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052A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052A
KR20200076052A KR1020180164715A KR20180164715A KR20200076052A KR 20200076052 A KR20200076052 A KR 20200076052A KR 1020180164715 A KR1020180164715 A KR 1020180164715A KR 20180164715 A KR20180164715 A KR 20180164715A KR 20200076052 A KR20200076052 A KR 20200076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ic power
coupling member
receiving portion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890B1 (ko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6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이 수용되는 제 1 수용부, 제 1 수용부와 연통되고 웜축이 수용되는 제 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제 1 수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하우징과 하우징커버에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웜축과 맞물리는 웜휠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웜휠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과 하우징커버를 결합하는 볼트 등이 적은 개수 또는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더라도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실시예들은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웜축과 맞물리는 웜휠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웜휠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과 하우징커버를 결합하는 볼트 등이 적은 개수 또는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더라도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축에는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조하기 위해 웜휠, 웜축 등이 구비되는데, 웜휠은 조향휠에 결합되고 웜축은 웜휠과 맞물리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모터의 보조동력이 웜축과 웜휠의 감속기 구조에 의해 증폭되어 조향축에 전해지며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웜휠과 웜축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하우징은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을 수용하고 하우징커버가 하우징의 일측면을 차폐하며 하우징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웜축의 외주면에는 웜기어가 형성되고 웜휠의 외주면에는 웜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데, 웜기어의 형상에 의해 모터의 보조동력이 웜휠에 전달될 때 웜휠에는 축방향 및 경방향의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서는 하우징과 하우징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축방향으로만 결합되어 있어 볼트의 결합력에 의해 웜휠의 축방향 하중은 충분히 지지되지만 웜휠의 경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지지력이 부족하여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경방향으로 분리되거나 어긋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웜축과 맞물리는 웜휠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웜휠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과 하우징커버를 결합하는 볼트 등이 적은 개수 또는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더라도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이 수용되는 제 1 수용부, 제 1 수용부와 연통되고 웜축이 수용되는 제 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제 1 수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하우징과 하우징커버에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웜축과 맞물리는 웜휠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웜휠에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과 하우징커버를 결합하는 볼트 등이 적은 개수 또는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더라도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121)이 수용되는 제 1 수용부(111), 제 1 수용부(111)와 연통되고 웜축(123)이 수용되는 제 2 수용부(113)가 구비되는 하우징(101), 제 1 수용부(11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03),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131)를 포함한다.
결합부재(131)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다만, 편의상 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결합부재(131)가 볼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조향축(201)에 결합되는 웜휠(121)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웜축(123)과 맞물리게 되는데, 웜휠(121)과 웜축(123)의 기어비에 의해 모터의 동력이 증폭되어 조향축(201)에 가해지며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조하게 된다.
웜축(123)의 외주면에는 웜기어가 형성되고 웜휠(121)의 외주면에는 웜기어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는데, 웜휠(121)과 웜축(123)은 각각 하우징(101)의 제 1 수용부(111)와 제 2 수용부(113)에 수용되어 있다.
즉, 제 1 수용부(111)와 제 2 수용부(113)는 일부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고 제 1 수용부(111)와 제 2 수용부(113)가 연통되는 부위에서 웜휠(121)과 웜축(123)이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제 1 수용부(111)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121)이 수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121)의 축방향으로 개구되고 제 1 수용부(111)의 개구된 일측면에는 하우징커버(103)가 결합된다.
하우징커버(103)가 결합됨으로써 제 1 수용부(111)의 개구된 일측면이 차폐되게 되고, 조향축(201)이 제 1 수용부(111)와 하우징커버(103)를 관통하며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토크센서 등이 구비되게 된다.
이 때,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는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즉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서는 제 1 수용부(111)에 결합되어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볼트(133)뿐만 아니라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131)가 구비됨으로써 웜휠(121)이 웜축(123)과 맞물리며 회전할 때 발생하는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이 지지되어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서는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큰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볼트의 축력에 의해 지지되어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웠으나 경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은 서로 지지되는 면에서 볼트의 축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는데 반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에서는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131)가 구비됨으로써 경방향으로 큰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서 경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를 더 큰 직경으로 구비하거나 더 많은 개수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실시예들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와 같이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131)를 구비하는 것이 원가, 조립공정의 단순화 등을 고려할 때 유리하다.
또한, 결합부재(131)가 구비됨으로써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들더라도 경방향 하중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133)의 직경을 더 작게 구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웜휠(121)에 발생하는 경방향 하중은 축방향 하중보다 크기가 작으므로 결합부재(131)는 볼트(13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더라도 경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원가 등을 고려할 때 유리하다.
한편, 결합부재(131)는 제 1 수용부(111)가 제 2 수용부(113)와 연통되는 부위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의 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어서, 결합부재(131)는 제 1 수용부(111)에 경방향으로 결합되어 경방향의 축력을 제공하거나 경사지게 결합되어 축방향 및 경방향의 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하우징커버(103)에는 제 1 수용부(111)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삽입부(30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31)는 제 1 수용부(111)와 삽입부(301)를 경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수용부(111)와 삽입부(301)에는 서로 연통되는 결합공이 각각 경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131)는 결합공에 삽입되며 제 1 수용부(111)와 삽입부(301)에 결합되어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의 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수용부(111)의 외주면에는 평면부(141)가 형성될 수 있는데, 평면부(141)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부재(131)는 평면부(141)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부(141)는 제 1 수용부(111)의 외주면에서 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41)가 구비됨으로써 결합부재(131)가 결합공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부재(131)의 헤드부가 평면부(141)에 지지되게 되고, 따라서 결합부재(131)가 제 1 수용부(111)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져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결합부재(131)의 체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와셔 등의 구성을 추가하기도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하우징커버(103)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되 절곡되어 제 1 수용부(111)에 지지되는 지지부(401)가 구비될 수 있는데, 결합부재(131)는 지지부(401)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의 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결합부재(131)는 지지부(401)와 제 1 수용부(111)를 경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용부(111)의 외주면에는 평면부(141)가 구비되고, 지지부(401)는 평면부(141)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지지부(401)는 하우징커버(103)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내측면이 평면부(141)에 지지되는 것이다.
평면부(141)가 구비되고 지지부(401)가 평면부(141)에 구비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31)가 결합되었을 때 결합부재(131)의 헤드부가 지지부(401)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져 풀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와셔 등의 구성을 추가하기도 용이해진다.
지지부(401)와 평면부(141)에는 서로 연통되는 결합공이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131)는 결합공에 삽입되며 지지부(401)와 제 1 수용부(111)에 결합되어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경방향의 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결합부재(131)가 지지부(401)와 제 1 수용부(111)에만 결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때 삽입부(301)에도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부재(131)는 지지부(401), 제 1 수용부(111) 및 삽입부(301)에까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수용부(111)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01)가 구비되되, 돌출부(601)는 하우징커버(103)를 향하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01)는 제 1 수용부(111)의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데 하우징커버(103)를 향하는 일측면, 다시 말해 도면상 좌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603)는 절곡되어 돌출부(601)의 경사진 일측면에 지지되고, 결합부재(131)는 지지부(603)와 돌출부(601)를 관통하며 결합된다.
즉, 지지부(603)와 돌출부(601)에 서로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부재(131)는 결합공에 삽입되며 지지부(603)와 돌출부(601)에 결합되는데, 돌출부(601)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지지부(603)가 돌출부(601)의 경사진 일측면에 지지됨으로써 결합부재(131)는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웜휠(121)에 발생하는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을 지지하여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되, 축방향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며 경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131)가 경사지게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결합되게 되고, 따라서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모두 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이러한 돌출부(601)의 일측면이 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도면상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도면상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지지부(603) 역시 좌측으로 절곡되며 돌출부(601)에 지지되어 결합부재(131)가 지지부(603)와 돌출부(601)에 결합되더라도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에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31)는 제 1 수용부(111)에서 제 2 수용부(113)와 연통되는 부위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부재(131)는 제 1 수용부(1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평면부(141)와 하우징커버(103)에서 절곡되어 평면부(141)에 지지되는 지지부(401)에 결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웜축(123)에 의해 웜휠(121)에 가해지는 경방향 하중은 웜휠(121)이 웜축(123)과 맞물리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발생되게 되므로, 결합부재(131)가 경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웜축(123)의 반대측, 다시 말해 제 1 수용부(111)의 제 2 수용부(113)와 연통되는 부위 반대측에서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를 지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용부(111)는 도면상 상측에서 제 2 수용부(113)와 연통되고 결합부재(131)는 도면상 하측에서 제 1 수용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결합부재(131)가 하나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때 결합부재(131)는 웜휠(121)의 중심축을 지나며 웜축(123)과 수직한 평면, 다시 말해 A-A'선와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경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31)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각 결합부재(131)는 제 1 수용부(111)의 제 2 수용부(113)와 연통되는 부위 반대측에서 하우징(101)과 하우징커버(103)를 지지하게 된다.
결합부재(131)가 둘 이상 구비되므로, 평면부(141)와 지지부(401) 역시 그에 대응되게 둘 이상 구비되게 될 것이다. 도 8에는 결합부재(131)가 두 개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경방향 하중은 축방향 하중보다 크기가 작으므로 원가, 조립공정의 단순화 등을 고려할 때 결합부재(131)는 한 개 혹은 두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결합부재(131)는 웜휠(121)의 중심축을 지나며 웜축(123)과 수직한 평면, 다시 말해 B-B'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31)가 대칭되게 구비됨으로써, 웜휠(121)에 발생하는 경방향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재(131)가 경방향 하중을 원활히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131)가 B-B'선과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0도 이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의하면, 웜축과 웜휠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커버가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뿐만 아니라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웜축의 회전에 의해 웜휠에 발생하는 축방향 및 경방향 하중이 모두 지지되어 하우징과 하우징커버가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경방향 하중이 결합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볼트의 직경을 더 작게 구비하거나 볼트의 개수를 더 적게 구비할 수 있고, 축방향 하중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경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볼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01: 하우징
103: 하우징커버 111: 제 1 수용부
113: 제 2 수용부 121: 웜휠
123: 웜축 131: 결합부재
133: 볼트 141: 평면부
201: 조향축 301: 삽입부
401,603: 지지부 601: 돌출부

Claims (12)

  1.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이 수용되는 제 1 수용부, 상기 제 1 수용부와 연통되고 웜축이 수용되는 제 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수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과 하우징커버에 경방향으로 축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삽입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수용부와 삽입부를 경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의 외주면에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평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되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용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제 1 수용부를 경방향으로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의 외주면에는 평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평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는 하우징커버를 향하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돌출부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수용부의 상기 제 2 수용부와 연통되는 부위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웜휠의 중심축을 지나며 상기 웜축과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180164715A 2018-12-19 2018-12-19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62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715A KR102623890B1 (ko) 2018-12-19 2018-12-19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715A KR102623890B1 (ko) 2018-12-19 2018-12-19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052A true KR20200076052A (ko) 2020-06-29
KR102623890B1 KR102623890B1 (ko) 2024-01-12

Family

ID=7140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715A KR102623890B1 (ko) 2018-12-19 2018-12-19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462A (zh) * 2020-11-05 2022-05-06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346A (ja) * 2003-07-17 2005-02-10 Unisia Jkc Steering System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214208A (ja) * 2010-10-20 2012-11-08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000974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70040884A (ko) *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70137290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80082148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346A (ja) * 2003-07-17 2005-02-10 Unisia Jkc Steering System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214208A (ja) * 2010-10-20 2012-11-08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50000974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70040884A (ko) *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70137290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80082148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462A (zh) * 2020-11-05 2022-05-06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CN114435462B (zh) * 2020-11-05 2024-05-24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90B1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950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apparatus
EP2562438A2 (en) Shaft coupling structure and steering system
EP3549844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20200076052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173997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WO2014112361A1 (ja) センサ組込回転コネクタ
JP5579283B2 (ja) センサ組込回転コネクタ
US9556932B2 (en) Reduction gear
KR20150078780A (ko)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US10364866B2 (en) Gear device
KR20180094310A (ko) 컬럼형 전동 조향 장치의 조립 일체형 댐퍼 장치
JP2001213334A (ja) 動力舵取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80078050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US5721408A (en) Electrical connector used with steering wheel of automobile
KR20190137056A (ko) 산업차량용 자동 중립위상각 설정이 내장된 eps 액슬 장치
JP2012066670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08185139A (ja) 車両用デフケース、並びにこれを備えた差動歯車装置及び混成差動歯車装置、並びに車両用デフケースの組立方法
JP6219726B2 (ja) 減速装置
CN216185440U (zh) 转向器动力组件及动力系统
KR102067534B1 (ko) 산업차량용 자동 중립위상각 설정이 내장된 eps 액슬 장치
KR100418948B1 (ko) 피니언 샤프트 고정구조
JP2014152804A (ja) 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US20220324509A1 (en) Worm wheel of steering system speed re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400263Y1 (ko) 키 박스와 커버의 결합구조
KR102668785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