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870A - 소방용수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수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870A
KR20200072870A KR1020180160929A KR20180160929A KR20200072870A KR 20200072870 A KR20200072870 A KR 20200072870A KR 1020180160929 A KR1020180160929 A KR 1020180160929A KR 20180160929 A KR20180160929 A KR 20180160929A KR 20200072870 A KR20200072870 A KR 2020007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basket
location
figh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245B1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수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바스켓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는,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부; 및 상기 분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수 분사 장치를 바스켓이 거치한 상태에서, 분사기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하여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정확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용수 분사 장치{SPURTING APPARATUS OF FIRE WATER}
본 발명은 소방용수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바스켓에 설치되어, 소방용수를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분사하기 위한 소방용수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차는 소방 호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거리에서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향해 소화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그리고 고층 건물과 같은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사다리차나 붐대의 끝단에 배치된 바스켓에 소방관이 탑승하여 소방 호스를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소방용수를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분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붐대의 끝단에 배치된 바스켓에 소방관이 탑승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가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것은, 그 자체로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큰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붐대에 소방 호스만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에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해 정확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2570호 (2018.08.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방관이 바스켓에 탑승하지 않더라도 소방용수를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바스켓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는,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부; 및 상기 분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 상하 동작부, 좌우 동작부 및 감지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분사부, 상하 동작부 및 좌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가 분무형으로 분사되거나 방사형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방향으로 상기 분사부가 향하도록 상기 상하 동작부 및 좌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소화약재의 원액이 보관되는 원액 보관부; 및 상기 분사기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용수에 상기 원액 보관부에 보관된 소화약제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배치되고,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방해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바스켓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붐대;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방해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 및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이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걸치도록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돌츨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 및 파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의 방향 및 상기 파쇄부가 상기 방해물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파쇄부의 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수 분사 장치를 바스켓이 거치한 상태에서, 분사기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하여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정확하게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센서 및 영상센서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소방관이 바스켓에 탑승하지 않더라도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해 소방용수가 분사되도록 소방용수 분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바스켓에 건물 등의 유리를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가 구비되어, 화재에 의해 유리가 깨지지 않은 상태에서 유리나 방해물을 제거하여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의 분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의 분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수 분사 장치(100)는, 분사기(110), 감지부(120), 원액 보관부(130), 바스켓(140), 붐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분사기(110)는 붐대(150)를 통해 하부에서 공급된 소방용수를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분사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바스켓(140)의 상부에 걸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기(110)는, 분사부(112), 상하 동작부(114), 좌우 동작부(116) 및 호스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112)는 바스켓(14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사부(112)의 위치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112)는 일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부(118)를 통해 공급된 소방용수가 분사부(112)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부(112)는 단순히 소방용수를 분사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소방용수가 분사되는 유형이 제어될 수 있다. 즉, 분사부(112)에서 소방용수는, 분무형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또는 방사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무형으로의 분사 또는 방사형으로의 분사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의 조종 장치를 통해 선택되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의 종류에 따라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는 분무형 및 방사형 중 하나로 제어되어 분사될 수 있다.
분사부(112)의 타단에는 상하 동작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하 동작부(114)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분사부(112)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동작부(114)는 좌우 동작부(116)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좌우 동작부(116)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사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상부 방향으로 약 90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 방향으로 약 80도 정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상부 동작부의 동작 범위는 약 170도의 범위로 분사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사부(112)에서 분사된 소방용수가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해 원하는 위치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좌우 동작부(116)는 상하 동작부(114)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어부(160)에 제어될 수 있다. 좌우 동작부(116)는 분사부(112)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동작부(116)는 하부에 배치된 호스부(118)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분사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약 360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좌우 동작부(116)는 슬립링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좌우 방향(또는 수평 방향)으로 약 360도로 회전되더라도 상단과 하단이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하 동작부(114) 및 좌우 동작부(116)에 의해 분사부(112)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사부(112)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해 분사부(112)가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호스부(118)는 좌우 동작부(116)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 동작부(116) 및 상하 동작부(114)를 통해 분사부(112)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호스부(118)는 붐대(150)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붐대(150)를 통해 지상으로부터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 호스부(118)에는 내부에 배선에 배치될 수 있다. 호스부(118)에 배치된 배선을 통해, 지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조종 장치를 통해 제어신호가 제어부(16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또한, 전원이 배선을 통해 상하 동작부(114), 좌우 동작부(116) 및 제어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하 동작부(114) 및 좌우 동작부(116)에는 제어부(160)에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온도센서(122) 및 영상센서(124, 또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센서(122) 및 영상센서(124)는 하나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각각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122)는 분사부(112)의 주변에 대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일정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위치로 분사부(112)가 향하도록 제어로 감지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센서(124)는 분사부(112)가 위치한 위치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조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센서(124)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영상센서(124)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분사부(112)의 방향을 조종할 수 있으며, 또는 제어부(160)에 의해 분사분의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온도센서(122) 및 영상센서(124)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분사부(112)의 방향을 자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상하 동작부(114) 및 좌우 동작부(116)를 구동시켜 분사부(11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원액 보관부(130)는, 바스켓(140)에 배치되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은 젤(gel) 또는 폼(foam) 형태의 소화약제에 대한 원액이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원액 보관부(130)에 보관된 소화약재는 혼합부(132)로 이송될 수 있다.
혼합부(132)는 원액 보관부(130)에 보관된 소화약재를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와 혼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는 혼합부(132)에서 소화약제가 혼합된 상태로 분사될 수 있다.
바스켓(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분사기(110) 및 원액 보관부(13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140)은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142), 보관부(144) 및 파쇄부(146)를 포함한다.
또한, 바스켓(140)에는 필요에 따라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니터는 바스켓(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스켓(140)에 탑승한 상태에서, 온도센서(122) 또는 영상센서(124)에서 감지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해 제어부(160)로 제어신호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지지대(142)는 바스켓(140)의 외측 하단에 배치되며, 바스켓(1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42)는 바스켓(140)의 외측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대(142)는 바스켓(140)이 건물의 창틀이나 문틀과 같은 위치에 걸치기 위해 구비된다. 즉,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외부 창틀이나 문틀에 바스켓(140)이 걸친 상태에서, 건물의 내부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것이 화재를 진압하기에 유리한데, 바스켓(140)이 창틀이나 문틀에 용이하게 걸쳐지도록 지지대(142)가 바스켓(14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42)의 상부에는 보관부(144) 및 파쇄부(146)가 배치될 수 있다. 보관부(144)는 파쇄부(146)를 보관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파쇄부(146)가 보관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관부(14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46)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보관부(144)에서 보관부(144)의 길이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다. 즉, 파쇄부(146)는 건물의 창에 있는 유리가 화재에 의해 파쇄되지 않은 경우, 건물 내부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해당 유리를 파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파쇄부(14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보관부(144)에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보관부(144)에서 보관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발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파쇄부(146)가 보관부(144)에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바스켓(140)의 위치를 조종하여 건물의 유리에 파쇄부(146)를 근접시켜 유리를 직접 파쇄할 수 있다. 또는 바스켓(140)을 건물의 유리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파쇄부(146)가 보관부(144)에서 발사되도록 제어하여 유리를 파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파쇄부(146)에 의해 건물의 유리를 파쇄하고, 유리가 파쇄된 해당 위치에 지지대(14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바스켓(140)에 배치된 분사기(110)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붐대(150)는, 바스켓(1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지상에서 일정 높이까지 바스켓(140)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붐대(150)에는 소방 호스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소방 호스는 바스켓(140) 내부에 배치된 호스부(118)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상에서 소방용수를 분사부(112)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22) 및 영상센서(124)에서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의해 분사부(112), 상하 동작부(114), 좌우 동작부(116), 혼합부(132) 및 파쇄부(146)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온도센서(122)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일정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위치로 분사부(112)의 방향을 제어하고, 해당 위치로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는 분사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만을 분사할 수 있으며, 혼합부(132)에서 소화약재를 소방용수에 혼합시켜 분사부(112)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원액 보관부(130)로부터 소화약재가 혼합부(132)에서 소방용수와 혼합된 상태로 분사부(112)에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온도센서(122) 또는 영상센서(124)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분사부(112)가 향하도록 상하 동작부(114) 및 좌우 동작부(116)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분사부(112)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부(146)가 발사되도록 제어하여 건물의 유리나 방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소방용수 분사 장치
110: 분사기
112: 분사부
114: 상하 동작부
116: 좌우 동작부
118: 호스부
120: 감지부
122: 온도센서
124: 영상센서
130: 원액 보관부
132: 혼합부
140: 바스켓
142: 지지대
144: 보관부
146: 파쇄부
150: 붐대
160: 제어부

Claims (10)

  1.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및
    상기 바스켓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는,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 동작부; 및
    상기 분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 동작부를 포함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상하 동작부, 좌우 동작부 및 감지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 상기 분사부, 상하 동작부 및 좌우 동작부를 제어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소방용수가 분무형으로 분사되거나 방사형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방향으로 상기 분사부가 향하도록 상기 상하 동작부 및 좌우 동작부를 제어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소화약재의 원액이 보관되는 원액 보관부; 및
    상기 분사기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용수에 상기 원액 보관부에 보관된 소화약제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배치되고,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방해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9.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배치되고,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기;
    상기 바스켓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붐대;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배치되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방해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 및
    상기 바스켓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이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걸치도록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돌츨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 및 파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의 방향 및 상기 파쇄부가 상기 방해물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파쇄부의 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소방용수 분사 장치.
KR1020180160929A 2018-12-13 2018-12-13 소방용수 분사 장치 KR10218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29A KR102181245B1 (ko) 2018-12-13 2018-12-13 소방용수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29A KR102181245B1 (ko) 2018-12-13 2018-12-13 소방용수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70A true KR20200072870A (ko) 2020-06-23
KR102181245B1 KR102181245B1 (ko) 2020-11-20

Family

ID=7113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929A KR102181245B1 (ko) 2018-12-13 2018-12-13 소방용수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193A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미분무 소방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차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090A (ko) * 2005-04-12 2006-10-17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소방차용 바스켓
KR20060116461A (ko) * 2005-05-10 2006-11-15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다목적 소방차
JP2006345927A (ja) * 2005-06-13 2006-12-28 Morita Corp 消防自動車
KR20090059359A (ko) * 2007-12-06 2009-06-11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소방차용 다기능 바스켓
KR100987603B1 (ko) * 2010-03-15 2010-10-13 주식회사 광림 소방차용 캡 방수포
KR20180002570U (ko) 2017-02-17 2018-08-28 이준호 소방용수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090A (ko) * 2005-04-12 2006-10-17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소방차용 바스켓
KR20060116461A (ko) * 2005-05-10 2006-11-15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다목적 소방차
JP2006345927A (ja) * 2005-06-13 2006-12-28 Morita Corp 消防自動車
KR20090059359A (ko) * 2007-12-06 2009-06-11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소방차용 다기능 바스켓
KR100987603B1 (ko) * 2010-03-15 2010-10-13 주식회사 광림 소방차용 캡 방수포
KR20180002570U (ko) 2017-02-17 2018-08-28 이준호 소방용수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193A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미분무 소방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245B1 (ko)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478B1 (ko)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KR100770655B1 (ko) 화재 진압용 소방로봇
KR102136968B1 (ko) 실내용 소화전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20120011378A (ko)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WO2005018749A1 (ja) 消火ロボット
CN206271140U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和灭火系统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CN210644929U (zh) 室内安防巡逻与灭火多功能机器人
KR20130125138A (ko) 산불 진화용 소화탑
KR102181245B1 (ko) 소방용수 분사 장치
KR20120001141A (ko) 화재 모니터링 설비
KR102331004B1 (ko)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JP2003278500A (ja)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CN109741564A (zh) 一种用于园林施工的智能消防装置
KR200491634Y1 (ko) 비상용 소화전
CN210494954U (zh) 应用于电缆沟的智能移动灭火装置
FI84528B (fi) Flamdetektionssystem och -foerfarande foer detektering av en brandhaerd.
KR101935198B1 (ko)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KR20100061138A (ko) 소방차용 리프트
JPH11206903A (ja) 消火設備
JP3032467B2 (ja) 据置定置したロボット式消火法及びその装置。
JP2003250922A (ja) 消火ロボット
JPH07323094A (ja) 消火用放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