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541B1 -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541B1
KR102131541B1 KR1020180164589A KR20180164589A KR102131541B1 KR 102131541 B1 KR102131541 B1 KR 102131541B1 KR 1020180164589 A KR1020180164589 A KR 1020180164589A KR 20180164589 A KR20180164589 A KR 20180164589A KR 102131541 B1 KR102131541 B1 KR 10213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getables
information
water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675A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18016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5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4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청, 배무채 등의 채소를 데치고, 세척하고, 냉각시키는 등의 채소 처리 과정에서 채소 가공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채소 가공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며, 저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출력하는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는 채소를 데치는 보일링부(Boiling Part) 및 상기 보일링부가 데친 상기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Cleaning Part)를 포함하는 채소 가공 장치,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부터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말기(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GETABLE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청, 배무채 등의 채소를 데치고, 세척하고, 냉각시키는 등의 채소 처리 과정에서 채소 가공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채소 가공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며, 저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출력하는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자연환경과 사회 경제적 영향으로 오랜 시간 식물성 식품인 김치 및 나물류의 이용이 발달하였다. 특히 제철에 나는 채소류를 말려 두었다 겨울철 식품재료로 이용하였는데, 대표적인 건조채소 식품으로는 무청 시래기 및 배추(잎) 시래기가 있다.
시래기는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건조채소로 엽록소(Chlorophyll)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당질의 함량이 낮고, 비타민 B1, B2, C, 나이아신, 단백질, 지질(脂質), 철분 및 칼슘이 높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최근에는 성인병 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무청에는 전분 분해효소인 디아스타제(Diastas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전분을 많이 섭취하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소화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시래기 제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비위생적인 측면이 많이 존재할 수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시래기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3-0084526호(문헌 1)(시래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래기)에서는 시래기를 1차 냉동하고, 냉동한 시래기를 삶고, 삶은 시래기를 세척/탈수하고, 세척/탈수한 시래기를 2차 냉동하고, 냉동한 시래기를 냉동 상태에서 숙성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1차 냉동, 삶기, 세척/탈수, 2차 냉동 및 숙성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시래기의 제조에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1에 따른 종래기술은 시래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시래기의 처리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적 구성은 전혀 게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114765호(문헌 2)(즉석식 무청 시레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시래기를 불리고 삶고, 삶은 시래기에 전분을 혼합하여 졸이고, 졸인 시래기를 건조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종래기술은 시래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시래기의 처리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적 구성은 전혀 게시하고 있지 않다.
[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3-0084526호 [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2-0114765호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채소(시래기)를 데치고, 데친 채소를 세척하고, 세척한 채소를 냉각시키는 채소 가공 장치가 생성하는 처리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는 채소를 데치는 보일링부(Boiling Part) 및 상기 보일링부가 데친 상기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Cleaning Part)를 포함하는 채소 가공 장치,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부터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말기(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소의 데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채소의 세척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채소의 데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채소의 데침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채소의 세척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채소의 세척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 명령을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채소 가공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채소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채소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상기 채소의 데침 시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상기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온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및 상기 채소의 세척 시간 제어에 대한 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채소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채소 처리 정보)를 관리/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채소 처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채소 처리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소 가공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보일링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3은 세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9는 냉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급속 냉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채소 가공 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서버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단말기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46은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1A)는 보일링부(Boiling Part, 10), 세척부(Cleaning Part, 20) 및 냉각부(Colling Part, 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일링부(10)는 온수를 이용하여 채소를 데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채소에 대해 무청 및 배추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채소로서 배무채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채소는 말리지 않은 상태이거나 말린 상태의 무청, 배추, 취나물 및 고사리 등의 나물류, 청경채, 고구마 줄기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 상태의 채소일 수 있고, 시래기 상태가 아니지만 시래기로 만들 수 있는 채소일 수도 있다.
세척부(20)는 보일링부(10)가 냉수를 이용하여 데친 채소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20)가 채소의 세척에 이용하는 물(냉수)의 온도는 보일링부(10)가 채소의 데침에 이용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냉각부(30)는 세척부(20)가 세척한 채소를 냉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30)가 채소의 냉각에 사용하는 냉수의 온도는 세척부(20)가 채소의 세척에 사용하는 냉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일링부(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보일링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제 1 컨베이어부(First Conveyer Part, 100), 제 2 컨베이어부(Second Conveyer Part, 110), 샤워부(Shower Part, 170), 제 1 수조부(First Water Tank Part, 150), 제 1 환기부(First Ventilation Part, 120) 및 제 2 환기부(Second Ventilation Par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Housing, 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제 1 수조부(150)에 담긴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수조부(150)를 덮을 수 있다.
제 1 수조부(15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try, EN)와 출구(Exit, EX)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수조부(150)는 채소를 데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온도의 물, 즉 온수가 담길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조부(150)에는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지날 수 있다.
제 1 컨베이어부(100)는 작업자 혹은 다른 장치에 의해 채소가 놓이고, 놓인 채소를 이송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채소가 놓일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입구는 채소를 투입하는 투입구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의 출구(EX) 측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로부터 데쳐진 채소가 배출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출구는 데쳐진 채소가 배출되는 배출구라고 볼 수 있다.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대응되며,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놓인 채소가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아울러,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수조부(150) 내에서 채소가 온수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채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컨베이어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수조부(150) 내에서 온수에 잠길 수 있다.
제 1 환기부(12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서 제 1 수조부(150)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환기부(12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수조부(150)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환기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환기부(13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 제 1 수조부(150)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환기부(13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 측에서 제 1 수조부(150)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환기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17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관계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에서는 제 1 컨베이어부(100)의 회전 방향과 제 2 컨베이어부(110)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3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의 입구(EN)와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충분한 간격(d1, d3)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서는 채소의 투입이 용이하고,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는 채소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의 입구(EN) 및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는 제 2 컨베이어부(110)보다 소정 길이(L1, L2)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소의 투입과 배출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제 1 수조부(150)에서는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충분히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수조부(150)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d2)은 보일링부(10)의 입구(EN) 및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d1, d3)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2 컨베이어부(100, 110)의 벨트부(BT)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는 각각 채소가 놓이는 벨트부(Belt Part, BT) 및 벨트부(BT)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체인부(Chain Part, C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부(BT)는 채소의 효과적인 데침을 위해 투수가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부(BT)는 망사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일링부(10)는 제 1, 2 컨베이어부(100, 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구동부(Conveyer 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구동부(미도시)가 공급하는 동력은 제 1 컨베이어부(100) 및/또는 제 2 컨베이어부(110)의 체인부(CH)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체인부(CH)에 의해 제 1 컨베이어부(100) 및/또는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구동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는 벨트부(BT)에 배치되며, 벨트부(BT)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PT)는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 상에서 채소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돌출부(PT)는 그 단면이 알파벳 대문자 '엘'(L)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PT)는 칸막이, 블레이드(Blade) 등으로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제 1 컨베이어부(100)를 실제 구현한 일례의 일부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 체인부(CH) 및 돌출부(PT)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의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수조부(150)로 갈수록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하우징(140) 내에서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처지지 않도록 제 2 컨베이어부(110)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부(Conveyer Supporter,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지지부(160)는 하우징(1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컨베이어 지지부(160)가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컨베이어 지지부(16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 및/또는 제 1 수조부(150)에 더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샤워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워부(170)는 샤워관(171) 및 샤워노즐(1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샤워부(170)가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10과 같이, 보일링부(10)는 온수배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수배출부(180)는 제 1 수조부(1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온수배출부(180)는 제 1 수조부(150)의 하부와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구 뚜껑(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보일링부(1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가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 채소를 투입할 수 있다.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구동되면서, 투입된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입구(EN)에서 제 1 수조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채소가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진 온수에 의해 데쳐질 수 있다.
이처럼, 채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데쳐짐에 따라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대량의 채소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 1 수조부(150)에서 데쳐진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보일링부(10)의 출구(EX)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샤워부(17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로 이송된 채소에 냉수를 분사하여 데쳐진 채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채소의 데침 과정을 완성할 수 있다.
이후, 배출구 뚜껑(181)을 열어(Open) 제 1 수조부(150)에 담긴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후에 새로운 온수를 제 1 수조부(150)에 채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세척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23은 세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세척부(20)는 제 2 수조부(Second Water Tank Part, 200), 제 1 물분출부(First Water Jet Part, 210), 정수부(Water Cleaning Part, 240), 물순환부(Water Circulation Part, 250) 및 제 3 컨베이어부(Third Conveyer Part, 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세척부(20)는 보조 샤워부(Auxiliary Shower Part,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는 냉수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에는 보일링부(10)에서 데쳐진 채소가 투입될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지는 물(냉수)의 온도는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데쳐진 채소가 투입되면, 투입된 채소는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세척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며, 품온이 어느 정도 하강할 수 있다.
정수부(240)는 제 2 수조부(200)의 물을 정수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정수부(240)가 정수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제 3 컨베이어부(220)는 세척부(20)에서 세척된 채소를 외부로 운송할 수 있다.
제 1 물분출부(210)는 제 2 수조부(200) 내에서 입구(EN)에서 출구(EX)로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물분출부(210)는 제 2 수조부(200)의 상부에서 채소가 투입되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를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제 1 물분출부(210)는 물파이프(Water Pipe, 211)와 적어도 하나의 노즐(Nozzle,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파이프(211)는 제 2 수조부(200)의 상부에서 제 2 수조부(20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노즐(212)은 물파이프(211)에 설치되며, 물을 분출할 수 있다.
제 1 물분출부(210)는 비스듬히 물을 분출하기 위해, 도 13과 같이, 노즐(212)은 물파이프(211)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에 수직하는 직선(PL)과 노즐(212)의 연장선(JL) 사이의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아울러, 노즐(212)의 연장선(JL)은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과 교차할 수 있다.
도 14에는 제 1 물분출부(210)가 비스듬한 각도로 물을 분출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은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은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 대응되고, 제 3 부분(BS3)은 제 2 수조부(200)의 출구(EX)측에 대응되고, 제 2 부분(BS1)의 제 1 부분(BS1)과 제 3 부분(BS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은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수조부(200)는 물을 담는 공간의 크기가 입구(EN) 측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많은 양의 채소를 한꺼번에 투입하더라도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 투입된 채소를 출구(EX)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부분(BS2)은 제 1 부분(BS1) 및 제 3 부분(BS3)에 비해 돌출되어 더 높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겨우, 제 2 수조부(20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제 2 부분(BS2)에서는 물의 깊이가 제 1 부분(BS1) 및 제 3 부분(BS3)에 비해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물분출부(210)가 분출하는 물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는 제 2 물분출부(Second Water Jet Part, 2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물분출부(201)는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의 벽에서 출구(EX)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샤워부(230)는 세척부(20)의 출구(EX)에서 제 3 컨베이어부(220)를 향해 물을 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부(20)의 출구(EX)에서 세척된 채소가 배출되기 전에 추가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샤워부(230)는, 도 17의 경우와 같이, 보조 물파이프(Auxiliary Water Pipe, 231)와 보조 물파이프(231)에 설치되는 보조 노즐(Auxiliary Nozzle, 23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노즐(232)은 제 3 컨베이어부(220)의 벨트부(BT)를 향할 수 있다.
도 18에는 보조 샤워부(230)를 구현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정수부(240)와 물순환부(250)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적어도 하나의 정수부(240)는 제 2 수조부(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정수부(240)는 1차 정수망(242), 1차 정수공간(241), 2차 정수망(243) 및 회수관(244)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정수망(242)은 제 2 수조부(200)의 벽(Wall)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정수망(242)은 다수의 1차 정수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정수망(242)은 손잡이(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손잡이(245)를 이용하여 1차 정수망(242)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1차 정수망(242)을 통과하여 1차적으로 정수된 물은 1차 정수공간(241)에 모일 수 있다.
2차 정수망(243)은 1차 정수공간(241)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2차 정수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정수공간(241)에 모인 물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홀 또는 파이프를 통해 2차 정수망(243)에 공급되고, 2차 정수망(243)에 의해 2차적으로 정수될 수 있다.
2차 정수망(243)에 의해 정수된 물은 회수관(244)을 통해 물순환부(2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척부(2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소정의 펌프(Pump)일 수 있다.
도 20에는 정수부(240)를 구현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세척부(2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세척부(20)의 입구(EN) 측에 보일링부(10)에 의해 데쳐진 채소가 투입되면, 세척부(20)는 제 1 물분출부(210)를 이용하여 세척부(20)의 입구(EN)에서 출구(EX)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면, 투입된 채소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척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냉수)에 의해 채소의 온도는 충분히 낮아질 수 있다.
이후, 세척되고, 온도가 낮아진 채소는 제 3 컨베이어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무청, 배추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정수부(240)에 의해 정수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재사용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여 버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정수망(242) 또는 2차 정수망(243)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1의 경우와 같이, 1차 정수망(242)의 높이를 소정 높이(Z1)만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1차 정수망(242)에서 1차 정수 홀(H1)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에서 거품,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 등이 1차 정수공간(241)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다.
아울러, 1차 정수공간(241)으로 유입된 부유물질 등은 배출관(24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1차 정수공간(241)으로 유입된 부유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면 그 만큼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이 깨끗해질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정수부(240)는 제 1 정수부(240a)와 제 2 정수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수부(240a)는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 2 정수부(240b)는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고, 물순환부(250)는 제 2 수조부(200)가 정수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하여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정수부(240b)는, 도 23과 같이, 제 2 수조부(200)의 출구(EX)측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물순환부(250)는 제 2 정수부(240b)가 정수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정수부(240b)는 정수망(248), 취수공간(246a), 취수부(249) 및 정수공간(246b)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망(248)은 다수의 정수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수망(248)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은 정수그릇(246)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은 정수그릇(246) 내에서 정수망(24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그릇(246)에 레일(247)이 형성되고, 정수망(248)은 레일(246)에 삽입되어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을 구획할 수 있다.
취수공간(246a)과 제 2 수조부(200)는 취수통로(249)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수조부(200)에 담긴 물은 취수통로(249)를 통해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되는 물을 어느 정도 정수하기 위해 취수통로(249)에 또 다른 정수망(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된 물은 정수망(248)을 통해 정수되어 정수공간(246b)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정수공간(246b)에 모인 물은 회수관(244)을 통해 물순환부(2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제 2 물분출부(201)로 공급하거나, 보조 샤워부(230)로 공급하거나, 제 1 물분출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물순환부(250)는 제 2 정수부(240b)가 정수한 물을 제 2 수조부(200)로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척부(2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 내지 도 30은 냉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냉각부(30)는 물 냉각부(Water Cooling Part, 330), 냉각 수조부(Cooling Water Tank Part, 300) 및 흐름 생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 냉각부(330)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는 세척부(20)가 세척한 채소가 투입되며 냉수가 채워질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지는 물(냉수)의 온도는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지는 물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에는 물 냉각부(330)가 냉각시킨 물이 채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 수조부(3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세척부(200)에 의해 세척된 채소가 투입되면, 투입된 채소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품온이 충분히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과정에서 채소가 충분히 세척되었기 때문에 냉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세척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짧은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냉각부(30)의 냉각 수조부(300)의 길이(S1)는 세척부(20)의 제 2 수조부(200)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흐름 생성부(310)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try)에서 출구(Exit)를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냉각부(30)는 정수부(Water Cleaning Part, 340), 물순환부(Water Circulation Part, 350) 및 제 4 컨베이어부(Fourth Conveyer Part, 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부(340)는 냉각 수조부(300)의 물을 정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부(340)는 냉각 정수부(340)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각 정수부(340)를 '정수부(340)'로 칭한다.
물순환부(350)는 정수부(340)가 정수한 물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 수조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물순환부(350)는 냉각 물순환부(350)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각 물순환부(350)를 '물순환부(350)'라고 칭한다.
제 4 컨베이어부(320)는 냉각부(30)에서 냉각된 채소를 외부로 운송할 수 있다.
물 냉각부(3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물 냉각부(330)는 물순환부(3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부(340)가 정수한 물은 제 1 공급관(331)을 통해 물순환부(35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물순환부(350)는 제 1 공급관(331)을 통해 공급받은 정수된 물을 물 냉각부(330)로 공급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물이 제 2 공급관(332)을 통해 물 냉각부(330)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 냉각부(330)부는 물순환부(35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된 물 및/또는 제 2 공급관(332)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 냉각부(330)가 냉각시킨 물은 제 3 공급관(333)을 통해 냉각부(3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냉각부(330)가 냉각시킨 물은 제 3 공급관(333)을 통해 냉각 수조부(300)로 공급되거나, 흐름 생성부(310)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냉각부(30)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25의 경우와 같이, 냉각부(30)는 냉각 수조부(300)를 덮는 덮개부(Covering Part, 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60)는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냉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 수조부(300)에 덮개부(3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된 채소를 입구(EN) 측에 보다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입구(EN)가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 측의 벽(EW)의 상부는 하부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흐름 생성부(310)는 흐름 생성부(310)는 냉각 수조부(300) 내에서 입구(EN)에서 출구(EX)로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흐름 생성부(310)는 제 3 물분출부(311)와 제 4 물분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물분출부(311)는 냉각 수조부(300)의 상부에서 채소가 투입되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를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물분출부(311)는 물파이프(311a)와 적어도 하나의 노즐(311b)을 포함할 수 있다.
물파이프(311a)는 냉각 수조부(300)의 상부에서 냉각 수조부(30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노즐(311b)은 물파이프(311a)에 설치되며, 물을 분출할 수 있다.
제 3 물분출부(311)에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하기 위해 노즐(311b)은 물파이프(311a)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도 12 내지 도 13을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흐름 생성부(310)가 제 3 물분출부(311) 및 제 4 물분출부(312)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흐름 생성부(310)는 제 3 물분출부(311) 또는 제 4 물분출부(31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면(BS)은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은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에 대응되고, 제 3 부분(BS3)은 냉각 수조부(300)의 출구(EX)측에 대응되고, 제 2 부분(BS1)은 제 1 부분(BS1)과 제 3 부분(BS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은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에 대해서는 앞선 도 15 및 도 16을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제 4 물분출부(312)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의 벽(EW)에 형성될 수 있다.
제 4 물분출부(312)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의 벽(EW)에서 출구(EX)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7을 살펴보면, 냉각부(30)는 냉각기(Cooler, 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370)는 냉각 수조부(3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냉각기(370)는 냉수에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다.
이러한 냉각기(370)는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냉수의 온도를 빼앗아 냉수의 온도를 충분히 낮출 수 있다.
도 28의 (A)를 살펴보면,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면(BS)은 바닥홀(H4)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물은 바닥홀(H4)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8의 (A) 및 (B)와 같이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면(BS) 중 제 2 부분(BS2)의 하부에 냉각기(370)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의 벽(BW)과 제 2 부분(BS2) 사이의 공간에 냉각기(37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물이 바닥홀(H4)을 통해 이동하면서 냉각기(370)에 의해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기(370)가 제 2 부분(BS2)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채소가 냉각기(370)에 걸리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9를 살펴보면, 적어도 하나의 정수부(340)는 냉각 수조부(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정수부(340)는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고, 정수부(340)가 정수한 물은 물순환부(350)에 의해 물 냉각부(330)로 공급될 수 있다.
정수부(340)는 냉 정수그릇(Cold Water Cleaning Container, 346), 제 1 냉 정수공간(First Cold Water Cleaning Room, 346b), 제 2 냉 정수공간(Second Cold Water Cleaning Room, 346c), 냉 취수공간(Cold Water Intake Room, 346a), 1차 냉 정수망(348a) 및 2차 냉 정수망(348b)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수조부(300)에 물이 채워지면, 냉각 수조부(300)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된 냉 취수통로(349)를 통해 냉각 수조부(300)의 물이 냉 정수그릇(346)의 냉 취수공간(346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냉 취수공간(346a)으로 유입된 물은 1차 냉 정수망(348a)과 2차 냉 정수망(348b)을 통해 정수되어 제 1 냉 정수공간(346b)을 거쳐 제 2 냉 정수공간(346c)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 냉 정수공간(346c)으로 유입된 정수된 물을 제 2 냉 정수공간(346c)에 형성된 배수통로(349b)를 통해 물순환부(3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을 정수하기 위해, 1차 냉 정수망(348a)은 1차 냉 정수홀(H5)을 포함하고, 2차 냉 정수망(348b)은 2차 냉 정수홀(H6)을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정수를 위해, 1차 냉 정수홀(H5)의 크기는 2차 냉 정수홀(H6)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 1 냉 정수공간(346b), 제 2 냉 정수공간(346c) 및 냉 취수공간(346a)은 냉 정수그릇(346)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냉 정수공간(346b), 제 2 냉 정수공간(346c) 및 냉 취수공간(346a)은 냉 정수그릇(346) 내에서 1차 냉 정수망(348a)과 2차 냉 정수망(348b)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 정수그릇(346)에 제 1 레일(347a)과 제 2 레일(347b)이 형성될 수 있다.
1차 냉 정수망(348a)은 제 1 레일(346a)에 삽입되어 냉 취수공간(346a)과 제 1 냉 정수공간(346b)을 구획할 수 있다.
2차 냉 정수망(348b)은 제 2 레일(346b)에 삽입되어 제 1 냉 정수공간(346b)과 제 2 냉 정수공간(346c)을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각부(3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데쳐지고, 세척되고, 냉각된 채소를 급속 냉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0은 급속 냉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1A)는 보일링부(10), 세척부(20) 및 냉각부(30) 이외에 급속 냉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속 냉동부(40)는 냉각부(30)가 냉각시킨 채소를 영하의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급속 냉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데친 채소의 세척 후 냉각부(30)에 의한 냉각을 거친 이후에 채소를 급속 냉동시키면 급속 냉동의 효율도 향상될 뿐 아니라, 냉동이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채소의 본연의 식감, 맛 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히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냉각부(30)에 의해 냉각된 채소를 급속 냉동부(4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클린 채소 가공 장치(1A)를 이용한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1은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1을 살펴보면, 채소를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 투입(S100)할 수 있다.
보일링부(10)에 투입된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제 1 수조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수조부(150)에는 채소를 데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온도를 갖는 온수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된 채소는 온수에서 데쳐질 수 있다(S200).
채소를 데치는데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채소가 충분히 데쳐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채소를 데치는데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채소의 익힘의 정도가 과도하여 채소가 과도하게 물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채소는 60~90℃의 온수에서 데쳐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채소는 70~80℃의 온수에서 데쳐질 수 있다.
온수의 온도는 채소의 종류, 사이즈(두께 등),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는 60~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는 70~80℃일 수 있다.
또한,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이 과도하면 채소가 과도하게 길면 물러져 조직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이 과도하면 짧으면 채소가 충분히 데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30초~3분일 수 있다.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채소의 종류, 사이즈(두께 등),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채소를 온수에 데치는 시간은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자세하게는,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제 1 컨베이어부(100)가 제 1 수조부(150)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컨베이어부(100)가 제 1 수조부(150)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3분일 수 있다.
또한, 온수에서 데친 채소를 물로 씻는 샤워단계(S300)를 거칠 수 있다. 샤워과정은 앞선 설명한 샤워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로 데친 채소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로 샤워하게 되면 데친 채소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데침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데쳐진 채소의 온도를 충분히 낮추지 못하여 이후의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숙성과정(S400)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데쳐진 채소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져서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0~3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일 수 있다.
채소의 종류, 채소의 데침에 사용하는 온수의 온도, 채소의 데침에 소요되는 시간, 채소의 데침 이후 숙성단계(S400)가 시작되기까지 대기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에 따라 샤워단계(S300)는 생략될 수 있다.
데침 단계(S200) 이후에 데쳐진 채소를 숙성(S400)시킬 수 있다. 숙성단계는 고온의 온수에서 데쳐진 채소를 일정시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두어 숙성시킴으로써 통상의 시래기와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갈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온도, 채소의 종류, 사이즈,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샤워단계(S30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숙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채소의 숙성은 밀봉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은 외부의 공기 및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완벽히 차단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의 공기 및/또는 수분이 어느 정도 침투하는 것을 용인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가 있는 용기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용기의 덮개를 덮은 상태를 밀봉이라고 볼 수 있다. 또는, 비닐 봉투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비닐 봉투의 입구를 묶는 정도를 밀봉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는, 용기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용기를 비닐로 덮은 상태를 밀봉이라고 볼 수도 있다.
숙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시간 동안 채소를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숙성 시간이 과도하게 길면 채소가 물러지고, 식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데쳐진 채소의 숙성 시간이 과도하게 짧으면 채소가 충분히 숙성되지 않아 채소의 색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데친 채소를 숙성시키는 시간은 30분~4시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3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숙성단계(S400)를 거치면 무청 등의 채소를 오랜시간 말리는 과정을 생략하여도 충분한 맛, 식감, 색감을 갖는 시래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말리는 과정(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생무청을 데치고, 데친 생무청을 30분~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3시간 동안 충분히 높은 온도로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하게 되면, 생무청을 수일에 걸쳐 건조한 것과 유사한 맛, 식감, 색감을 갖는 시래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숙성단계(S400)를 이용하면 다량의 시래기를 짧은 시간 내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생무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숙성과정(S400)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가 필요하므로, 샤워단계(S300)는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숙성단계(S400) 이후에, 숙성시킨 채소를 세척부(20)에 투입하여 세척할 수 있다(S500).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데침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0~30℃, 바람직하게는 5~25℃일 수 있다.
세척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이후, 세척한 채소를 냉각(S600)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과정은 냉각부(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냉각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세척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4~15℃, 바람직하게는 0~10℃일 수 있다.
세척과정에서 채소가 충분히 세척되었기 때문에 냉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세척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짧은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냉각부(30)의 냉각 수조부(300)에서 물의 속도를 제 2 수조부(200)에서 물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는, 흐름 생성부(310)의 물 분출량, 분출속도 등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후, 냉각시킨 채소를 탈수할 수 있다(S700). 예를 들면, 냉각시킨 채소를 탈수기에 투입하여 탈수시킬 수 있다.
탈수단계(S700)는 냉각단계(S600) 이후 세척된 채소의 수분량, 세척된 채소의 보관상태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후, 탈수시킨 채소 혹은 냉각시킨 채소를 -20~-40℃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킬 수 있다(S800).
채소를 급속냉동시키기 전에 채소를 진공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척한 채소를 비닐팩 등을 이용하여 진공 포장할 수 있다.
이후, 진공포장한 채소를 -20~-40℃의 온도에서 급속 동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채소를 데치고, 데친 채소를 세척하고, 세척한 채소를 냉각시키고, 냉각시킨 채소를 급속냉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데친 채소의 숙성시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우선, 처리할 채소로 무청과 배추(잎)을 선택하였다.
채소를 앞선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보일링부(10)를 이용하여 채소를 85℃의 온수로 40초 동안 데쳤다.
이후, 표 1에서와 같은 조건(숙성시간 0시간, 1시간, 3시간, 8시간)으로 데친 채소를 숙성시켰다.
이후, 숙성시킨 채소를 세척부(20)를 이용하여 숙성시킨 채소를 15℃의 냉수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채소를 다수의 검사관(사용자)들이 각자 색, 맛, 식감 등이 항목에 따라 검사하여 최저 0점부터 최고 10점까지 부여하였다.
다수의 검사관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하의, 표 1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0시간, 즉 숙성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채소가 충분히 갈변되지 않아서 채소의 색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숙성시간(hr) 식감

무청
0 2 6 7
1 8 8 8
3 9 8 8
8 5 2 3

배추(잎)
0 2 6 6
1 7 7 8
3 7 8 7
8 6 3 2
표 1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0시간, 즉 숙성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채소가 충분히 갈변되지 않아서 채소의 색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 숙성시간이 8시간인 경우에는 맛과 식감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이 과도하게 채소가 과도하게 물러짐으로써 맛과 식감이 저하돈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1시간인 경우 및 3시간인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데친 채소에 대한 냉수샤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 2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았다.
냉수 샤워는 앞서 설명한 샤워부(170)를 이용하여 15℃의 냉수를 데친 채소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모든 채소에 대해 30분 동안 숙성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하고, 평가하였다.
샤워 숙성시간(min) 식감
무청 안함 30 8 4 5
실시함 30 8 7 8
배추(잎) 안함 30 6 3 3
실시함 30 7 6 8
표 2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데친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 맛과 식감 항목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채소를 데친 이후에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아 채소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데친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한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데친 채소에 대한 숙성과정에서의 조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 3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서는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개방상태는 용기에 데친 채소를 담고, 용기의 덮개를 덮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밀봉상태는 용기에 데친 채소를 담고, 용기를 비닐을 이용하여 덮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숙성시간은 모든 채소에 대해 3.5시간이었다.
이후,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하고, 평가하였다.
숙성조건 숙성시간(hr) 식감
무청 개방 3.5 3 6 6
밀봉 3.5 9 9 8
배추(잎) 개방 3.5 4 5 6
밀봉 3.5 8 9 8
표 3을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개방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한 경우에 색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숙성과정에서 채소의 온기 및 수분이 과도하게 유출되어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한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데친 채소에 대한 냉각과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하였다.
이후, 표 4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냉각처리를 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서는 냉각처리를 생략하였다.
냉각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대략 4℃이고, 냉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30초이다.
이후, 냉각처리한 채소 및 냉각시키지 않은 채소 모두를 -25℃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키고, 하루(2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급속냉동시킨 채소를 상온에서 해동시켜 평가하였다.
냉각처리 식감
무청 생략 7 6 6
실시함 8 8 9
배추(잎) 생략 6 7 6
실시함 9 9 8
표 4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에서 채소를 세척한 이후 냉각처리를 생략하는 경우에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데쳐진 채소를 세척 이후에 채소의 온도가 충분히 낮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냉동되었기 때문이라고 예측된다.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에서 채소를 세척한 이후 냉각 과정을 거치고 급속냉동은 시킨 경우에는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채소의 처리(가공) 과정을 통해 채소 처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서버(Server)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는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10A)는 채소 가공 장치(1A), 서버(2A) 및 사용자 단말기(3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소 가공 장치(1A)는 앞서 설명한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1A)'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채소 가공 장치(1A)는 채소를 데치는 보일링부(10) 및 보일링부(10)가 데친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채소 가공 장치(1A)는 세척한 채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30) 및/또는 냉각시킨 채소를 급속냉동시키는 급속 냉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채소 가공 장치(1A)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서버(2A)는 채소 가공 장치(1A)로부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3A)는 서버(2A)로부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채소 가공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채소 가공 장치(1A)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3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3은 채소 가공 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3을 살펴보면, 채소 가공 장치(1A)는 보일링부(10), 세척부(20), 냉각부(30), 급속냉동부(40), 제어부(190), 통신부(191), 메모리부(192) 및 사용자 입력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채소 가공 장치(1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일링부(10)는 채소의 데침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센싱부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채소의 데침 시간,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등의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세척부(20)는 데쳐진 채소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센싱부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데쳐진 채소의 세척 시간, 세척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 등의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190)를 전송할 수 있다.
냉각부(30)는 세척한 채소의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센싱부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세척된 채소의 냉각 시간, 냉각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 등의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190)를 전송할 수 있다.
급속 냉동부(40)는 냉각시킨 채소의 급속 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센싱하는 제 4 센싱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센싱부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냉각된 채소를 급속 냉동시키기 위한 냉동 온도, 냉동고에 저장되는 채소의 양 등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190)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9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9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서버(2A)로 제 1, 2, 3, 4 센싱부가 센싱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서버(2A)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부(192)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채소 가공 장치(1A)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채소 가공 장치(1A)의 구동에 필요에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3)는 키보드 등의 키 입력수단,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수단, 스위치 등의 스위칭 수단 등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93)를 이용하여 보일링부(10), 세척부(20), 냉각부(30) 및/또는 급속 냉동부(40)를 동작시키거나, 채소의 데침, 세척, 냉각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 데침 속도, 세척 속도, 냉각 속도 등의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채소 가공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의 센싱을 제어하고,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90)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보일링부(10), 세척부(20), 냉각부(30) 및/또는 급속 냉동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채소 가공 장치(1A)는 채소의 데침에 대한 정보, 채소의 세척에 대한 정보, 채소의 냉각에 대한 정보 및/또는 채소의 급속 냉동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채소의 데침에 대한 정보는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채소의 데침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소의 세척에 대한 정보는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채소의 세척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소의 냉각에 대한 정보는 채소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채소의 냉각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소의 급속 냉동에 대한 정보는 급속 냉동에 필요한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급속 냉동된 채소의 저장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소 가공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하기 위한 서버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3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4는 서버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서버(2A)는 보일링 정보부(500), 세척 정보부(501), 냉각 정보부(502), 급속 냉동 정보부(503), 장치 정보부(504), 사용자 정보부(505), 인증부(506), 통계부(507), 추천 정보부(508),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DB, 509), 통신부(510), 알람부(511) 및 제어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2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일링 정보부(500)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의 데침을 담당하는 보일링부(1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일링부(10)의 일련번호 등의 장치에 대한 고유정보, 장치 타입에 대한 정보,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 데침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세척 정보부(501)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의 세척을 담당하는 세척부(2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부(20)의 일련번호 등의 장치에 대한 고유정보, 장치 타입에 대한 정보,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 세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냉각 정보부(502)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의 냉각을 담당하는 냉각부(3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부(30)의 일련번호 등의 장치에 대한 고유정보, 장치 타입에 대한 정보, 채소의 냉각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 냉각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급속 냉동 정보부(503)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의 급속 냉동을 담당하는 급속 내동부(4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속 냉동부(40)의 일련번호 등의 장치에 대한 고유정보, 장치 타입에 대한 정보, 용량에 대한 정보, 급속 냉동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장치 정보부(504)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 가공 장치(1A)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에를 들면, 장치 정보부(504)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일련 번호 등 장치의 고유정보, 채소 가공 장치(1A)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부(505)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 가공 장치(1A)의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부(505)는 사용자의 지역에 대한 정보(채소 가공 장치(1A)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정보 등), 이름 등의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인증부(506)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A)의 인증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아이디(ID), 비밀번호(PW),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장치에 대한 고유정보 등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통계부(507)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 가공 장치(1A)가 생성한 채소 가공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연산/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추천 정보부(508)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추천 정보를 생성/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DB, 509)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서버(2A)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510)는 채소 가공 장치(1A)로부터 채소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채소 가공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A)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510)는 단말기(3A)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채소 가공 장치(1A)로 전송할 수 있다.
알람부(511)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채소 가공 장치(1A)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생성/저장/관리/가공할 수 있다.
알람부(511)가 생성한 알람정보는 제어부(512)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510)가 단말기(3A)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512)는 서버(2A)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12)는 채소 가공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제어명령 및/또는 사용자 명령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통계정보의 생성, 추천정보의 생성, 알람정보의 생성 및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채소 가공 정보를 서버(2A)로부터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말기(3A)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3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5는 단말기의 회로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5를 살펴보면, 단말기(3A)는 제어부(600), 전원 공급부(601), 디스플레이부(602), 음성 출력부(603), 통신부(604), 사용자 입력부(605), 메모리부(606) 및 인터페이스부(6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3A)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 공급부(601)는 단말기(3A)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1)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고, 단말기(3A)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2)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602)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채소 가공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603)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604)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604)는 서버(2A)로부터 채소 가공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2A)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605)는 키보드 등의 키 입력수단, 터치 패널 등의 터치 수단 등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605)를 이용하여 온도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 시간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부(606)는 다양한 채소 가공 정보를 저장하고,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606)는 채소 가공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앱(App)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07)는 단말기(3A)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07)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3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단말기(3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단말기(3A)의 통화의 송수신, 데이터의 송수신, 서버(2A)와의 채소 가공 정보의 수신, 사용자 명령의 송신 등의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3A)는 통신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3A)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채소 가공 장치(1A), 서버(2A) 및 단말기(3A)를 포함하는 채소 가공 장치(10A)를 이용한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6 내지 도 46은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6을 살펴보면, 채소 가공 장치(1A)가 동작(S10)하면 채소 가공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채소 가공 장치(1A)의 동작을 확인하는 과정(S10)에 대해 도 37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7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전원을 턴-온(Turn-On)시키는 방법으로 채소 가공 장치(1A)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채소 가공 장치(1A)의 제어부(190)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활성화를 확인(S11)할 수 있다.
이후, 채소 가공 장치(1A)의 통신부(191)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서버(2A)로 장치 정보를 전송(S12)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91)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고유 정보, 보일링부(10)의 고유 정보, 세척부(20)의 고유 정보, 냉각부(30)의 고유 정보 및/또는 급속 냉동부(40)의 고유 정보를 서버(2A)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서버(2A)에서는 활성화된 채소 가공 장치(1A)를 확인하고, 활성화된 채소 가공 장치(1A)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도 함께 확인(S13)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3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활성화가 확인된 채소 가공 장치(1A)에 대응하는 단말기(3A)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서버(2A)는 채소 가공 장치(1A)가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4)할 수 있다.
채소 가공 장치(1A)의 동작에 대한 판단은 채소 가공 장치(1A)의 통신부(191)로부터 서버(2A)로 전송되는 신호를 근거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소 가공 장치(1A)에 채소를 투입하고, 데침, 세척, 냉각 및 급속 냉동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90)는 보일링부(10), 세척부(20), 냉각부(30) 및/또는 급속 냉동부(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온도, 속도, 양 등에 대한 채소 가공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190)는 채소 가공에 관련된 정보의 수신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채소 가공 장치(1A)가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서버(2A)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버(2A)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동작을 확인(S16)할 수 있다.
반면에, 채소 가공 장치(1A)가 동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2 단계(Default 2, S15)로 진행할 수 있다.
제 2 단계(S15)에서는 채소 가공 장치(1A)가 동작하기까지 대기하는 등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6의 설명을 이어가면, 동작을 확인(S10)하는 단계 이후에 채소 가공 장치(1A)는 생성된 채소 가공 정보를 서버(2A)로 전송하고, 서버(2A)는 단말기(3A)로 채소 가공 정보를 전송(S20)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3A)에서는 서버(2A)로부터 전송받은 채소 가공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출력(S30)할 수 있다.
서버(2A)에서 단말기(3A)로 채소 가공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3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8을 살펴보면, 서버(2A)가 채소 가공 장치(1A)로부터 채소 가공 정보를 수신(S21)할 수 있다.
이후, 서버(2A)는 채소 가공 장치(1A)에 대응되는 단말기(3A)가 활성화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S22)할 수 있다.
단말기(3A)의 활성화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3A)에 채소 가공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소정의 앱(App)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앱을 실행시키는 방법으로 단말기(3A)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단말기(3A)에서 해당 앱이 실행되면, 단말기(3A)는 서버(2A)로 단말기(3A)의 정보 및/또는 단말기(3A)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2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A)는 단말기(3A)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S22 단계에서 판단결과 단말기(3A)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서버(2A)는 해당 단말기(3A)로 채소 가공 정보를 전송(S24)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A)에서 단말기(3A)로 전송되는 채소 가공 정보는 서버(2A)가 가공한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서버(2A)는 채소 가공 장치(1A)로부터 수신한 채소 가공 정보를 그대로 단말기(3A)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S22 단계에서 판단결과 단말기(3A)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제 3 단계(S23)로 진행할 수 있다. 제 3 단계(S23)에서는 단말기(3A)가 활성화될때까지 대기하는 등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3A)가 서버(2A)로부터 채소 가공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기(3A)는 채소 가공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경우와 같이, 단말기(3A)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일련번호 정보(장치 S/N), 해당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홍길동), 현재 설정된 채소의 종류에 대한 정보(무청), 보일링부(10)에서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데침 시간에 대한 정보, 세척부(20)에서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냉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세척 시간에 대한 정보, 냉각부(30)에서 채소의 냉각에 사용되는 물(냉각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냉각시 시간에 대한 정보, 급속 냉동부(40)에서의 급속 냉동 온도에 대한 정보 및/또는 급속 냉동부의 현재 저장량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채소 가공 장치(1A)는 현재 설정(Setting)에 대한 정보를 서버(2A)로 전송하고, 서버(2A)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A)로 전송하고, 단말기(3A)는 채소 가공 장치(1A)의 현재 설정에 대한 정보를 도 39와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버(2A)로부터 단말기(3A)로 전송되는 채소 가공 정보는 통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정보는 서버(2A)가 채소 가공 장치(1A)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채소 가공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부(507)가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0의 경우와 같이, 통계정보는 특정 채소 가공 장치(1A)의 채소 종류별 일처리 현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통계정보는 하루 단위의 처리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만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계정보는 주, 월, 년 단위의 처리 현황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통계정보는 온도에 대한 통계정보, 시간에 대한 통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1의 경우와 같이, 통계정보는 특정 채소 가공 장치(1A)에서 채소별 데침에 사용하는 물(온수)의 평균 온도, 평균 데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계정보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기간별 처리량, 채소별 처리량, 사용하는 물의 평균 온도에 대한 정보, 평균 데침 시간, 평균 세척 시간 및 평균 냉각 시간 등이 평균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36의 설명을 이어가면, 단말기(3A)에서 채소 가공 정보를 출력(S30)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할 수 있다.
제 S40 단계에서 판단결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40)하고, 판단결과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단계(Default 1, S50)로 진행할 수 있다.
제 1 단계(S50)에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기까지 대기하는 등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말기(3A)는 사용자 명령을 서버(2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A)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한 제어 명령을 채소 가공 장치(1A)로 전송(S60)할 수 있다.
그러면, 채소 가공 장치(1A)에서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제어 명령에 따라 채소 가공 장치(1A)가 제어(S7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의 경우와 같이, 단말기(3A)의 화면에 보일링부(10)의 온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보일링부(10)의 데침 시간을 늘어거나 줄일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보일링부(10)의 온수의 온도를 높이는 메뉴를 선택하면, 단말기(3A)의 제어부(600)는 이를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신부(604)를 제어하여 서버(2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A)의 제어부(512)에서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보일링부(10)의 온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12)는 통신부(510)를 제어하여 채소 가공 장치(1A)로 보일링부(10)의 온수 온도를 상승시키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채소 가공 장치(1A)에서는 높은 온도의 온수를 제 1 수조부(100)에 추가로 투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즉 제 1 수조부(10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단말기(3A)를 이용하여 서버(2A)를 경유하여 원격으로 채소 가공 장치(1A)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2에서 설명한 내용 이외에, 세척부(20)의 냉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메뉴, 세척부(20)의 세척 시간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메뉴, 냉각부(30)의 냉각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메뉴, 냉각부(30)의 냉각 시간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메뉴, 급속 냉동부(40)의 온도를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메뉴 등을 단말기(3A)의 화면에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채소의 종류에 따른 최적 처리 정보를 서버(2A)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채소 가공 장치(1A)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3의 경우와 같이, 무청 및 참나물에 대해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최적온도, 최적 데침 시간,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최적 온도, 최적 세척 시간,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수의 최적 온도, 최적 냉각 시간 및 최적 급속 냉동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서버(2A)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단말기(3A)를 이용하여 채소의 종류를 선택하면, 서버(2A)는 선택된 채소에 대응하는 최적의 정보를 채소 가공 장치(1A)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4의 경우와 같이, 단말기(3A)에 채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참나물'을 선택한다면, 이러한 '참나물'의 선택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명령으로 단말기(3A)로부터 서버(2A)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A)는 사용자가 선택한 '참나물'에 대응하여 데침에 대한 최적 온도 및 최적 시간, 세척에 대한 최적 온도 및 최적 시간, 냉각에 대한 최적 온도 및 최적 시간, 급속 냉동에 대한 최적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최적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채소 가공 장치(1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채소 가공 장치(1A)에서는 서버(2A)로부터 수신한 최적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채소의 데침, 세척, 냉각, 급속 냉각 등의 채소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단말기(3A)에 채소의 종류의 대한 정보를 사용자 명령으로 입력하면, 서버(2A)는 채소의 종류에 대응(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채소의 데침 시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온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및 채소의 세척 시간 제어에 대한 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채소 가공 장치(1A)로 전송하여 채소 가공 장치(1A)의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2A)는 다수의 채소 가공 장치(1A)로부터 채소 가공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 및/또는 추천정보 등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서버(2A)는 제 1 채소 가공 장치(1Aa), 제 2 채소 가공 장치(1Ab) 및 제 3 채소 가공 장치(1Ac)로부터 채소 가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서버(2A)는 제 1, 2, 3 채소 가공 장치(1Aa, 1Ab, 1Ac)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서버(2A)는 제 1 채소 가공 장치(1Aa), 제 2 채소 가공 장치(1Ab) 및/또는 제 3 채소 가공 장치(1Ac)로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단말기(3Aa, 3Ab, 3Ac)로부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채소 가공 장치(1Aa)는 제 1 단말기(3Aa)에 대응될 수 있다. 이는, 제 1 채소 가공 장치(1Aa)의 등록된 사용자는 제 1 단말기(3Aa)의 사용자임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채소 가공 장치(1Ab)는 제 2 단말기(3Ab)에 대응되고, 제 3 채소 가공 장치(1Ac)는 제 3 단말기(3Ac)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5에서는, 하나의 채소 가공 장치(1A)는 하나의 단말기(3A)에 대응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하나의 단말기(3A)에 복수의 채소 가공 장치(1A)가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하나의 채소 가공 장치(1A)에 복수의 단말기(3A)가 대응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2, 3 채소 가공 장치(1Aa, 1Ab, 1Ac)와 서버(2A)의 정보의 송수신, 서버(2A)와 제 1, 2, 3 단말기(3Aa, 3Ab, 3Ac)의 정보 송수신은 앞선 도 32 내지 도 44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기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2A)는 다수의 채소 가공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6의 경우와 같이, 제 1 장치(000001)의 사용자(홍길동)에 대한 정보, 제 2 장치(000002)와 제 3 장치(000003)의 사용자(트럼프)에 대한 정보 및 제 4 장치(000004)와 제 5 장치(000006)의 사용자(도널드)에 대한 정보를 서버(2A)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A)는 각각의 장치(제 1 장치~제 5 장치)에 대한 채소 종류 별 최적 온수 온도, 최적 데침 시간 등의 최적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2A)는 각각의 장치(제 1 장치~제 5 장치)의 최적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여 최적 설정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최적 설정에 대한 추천 정보는 예를 들면, 제 1 장치~제 5 장치의 최적 설정의 평균값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적 설정에 대한 추천 정보 중 온수 온도에 대한 정보는 제 1 장치~제 5 장치의 최적 온수 온도에 대한 정보의 평균값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2A)는 상기 방법으로 생성한 최적 설정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3A)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서버(2A)로부터 수신한 최적 설정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채소 가공 장치(1A)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채소를 데치는 보일링부(Boiling Part) 및 상기 보일링부가 데친 상기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Cleaning Part)를 포함하는 채소 가공 장치;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부터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단말기(Terminal); 를 포함하는 채소 가공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소의 가공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소의 데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채소의 세척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채소의 데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채소의 데침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채소의 세척에 대한 정보는, 상기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온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채소의 세척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 명령을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채소 가공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채소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채소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채소의 데침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상기 채소의 데침 시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상기 채소의 세척에 사용되는 냉수의 온도 조절에 대한 제어명령 및 상기 채소의 세척 시간 제어에 대한 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소 가공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64589A 2018-12-18 2018-12-18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3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89A KR102131541B1 (ko) 2018-12-18 2018-12-18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89A KR102131541B1 (ko) 2018-12-18 2018-12-18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75A KR20200075675A (ko) 2020-06-26
KR102131541B1 true KR102131541B1 (ko) 2020-07-08

Family

ID=7113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589A KR102131541B1 (ko) 2018-12-18 2018-12-18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89B1 (ko) * 2007-10-31 2008-06-27 주식회사 태정금속 씨레기의 가공방법 및 씨레기의 가공장치
JP2009166962A (ja) 2008-01-16 2009-07-30 Matsuyama Plow Mfg Co Ltd 玉葱処理装置
KR101907359B1 (ko) * 2018-06-26 2018-12-05 (주)청아굿푸드 식품 세척기
JP6463462B2 (ja) 2014-08-19 2019-02-06 マイヤ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リミテッド 高度調理器具による自動調理制御
JP2019204306A (ja) 2018-05-24 2019-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765A (ko) 2011-04-08 2012-10-17 고광자 즉석식 무청 시레기의 제조방법
KR101426310B1 (ko) 2012-01-17 2014-08-06 사비팜영농조합법인 시래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래기
KR20160099339A (ko) * 2015-02-12 2016-08-22 (주)우리기업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물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89B1 (ko) * 2007-10-31 2008-06-27 주식회사 태정금속 씨레기의 가공방법 및 씨레기의 가공장치
JP2009166962A (ja) 2008-01-16 2009-07-30 Matsuyama Plow Mfg Co Ltd 玉葱処理装置
JP6463462B2 (ja) 2014-08-19 2019-02-06 マイヤ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リミテッド 高度調理器具による自動調理制御
JP2019204306A (ja) 2018-05-24 2019-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907359B1 (ko) * 2018-06-26 2018-12-05 (주)청아굿푸드 식품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75A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1109B (zh) 一种超声波一体化洗虾机
CN109619482A (zh) 一种将易氧化的水果制作成果干的方法
KR20090100092A (ko)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CN105910366A (zh) 用于果蔬近冰点冷藏的专用冷藏柜及该冷藏柜的控温方法
KR102131541B1 (ko) 채소 가공 정보의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3908000A (zh) 自动去核桃仁皮清洗机及其清洗方法
JP3233028U (ja) 洗浄機能付きのナズナ急速冷凍加工自動化生産ライン
KR102225536B1 (ko)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CN203692458U (zh) 自动去核桃仁皮清洗机
CN205409402U (zh) 玉米粒解冻装置
CN105994587A (zh) 一种无硫百合加工工艺
CN108706227A (zh) 一种适用于电商平台的水果保鲜运输车
KR102313349B1 (ko) 게 세척 시스템
CN107981710A (zh) 一种带有烘烤鼓风结构的蒸汽烤箱
KR20200075661A (ko)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
CN103404949B (zh) 快速连续生产冻干野生菌的方法
CN214156088U (zh) 一种节能型炒酸奶机
CN111670949A (zh) 一种玉米棒速冻生产线及其加工方法
KR101698037B1 (ko) 건나물 제조시스템
CN210445522U (zh) 一种黄花菜水冷散热设备
CN103960746B (zh) 可还原速冻比萨口感的解冻加工方法
CN106879734A (zh) 玉米粒解冻装置
CN206836126U (zh) 一种地瓜干生产用无水蒸煮烘干一体装置
CN206354299U (zh) 可自动调温的常温冷却机
CN213215175U (zh) 一种玉米棒速冻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