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845A - 조향 가능 카테터 - Google Patents

조향 가능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845A
KR20200075845A KR1020207013783A KR20207013783A KR20200075845A KR 20200075845 A KR20200075845 A KR 20200075845A KR 1020207013783 A KR1020207013783 A KR 1020207013783A KR 20207013783 A KR20207013783 A KR 20207013783A KR 20200075845 A KR20200075845 A KR 2020007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ction wire
plane
distal portio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씨 리 험프리
마이클 알 비알라스
Original Assignee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7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61B2017/00327Cables or rods with actuating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61B2018/00369Heart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조향 가능 의료 장치는 샤프트(14), 조향 메커니즘(38), 및 작동 메커니즘(48)을 포함한다. 샤프트는 근위부(16), 원위부(18), 제1 견인 와이어(20), 및 제2 견인 와이어(22)를 갖는다. 제1 견인 와이어(20b) 및 제2 견인 와이어(22b)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된다. 조향 메커니즘은 차동 메커니즘(44)에 의해 커플링된 제1 휠(40) 및 제2 휠(42)을 갖는다. 제1 견인 와이어(20a) 및 제2 견인 와이어(22a)의 근위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휠에 커플링된다. 작동 메커니즘은 조향 메커니즘에 커플링된다. 작동 메커니즘을 제1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만곡되게 한다. 작동 메커니즘을 제2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만곡되게 한다.

Description

조향 가능 카테터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조향 가능한 혈관내 전달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관내 전달 디바이스는 수술에 의해 쉽게 접근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수술이 없는 접근이 바람직한 신체 내부의 위치에 인공 의료 디바이스 또는 기구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시술에서 사용된다. 신체 내부의 목표 위치로의 접근은, 몇몇 예로 들자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혈관, 식도, 기관, 위장관의 임의의 부분, 림프관을 포함하는 신체 내의 경로 또는 내강을 통해 전달 디바이스를 삽입하고 안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 특정 예에서, 인공 심장 판막은 전달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크림핑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인공 판막이 심장 내의 이식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환자의 혈관 구조(예를 들어, 대퇴 동맥 및 대동맥을 통해)를 통해 전진될 수 있다. 인공 판막은 이어서 예로서 인공 판막이 장착되는 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또는 인공 판막이 그 기능 크기로 자기 팽창될 수 있도록 전달 디바이스의 외장으로부터 인공 판막을 전개함으로써, 그 기능 크기로 팽창된다.
전달 디바이스의 유용성은 작은 혈관을 통해 그리고 혈관 구조 내의 급격한 굽힘부 주위로, 예로서 대동맥궁 주위로 성공적으로 내비게이팅하는 디바이스의 능력에 의해 크게 제한된다. 혈관 구조 내의 굽힘부를 통해 인공 판막을 "조향"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달 디바이스 섹션의 곡률을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채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량된 전달 디바이스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의료 디바이스, 도구, 작용제 또는 다른 요법을 대상의 신체 내의 위치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조향 가능 카테터 디바이스 및 관련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향 가능 카테터 디바이스는 대상의 심장과 같은 혈관 구조를 통해 의료 디바이스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는 근위부 및 원위부를 갖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달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제1 견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제2 견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샤프트의 근위부에 커플링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차동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는 조향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제1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제1 휠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2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제2 휠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한다. 또한, 제1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제2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3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제1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4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180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각도 방향 및 제4 각도 방향은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평면에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제1 견인 와이어 도관 및 제2 견인 와이어 도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견인 와이어 도관은 샤프트의 근위부 및 원위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제1 견인 와이어는 제1 견인 와이어 도관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제2 견인 와이어는 제2 견인 와이어 도관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핸들은 조향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1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어, 제1 작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핸들은 조향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2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어, 제2 작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은 제1 또는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각도는 0도 초과 및 180도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는 또한 샤프트, 제1 견인 와이어, 제2 견인 와이어, 조향 메커니즘 및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샤프트는 근위부 및 원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견인 와이어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된다. 제2 견인 와이어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된다. 조향 메커니즘은 차동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제1 휠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2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제2 휠에 커플링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은 조향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을 제1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휠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만곡되게 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을 제2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만곡되게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제2 휠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어,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제1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 메커니즘을 제2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 수직인 제2 평면에서 만곡되게 할 수 있다.
대상의 혈관 구조에서 전달 장치를 조향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또한 개시된다. 방법은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에서 만곡시키기 위해 전달 장치의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 및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차동 메커니즘은 제1 휠과 제2 휠을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할 수 있다. 제1 휠은 제1 견인 와이어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2 휠은 제2 견인 와이어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에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에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제1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제2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이에 의해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제1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이에 의해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샤프트의 원위부를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 수직인 제2 평면에서 만곡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계속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표적인 전달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달 장치의 원위부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라인 3-3을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라인 3-3을 따라 취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달 장치의 핸들에 포함된 조향 메커니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조향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료 디바이스, 도구, 작용제 또는 다른 요법을 대상의 신체 내의 위치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향 가능 카테터 및/또는 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가능 카테터 및 외장이 유용한 시술의 예는 심혈관, 신경계, 비뇨기과, 부인과, 생식(예를 들어, 시험관내 수정, 인공 수정), 복강경, 관절경, 경식도, 경질, 경방광, 경직장, 및 임의의 신체 관 또는 강 내의 접근을 포함하는 시술을 포함한다. 특정 예는 스텐트, 이식편, 색전 코일 등을 포함하는 이식물을 배치하는 것;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이미징 디바이스 및/또는 그 구성요소를 위치설정하는 것; 및 예를 들어 쇄석술을 수행하기 위해, RF 소스, 초음파 이미터, 전자기 소스, 레이저 소스, 열원 등과 같은 에너지 소스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조향 가능 의료 장치는 인공 심장 판막과 같은 이식 가능 의료 디바이스를 환자의 혈관 구조를 통해 환자의 심장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달 장치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조향 가능 전달 장치를 참조하여 진행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환자에 의료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 내에 삽입 가능한 임의의 조향 가능 의료 장치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가이드 외장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달 카테터를 갖는 가이드 외장과 같은 조향 가능 샤프트를 포함한다. 특정 구성에서, 전달 카테터는 인공 심장 판막과 같은 이식 가능 의료 디바이스를 팽창하기 위해 그 원위 단부 또는 그 부근에 하나 이상의 벌룬 또는 다른 유형의 팽창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달 디바이스는 조향 가능 섹션에 견고하게 고정된 원위 단부 및 신체 외부의 전달 디바이스의 핸들 상에 위치된 조정 노브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근위 단부를 갖는 견인 와이어를 채용한다. 견인 와이어는 통상적으로 전달 디바이스의 벽, 예를 들어 외장 또는 카테터 내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견인 와이어 루멘 내에 배치된다. 조정 노브를 조정하는 것, 예를 들어, 노브를 회전하는 것은, 견인 와이어에 견인력을 인가하는데, 이는 이어서 조향 가능 섹션이 굽힘되게 한다.
몇몇 전달 디바이스는 조향 가능 섹션을 다차원으로 만곡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중 견인 와이어를 채용한다. 예를 들어, 몇몇 전달 디바이스는 2개의 견인 와이어를 갖는데, 각각의 견인 와이어는 조향 가능 섹션에 견고하게 커플링된 원위 단부를 가지며, 2개의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핸들 상의 각각의 조정 노브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견인 와이어의 인장은 제1 평면에서 조향 가능 섹션을 굴곡시킬 수 있고(예를 들어, 핸들을 향해 후방으로 만곡), 반면에 다른 견인 와이어 내의 장력을 해제하면서 견인 와이어 중 하나 내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제1 평면을 횡단하는 제2 평면에서 조향 가능 섹션을 굴곡할 수 있다(예를 들어, 측방향으로 만곡).
이중 견인 와이어를 갖는 다수의 전달 디바이스의 일 문제점은, 조향 가능 섹션을 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기 위해 각각의 견인 와이어가 독립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평면에서 조향 가능 섹션을 굴곡하기 위해, 양 견인 와이어 모두에 동일한 장력이 인가되는 것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2 평면에서 조향 가능 섹션을 굴곡하기 위해, 하나의 견인 와이어 내의 장력 증가는 다른 견인 와이어 내의 장력 감소에 의해 적절하게 보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달 디바이스의 조향 정확도를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2개의 견인 와이어에 대한 독립적인 조정 메커니즘을 갖는 것은 전달 디바이스의 설계 복잡성 및 치수 프로파일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량된 설계 및 조향성을 갖는 전달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장치(10)는 핸들(12) 및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샤프트(14)를 포함한다. 샤프트(14)는 근위부(16) 및 원위부(18)를 갖는다. 샤프트(14)의 근위부(16)는 핸들(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핸들(12)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14)를 위치설정하고 그리고/또는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달 장치(10)는 샤프트(14)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샤프트를 둘러싸고 그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장치(10)는 샤프트(14) 위로 연장되고 그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외부 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샤프트(14)의 중앙 루멘(30)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그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식 카테터로서 구성된 내부 카테터를 또한 가질 수 있고, 이식 카테터는 이식 카테터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된 벌룬 팽창 가능 또는 자기 팽창 가능 인공 심장 판막을 가질 수 있다. 인공 심장 판막 및 이식 카테터의 예시적인 구성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030519호, 제2012/0123529호, 제2010/0036484호, 제2010/0049313호, 제2010/0239142호, 제2009/0281619호, 제2008/0065011호, 및 제2007/0005131호에 또한 개시되어 있다. 게다가, 전달 장치(10)는 도킹 디바이스, 첨판 클립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다른 이식 가능 디바이스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샤프트(14)는 측벽(32)에 의해 에워싸인 중앙 루멘(30)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14)의 측벽(32)은 몇몇 실시예에서, 가요성 축방향 비압축성 재료 및/또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프트(14)는 중앙 루멘 및 측벽(32)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되는 압출된 폴리머 튜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벽(32)은, 바람직하게는 코일의 축방향 압축을 회피하기 위해 코일의 인접한 권선 사이에 간격이 없는 폐쇄 피치 코일인 나선형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임의의 적합한 생체 적합성 금속, 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샤프트는 코일의 내부면 위로 연장하는 내부 폴리머층 및/또는 코일의 외부면 위로 연장하는 외부 폴리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측벽(32)은 튜브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에 의해) 복수의 축방향 이격된 원주방향 연장 슬롯을 갖는 세장형 슬롯형 튜브(예를 들어, 금속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형 튜브의 예시적인 구성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5/0305865호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측벽(32)은 편조된 스테인리스강 층으로 보강된 폴리이미드 튜브와 같은 편조된 금속층으로 보강된 폴리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폴리머층이 편조층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외부 폴리머층이 편조층의 외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14)는 측벽(32)에 형성된 각각의 견인 와이어 도관(24, 26) 내에 배치되고 그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견인 와이어(20, 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20, 22)는 샤프트(14)의 원위부(18)의 곡률을 제어 및/또는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샤프트(14)의 근위부(16) 및 원위부(18)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중앙 루멘(30)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고 샤프트(14)의 원위부(18)에서 서로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샤프트(14)의 전체 길이를 통해 서로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대안적으로,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샤프트(14)의 근위부(16)에서 함께 병합될 수 있지만 샤프트(14)의 원위부(18)에서 개별적으로 분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견인 와이어(20, 22)는 샤프트(14)의 근위부(16)를 따라 동일한 루멘을 공유할 수 있지만, 샤프트(14)의 원위부(18)에서 개별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근위부(16) 부근의 샤프트(14)의 측벽(32) 상에 개구를 가질 수도 있어, 견인 와이어(20, 22)의 근위부는 핸들(12) 내부에 위치된 조향 메커니즘(38)에 연결 전에 이러한 개구를 통해 샤프트(14) 외부로 연장할 수도 있게 된다. 견인 와이어 도관의 다른 구성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6/0158497호에 설명되어 있다. 근위부(16)에서의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의 구성에 관계 없이,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를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앙 루멘(30) 및/또는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루멘/도관의 내부면을 커버하는 저마찰 및/또는 가요성 라이너(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질 수 있고, 라이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견인 와이어(20)의 근위 단부(20a) 및 제2 견인 와이어(22)의 근위 단부(22a)는 핸들(12)의 조향 메커니즘(38)에 연결될 수 있다.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향 메커니즘(38)은 예를 들어, 샤프트(14)의 원위부(18)의 곡률을 조정하기 위해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선택적으로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샤프트(14)의 근위부(16)보다 비교적 더 가요성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샤프트(14)의 근위부(16)보다 비교적 더 가요성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견인 와이어(20, 22)에 의해 그에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원위부(18)의 곡률이 조정될 때 근위부(16)의 곡률이 실질적으로 불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샤프트(14), 핸들(12)의 구성 및/또는 견인 와이어 내의 장력의 조정의 추가의 상세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030519호, 제2009/0281619호, 제2008/0065011호 및 제2007/0005131호에 설명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샤프트(14)의 원위 단부(28)는, 특정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일 수 있는 저 듀로미터 비외상성 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견인 와이어(20)의 원위 단부(20b) 및 제2 견인 와이어(22)의 원위 단부(22b)는 샤프트(14)의 원위부(18)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견인 와이어(20)의 원위 단부(20b) 및 제2 견인 와이어(22)의 원위 단부(22b)는 샤프트(14)의 원위 단부(28)에서 동일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는 샤프트(14)의 원위 단부(28)에 근위측으로 인접한 견인 링(3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14)의 원위부(18)와 동축일 수 있는 견인 링(34)은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의 원위 단부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여 샤프트(14)에 매립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샤프트(14)의 원위부(18)를 따른, 견인 와이어 도관(24, 26)(및 견인 와이어(20, 22))의 각도 위치설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샤프트(14)의 측벽(32) 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예를 들어 측벽(32)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인접한 상이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14)의 원위부(18)를 따라, 제1 견인 와이어 도관(24)은 샤프트(14)의 중심축(36)으로부터 제1 견인 와이어 도관(24)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축(B1)을 따라 위치설정될 수 있다. 제2 견인 와이어 도관(26)은 샤프트(14)의 중심축(36)으로부터 제2 견인 와이어 도관(26)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축(B2)을 따라 위치설정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 와이어 도관(24, 26)은 축(B1)과 축(B2) 사이에서 각도(α)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80도일 수 있다(즉,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는 중심축(36)에 대해 서로 정대향함).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α)는 0도 초과 및 180도 미만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90도 내지 약 150도일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각도(α)는 약 120도이다.
이하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중 와이어 구성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3차원(3D) 공간에서 다수의 평면 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굴곡되게 하여, 샤프트(14)의 원위 단부(28)(및 비외상성 팁)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위치설정하고 정렬시킨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향 메커니즘(38)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견인 와이어(20, 22)의 근위 단부(20a, 22a)는 조향 메커니즘(38)에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향 메커니즘은 핸들(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향 메커니즘(38)은 액슬(46)에 의해 연결된 제1 스풀 또는 휠(40) 및 제2 스풀 또는 휠(4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휠(40, 42)은 액슬(46) 상에 위치된 차동 메커니즘(44)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차동 메커니즘(44)은 구동 샤프트, 제1 출력 샤프트, 제2 출력 샤프트, 및 구동 샤프트와 제1 및 제2 출력 샤프트를 커플링하는 기어 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차동 메커니즘(44)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출력 샤프트가 함께 및/또는 개별적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차동 메커니즘(44)은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출력 샤프트가 서로에 대해 동일한 방향 및/또는 반대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차동 메커니즘(44)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성 및/또는 구현될 수 있고 수동적이거나 능동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차동 메커니즘(44)은 개방 차동, 로킹(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로킹 가능) 차동 또는 제한 슬립 차동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든 공지된 차동 장치가 조향 메커니즘(38)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 특정 실시예에서, 차동 메커니즘(44)의 제1 출력 샤프트는 제1 휠(40)에 커플링될 수 있고, 차동 메커니즘(44)의 제2 출력 샤프트는 제2 휠(4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향 메커니즘(38)은 제1 및 제2 휠(40, 42)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견인 와이어(20)의 근위 단부(20a)는 제1 휠(40)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2 견인 와이어(22)의 근위 단부(22a)는 제2 휠(4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20, 22)는 제1 및 제2 휠(40, 42) 주위에 각각 스풀링되거나 권취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견인 와이어(20, 2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풀링되거나 권취된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양 휠(40, 4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동일한 장력이 양 견인 와이어(20, 22)에 인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차동 메커니즘(44)의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로킹 차동 및/또는 제한된 슬립 차동은 구동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양 휠(40, 42)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양 견인 와이어에 동일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휠(40, 42)을 제1 회전 방향(D1)으로(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견인 와이어(20, 22)를 휠(40, 42) 상에 권취하여,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제1 평면(P1)에서 제1 각도 방향(U)으로 만곡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 휠(40, 42)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D1)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D2)으로(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휠(40, 42)로부터 견인 와이어(20, 22)를 풀어, 견인 와이어(20, 22) 내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평면(P1)에서 제1 각도 방향(U)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D)으로 만곡함으로써,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샤프트(14)의 휴지 구성으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휠(40, 42)을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동시에 조정하는 것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은 샤프트(14)에 대해 조향 메커니즘(38)을 종방향으로 병진함으로써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동 메커니즘(44)의 구동 샤프트 및/또는 액슬(46)에 연결되는 독립적인 구동 샤프트는 액슬(46)을 샤프트(14)에 대해 원위측 및/또는 근위측으로 병진(예를 들어,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휠(40, 42)은 액슬(46)에 의해 커플링되기 때문에, 액슬(46)의 원위 또는 근위 이동은 휠(40, 42)의 대응하는 원위 또는 근위 이동을 야기한다. 견인 와이어(20, 22)의 근위 단부(20a, 22a)는 휠(40, 42)에 연결되기 때문에, 샤프트(14)에 대한 휠(40, 42)에 근위 이동(예를 들어, 도 4에 화살표(D1)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방향으로의 종방향 이동)은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면에 샤프트에 대한 휠(40, 42)의 원위 이동(예를 들어, 도 4의 화살표(D2)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방향으로의 종방향 이동)은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관(24, 26)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를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위부(18)에서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20, 22)는 이들이 제2 평면(P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가 중심축(36)에 대해 서로 정대향하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2 평면(P2)은 중심축(36)에서 제2 평면(P1)과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2 평면(P2)은 제1 평면(P1)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양 견인 와이어(20, 22)가 인장될 때 원위부(18)가 제1 각도 방향(U)으로 만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편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 방향(U)을 향하는 원위부(18)의 측벽 영역은 대향측(즉, 제2 각도 방향(D)을 향함)의 측벽 영역보다 더 낮은 듀로미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구조가 이러한 듀로미터 차이를 달성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부(18)의 대향 측벽들은 상이한 재료, 또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구조(예를 들어, 원위부(18)는 슬롯형 튜브부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슬롯은 제1 각도 방향(U)을 향하는 측벽 영역에 위치되어 있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가 180도 미만의 각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2 평면(P2)은 중심축(36)에 대해 편심인 위치에서 제1 평면(P1)과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2 평면(P2)은 제1 평면(P1)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양 견인 와이어(20, 22)가 인장될 때 제1 각도 방향(U)으로 만곡하기 위해 고유 편향을 가질 수 있다.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는 제1 각도 방향(U)을 따라 중심축(36)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양 견인 와이어(20, 22)를 인장하는 것은 제1 각도 방향(U)으로 중심축(36)으로부터 이격하는 굽힘력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원위부(18)는 그 중립 또는 휴지 구성에 있을 때 직선형일 수 있다. 양 견인 와이어(20, 22) 상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제1 각도 방향(U)으로 굴곡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샤프트(14)의 원위 단부(28)를 핸들(12)을 향해 약간 근위측으로 이동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견인 와이어(20, 22) 상의 장력을 해제하는 것은, 원위부(18)가 제2 각도 방향(D)으로 직선화되게 하고 샤프트(14)의 원위 단부(28)를 핸들(12)로부터 이격하여 약간 원위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대안 실시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원위부(18)는 그 중립 구성에 있을 때 미리 만곡될(예를 들어, 방향(D)으로 만곡함)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양 견인 와이어(20, 22) 상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원위부(18)가 방향(U)으로 직선화 및/또는 굴곡되게 할 수 있고, 반면에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그 미리 만곡된 중립 구성(예를 들어, 방향(D)으로 만곡함)으로 복귀하게 한다.
제2 동작 모드에서, 장력은 견인 와이어(20, 22) 중 단지 하나에만 인가될 수 있고, 반면 다른 견인 와이어의 장력은 감소된다. 이는 예를 들어, 하나의 견인 와이어의 권취가 다른 견인 와이어의 풀림을 수반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휠(40, 42)을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만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동 메커니즘(44)으로 인해, 단지 제1 휠(40)만을 제1 회전 방향(D1)(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회전 방향(D1)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D2)(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에서 제2 휠(42)의 동시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제1 견인 와이어(20)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제2 견인 와이어(22)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제1 각도 방향(L)으로 만곡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 참조).
반대로, 단지 제2 휠(42)만을 제1 회전 방향(D1)(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회전 방향(D2)(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에서의 제1 휠(40)의 동시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제1 견인 와이어(20)의 장력을 감소시키고 제2 견인 와이어(22)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제2 각도 방향(R)으로 만곡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 참조). 제2 각도 방향(R)은 일반적으로 제1 각도 방향(L)에 대향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가 중심축(36)에 대해 서로 정대향하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휠(40, 4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제1 평면(P1)에 수직인 제2 평면(P2)에서 만곡하게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각도 방향(L) 및 제2 각도 방향(R)은 제2 평면(P2) 내에 있고, 중심축(36)으로부터 이격하는 반대 방향(예를 들어, 도 3a에서 각각 좌측 및 우측)을 가리킬 수 있다.
견인 와이어(20, 22)의 원위 단부(20b, 22b)가 180도 미만의 각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휠(40, 4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중심축(36)에 대한 견인 와이어(20, 22)의 편심으로 인해,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비수직 방식으로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만곡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 방향(L)은 제1 평면(P1)의 제1 성분(L1)(예를 들어, 도 3b의 상부로) 및 제2 평면(P2)의 제2 성분(L2)(예를 들어, 도 3b의 좌측으로)으로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 방향(R)은 제1 평면(P1)의 제1 성분(R1)(예를 들어, 도 3b의 상부로) 및 제2 평면(P2)의 제2 성분(R2)(예를 들어, 도 3b의 우측으로)으로 분해될 수 있다. 제2 성분(L2, R2)은 제2 평면(P2) 내에 있고, 중심축(36)으로부터 이격하는 반대 방향들(예를 들어, 도 3b에서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을 가리키는 반면, 제1 성분(L1, R1)은 제2 평면(P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동일한 방향(예를 들어, 도 3b의 상부로)을 가리킨다.
특정 실시예에서, 샤프트(14)의 원위부(18)는 그 중립 또는 휴지 구성에 있을 때 직선형일 수 있다. 견인 와이어 중 단지 하나만의 장력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다른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원위부(18)가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하나의 각도 방향(예를 들어, L 또는 R)으로 만곡되게 할 수 있다. 견인 와이어의 인장 및/또는 인장 해제를 역전하는 것은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그 직선형 구성으로 복귀되게 하고 그리고/또는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대향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원위부(18)는 그 중립 구성에 있을 때 미리 만곡될(예를 들어, 방향(L 또는 R)을 향해 만곡함) 수 있다. 견인 와이어 중 단지 하나만의 장력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다른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원위부(18)가 대향 각도 방향(예를 들어, R 또는 L)으로 굴곡되게 할 수 있어, 원위부(18)가 직선화되거나 또는 심지어 그 중립 미리 만곡된 구성에 대해 대향측을 향해 만곡하게 한다. 견인 와이어의 인장 및/또는 인장 해제를 역전하는 것은 원위부(18)가 그 미리 만곡된 구성으로 복귀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심지어 그 중립 미리 만곡된 구성을 넘어 만곡하게 할 수 있다.
전달 장치(10)는, 핸들(12)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고 조향 메커니즘(38)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작동 메커니즘(48)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48)은 복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에서 작동 메커니즘(48)을 작동시키는 것은 양 휠(40, 4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제1 평면(P1)에서 만곡되게 할 수 있고, 제2 동작 모드에서 작동 메커니즘(48)을 작동시키는 것은 휠(40, 42)을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14)의 원위부(18)가 제1 평면(P1)으로부터 이격하여 만곡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동 메커니즘(48)은 제1 작동 메커니즘(50) 및 제2 작동 메커니즘(52)을 포함한다. 제1 작동 메커니즘(50)은 조향 메커니즘(38)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어, 제1 작동 메커니즘(50)을 동작시키는 것이 제1 또는 제2 회전 방향(즉, D1 또는 D2)으로 제1 및 제2 휠(40, 42)의 모두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작동 메커니즘(52)은 조향 메커니즘(38)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어, 제2 작동 메커니즘(52)을 동작시키는 것이 제1 회전 방향(D1)으로 휠(40, 42) 중 단지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제2 회전 방향(D2)에서의 다른 휠의 동시 회전을 야기하게 된다.
제1 및 제2 작동 메커니즘(50, 5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 노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동 메커니즘(50)의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은 양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고; 반면, 노브의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 회전은 양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작동 메커니즘(52)의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은 동시에 견인 와이어(20)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견인 와이어(22)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반면, 그 노브의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 회전은 동시에 견인 와이어(22)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견인 와이어(20)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작동 메커니즘(4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푸시 버튼, 조이스틱, 음성 제어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2개의 독립적인 회전 가능 노브를 도시하고 있지만, 작동 메커니즘(4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일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2개 초과의 유닛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시적인 비한정적인 실시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작동 메커니즘(4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4개의 버튼: 양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제1 버튼; 양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2 버튼; 견인 와이어(20)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견인 와이어(22)의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3 버튼; 및 견인 와이어(22)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견인 와이어(20)의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제4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작동 메커니즘(48)과 조향 메커니즘(38) 사이의 동작 커플링은 또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작동 메커니즘(50)은 차동 메커니즘(44)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조향 메커니즘(38)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작동 메커니즘(50)을 작동시키는 것은 차동 메커니즘(44) 내부의 구동 샤프트 및 구동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어, 따라서 제1 및 제2 출력 샤프트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그 결과, 양 휠(40, 42)은 제1 및 제2 출력 샤프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양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작동 메커니즘(50)은 각각의 휠(40, 42) 상에 이들 와이어를 동시에 권취하거나 풀림으로써 양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직접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작동 메커니즘(52)은 조향 메커니즘(38)에 커플링될 수 있어 출력 샤프트 및/또는 휠(40, 42) 중 단지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작동 메커니즘(52)은 단지 하나의 휠을 하나의 회전 방향(D1 또는 D2)으로 구동하여, 다른 휠은 차동 메커니즘(44)으로 인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각각의 견인 와이어(20, 22)의 장력을 각각 측정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핸들(12) 상에 위치설정된 하나 이상의 지시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지시기는 바늘 지시기, LED 조명, 디지털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기는 각각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견인 와이어의 장력에 대한 사용자 인식 가능 피드백 및 정보를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작동 메커니즘(48)을 통해 각각의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샤프트(14)의 원위부(18)의 굴곡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고려사항
개시된 실시예는 심장의 자연적인 고리(예를 들어, 폐, 승모, 및 삼첨판 고리) 중 임의의 하나에 인공 디바이스를 전달하고 이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임의의 다양한 전달 접근법(예를 들어, 역행, 앞방향, 중격경유, 경심실, 경대동맥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설명의 목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특정 양태,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개시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대신에, 본 개시내용은 단독으로 그리고 서로 다양한 조합 및 서브조합으로,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신규한 및 자명하지 않은 특징 및 양태에 관한 것이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임의의 특정 양태 또는 특징 또는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정 장점이 존재하거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다. 임의의 예로부터의 기술은 다른 예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설명된 기술과 조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원리가 적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의 견지에서, 예시된 실시예는 단지 바람직한 예일 뿐이고, 개시된 기술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일부의 동작은 편리한 제시를 위해 특정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특정 순서화가 이하에 설명된 특정 언어에 의해 요구되지 않으면, 이 설명의 방식은 재배열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설명된 동작은 몇몇 경우에 재배열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간단화를 위해, 부착된 도면은 개시된 방법이 다른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도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설명은 때때로 개시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 또는 "달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이들 용어는 수행되는 실제 동작의 고레벨 추상 개념이다. 이들 용어에 대응하는 실제 동작은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다양할 수도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즉시 인식 가능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용어 "구비한다"는 "포함한다"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커플링된" 및 "연결된"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전자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물리적으로(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커플링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고, 특정 대조적인 용어의 부재시에 커플링된 또는 연계된 아이템 사이의 중간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방향 및 다른 상대 참조(예를 들어, 내부, 외부 등)가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원리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 "외부", "내", "외" 등과 같은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어는 적용 가능한 경우, 특히 예시된 실시예에 관하여, 상대 관계를 다룰 때 몇몇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절대적인 관계, 위치, 및/또는 배향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뿐만 아니라 "및" 및 "또는"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적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의 견지에서, 예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고, 청구된 주제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의 범주는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7)

  1. 조향 가능 의료 장치이며,
    근위부 및 원위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제1 견인 와이어로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되는, 제1 견인 와이어;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제2 견인 와이어로서,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되는, 제2 견인 와이어; 및
    상기 샤프트의 근위부에 커플링되고 조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핸들로서, 상기 조향 메커니즘은 차동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휠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휠에 커플링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하고,
    상기 제1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에서 상기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3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4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180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방향 및 상기 제4 각도 방향은 상기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평면에 있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 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견인 와이어 도관 및 제2 견인 와이어 도관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견인 와이어 도관은 상기 샤프트의 근위부 및 원위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견인 와이어는 상기 제1 견인 와이어 도관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는 상기 제2 견인 와이어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향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1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작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향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2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작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또는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고, 상기 각도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인,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1. 조향 가능 의료 장치이며,
    근위부 및 원위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제1 견인 와이어로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되는, 제1 견인 와이어;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제2 견인 와이어로서,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에 커플링되는, 제2 견인 와이어; 및
    차동 메커니즘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는 조향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휠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휠에 커플링되는, 조향 메커니즘; 및
    상기 조향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메커니즘을 제1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휠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만곡되게 하고,
    상기 작동 메커니즘을 제2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만곡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에서 상기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휠의 회전을 야기하여,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 단부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견인 와이어 도관 및 제2 견인 와이어 도관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견인 와이어 도관은 상기 샤프트의 근위부 및 원위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견인 와이어는 상기 제1 견인 와이어 도관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는 상기 제2 견인 와이어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고, 상기 각도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인, 조향 가능 의료 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와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180도만큼 서로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어 있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메커니즘을 제2 동작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에 수직인 제2 평면에서 만곡되게 하는, 조향 가능 의료 장치.
  21. 대상의 혈관 구조에서 전달 장치를 조향하는 방법이며,
    상기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원위부를 제1 평면에서 만곡시키기 위해 상기 전달 장치의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를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상기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메커니즘은 제1 휠과 제2 휠을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하고, 상기 제1 휠은 제1 견인 와이어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휠은 제2 견인 와이어에 커플링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평면에서 상기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원위부를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평면에서 상기 전달 장치의 샤프트의 원위부를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서 상기 제1 각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휠의 모두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를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휠의 회전을 야기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1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를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휠만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회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휠의 회전을 야기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견인 와이어의 장력을 감소시켜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제2 각도 방향으로 만곡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샤프트의 원위부를 만곡시키기 위해 차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샤프트의 원위부가 제1 평면에 수직인 제2 평면에서 만곡되게 하는, 방법.
KR1020207013783A 2017-10-20 2018-10-17 조향 가능 카테터 KR20200075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4875P 2017-10-20 2017-10-20
US62/574,875 2017-10-20
US16/159,966 US11207499B2 (en) 2017-10-20 2018-10-15 Steerable catheter
US16/159,966 2018-10-15
PCT/US2018/056214 WO2019079392A1 (en) 2017-10-20 2018-10-17 ORIENTABLE CATH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845A true KR20200075845A (ko) 2020-06-26

Family

ID=6617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783A KR20200075845A (ko) 2017-10-20 2018-10-17 조향 가능 카테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07499B2 (ko)
EP (1) EP3697487B1 (ko)
JP (2) JP7305631B2 (ko)
KR (1) KR20200075845A (ko)
CN (2) CN114847843A (ko)
CA (1) CA3084458A1 (ko)
WO (1) WO20190793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468B1 (ko) * 2021-02-10 2021-08-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카테터
KR102364670B1 (ko) * 2021-07-06 2022-02-17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수술용 머니퓰레이터
WO2022131813A1 (ko) * 2020-12-16 2022-06-23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수술용 쉐이버 샤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3127B2 (en) 2014-10-20 2021-08-31 Research Development International Corporation Steerable micro-endoscope
WO2018098210A1 (en) 2016-11-22 2018-05-31 Synecor Llc Guidewireless transseptal delivery system for therapeutic devices of the mitral valve
WO2019055154A2 (en) 2017-08-06 2019-03-21 Syneco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ANSSEPTIVE DELIVERY OF HEART THERAPEUTIC DEVICES
US11583168B2 (en) * 2018-11-08 2023-02-21 Thomas J. Viren Endotracheal tube system and method
US11364377B2 (en) 2019-02-07 2022-06-21 Synecor Llc Instrument for facilitating transseptal delivery of cardiac therapeutic devices
WO2020237426A1 (en) * 2019-05-24 2020-12-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rticulated stiffening cannulas, access sets, and methods thereof
WO2020247457A1 (en) * 2019-06-07 2020-12-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Zero force catheter
WO2021070092A1 (en) * 2019-10-09 2021-04-15 Tai Kien Actuating assembly for wire steered device and wire steered device including same
CN110575604A (zh) * 2019-10-14 2019-12-17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具有角度调节装置的医疗器械
CN111643228B (zh) * 2020-08-04 2020-12-11 上海申淇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二尖瓣修复的输送系统
ES2875176B2 (es) * 2020-08-10 2023-02-15 D3 Applied Tech S L Sistema para implantacion transcateter orientada de dispositivos aorticos
CN112155504B (zh) * 2020-09-08 2023-01-06 新光维医疗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十二指肠的子母一体式肠镜
CN114681754B (zh) * 2020-12-31 2023-08-25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可调弯导管
JP2024507702A (ja) * 2021-03-05 2024-02-21 エンドビスタ、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操作可能な医療装置のための制御装置及び回転ノブ・アセンブリ
CN115192255A (zh) * 2021-04-14 2022-10-18 爱德华兹生命科学公司 用于植入物的递送系统
CN113520519A (zh) * 2021-04-30 2021-10-22 常州凯尼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支架型取栓装置
CA3232783A1 (en) * 2021-09-23 2023-03-30 W Endoluminal Robotics Ltd Steerable tubular assembly for bronchoscopic procedures
CN115245407B (zh) * 2021-11-10 2023-06-02 科凯(南通)生命科学有限公司 经股瓣膜修复用输送器
CN116407741A (zh) * 2021-12-30 2023-07-11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可调弯导管
CN115887065A (zh) * 2022-03-10 2023-04-04 上海申淇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三尖瓣修复装置
CN114949541B (zh) * 2022-06-30 2023-05-05 科睿驰(深圳)医疗科技发展有限公司 导管操控手柄和可调导管
CN117379229A (zh) * 2022-07-05 2024-01-12 上海微创心通医疗科技有限公司 控弯管及输送装置
US20240123192A1 (en) * 2022-10-18 2024-04-18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Wire lock for medic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97A (en) 1894-05-01 Bauer
US4035849A (en) 1975-11-17 1977-07-19 William W. Angell Heart valve st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a stented heart valve prosthesis
US4592340A (en) 1984-05-02 1986-06-03 Boyles Paul W Artificial catheter means
JPS63158064A (ja) 1986-12-23 1988-07-01 テルモ株式会社 血管拡張カテ−テル
US5266073A (en) 1987-12-08 1993-11-30 Wall W Henry Angioplasty stent
US4994077A (en) 1989-04-21 1991-02-19 Dobben Richard L Artificial heart valve for implantation in a blood vessel
US5318529A (en) 1989-09-06 1994-06-07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Angioplasty balloon catheter and adaptor
US5059177A (en) 1990-04-19 1991-10-22 Cordis Corporation Triple lumen balloon catheter
US5411552A (en) 1990-05-18 1995-05-02 Andersen; Henning R. Valve prothesis for implantation in the body and a catheter for implanting such valve prothesis
DK124690D0 (da) 1990-05-18 1990-05-18 Henning Rud Andersen Klapprotes til implantering i kroppen for erstatning af naturlig klap samt kateter til brug ved implantering af en saadan klapprotese
US5176698A (en) 1991-01-09 1993-01-05 Scimed Life Systems, Inc. Vented dilatation cathether and method for venting
US5370685A (en) 1991-07-16 1994-12-06 Stanford Surgical Technologies, Inc. Endovascular aortic valve replacement
IL103445A (en) 1991-10-18 1997-04-15 Ethicon Inc Endoscopic tissue manipulator
US5192297A (en) 1991-12-31 1993-03-09 Medtron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ement and implantation of a stent
US5325845A (en) 1992-06-08 1994-07-05 Adair Edwin Lloyd Steerable sheath for use with selected removable optical catheter
US5824044A (en) 1994-05-12 1998-10-20 Endovascular Technologies, Inc. Bifurcated multicapsule intraluminal grafting system
US5728068A (en) 1994-06-14 1998-03-17 Cordis Corporation Multi-purpose balloon catheter
JP3970341B2 (ja) 1994-06-20 2007-09-05 テルモ株式会社 血管カテーテル
US5554185A (en) 1994-07-18 1996-09-10 Block; Peter C. Inflatable prosthetic cardiovascular valve for percutaneous transluminal implantation of same
US5733299A (en) 1994-10-20 1998-03-31 Cordis Corporation Two balloon catheter
US5599305A (en) 1994-10-24 1997-02-04 Cardiovascular Concepts, Inc. Large-diameter introducer sheath having hemostasis valve and removable steering mechanism
US5512035A (en) * 1994-10-27 1996-04-30 Circon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Cable compensating mechanism for an endoscope
US5779688A (en) 1994-10-28 1998-07-14 Intella Interventional Systems, Inc. Low profile balloon-on-a-wire catheter with shapeable and/or deflectable tip and method
US5639274A (en) 1995-06-02 1997-06-17 Fischell; Robert E. Integrated catheter system for balloon angioplasty and stent delivery
DE19532846A1 (de) 1995-09-06 1997-03-13 Georg Dr Berg Ventileinrichtung
US5591195A (en) 1995-10-30 1997-01-07 Taheri; Syde Apparatus and method for engrafting a blood vessel
US6579305B1 (en) 1995-12-07 2003-06-17 Medtronic A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deployment and retrieval of a stent comprising shape-memory material
US20050245894A1 (en) 1996-05-20 2005-11-03 Medtronic Vascular,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ug delivery to an intravascular occlusion
US6217585B1 (en) 1996-08-16 2001-04-17 Converge Medical, Inc. Mechanical stent and graft delivery system
AU739710B2 (en) 1996-08-23 2001-10-18 Boston Scientific Limited Stent delivery system having stent securement apparatus
US5968068A (en) 1996-09-12 1999-10-19 Baxter International Inc. Endovascular delivery system
US5749890A (en) 1996-12-03 1998-05-12 Shaknovich; Alexander Method and system for stent placement in ostial lesions
EP0850607A1 (en) 1996-12-31 1998-07-01 Cordis Corporation Valve prosthesis for implantation in body channels
US5954654A (en) * 1997-01-31 1999-09-21 Acuson Corporation Steering mechanism and steering line for a catheter-mounted ultrasonic transducer
US5938616A (en) 1997-01-31 1999-08-17 Acuson Corporation Steering mechanism and steering line for a catheter-mounted ultrasonic transducer
US6464645B1 (en) * 1997-01-31 2002-10-15 Acuson Corporation Ultrasonic transducer assembly controller
US6019777A (en) 1997-04-21 2000-02-0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and method for a stent delivery system
US6143016A (en) 1997-04-21 2000-11-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heath and method of use for a stent delivery system
AU9478498A (en) 1997-09-11 1999-03-29 Genzyme Corporation Articulating endoscopic implant rotator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916147A (en) 1997-09-22 1999-06-29 Boury; Harb N. Selectively manipulable catheter
US5961536A (en) 1997-10-14 1999-10-05 Scimed Life Systems, Inc. Catheter having a variable length ballo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027510A (en) 1997-12-08 2000-02-22 Inflow Dynamics Inc. Stent delivery system
US6530952B2 (en) 1997-12-29 2003-03-11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Bioprosthetic cardiovascular valve system
US6251092B1 (en) 1997-12-30 2001-06-26 Medtronic, Inc. Deflectable guiding catheter
US6174327B1 (en) 1998-02-27 2001-01-16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ployment apparatus and method
US6527979B2 (en) 1999-08-27 2003-03-04 Corazon Technologies, Inc.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lcified vascular occlusions
US6500147B2 (en) 1999-02-22 2002-12-31 Medtronic Percusurge, Inc. Flexible catheter
DE19907646A1 (de) 1999-02-23 2000-08-24 Georg Berg Ventileinrichtung zum Einsetzen in ein Hohlorgan
US6514228B1 (en) 1999-03-05 2003-02-04 Scimed Life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having high flow tip
US6858034B1 (en) 1999-05-20 2005-02-22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system for prevention of kinking, and method of loading and using same
US6544279B1 (en) 2000-08-09 2003-04-08 Incept, Llc Vascular device for emboli, thrombus and foreign body removal and methods of use
US6383171B1 (en) 1999-10-12 2002-05-07 Allan Will Methods and devices for protecting a passageway in a body when advancing devices through the passageway
US6471672B1 (en) 1999-11-10 2002-10-29 Scimed Life Systems Selective high pressure dilation balloon
FR2800984B1 (fr) 1999-11-17 2001-12-14 Jacques Seguin Dispositif de remplacement d'une valve cardiaque par voie percutanee
US7018406B2 (en) 1999-11-17 2006-03-28 Corevalve Sa Prosthetic valve for transluminal delivery
FR2815844B1 (fr) 2000-10-31 2003-01-17 Jacques Seguin Support tubulaire de mise en place, par voie percutanee, d'une valve cardiaque de remplacement
US6458153B1 (en) 1999-12-31 2002-10-01 Abps Venture One, Ltd. Endoluminal cardiac and venous valve prosthe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delivery thereof
DE60128069D1 (de) 2000-01-31 2007-06-06 Cook Biotech Inc Stentventilklappen
US6454799B1 (en) 2000-04-06 2002-09-2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s and methods of use
WO2002022054A1 (en) 2000-09-12 2002-03-21 Gabbay S Valvular prosthesis and method of using same
US7510572B2 (en) 2000-09-12 2009-03-31 Shlomo Gabbay Implantation system for delivery of a heart valve prosthesis
US6461382B1 (en) 2000-09-22 2002-10-0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Flexible heart valve having moveable commissures
US20040093075A1 (en) 2000-12-15 2004-05-13 Titus Kuehne Stent with valv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764504B2 (en) 2001-01-04 2004-07-20 Scimed Life Systems, Inc. Combined shaped balloon and stent protector
CA2433881C (en) 2001-01-30 2009-08-18 Randall T. Lashinski Medical system and method for remodeling an extravascular tissue structure
US7011094B2 (en) 2001-03-02 2006-03-14 Emphasys Medical, Inc. Bronchial flow control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7374571B2 (en) 2001-03-23 2008-05-2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Rolled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556646B2 (en) 2001-09-13 2009-07-0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ploying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s
US6733525B2 (en) 2001-03-23 2004-05-1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Rolled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s and methods of use
US6585718B2 (en) 2001-05-02 2003-07-01 Cardiac Pacemakers, Inc. Steerable catheter with shaft support system for resisting axial compressive loads
US6776765B2 (en) 2001-08-21 2004-08-17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Steerable stylet
US6893460B2 (en) 2001-10-11 2005-05-17 Percutaneous Valve Technologies Inc. Implantable prosthetic valve
US6962597B2 (en) 2001-10-24 2005-11-08 Scimed Life Systems, Inc. Inner member support block
US7594926B2 (en) 2001-11-09 2009-09-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livering stents
US20070073389A1 (en) 2001-11-28 2007-03-29 Aptus Endosystems, Inc. Endovascular aneurysm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7137993B2 (en) 2001-12-03 2006-11-21 Xt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ultiple distributed stents
US20030120341A1 (en) 2001-12-21 2003-06-26 Hani Shennib Devices and methods of repairing cardiac valves
DE20321838U1 (de) 2002-08-13 2011-02-10 JenaValve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r Verankerung und Ausrichtung von Herzklappenprothesen
US7137184B2 (en) 2002-09-20 2006-11-2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Continuous heart valve support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399315B2 (en) 2003-03-18 2008-07-15 Edwards Lifescience Corporation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 with cusp positioners
ATE446061T1 (de) 2003-04-24 2009-11-15 Cook Inc Künstliche klappe für blutgefäss mit verbessertem fliessverhalten
US8500792B2 (en) 2003-09-03 2013-08-06 Bolton Medical, Inc. Dual capture device for stent graft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 stent graft
US7758625B2 (en) 2003-09-12 2010-07-20 Abbott Vascular Solutions Inc. Delivery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7553324B2 (en) 2003-10-14 2009-06-30 Xtent, Inc. Fixed stent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7887574B2 (en) 2003-12-23 2011-02-15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livery catheter
US8603160B2 (en) 2003-12-23 2013-12-10 Sadra Medical, Inc. Method of using a retrievable heart valve anchor with a sheath
US8430925B2 (en) 2004-02-27 2013-04-30 Cardiacmd, Inc. Prosthetic heart valves, scaffolding structur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ation of same
JP5290573B2 (ja) 2004-04-23 2013-09-18 メドトロニック スリーエフ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移植可能な補綴具弁
JP5227588B2 (ja) 2004-05-05 2013-07-03 ダイレクト フロウ メディカル、 インク. 現場形成支持構造を備えたステントレス心臓弁
WO2006032051A2 (en) 2004-09-14 2006-03-23 Edwards Lifesciences Ag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heart valve regurgitation
US7578838B2 (en) 2005-01-12 2009-08-25 Cook Incorporated Delivery system with helical shaft
SE531468C2 (sv) 2005-04-21 2009-04-14 Edwards Lifesciences Ag En anordning för styrning av blodflöde
WO2006127756A2 (en) 2005-05-24 2006-11-3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Rapid deployment prosthetic heart valve
US7938851B2 (en) 2005-06-08 2011-05-10 Xten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interventional apparatus
US7320702B2 (en) 2005-06-08 2008-01-22 Xt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f multiple custom-length prostheses (III)
US7780723B2 (en) 2005-06-13 2010-08-2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Heart valve delivery system
US8167932B2 (en) 2005-10-18 2012-05-0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Heart valve delivery system with valve catheter
US7785366B2 (en) 2005-10-26 2010-08-31 Maurer Christopher W Mitral spacer
US8449606B2 (en) 2005-10-26 2013-05-28 Cardiosolutions, Inc. Balloon mitral spacer
US8778017B2 (en) 2005-10-26 2014-07-15 Cardiosolutions, Inc. Safety for mitral valve implant
US8764820B2 (en) 2005-11-16 2014-07-0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ransapical heart valve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4982502B2 (ja) 2005-12-07 2012-07-25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ツーピース心臓弁アセンブリのための連結システム
US8147541B2 (en) 2006-02-27 2012-04-03 Aortx,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y of prosthetic heart valves and other prosthetics
US8652198B2 (en) 2006-03-20 2014-02-18 J.W. Medical System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f linked prosthetic segments
US20070239254A1 (en) 2006-04-07 2007-10-11 Chris Chia System for percutaneous delivery and removal of a prosthetic valve
US20070244546A1 (en) 2006-04-18 2007-10-18 Medtronic Vascular, Inc. Stent Foundation for Placement of a Stented Valve
WO2008031103A2 (en) 2006-09-08 2008-03-1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Integrated heart valve delivery system
US8029556B2 (en) 2006-10-04 2011-10-0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haping a ventricle
EP2133114A4 (en) 2007-04-05 2013-12-25 Kaneka Corp ENDOPROSTHESIS APPLICATION SYSTEM
WO2008136329A1 (ja) 2007-04-27 2008-11-13 Terumo Kabushiki Kaisha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US20080294230A1 (en) 2007-05-24 2008-11-27 Cook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loying self-expanding stents
CA2690936A1 (en) 2007-06-22 2008-12-31 Noah Roth Heatable delivery device
US8326878B2 (en) 2007-07-19 2012-12-04 Carnegie Research,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business personnel information
US7998020B2 (en) * 2007-08-21 2011-08-16 Stereotaxis, Inc. Apparatus for selectively rotating and/or advancing an elongate device
CA2978267A1 (en) 2007-08-23 2009-02-23 Dfm, Llc Translumenally implantable heart valve with formed in place support
US8114154B2 (en) 2007-09-07 2012-02-14 Sorin Biomedica Cardio S.R.L. Fluid-filled delivery system for in situ deployment of cardiac valve prostheses
US20090138079A1 (en) 2007-10-10 2009-05-28 Vector Technologies Ltd. Prosthetic heart valve for transfemoral delivery
DK3646822T3 (da) 2007-12-14 2021-09-06 Edwards Lifesciences Corp Bladfastgørelsesramme til en proteseklap
US8157853B2 (en) 2008-01-24 2012-04-17 Medtronic, Inc.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for prosthetic heart valves
CN103637861B (zh) 2008-02-29 2016-05-25 爱德华兹生命科学公司 用于部署假体装置的可扩展元件
US20090276040A1 (en) 2008-05-01 2009-11-05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mitral valve
US9061119B2 (en) 2008-05-09 2015-06-2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Low profile delivery system for transcatheter heart valve
EP3476368B1 (en) 2008-06-06 2020-01-0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Low profile transcatheter heart valve
US8323335B2 (en) 2008-06-20 2012-12-0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Retaining mechanisms for prosthetic valves and methods for using
US7976574B2 (en) 2008-08-08 2011-07-1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Delivery system with variable delivery rate for deploying a medical device
US8652202B2 (en) 2008-08-22 2014-02-1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Prosthetic heart valve and delivery apparatus
JP5577343B2 (ja) 2008-09-22 2014-08-2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ルーン付きカテーテル
CA2739275C (en) 2008-10-01 2017-01-17 Impala, Inc. Delivery system for vascular implant
US9149376B2 (en) 2008-10-06 2015-10-06 Cordis Corporation Reconstrainable stent delivery system
US8308798B2 (en) 2008-12-19 2012-11-1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Quick-connect prosthetic heart valve and methods
US20100174363A1 (en) 2009-01-07 2010-07-08 Endovalve, Inc. One Piece Prosthetic Valve Support Structure and Related Assemblies
US8077955B2 (en) 2009-03-19 2011-12-13 Kabushiki Kaisha Toshiba B1 mapping in MRI system using k-space spatial frequency domain filtering
WO2010121076A2 (en) 2009-04-15 2010-10-21 Cardiaq Valve Technologies, Inc. Vascular implant and delivery system
US8475522B2 (en) 2009-07-14 2013-07-0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ransapical delivery system for heart valves
US20110137331A1 (en) 2009-12-07 2011-06-09 Michael Walsh Perfusion device
US8475523B2 (en) 2010-02-17 2013-07-02 Medtronic, Inc. Distal tip assembly for a heart valve delivery catheter
CN111265338B (zh) 2010-10-05 2021-04-13 爱德华兹生命科学公司 人工心脏瓣膜
US9155619B2 (en) 2011-02-25 2015-10-1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Prosthetic heart valve delivery apparatus
US9119716B2 (en) * 2011-07-27 2015-09-0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livery systems for prosthetic heart valve
US9827093B2 (en) 2011-10-21 2017-11-28 Edwards Lifesciences Cardiaq Llc Actively controllable stent, stent graft, heart valv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523808B2 (en) * 2011-11-18 2013-09-03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edical device control handle with independent self holding puller wire actuators
US9174024B1 (en) * 2013-03-15 2015-11-03 St. Jude Medical Luxembourg Holdings S.À.R.L. Steering control mechanisms for catheters
JP6221300B2 (ja) * 2013-03-28 2017-11-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カテーテルおよびカテーテル操作部
US9737688B2 (en) * 2014-09-12 2017-08-22 Freudenberg Medical, Llc Modular handle assembly for a steerable catheter
CR20170245A (es) 2014-12-05 2017-09-14 Edwards Lifesciences Corp Cateter dirigible con cable de tracción
US10588744B2 (en) 2015-09-04 2020-03-1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livery system for prosthetic heart valve
US10751510B2 (en) * 2015-10-28 2020-08-25 Imricor Medical Systems, Inc. Sliding distal component assembly
US10603165B2 (en) 2016-12-06 2020-03-3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chanically expanding heart valve and delivery apparatus therefor
US10786651B2 (en) * 2017-03-07 2020-09-29 Talon Medical, LLC Steerable guide catheter
US10709870B2 (en) * 2017-03-14 2020-07-14 Greatbatch Ltd. Steer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US10869759B2 (en) 2017-06-05 2020-12-2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chanically expandable heart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813A1 (ko) * 2020-12-16 2022-06-23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수술용 쉐이버 샤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KR102287468B1 (ko) * 2021-02-10 2021-08-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카테터
KR102364670B1 (ko) * 2021-07-06 2022-02-17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수술용 머니퓰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46908A (zh) 2020-06-05
CA3084458A1 (en) 2019-04-25
CN111246908B (zh) 2022-05-24
US11207499B2 (en) 2021-12-28
CN114847843A (zh) 2022-08-05
US20220105313A1 (en) 2022-04-07
EP3697487B1 (en) 2024-05-29
JP2023120428A (ja) 2023-08-29
JP2021500109A (ja) 2021-01-07
JP7305631B2 (ja) 2023-07-10
US20190117937A1 (en) 2019-04-25
WO2019079392A1 (en) 2019-04-25
EP3697487A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845A (ko) 조향 가능 카테터
JP7472096B2 (ja) プルワイヤを有する操向可能なカテーテル
EP3535010B1 (en) Apparatus for the introduction and manipulation of multiple telescoping catheters
JP2021531111A (ja) 動的硬化医療用複合構造
EP3503956B1 (en) Multilumen catheter
CN107278160A (zh) 导丝固定术
US20230398333A1 (en) Endovascular remotely steerable guidewire catheter
US20240024640A1 (en) Dynamically rigidizing guiderail and methods of use
US20240081993A1 (en) Catheter assembly
JP2024074975A (ja) プルワイヤを有する操向可能なカテーテル
NZ6127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treating a body cavity, lumen, or ostium
NZ612748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treating a body cavity, lumen, or ost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