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138A - 산불 진화용 소화탑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용 소화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138A
KR20130125138A KR1020120048666A KR20120048666A KR20130125138A KR 20130125138 A KR20130125138 A KR 20130125138A KR 1020120048666 A KR1020120048666 A KR 1020120048666A KR 20120048666 A KR20120048666 A KR 20120048666A KR 20130125138 A KR20130125138 A KR 2013012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ower
fire extinguishing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724B1 (ko
Inventor
김동현
금시훈
신범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2004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2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둘의 소화탑 본체 파트가 암수 결합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탑 본체 파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하는 소화탑 본체; 상기 소화탑 본체에 지지되고, 길이 방향으로 확장 및 단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 기둥부; 상기 가변 기둥부 상단에 결합하고, 스프링 쿨러 헤드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쿨러 모듈; 상기 소화탑 본체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상기 소화탑 본체와 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둘의 지지 와이어; 상기 가변 기둥부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기둥부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시키거나 단축시키는 높이 조절부; 상기 소화탑 본체 부근의 온도 정보, 영상 정보 및 스모크(smok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의 스프링 쿨러 헤드의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관과 소화수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소화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소화수 수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불 진화용 소화탑{Quenching tower for extinguishing forest fire}
본 발명은 산불 진화용 소화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쿨러를 통해 수행하는 진화 과정을 원격 조정 가능한 산불 진화용 소화탑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 산불은 한국 전쟁 이후 조림을 통해 조성된 산림자원에 대한 손실뿐만 아니라 인적, 재산적 손실을 가져오는 자연 재해이다. 한국은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덮여있고 산림으로의 접근이 쉬워 90년대 이후 대부분의 산불이 입산자 실화 및 논밭두렁 소각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산불예방을 위해 건조한 봄철에 산불 조심 기간과 입산 금지 구역을 설정하거나 논밭두렁 소각을 금지하는 등 국가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감시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레저 활동 등으로 산을 찾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산불 발생 위험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특히, 감시가 필요한 산림 지역이 너무 넓고, 산불 발생 지역의 접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산불을 조기에 발견하고 즉각적으로 진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불을 조기에 발견하고 즉각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둘의 소화탑 본체 파트가 암수 결합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탑 본체 파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하는 소화탑 본체와, 상기 소화탑 본체에 지지되고, 길이 방향으로 확장 및 단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 기둥부와, 상기 가변 기둥부 상단에 결합하고, 스프링 쿨러 헤드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쿨러 모듈과, 상기 소화탑 본체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상기 소화탑 본체와 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둘의 지지 와이어와, 상기 가변 기둥부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기둥부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시키거나 단축시키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소화탑 본체 부근의 온도 정보, 영상 정보 및 스모크(smok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의 스프링 쿨러 헤드의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관과 소화수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소화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소화수 수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탑 몸체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 기둥부는 상기 소화탑 몸체 내측에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 기둥부는 다단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소화탑 본체 하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가변 기둥부의 최내측단과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 전달부는 와이어-풀리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열감지 센서, 영상 장치 및 스모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장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감지 센서, 상기 영상 장치 및 상기 스모크 센서는,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인터넷이 연결된 무선 랜으로 송신하고, 무선 랜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수 수압 조절부에는,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을 향하는 소화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여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적어도 둘의 소화탑 본체 파트가 볼트 결합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탑 본체 파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하는 소화탑 본체와, 상기 소화탑 본체 상단에 결합하고, 스프링 쿨러 헤드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쿨러 모듈과, 상기 소화탑 본체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상기 소화탑 본체와 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둘의 지지 와이어와, 상기 소화탑 본체 부근의 온도 정보, 영상 정보 및 스모크(smok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정보 중 화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의 스프링 쿨러 헤드의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관과 소화수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소화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소화수 수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열감지 센서, 영상 장치 및 스모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상 장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감지 센서, 상기 영상 장치 및 상기 스모크 센서는,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인터넷이 연결된 무선 랜으로 송신하고, 무선 랜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수 수압 조절부에는,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을 향하는 소화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여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소화탑은 산림 지역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공급 및 살수 방향 및 살수 세기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산불을 조기에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진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소화탑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화재 정보를 조기에 송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프링 쿨러 헤드의 움직임과 소화수의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산불 발생 지역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원격으로 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소화탑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소화탑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소화탑 본체의 설치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소화탑 본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가변 기둥부가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원격으로 산불 발생 지역에 설치된 실시예의 진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산불 위치에 대응하여 소화수를 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산림 지역에 설치된다. 특히. 산불 취약 지역과 산불 방화선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소화탑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진화용 소화탑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산불 진화용 소화탑(10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소화탑 본체(110)와 가변 기둥부(120)와, 스프링 쿨러 모듈(130)과, 지지 와이어(140)와, 높이 조절부(150)와 화재 감지부(160)와 제어부(170)와 소화수 수압 조절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소화탑 본체(1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를 구조를 가지는 철탑 형태의 제1 변형례(110A)로 구성되거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기둥 형태의 제2 변형례(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소화탑 본체(110)의 제1 변형례(110A)는 스프링 쿨러 모듈(130)이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절되는 구성이다. 반면에, 소화탑 본체(110)의 제2 변형례(110B)는 스프링 쿨러 모듈(130)이 높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하, 소화탑 본체(110)의 제1 변형례(110A)를 기준으로 산불 진화용 소화탑(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소화탑 본체(110A)는 소정의 높이(약 20m)로 형성된다. 소화탑 본체(110A)의 높이는 지형 및 주변 수목의 높이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소화탑 본체(110A)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트러스 구조를 갖는다, 소화탑 본체(110A) 내측에는 후술되는 가변 기둥부(120)가 위치한다. 한편, 소화탑 본체(110A)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소화탑 본체(110)의 상단 둘레에는 후술되는 스프링 쿨러 모듈(13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자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구조물(1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화탑 본체(110A)의 설치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소화탑 본체의 설치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소화탑 본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화탑 본체(110A)는 복수 개의 소화탑 본체 파트(112,113,114)로 형성된다, 각 소화탑 본체 파트(112,113,114)는 암수 결합된다. 한편, 베이스부(111)가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부(111) 상면에는 힌지부(111a)가 마련되며, 이 힌지부(111a)에 소화탑 본체 파트(112,113,114)중 최하단 소화탑 본체 파트(114)의 끝단 일측이 힌지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소화탑 본체 파트(112,113,114)는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각각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 또는 별도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소화탑 본체(110A)를 힌지부(111a)를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소화탑 본체(110A)가 세워지면, 최하단 소화탑 본체 파트(114)의 끝단 타측을 베이스부(111)에 고정시켜 소화탑 본체(110A)의 설치 작업을 종료한다.
가변 기둥부(120)는 상술한 소화탑 본체(110A) 내측에 위치하며 소화탑 본체(110A)의 상부에서 소화탑 본체(110A)의 하단까지 길게 구성된다. 가변 기둥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 및 단축 가능하게 다단형태로 구성된다. 가변 기둥부(120)는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되며, 가변 기둥부(120)의 내부에는 소화수 공급관(H)이 지나간다. 가변 기둥부(120)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스프링 쿨러 모듈(130)이 결합된다. 소화수 공급관(H)은 가변 기둥부(120)를 따라 안내되어 스프링 쿨러 모듈(130)에 연결된다.
스프링 쿨러 모듈(130)은 상술한 가변 기둥부(120) 상단에 결합한다. 스프링 쿨러 모듈(130)은 가변 기둥부(120)의 내부를 지나온 소화수 공급관(H)에서 소화수를 공급받아 일정 범위 안에서 살수한다. 스프링 쿨러 모듈(130)은 소화수가 분사되는 스프링 쿨러 헤드(131)가 마련되며, 스프링 쿨러 헤드(131) 아래에는 제1 구동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2)는 모터와 동력 전달 부품으로 구성되어 스프링 쿨러 헤드(131)를 높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스프링 쿨러 모듈은 스프링 쿨러 헤드(131)가 수압에 의해 높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의 소화탑 본체 모듈(130)은 산불을 조기에 효과적인 진화하기 위하여, 스프링 쿨러 헤드(131)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1 구동부(132)가 마련된다.
여기서 높이 방향이라함은, 지면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가 완료된 가변 기둥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지지 와이어(140)는 소화탑 본체(110A)의 상단과 지면을 연결도록 설치되어 소화탑 본체(110A)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와이어(140)는 소화탑 본체(110A)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 와이어(140)는 당기는 힘의 균형이 맞도록 일정한 간격의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 와이어(140)는 고강도의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높이 조절부(150)는 상술한 가변 기둥부(120)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변 기둥부(120)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단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높이 조절부(15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151)와, 가변 기둥부(120)의 최내측단에 연결되어 제2 구동부(151)의 회전력을 가변 기둥부(120)의 최내측단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힘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력전달부는 풀리-와이어 조합등의 다양한 기구적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가변 기둥부가 길이 방향으로 단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150)의 제2 구동부(151)는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사용자(P)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2 구동부(151)가 전동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 조정 또는 자동으로 스프링 쿨러 모듈(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150)를 통해, 소화수의 살수 범위를 변경하거나, 스프링 쿨러 모듈(130)의 유지 관리를 위해, 스프링 쿨러 모듈(130)을 지면 가까이 내릴 수 있다.
화재 감지부(160)는 상술한 스프링 쿨러 모듈(130) 부근 또는 소화탑 본체(110A)의 상단에 설치되어 소화탑 본체(110A) 부근의 온도, 영상 및 스모크(smoke) 발생 여부를 획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화재 정보란, 산불 발생 여부, 산불 위치, 산불의 크기, 산불 위치와 소화탑 본체(110A)와의 거리 등을 의미한다. 화재 감지부(160)는 소화탑 본체(110A) 부근의 온도, 영상 및 스모크(smoke) 발생 여부를 획득하기 위하여, 열감지 센서, 일반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치 및 스모크 센서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부(160)는 위와 같은 센서 및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온도, 영상 및 스모크 양을 개별적 또는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그 징후로서 외형상으로 연기가 발생하고 그 후에 화염이 형성된다. 연기는 영상으로도 분간할 수 있으나. 화염은 영상으로 구분이 힘들다. 이에 스모크 센서 및 열감지 센서에서 획득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열의 복사 특성을 획득하여 산불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술한 제1 구동부(132)와 높이 조절부(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70)는 화재 감지부(160)와 연결되어 화재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스프링 쿨러 헤드(131)의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한다.
다만, 통제소에서 원격으로 제어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통제소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프링 쿨러 헤드(131)의 회전각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에는 통제소와 통신을 위해 통신 모듈(171)이 형성될 수 있다.
소화수 수압 조절부(180)는 소화수 저장 탱크(T)와 소화수 공급관(H) 사이에 형성되어 소화수의 공급 및 수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소화수 수압 조절부(180)는 상술한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제어부(1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화수의 수압을 조절하거나, 소화수의 공급을 조절한다. 한편, 소화수 수압 조절부(180)에는 스프링 쿨러 모듈(130)을 향하는 소화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여하는 밸브 조립체(181)가 형성될 수 있다.
풍속 감지부(190)는 소화탑 본체(110) 부근의 풍속을 감지한다. 감지한 풍속 정보는 제어부(170)의 통신 모듈(171)을 통해 통제소로 전달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산불 진화용 소화탑(100)을 이용하여 산불을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원격으로 산불 발생 지역에 설치된 실시예의 진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산불 위치에 대응하여 소화수를 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산림 지역에 복수 개의 산불 진화용 소화탑(100A,100B.100C…)이 설치된다. 각 소화탑(100A,100B.100C…)은 소화수 살수 범위를 고려하여 해당 산림 지역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소화탑(100A,100B.100C…)을 산불 취약 지역에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산림 지역의 소정의 위치에서 산불이 발생한 경우, 산불 위치를 소화수 살수 영역으로 포함하는 해당 소화탑(100A)에서 화재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통제소에 송신한다. 이때, 해당 소화탑(100A)의 제어부(170)의 명령을 통해 초동 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소화탑(100A)으로부터 화재 정보를 받은 통제소는 수신된 화재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소화탑(100A)에 제어 신호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소화탑(100A,100B.100C…)과 통제소는 이동통신망 이외에 인터넷망을 통한 무선랜을 기반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산불이 발생한 경우, 해당 소화탑(100A)의 화재 감지부(140)는 산불의 온도, 영상 및 스모크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고, 화재 정보를 제어부(170)의 통신 모듈(171)을 통해 통제소에 송신한다.
이후, 통제소에서 원격으로 송신한 제어 신호가 제어부(170)의 통신 모듈(171)을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제어 신호의 내용에 따라, 스프링 쿨러 모듈(130)의 제1 구동부(132) 및 소화수 수압 조절부(180)를 제어한다. 즉, 살수 방향이 산불 위치를 향하도록 제1 구동부(132)에 의해 스프링 쿨러 헤드(131)가 회전한다. 또한, 살수 영역이 산불 위치에 이르도록 소화수 수압 조절부(180)에 의해 소화수의 수압이 조절된 상태로 소화수의 공급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산불이 발생하고 주변 지역으로 번지기 전에, 발화 지역에 집중적으로 초동 진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소화탑 본체
110A : 소화탑 본체의 제1 변형례
110B : 소화탑 본체의 제2 변형례
111 : 베이스부
111a : 힌지부
120 : 가변 기둥부
130 : 스프링 쿨러 모듈
131 : 스프링 쿨러 헤드
132 : 제1 구동부
140 : 지지 와이어
150 : 높이 조절부
160 : 화재 감지부
170 : 제어부
171 : 통신 모듈
180 : 소화수 수압 조절부
181 : 밸브 조립체

Claims (19)

  1. 적어도 둘의 소화탑 본체 파트가 암수 결합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탑 본체 파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하는 소화탑 본체;
    상기 소화탑 본체에 지지되고, 길이 방향으로 확장 및 단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 기둥부;
    상기 가변 기둥부 상단에 결합하고, 스프링 쿨러 헤드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쿨러 모듈;
    상기 소화탑 본체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상기 소화탑 본체와 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둘의 지지 와이어;
    상기 가변 기둥부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기둥부를 길이 방향으로 확장시키거나 단축시키는 높이 조절부;
    상기 소화탑 본체 부근의 온도 정보, 영상 정보 및 스모크(smok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의 스프링 쿨러 헤드의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관과 소화수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소화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소화수 수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탑 몸체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 기둥부는 상기 소화탑 몸체 내측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둥부는 다단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소화탑 본체 하단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가변 기둥부의 최내측단과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와이어-풀리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열감지 센서, 영상 장치 및 스모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장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 센서, 상기 영상 장치 및 상기 스모크 센서는,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인터넷이 연결된 무선 랜으로 송신하고, 무선 랜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수압 조절부에는,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을 향하는 소화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여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2. 적어도 둘의 소화탑 본체 파트가 볼트 결합되어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화탑 본체 파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하는 소화탑 본체;
    상기 소화탑 본체 상단에 결합하고, 스프링 쿨러 헤드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쿨러 모듈;
    상기 소화탑 본체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상기 소화탑 본체와 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둘의 지지 와이어;
    상기 소화탑 본체 부근의 온도 정보, 영상 정보 및 스모크(smok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여 화재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정보 중 화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의 스프링 쿨러 헤드의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과 연결되는 소화수 공급관과 소화수 저장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에 연결되어, 소화수의 살수 영역이 화재 위치에 미치도록 소화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소화수 수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열감지 센서, 영상 장치 및 스모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장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 센서, 상기 영상 장치 및 상기 스모크 센서는,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정보를 인터넷이 연결된 무선 랜으로 송신하고, 무선 랜으로부터 상기 구동부, 상기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소화수 수업 조절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수압 조절부에는,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을 향하는 소화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여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탑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스프링 쿨러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탑.
KR1020120048666A 2012-05-08 2012-05-08 산불 진화용 소화탑 KR101334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66A KR101334724B1 (ko) 2012-05-08 2012-05-08 산불 진화용 소화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666A KR101334724B1 (ko) 2012-05-08 2012-05-08 산불 진화용 소화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138A true KR20130125138A (ko) 2013-11-18
KR101334724B1 KR101334724B1 (ko) 2013-12-02

Family

ID=4985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666A KR101334724B1 (ko) 2012-05-08 2012-05-08 산불 진화용 소화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2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21A (ko) * 2014-04-04 2015-10-14 이플래넷 주식회사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CN106169216A (zh) * 2015-09-09 2016-11-30 河南联纵消防科技有限公司 基于红外热成像技术的火灾定位方法
KR101705492B1 (ko) 2016-09-06 2017-02-14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소화수 확보를 위한 링 형태의 수면 결빙방지장치
RU181922U1 (ru) * 2018-01-30 2018-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снабинвест" (ООО "Газснабинвест") Вышка пожарная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CN111214785A (zh) * 2020-01-17 2020-06-02 毛爱聪 一种利用储水水囊的防范山火自动急救装置
KR20200068367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태영테크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20200074614A (ko) * 2018-12-17 2020-06-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CN112089997A (zh) * 2020-09-18 2020-12-18 广州新标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林业环境监测设备
CN113137987A (zh) * 2021-05-20 2021-07-20 江西环境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互联网的林业信息监测设备
KR102523055B1 (ko) * 2022-02-24 2023-04-19 박동두 재난 감지와 방재를 위한 무인타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9217B (zh) * 2015-09-09 2019-04-30 河南联纵消防科技有限公司 基于红外热成像和激光制导技术的火灾定位方法
KR102412738B1 (ko) * 2020-03-23 2022-06-23 장성준 워터 백 및 빗물 저수조를 이용한 산불방지용 화염 차단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743A (ja) * 2006-09-29 2008-05-22 Hideo Tanida 伸縮式タワー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KR20080025706A (ko) * 2008-01-24 2008-03-21 이여한 산불진화 무인자동화장치시설과 구조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21A (ko) * 2014-04-04 2015-10-14 이플래넷 주식회사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CN106169216A (zh) * 2015-09-09 2016-11-30 河南联纵消防科技有限公司 基于红外热成像技术的火灾定位方法
KR101705492B1 (ko) 2016-09-06 2017-02-14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소화수 확보를 위한 링 형태의 수면 결빙방지장치
RU181922U1 (ru) * 2018-01-30 2018-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снабинвест" (ООО "Газснабинвест") Вышка пожарная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KR20200068367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태영테크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20200074614A (ko) * 2018-12-17 2020-06-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CN111214785A (zh) * 2020-01-17 2020-06-02 毛爱聪 一种利用储水水囊的防范山火自动急救装置
CN112089997A (zh) * 2020-09-18 2020-12-18 广州新标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林业环境监测设备
CN113137987A (zh) * 2021-05-20 2021-07-20 江西环境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互联网的林业信息监测设备
KR102523055B1 (ko) * 2022-02-24 2023-04-19 박동두 재난 감지와 방재를 위한 무인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724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724B1 (ko) 산불 진화용 소화탑
KR102137839B1 (ko)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101634337B1 (ko)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CN110782636A (zh) 一种森林火灾监测扑救系统
CN215537956U (zh) 一种电动车充电站火灾自动报警灭火系统
KR102122287B1 (ko) 모듈형 스마트 안전펜스
KR20120001141A (ko) 화재 모니터링 설비
CN107998569A (zh) 一种悬挂式全氟己酮自动灭火系统
WO2013058773A1 (en) Fire extinguishing ball
JP4022110B2 (ja) 高層構造物における自動消火システム
KR200484889Y1 (ko)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CN115228030A (zh) 灭火方法及装置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CN213760307U (zh) 地面式智慧灭火机器人
CN108498974A (zh) 一种智能森林灭火系统及方法
CN112121331A (zh) 一种基于移动边缘计算的电气消防监控与灭火装置及其方法
CN108969947A (zh) 一种室内天车灭火系统
KR20210145037A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화재진압시스템
KR102166152B1 (ko) 환경 인자 및 설정 인자에 기반한 스프링클러 작동 컨트롤 시스템
CN213760292U (zh) 无人机智慧灭火机器人
CN211401292U (zh) 一种基于新型输电线路多维感知的监测管控系统
CN212208511U (zh) 一种用于火灾监测的监控装置
CN215608968U (zh) 山火防控报警装置及山火防控报警系统
KR20200072870A (ko) 소방용수 분사 장치
CN201768286U (zh) 消防用自动放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