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780A -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 Google Patents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780A
KR20150078780A KR1020130168488A KR20130168488A KR20150078780A KR 20150078780 A KR20150078780 A KR 20150078780A KR 1020130168488 A KR1020130168488 A KR 1020130168488A KR 20130168488 A KR20130168488 A KR 20130168488A KR 20150078780 A KR20150078780 A KR 20150078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linkage
steering
hous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준원
신민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780A/ko
Priority to US14/489,134 priority patent/US9371090B2/en
Priority to DE102014113469.9A priority patent/DE102014113469B4/de
Priority to CN201410524239.9A priority patent/CN104742956B/zh
Publication of KR2015007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3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in axial direction, e.g. between rack bar and tie-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45Screw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81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n electr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8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gear and the road wheels, e.g. on tie-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가 개시된다.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에 결합하는 리드부를 구비하고서 상기 스크류 너트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스티어링 샤프트,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을 후륜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나사로 연결된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체결되는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 및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벤딩 하중을 받을 때에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어서 상기 벤딩 하중을 지탱하도록 되어, 스티어링 샤프트의 리드경 축소 및 구동모터의 용량 축소가 가능하여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Steering linkage structure of rear wheel 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리드 직경의 축소와 더불어 구동 모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륜 조향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의 후륜을 조향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이 저속으로 운행될 때에 전륜의 조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후륜을 조향하여 차량의 회전 반경을 축소시키는 반면에 차량이 고속으로 운행될 때에는 전륜과 동일한 방향으로 후륜을 조향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주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종래의 후륜 조향장치는 하우징(100)에 내장된 구동 모터(100)와, 이 구동모터(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110) 및, 이 스크류 너트(110)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는 스티어링 샤프트(120) 및, 이 스티어링 샤프트(120)의 좌우 양단에 볼 조인트(130)를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도시되지 않은 후륜과 연결되어 후륜을 조향하는 링키지(14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20)에는 상기 스크류 너트(110)와 치합을 위해 리드(1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후륜 조향장치에서는 상기 링키지(140)를 통해 입력되는 벤딩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20)의 직경을 설정하게 되는 바, 상기 리드(125)와 스크류 너트(110)의 결합을 고려하여 스티어링 샤프트(120)의 직경보다 리드경의 직경을 크게 설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벤딩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리드경을 크게 설정함에 따라 리드경의 증대로 인해 상기 구동모터(100)의 출력 증대가 필요하게 되고, 이는 중량과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다른 예로서, 스티어링 샤프트를 좌우 2개의 스티어링 샤프트로 분할해서 구성하고, 어느 한쪽의 스티어링 샤프트에 리드경을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며, 상기 2개의 스티어링 샤프트는 상기 리드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나사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종래의 후륜 조향장치는 리드가 형성된 한쪽 스티어링 샤프트를 스크류 너트에 조립한 후에 다른쪽 스티어링 샤프트를 한쪽 스티어링 샤프트에 나사로 체결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러나 좌우 양쪽 스티어링 샤프트의 체결부의 직경이 리드경보다 작아서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방향 하중에 대한 좌굴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에 연결되는 링키지가 벤딩 강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의 직경과 리드경을 벤딩 강도와 무관하게 가능한 한 축소해서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모터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샤프트의 좌굴 하중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에 결합하는 리드부를 구비하고서 상기 스크류 너트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스티어링 샤프트;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을 후륜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나사로 연결된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체결되는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 및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벤딩 하중을 받을 때에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어서 상기 벤딩 하중을 지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에 상기 리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소경부; 및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다른쪽에 상기 리드부의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대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링키지는 나사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에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링키지의 체결부에는 상기 나사탭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링키지의 체결부에는 각각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는 부시가 끼워지며, 상기 부시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홈과 링키지의 체결부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키지가 볼을 포함하는 볼 링키지인 경우에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볼 하우징에 상기 탭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탭에는 록크 너트가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록크 너트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에 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드 나사가 형성된 리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드부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리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소경부를 형성하여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부를 중심으로 다른쪽에는 리드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혹은 그 이상의 직경을 가진 대경부를 형성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방향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해서 좌굴 문제를 원만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에 연결되는 링키지가 벤딩 하중을 받으면 하우징에 접촉되게 해서 벤딩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드부의 직경을 벤딩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가능한 한 작게 축소할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의 발열로 인한 열해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 및 원가 절감도 도모할 수 있으며, 레이 아웃도 유리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후륜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후륜 조향장치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내장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0), 상기 구동모터(20)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크류 너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너트(30)와 결합하는 스티어링 샤프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상기 스크류 너트(30)와 결합하는 리드가 형성된 리드부(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양단에는 각각 후륜(70)과 연결되는 링키지(60)가 결합된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와 링키지(60)의 결합을 위해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양단에는 각각 나사탭(45)이 형성되고, 상기 링키지(60)의 내부에는 탭홀(65)이 형성되어, 나사탭(45)이 탭홀(65)에 삽입되어서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에서 상기 리드부(50)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리드부(5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소경부(42)가 형성되어,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에서 상기 리드부(50)를 기준으로 다른쪽에는 리드부(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혹은 그 이상의 직경을 가진 대경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60)에 작용하는 횡력이 상기 링키지(60)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에 축방향 하중으로 작용할 때에, 이 축방향 하중을 상기 대경부(44)가 강건하게 지탱해서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좌굴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키지(60)의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양단과 체결되는 체결부(66)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그 일부가 삽입됨과 더불어 나머지 부위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륜(70)에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링키지(60)에 벤딩 하중이 작용할 때에 상기 링키지(60)의 체결부(66)가 하우징(10)에 접촉해서 지지되어 벤딩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키지(60)를 매개로 스티어링 샤프트(40)에 작용하는 벤딩 하중을 적절히 지탱할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 샤프트(40)를 설계할 때에 벤딩 하중 지탱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티어링 샤프트(40)와 그 리드부(50)의 직경을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구동모터(20)의 용량을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20)의 발열로 인한 열해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후륜 조향장치의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와 링키지(60)가 나사로 체결되어 결합되지만, 이들 사이의 체결 토크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스티어링 샤프트(40)가 끼워지는 링키지(60)의 체결부(66)의 내주면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의 나사탭(45)의 외주면에 각각 반경 방향으로 파여진 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외주면에는 부시(80)를 끼워서 장착하되, 상기 부시(80)에는 상기 링키지(60)의 홈과 스티어링 샤프트(40)의 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85)를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형성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40)와 링키지(60)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시(80)와 그 돌기(85)는 스티어링 샤프트(40)와 링키지(60) 사이의 나사 체결의 풀림 방지 기능 및 스티어링 샤프트(40)의 링키지(60)에 대한 상대 회전 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링키지(60)가 볼(165)을 포함하는 볼 링키지(160)인 경우에는 상기 볼(165)이 수용되는 볼 하우징(166)에 나사 탭홀(65)을 형성하고, 상기 볼 하우징(165)이 충분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접촉해서 벤딩 하중을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시(80)를 사용하는 대신에 록크 너트(170)를 사용하여 링키지와 스티어링 샤프트 사이의 체결 토크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록크 너트(170)를 도시된 바와 같은 "T"자 형상의 록크 너트를 사용하면, 스티어링 샤프트(40)가 볼 하우징(165)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나사탭(45)의 직경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T"자 형상의 록크 너트(170) 대신에 일반적인 평면 형태의 록크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하우징
20: 구동모터
30: 스크류 너트
40: 스티어링 샤프트
42: 소경부
44: 대경부
50: 리드부
60: 링키지
70: 후륜
80: 부시
85: 돌기

Claims (8)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에 결합하는 리드부를 구비하고서 상기 스크류 너트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스티어링 샤프트;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을 후륜에 연결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나사로 연결된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링키지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체결되는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 및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벤딩 하중을 받을 때에 상기 체결부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어서 상기 벤딩 하중을 지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한쪽에 상기 리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소경부; 및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른 다른쪽에 상기 리드부의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대경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링키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링키지는 나사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양단에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링키지의 체결부에는 상기 나사탭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링키지의 체결부에는 각각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파여진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는 부시가 끼워지며,
    상기 부시에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홈과 상기 링키지의 체결부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가 볼을 포함하는 볼 링키지인 경우에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볼 하우징에 상기 탭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탭에는 록크 너트가 추가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 너트는 "T"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KR1020130168488A 2013-12-31 2013-12-31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KR20150078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88A KR20150078780A (ko) 2013-12-31 2013-12-31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US14/489,134 US9371090B2 (en) 2013-12-31 2014-09-17 Steering linkage structure of rear wheel steering device
DE102014113469.9A DE102014113469B4 (de) 2013-12-31 2014-09-18 Lenkkopplungsstruktur einer Hinterrad-Lenkvorrichtung
CN201410524239.9A CN104742956B (zh) 2013-12-31 2014-10-08 后轮转向装置的转向连杆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88A KR20150078780A (ko) 2013-12-31 2013-12-31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80A true KR20150078780A (ko) 2015-07-08

Family

ID=5337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488A KR20150078780A (ko) 2013-12-31 2013-12-31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71090B2 (ko)
KR (1) KR20150078780A (ko)
CN (1) CN104742956B (ko)
DE (1) DE10201411346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881B (zh) * 2017-09-30 2021-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后轮转向器、车辆及其后轮转向系统
CN109591882B (zh) * 2017-09-30 2021-05-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后轮转向器、车辆及其后轮转向系统
US11299200B1 (en) * 2020-11-03 2022-04-12 Ree Automotive Ltd. Steering systems for vehicles
CN112963509B (zh) * 2021-03-31 2023-11-28 杭州世宝汽车方向机有限公司 方向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9195B (it) * 1988-04-11 1990-05-03 Fiat Auto Spa Dispositivo meccanico di sterzatura delle ruote posteriori per autovetture a quattro ruote sterzanti
US5248009A (en) * 1990-09-12 1993-09-28 Nsk Ltd. Vehicle rear wheels steering apparatus
FR2674208B1 (fr) * 1991-03-21 1993-07-09 Peugeot Dispositif de commande de direction arrier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a quatre roues directrices.
JPH09193824A (ja) 1996-01-22 1997-07-29 Toyota Motor Corp モータ制御装置
JP3108389B2 (ja) * 1997-07-08 2000-11-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後輪操舵装置
JP2002331955A (ja) 2001-05-08 2002-11-19 Aisin Seiki Co Ltd 後輪操舵装置
JP2011111040A (ja) 2009-11-26 2011-06-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転舵装置
JP2012017094A (ja) * 2010-06-11 2012-01-26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466185B2 (ja) * 2011-02-08 2014-04-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後輪操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3461A1 (en) 2015-07-02
DE102014113469B4 (de) 2020-12-31
CN104742956A (zh) 2015-07-01
DE102014113469A8 (de) 2015-09-03
CN104742956B (zh) 2020-05-19
DE102014113469A1 (de) 2015-07-02
US9371090B2 (en)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588B2 (en) Torque angle sensor and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173950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apparatus
US8789648B2 (en) Belt type driveline and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5782350B (zh) 汽车减速器
US20150059506A1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150078780A (ko) 후륜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링키지 구조
BRPI0704076A (pt) estrutura de trava de guidão de veìculo
US9963165B2 (en) Ball nut assembly for a rack electrical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US20120308293A1 (en) Coupling structure and steering device
US9347534B2 (en) Ball screw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150040707A1 (en) Reducer for vehicle
JP2015174615A (ja) 操舵装置
JP2009190479A (ja) 車両用操舵装置
US20180172134A1 (en) Worm reducer and electric assist device
KR20170088167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20044854A (ja) 操舵装置
JP2015058834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組立方法
JP717775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163683B2 (ja) 継手のヨークと回転軸との結合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20130026869A1 (en) EPS Motor
JP2014238132A (ja) 結合装置および結合装置を適用した車両用操舵装置
WO2023084654A1 (ja) モータ取付構造、モータユニット、及び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222578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11767887B2 (en) Anti-reverse clutch
KR101467027B1 (ko) 감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