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KR10101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948A KR101013364B1 (ko) 2010-09-16 2010-09-16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948A KR101013364B1 (ko) 2010-09-16 2010-09-16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364B1 true KR101013364B1 (ko) 2011-02-14

Family

ID=4377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948A KR101013364B1 (ko) 2010-09-16 2010-09-16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36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9B1 (ko) 2011-04-15 2011-09-07 (주)아이솔루션 나이트 비전 카메라 테스트 시스템
KR101178492B1 (ko) 2011-06-21 2012-09-07 주식회사 하이소닉 테스트용 카메라모듈의 떨림 발생장치
KR101227393B1 (ko) 2011-06-21 2013-02-01 주식회사 하이소닉 테스트용 카메라모듈의 떨림 발생장치
KR101468102B1 (ko) * 2013-09-06 2014-12-05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영상사고 기록장치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88135A1 (ko) * 2013-12-13 2015-06-18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150123002A (ko) * 2014-04-24 2015-11-03 국방과학연구소 항공탑재 eo/ir 영상장비 표적지향 정확도 및 자동촬영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1591939B1 (ko) * 2014-05-19 2016-02-04 팸텍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KR101625409B1 (ko) * 2014-02-26 2016-05-30 황영수 손 떨림 보정 시험을 위한 진동 발생 장치
KR101625491B1 (ko) * 2014-07-03 2016-05-31 황영수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CN115086646A (zh) * 2022-06-09 2022-09-20 昆山丘钛微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抖控制方法、系统、测试治具及手持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1539A (ja) 2006-11-24 2008-06-05 Katsuhiko Inoue ハンドヘルド用ビデオカメラ安定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1539A (ja) 2006-11-24 2008-06-05 Katsuhiko Inoue ハンドヘルド用ビデオカメラ安定化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9B1 (ko) 2011-04-15 2011-09-07 (주)아이솔루션 나이트 비전 카메라 테스트 시스템
KR101178492B1 (ko) 2011-06-21 2012-09-07 주식회사 하이소닉 테스트용 카메라모듈의 떨림 발생장치
KR101227393B1 (ko) 2011-06-21 2013-02-01 주식회사 하이소닉 테스트용 카메라모듈의 떨림 발생장치
KR101468102B1 (ko) * 2013-09-06 2014-12-05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영상사고 기록장치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88135A1 (ko) * 2013-12-13 2015-06-18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625409B1 (ko) * 2014-02-26 2016-05-30 황영수 손 떨림 보정 시험을 위한 진동 발생 장치
KR20150123002A (ko) * 2014-04-24 2015-11-03 국방과학연구소 항공탑재 eo/ir 영상장비 표적지향 정확도 및 자동촬영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1600993B1 (ko) 2014-04-24 2016-03-08 국방과학연구소 항공탑재 eo/ir 영상장비 표적지향 정확도 및 자동촬영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1591939B1 (ko) * 2014-05-19 2016-02-04 팸텍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KR101625491B1 (ko) * 2014-07-03 2016-05-31 황영수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CN115086646A (zh) * 2022-06-09 2022-09-20 昆山丘钛微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抖控制方法、系统、测试治具及手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364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US11294269B2 (en) Methods and systems of vibrating a screen
US837909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2165141A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及びカメラ
CN1984346A (zh) 摄像装置
WO2017217137A1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066737A1 (zh) 百万像素监控摄像机的校正方法和校正器
JP2007081477A5 (ko)
WO2017217135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93821A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CN102523379B (zh) 频闪场景的图像拍摄方法及对该方法获得的频闪图像的处理方法
KR101625491B1 (ko)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CN207283682U (zh) 一种多摄像头模组
JP4655565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KR100809286B1 (ko) 감시카메라 영상 신호 처리장치
CN219287618U (zh) 测试设备
KR102594735B1 (ko) 스크린 골프용 고성능 카메라 각도 및 위치 조절 장치
JP2006251228A (ja) 複眼撮影装置
KR102566181B1 (ko) 카메라 리그 및 모니터링 장치
JP2000115758A (ja) ドアホンテレビカメラ照明装置
JP2010128487A (ja) 撮影機取付台
KR20080015596A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2004304713A (ja) 撮像装置及びユニフォミテイ調整装置
JP2010130676A (ja) 映像確認用鏡を持った取付台
JP2006287724A (ja) 写真撮影用プロンプ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