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661A -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661A
KR20200075661A KR1020180164571A KR20180164571A KR20200075661A KR 20200075661 A KR20200075661 A KR 20200075661A KR 1020180164571 A KR1020180164571 A KR 1020180164571A KR 20180164571 A KR20180164571 A KR 20180164571A KR 20200075661 A KR20200075661 A KR 20200075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water
unit
boiled
bo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18016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661A/ko
Publication of KR2020007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7/0408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7/041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4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blanching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청, 배무채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하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방법은 채소를 60~90℃의 온수에서 데치는 데침단계, 데친 상기 채소를 2시간~3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데친 상기 채소를 0~25℃의 냉수에서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한 상기 채소를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탈수한 상기 채소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청, 배무채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하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자연환경과 사회 경제적 영향으로 오랜 시간 식물성 식품인 김치 및 나물류의 이용이 발달하였다. 특히 제철에 나는 채소류를 말려 두었다 겨울철 식품재료로 이용하였는데, 대표적인 건조채소 식품으로는 무청 시래기 및 배추(잎) 시래기가 있다.
시래기는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건조채소로 엽록소(Chlorophyll)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당질의 함량이 낮고, 비타민 B1, B2, C, 나이아신, 단백질, 지질(脂質), 철분 및 칼슘이 높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최근에는 성인병 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무청에는 전분 분해효소인 디아스타제(Diastas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전분을 많이 섭취하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소화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시래기 제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비위생적인 측면이 많이 존재할 수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채소(시래기)를 데치고, 데친 채소를 세척하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방법은 채소를 60~90℃의 온수에서 데치는 데침단계, 데친 상기 채소를 30분~3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데친 상기 채소를 0~25℃의 냉수에서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세척한 상기 채소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침단계에서는 상기 채소를 60~90℃의 온수에서 10초~5분 동안 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침단계 이후 데친 상기 채소에 냉수를 분사하는 샤워단계 및 세척한 상기 채소를 탈수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단계에서는 데친 상기 채소를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단계는 세척한 상기 채소를 진공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포장된 상기 채소를 -20~40℃에서 급속 동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은 자동으로 채소(시래기)를 데치고 고온에서 숙성하여 통상의 씨레기와 같은 색상을 갖게한 다음, 데친 채소를 세척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대량의 채소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은 채소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보일링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3은 세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1A)는 보일링부(Boiling Part, 10) 및 세척부(Cleaning Part, 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일링부(10)는 온수를 이용하여 채소를 데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채소에 대해 무청 및 배추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채소로서 배무채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 상태의 무청, 배추 등의 채소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 상태의 채소일 수 있고, 시래기 상태가 아니지만 시래기로 만들 수 있는 채소일 수도 있다.
세척부(20)는 보일링부(10)가 냉수를 이용하여 데친 채소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20)가 채소의 세척에 이용하는 물(냉수)의 온도는 보일링부(10)가 채소의 데침에 이용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일링부(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보일링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제 1 컨베이어부(First Conveyer Part, 100), 제 2 컨베이어부(Second Conveyer Part, 110), 샤워부(Shower Part, 170), 제 1 수조부(First Water Tank Part, 150), 제 1 환기부(First Ventilation Part, 120) 및 제 2 환기부(Second Ventilation Par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Housing, 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제 1 수조부(150)에 담긴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수조부(150)를 덮을 수 있다.
제 1 수조부(15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try, EN)와 출구(Exit, EX)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수조부(150)는 채소를 데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온도의 물, 즉 온수가 담길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조부(150)에는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지날 수 있다.
제 1 컨베이어부(100)는 작업자 혹은 다른 장치에 의해 채소가 놓이고, 놓인 채소를 이송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채소가 놓일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입구는 채소를 투입하는 투입구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의 출구(EX) 측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로부터 데쳐진 채소가 배출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출구는 데쳐진 채소가 배출되는 배출구라고 볼 수 있다.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대응되며,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놓인 채소가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아울러,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수조부(150) 내에서 채소가 온수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채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컨베이어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수조부(150) 내에서 온수에 잠길 수 있다.
제 1 환기부(12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서 제 1 수조부(150)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환기부(12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수조부(150)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환기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환기부(13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 제 1 수조부(150)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환기부(13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 측에서 제 1 수조부(150)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환기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17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관계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에서는 제 1 컨베이어부(100)의 회전 방향과 제 2 컨베이어부(110)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3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의 입구(EN)와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충분한 간격(d1, d3)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서는 채소의 투입이 용이하고,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는 채소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의 입구(EN) 및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는 제 2 컨베이어부(110)보다 소정 길이(L1, L2)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소의 투입과 배출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제 1 수조부(150)에서는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충분히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수조부(150)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d2)은 보일링부(10)의 입구(EN) 및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d1, d3)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2 컨베이어부(100, 110)의 벨트부(BT)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는 각각 채소가 놓이는 벨트부(Belt Part, BT) 및 벨트부(BT)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체인부(Chain Part, C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부(BT)는 채소의 효과적인 데침을 위해 투수가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부(BT)는 망사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일링부(10)는 제 1, 2 컨베이어부(100, 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구동부(Conveyer 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구동부(미도시)가 공급하는 동력은 제 1 컨베이어부(100) 및/또는 제 2 컨베이어부(110)의 체인부(CH)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체인부(CH)에 의해 제 1 컨베이어부(100) 및/또는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구동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는 벨트부(BT)에 배치되며, 벨트부(BT)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PT)는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 상에서 채소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돌출부(PT)는 그 단면이 알파벳 대문자 '엘'(L)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PT)는 칸막이, 블레이드(Blade) 등으로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제 1 컨베이어부(100)를 실제 구현한 일례의 일부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 체인부(CH) 및 돌출부(PT)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의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수조부(150)로 갈수록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하우징(140) 내에서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처지지 않도록 제 2 컨베이어부(110)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부(Conveyer Supporter,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지지부(160)는 하우징(1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컨베이어 지지부(160)가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컨베이어 지지부(16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 및/또는 제 1 수조부(150)에 더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샤워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170)는 샤워관(171) 및 샤워노즐(1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샤워부(170)가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10과 같이, 보일링부(10)는 온수배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수배출부(180)는 제 1 수조부(1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온수배출부(180)는 제 1 수조부(150)의 하부와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구 뚜껑(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보일링부(1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가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 채소를 투입할 수 있다.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구동되면서, 투입된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입구(EN)에서 제 1 수조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채소가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진 온수에 의해 데쳐질 수 있다.
이처럼, 채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데쳐짐에 따라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대량의 채소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 1 수조부(150)에서 데쳐진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보일링부(10)의 출구(EX)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샤워부(17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로 이송된 채소에 냉수를 분사하여 데쳐진 채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채소의 데침 과정을 완성할 수 있다.
이후, 배출구 뚜껑(181)을 열어(Open) 제 1 수조부(150)에 담긴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후에 새로운 온수를 제 1 수조부(150)에 채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세척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23은 세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세척부(20)는 제 2 수조부(Second Water Tank Part, 200), 물분출부(Water Jet Part, 210), 정수부(Water Cleaning Part, 240), 물순환부(Water Circulation Part, 250) 및 제 3 컨베이어부(Third Conveyer Part, 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세척부(20)는 보조 물분출부(Auxiliary Water Jet Part,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는 냉수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에는 보일링부(10)에서 데쳐진 채소가 투입될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지는 물(냉수)의 온도는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데쳐진 채소가 투입되면, 투입된 채소는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세척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며, 충분히 품온이 하강할 수 있다.
정수부(240)는 제 2 수조부(200)의 물을 정수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정수부(240)가 정수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제 3 컨베이어부(220)는 세척부(20)에서 세척된 채소를 외부로 운송할 수 있다.
물분출부(210)는 제 2 수조부(200) 내에서 입구(EN)에서 출구(EX)로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분출부(210)는 제 2 수조부(200)의 상부에서 채소가 투입되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를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물분출부(210)는 물파이프(Water Pipe, 211)와 적어도 하나의 노즐(Nozzle,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파이프(211)는 제 2 수조부(200)의 상부에서 제 2 수조부(20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노즐(212)은 물파이프(211)에 설치되며, 물을 분출할 수 있다.
물분출부(210)는 비스듬히 물을 분출하기 위해, 도 13과 같이, 노즐(212)은 물파이프(211)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에 수직하는 직선(PL)과 노즐(212)의 연장선(JL) 사이의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아울러, 노즐(212)의 연장선(JL)은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과 교차할 수 있다.
도 14에는 물분출부(210)가 비스듬한 각도로 물을 분출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은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은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 대응되고, 제 3 부분(BS3)은 제 2 수조부(200)의 출구(EX)측에 대응되고, 제 2 부분(BS1)의 제 1 부분(BS1)과 제 3 부분(BS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은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수조부(200)는 물을 담는 공간의 크기가 입구(EN) 측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많은 양의 채소를 한꺼번에 투입하더라도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 투입된 채소를 출구(EX)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부분(BS2)은 제 1 부분(BS1) 및 제 3 부분(BS3)에 비해 돌출되어 더 높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겨우, 제 2 수조부(20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제 2 부분(BS2)에서는 물의 깊이가 제 1 부분(BS1) 및 제 3 부분(BS3)에 비해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분출부(210)가 분출하는 물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는 흐름 생성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흐름 생성부(201)는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의 벽에서 출구(EX)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보조 물분출부(230)는 세척부(20)의 출구(EX)에서 제 3 컨베이어부(220)를 향해 물을 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부(20)의 출구(EX)에서 세척된 채소가 배출되기 전에 추가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물분출부(230)는, 도 17의 경우와 같이, 보조 물파이프(Auxiliary Water Pipe, 231)와 보조 물파이프(231)에 설치되는 보조 노즐(Auxiliary Nozzle, 23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노즐(232)은 제 3 컨베이어부(220)의 벨트부(BT)를 향할 수 있다.
도 18에는 보조 물분출부(230)를 구현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정수부(240)와 물순환부(250)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적어도 하나의 정수부(240)는 제 2 수조부(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정수부(240)는 1차 정수망(242), 1차 정수공간(241), 2차 정수망(243) 및 회수관(244)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정수망(242)은 제 2 수조부(200)의 벽(Wall)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정수망(242)은 다수의 1차 정수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정수망(242)은 손잡이(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손잡이(245)를 이용하여 1차 정수망(242)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1차 정수망(242)을 통과하여 1차적으로 정수된 물은 1차 정수공간(241)에 모일 수 있다.
2차 정수망(243)은 1차 정수공간(241)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2차 정수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정수공간(241)에 모인 물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홀 또는 파이프를 통해 2차 정수망(243)에 공급되고, 2차 정수망(243)에 의해 2차적으로 정수될 수 있다.
2차 정수망(243)에 의해 정수된 물은 회수관(244)을 통해 물순환부(2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척부(2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소정의 펌프(Pump)일 수 있다.
도 20에는 정수부(240)를 구현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세척부(2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세척부(20)의 입구(EN) 측에 보일링부(10)에 의해 데쳐진 채소가 투입되면, 세척부(20)는 물분출부(210)를 이용하여 세척부(20)의 입구(EN)에서 출구(EX)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면, 투입된 채소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척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냉수)에 의해 채소의 온도는 충분히 낮아질 수 있다.
이후, 세척되고, 온도가 낮아진 채소는 제 3 컨베이어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무청, 배추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정수부(240)에 의해 정수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재사용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여 버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정수망(242) 또는 2차 정수망(243)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1의 경우와 같이, 1차 정수망(242)의 높이를 소정 높이(Z1)만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1차 정수망(242)에서 1차 정수 홀(H1)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에서 거품,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 등이 1차 정수공간(241)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다.
아울러, 1차 정수공간(241)으로 유입된 부유물질 등은 배출관(24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1차 정수공간(241)으로 유입된 부유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면 그 만큼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이 깨끗해질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정수부(240)는 제 1 정수부(240a)와 제 2 정수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수부(240a)는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 2 정수부(240b)는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고, 물순환부(250)는 제 2 수조부(200)가 정수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하여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정수부(240b)는, 도 23과 같이, 제 2 수조부(200)의 출구(EX)측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물순환부(250)는 제 2 정수부(240b)가 정수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정수부(240b)는 정수망(248), 취수공간(246a), 취수부(249) 및 정수공간(246b)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망(248)은 다수의 정수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수망(248)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은 정수그릇(246)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은 정수그릇(246) 내에서 정수망(24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그릇(246)에 레일(247)이 형성되고, 정수망(248)은 레일(246)에 삽입되어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을 구획할 수 있다.
취수공간(246a)과 제 2 수조부(200)는 취수통로(249)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 담긴 물은 취수통로(249)를 통해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되는 물을 어느 정도 정수하기 위해 취수통로(249)에 또 다른 정수망(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된 물은 정수망(248)을 통해 정수되어 정수공간(246b)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정수공간(246b)에 모인 물은 회수관(244)을 통해 물순환부(2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흐름 생성부(201)로 공급하거나, 보조 물분출부(230)로 공급하거나, 물분출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물순환부(250)는 제 2 정수부(240b)가 정수한 물을 제 2 수조부(200)로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척부(2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클린 채소 가공 장치(1A)를 이용한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는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채소를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 투입(S100)할 수 있다.
보일링부(10)에 투입된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제 1 수조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조부(150)에는 채소를 데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온도를 갖는 온수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된 채소는 온수에서 데쳐질 수 있다(S200).
채소를 데치는데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채소가 충분히 데쳐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채소를 데치는데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채소의 익힘의 정도가 과도하여 채소가 과도하게 물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채소는 60~90℃의 온수에서 데쳐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채소는 70~80℃의 온수에서 데쳐질 수 있다.
온수의 온도는 채소의 종류, 사이즈(두께 등),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는 60~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는 70~80℃일 수 있다.
또한,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이 과도하면 채소가 과도하게 길면 물러져 조직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이 과도하면 짧으면 채소가 충분히 데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30초~3분일 수 있다.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채소의 종류, 사이즈(두께 등),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채소를 온수에 데치는 시간은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자세하게는,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제 1 컨베이어부(100)가 제 1 수조부(150)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컨베이어부(100)가 제 1 수조부(150)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3분일 수 있다.
또한, 온수에서 데친 채소를 물로 씻는 샤워단계(S300)를 거칠 수 있다. 샤워과정은 앞선 설명한 샤워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로 데친 채소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로 샤워하게 되면 데친 채소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데침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데쳐진 채소의 온도를 충분히 낮추지 못하여 이후의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숙성과정(S400)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데쳐진 채소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져서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0~3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일 수 있다.
채소의 종류, 채소의 데침에 사용하는 온수의 온도, 채소의 데침에 소요되는 시간, 채소의 데침 이후 숙성단계(S400)가 시작되기까지 대기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에 따라 샤워단계(S300)는 생략될 수 있다.
데침 단계(S200) 이후에 데쳐진 채소를 숙성(S400)시킬 수 있다. 숙성단계는 고온의 온수에서 데쳐진 채소를 일정시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두어 숙성시킴으로써 통상의 시래기와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갈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온도, 채소의 종류, 사이즈,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샤워단계(S30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숙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채소의 숙성은 밀봉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은 외부의 공기 및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완벽히 차단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의 공기 및/또는 수분이 어느 정도 침투하는 것을 용인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가 있는 용기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용기의 덮개를 덮은 상태를 밀봉이라고 볼 수 있다. 또는, 비닐 봉투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비닐 봉투의 입구를 묶는 정도를 밀봉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는, 용기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용기를 비닐로 덮은 상태를 밀봉이라고 볼 수도 있다.
숙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시간 동안 채소를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숙성 시간이 과도하게 길면 채소가 물러지고, 식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데쳐진 채소의 숙성 시간이 과도하게 짧으면 채소가 충분히 숙성되지 않아 채소의 색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데친 채소를 숙성시키는 시간은 30분~4시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3시간일 수 있다.
숙성단계(S400) 이후에, 숙성시킨 채소를 세척부(20)에 투입하여 세척할 수 있다(S500).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데침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0~25℃일 수 있다.
세척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이후, 세척한 채소를 탈수할 수 있다(S600). 예를 들면, 세척한 채소를 탈수기에 투입하여 탈수시킬 수 있다.
이후, 탈수시킨 채소 혹은 세척한 채소를 포장할 수 있다(S700).
포장과정에서는 채소의 보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공포장과 급속동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한 채소를 비닐팩 등을 이용하여 진공 포장할 수 있다.
이후, 진공포장한 채소를 -20~40℃의 온도에서 급속 동결할 수 있다.
탈수단계(S600)는 세척단계(S500) 이후 세척된 채소의 수분량, 세척된 채소의 보관상태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생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채소를 데치고, 데친 채소를 세척하고, 세척한 채소를 포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데친 채소의 숙성시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우선, 처리할 채소로 무청과 배추(잎)을 선택하였다.
채소를 앞선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보일링부(10)를 이용하여 채소를 85℃의 온수로 40초 동안 데쳤다.
이후, 표 1에서와 같은 조건(숙성시간 0시간, 1시간, 3시간, 8시간)으로 데친 채소를 숙성시켰다.
이후, 숙성시킨 채소를 세척부(20)를 이용하여 숙성시킨 채소를 15℃의 냉수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채소를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시킨 채소를 다수의 검사관(사용자)들이 각자 색, 맛, 식감 등이 항목에 따라 검사하여 최저 0점부터 최고 10점까지 부여하였다.
다수의 검사관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숙성시간(hr) 식감

무청
0 2 6 7
1 8 8 8
3 9 8 8
8 5 2 3

배추(잎)
0 2 6 6
1 7 7 8
3 7 8 7
8 6 3 2
표 1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0시간, 즉 숙성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채소가 충분히 갈변되지 않아서 채소의 색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 숙성시간이 8시간인 경우에는 맛과 식감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이 과도하게 채소가 과도하게 물러짐으로써 맛과 식감이 저하돈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1시간인 경우 및 3시간인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데친 채소에 대한 냉수샤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 2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았다.
냉수 샤워는 앞서 설명한 샤워부(170)를 이용하여 15℃의 냉수를 데친 채소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모든 채소에 대해 30분 동안 숙성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탈수하고, 평가하였다.
샤워 숙성시간(min) 식감
무청 안함 30 8 4 5
실시함 30 8 7 8
배추(잎) 안함 30 6 3 3
실시함 30 7 6 8
표 2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데친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 맛과 식감 항목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채소를 데친 이후에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아 채소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데친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한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데친 채소에 대한 숙성과정에서의 조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 3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서는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개방상태는 용기에 데친 채소를 담고, 용기의 덮개를 덮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밀봉상태는 용기에 데친 채소를 담고, 용기를 비닐을 이용하여 덮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숙성시간은 모든 채소에 대해 3.5시간이었다.
이후,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탈수하고, 평가하였다.
숙성조건 숙성시간(hr) 식감
무청 개방 3.5 3 6 6
밀봉 3.5 9 9 8
배추(잎) 개방 3.5 4 5 6
밀봉 3.5 8 9 8
표 3을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개방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한 경우에 색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과정에서 채소의 온기 및 수분이 과도하게 유출되어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한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채소를 60~90℃의 온수에서 데치는 데침단계;
    데친 상기 채소를 30분~3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데친 상기 채소를 0~25℃의 냉수에서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세척한 상기 채소를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는 클린 채소 가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침단계에서는
    상기 채소를 60~90℃의 온수에서 10초~5분 동안 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침단계 이후 데친 상기 채소에 냉수를 분사하는 샤워단계; 및
    세척한 상기 채소를 탈수하는 탈수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에서는
    데친 상기 채소를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계는
    세척한 상기 채소를 진공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포장된 상기 채소를 -20~40℃에서 급속 동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64571A 2018-12-18 2018-12-18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75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71A KR20200075661A (ko) 2018-12-18 2018-12-18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71A KR20200075661A (ko) 2018-12-18 2018-12-18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61A true KR20200075661A (ko) 2020-06-26

Family

ID=7113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571A KR20200075661A (ko) 2018-12-18 2018-12-18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5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5917A (zh) * 2020-12-15 2021-04-16 临泉县梁塘农副产品购销有限公司 一种脱水蔬菜的漂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5917A (zh) * 2020-12-15 2021-04-16 临泉县梁塘农副产品购销有限公司 一种脱水蔬菜的漂烫装置
CN112655917B (zh) * 2020-12-15 2023-11-10 临泉县梁塘农副产品购销有限公司 一种脱水蔬菜的漂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40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US4721625A (en) Process for preparing low oil potato chips
AU765282B2 (en) Heating, cook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CN203913208U (zh) 净菜无害化高效加工保鲜系统
KR101060015B1 (ko) 고구마의 가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342544A (zh) 一种速冻熟制龙虾的制作方法及其使用的装置
CN105285066A (zh) 一种随程护色多温段烘干技术生产无硫百合干的方法
KR20200075668A (ko)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KR20200075661A (ko)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CN104206519A (zh) 一种脱水芒果的制作方法
CN109452594A (zh) 微波膨化甘薯脆片加工工艺
KR102313349B1 (ko) 게 세척 시스템
CN207707239U (zh) 一种漂烫机
CN106359806A (zh) 一种无皮的蜜饯类枣制品的制备方法
CN203776071U (zh) 一种螺旋式食品加热、冷却或干燥装置
KR101655883B1 (ko) 신속 세절 맛김치 제조시스템
KR101698037B1 (ko) 건나물 제조시스템
JPS6057826B2 (ja) 栗の剥皮方法
KR100382412B1 (ko) 배추 또는 무청 시래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08434681U (zh) 山核桃仁滚筒脱仁衣机及流水式脱仁衣物理设备
US7087262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hydrated precooked flaked pinto beans
KR20200075635A (ko)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KR102131541B1 (ko)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CN214962487U (zh) 一种胭脂果果糕成型机
CN109793041A (zh) 羽衣甘蓝鲜切杀青护绿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