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749A -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 Google Patents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749A
KR20200072749A KR1020180160689A KR20180160689A KR20200072749A KR 20200072749 A KR20200072749 A KR 20200072749A KR 1020180160689 A KR1020180160689 A KR 1020180160689A KR 20180160689 A KR20180160689 A KR 20180160689A KR 20200072749 A KR20200072749 A KR 2020007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pair
tape
cut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579B1 (ko
Inventor
김상진
이주원
Original Assignee
김상진
이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이주원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8016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7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189 priority patent/WO2020122298A1/ko
Publication of KR2020007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는 접착테이프가 롤타입으로 권취된 테이프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일측면에 상기 접착테이프가 풀려 인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착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구비된 커터기본체부; 상기 커터기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착시킴으로써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시키는 접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A tape cutter having a adhesion unit for knob formation}
본 발명은 롤 타입의 접착테이프를 장착시키고, 테이프 말단을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시킨 후,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커터부를 통해 커팅할 수 있도록 해주는 테이프커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합시켜 줌으로써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시킬 수 있는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퍼커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커터기는 접착테이프가 롤 형태로 권취된 접착테이프롤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소정길이만큼 접착테이프를 장착하여 커팅하여 쓸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서, '테이프 디스펜서'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테이프 커터기는 테이프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커터기본체부와, 이 커터기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테이프롤에서 권출된 접착테이프를 커팅하기 위한 커팅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커터기본체부에서 인출시킨 접착테이프를 커팅날을 통해 원하는 길이만큼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커터기는 단순히 접착테이프를 소정길이로 절단시켜주는 커팅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스 등의 포장시 접착테이프를 박스에 부착시키는 것만이 가능하여, 포장된 박스를 개봉할 때 박스에서 접착테이프를 떼어내는 것이 쉽지 않고 번거로웠으면, 이에 따라 별도의 가위나 칼 등을 이용하여 접착테이프를 잘라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접착테이프로 박스포장하여 포장된 박스를 운반해야 하는 경우, 운반이 편리하도록 박스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의 중간부를 박스에 접착되지 않게 한 후, 접착테이프부의 중간부분을 폭방향으로 접어 서로 부착시켜 줌으로써, 접착테이프부의 중간부를 잡고 포장된 박스를 용이하게 운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접착테이프부의 중간부분을 폭방향을 접어 부착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실용 20-0325399호 공개특허 10-2004-0052679호 공개특허 10-2017-0066164호 등록실용신안 20-046033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테이프롤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테이프롤에서 접착테이프를 잡아당겨 소정길이로 인출시키고 커팅날을 통해 소정길이로 권출된 접착테이프를 커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커터기 본연의 기능 뿐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합시켜 줌으로써 박스 등의 포장시 접착테이프가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시킬 수 있는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퍼커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는, 접착테이프가 롤타입으로 권취된 테이프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일측면에 상기 접착테이프가 풀려 인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착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구비된 커터기본체부; 상기 커터기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착시킴으로써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시키는 접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커터기본체부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커터기본체부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버튼부; 상기 한 쌍의 버튼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버튼부가 가까워지도록 누름조작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한 쌍의 버튼부의 마주하는 내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버튼부가 가까지도록 누름조작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버튼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접착테이프가 폭방향으로 접혀 접착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한 쌍의 가압면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와 복수의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버튼부가 가까워지도록 누름조작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면이 근접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접착테이프가 폭방향으로 접혀 접착되면서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기본체부의 내부에 폭방향을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버튼부가 동일축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버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기본체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면의 전후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테이프롤에서 권출된 접착테이프가 상기 한 쌍의 가압면 사이를 지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제2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를 이용하게 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박스포장시 접착테이프가 박스의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커터기에서 버튼부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프커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커터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프 커터기의 접합유닛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테이프 커터기를 이용한 박스포장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커터기는 접착테이프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고 커팅할 수 있는 통상의 테이프 커터기 본연이 커팅기능과, 더불어, 접합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용이하게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부착시켜 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커터기는 커터기본체부(110) 및 접합유닛(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커터기본체부(110)는 접착테이프가 롤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롤(TR)를 수용하는 수용부(s)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s)의 중앙에는 테이프롤(TR)의 중공부가 삽입되어 테이프롤(TR)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1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s)의 천장에는 도 3과 같이 테이프롤(TR)에서 권출된 접착테이프(T)가 커터기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커터기본체부(110)의 전단부에는 커터기본체(110)의 내부로부터 접착테이프(T)가 인출되는 출구(116)가 형성되며, 아울러, 커터기본체부(110)의 전단부에는 출구(116)와 근접한 위치에 출구(116)로부터 인출된 접착테이프(T)를 사용자가 절단시키기 위한 커팅날(117)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출구(116)로부터 인출된 접착테이프(T)를 원하는 길이만큼 잡아당겨준 다음, 커팅날(117)에 대고 커팅시켜 절단된 접착테이프(T)를 원하는 피접착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접합유닛(130)은 커터기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용이하게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합시켜 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의 버튼부(131,132), 탄성부재(133), 한 쌍의 가압면(134,1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버튼부(131,132)는 커터기본체부(110)의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커터기본체부(11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름조작에 따라 커터기본체부(110)의 내부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버튼부(131,132)는 커터기본체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동일축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커터기본체부(110)의 내부에는 폭방향을 가이드레일(125)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125)의 양측부에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가이드레일(125)을 따라 동일축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버튼부(131,132)는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가이드레일(125)에 안내되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각각의 버튼부(131,132)의 내측면에는 소정깊이로 탄성부재(133)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프링수용홈(131a,132a)이 형성된다.
탄성부재(133)는 코일스프링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33)의 일측부는 제1버튼부(131)에 형성된 제1스프링수용홈(131a)에 삽입되고, 타측부는 제2버튼부(132)에 형성된 제2스프링수용홈(132a)에 삽입되어, 제1버튼부(131)와 제2버튼부(13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름조작하였다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한 쌍의 버튼부(131,132) 각각은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도록 방향으로 각각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가압면(134,135)은 한 쌍의 버튼부(131,13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누름조작되어 근접되는 경우, 한 쌍의 버튼부(131,132) 사이를 지나는 접착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단을 가압하여 접착테이프(T)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착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커터기본체부(110)의 내측에 제1가이드롤러(121)와 제2가이드롤러(123)가 폭방향으로 설치되되, 제1가이드롤러(121)와 제2가이드롤러(123)의 각각의 양단이 커티기본체부(110)의 좌우 내측면에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제1가이드롤러(121)와 제2가이드롤러(123)가 커터기본체부(1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테이프롤러(TR)로부터 권출되어 투입구(113)를 통해 커터기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된 접착테이프(T)는 제1가이드롤러(121)와 제2가이드롤러(123)에 연결되고 출구(116)를 통해 커터기본체부(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가이드롤러(121)와 제2가이드롤러(123)는 한 쌍의 가압면(134,135)의 전후측에 설치되어, 접착테이프(T)가 제1가이드롤러(121)와 제2가이드롤러(123)에 안내되어 한 쌍의 가압면(134,135) 사이를 지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제1가압면(134)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제1돌출부(134a)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제2가압면(135)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제2돌출부(135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누름조작되어 제1가압면(134)과 제2가압면(135)이 근접하게 되면, 복수의 제1돌출부(134a)들이 이루는 공간에 복수의 제2돌출부(135a)들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누름조작되어 제1가압면(134)과 제2가압면(135)이 근접하게 되면, 복수의 제1돌출부(134a)와 복수의 제2돌출부(135a)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한 쌍의 버튼부(131,132)가 가까워지도록 누름조작하게 되면, 도 5의 (b)와 같이 제1가압면(134)과 제2가압면(135)이 가까워지면서 제1가압면(134)과 제2가압면(135) 사이를 통과하는 접착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단을 가압하여 접착테이프(T)가 폭방향으로 휘어지다가, 점점더 가까워지게 되면 도 5의 (c)와 같이 접착테이프(T)가 접혀지면서 부착되어 접합되는데, 이때, 복수의 제2돌출부(134a)와 복수의 제2돌출부(135a)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삽입되면서 접착테이프(T)가 지그재그로 접합된 상태(T-1)가 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커터기본체부(110)를 잡고 손가락으로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누름조작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출구(116)로부터 노출된 접착테이프(T)를 잡아당기면, 서로 근접되어진 제1가압면(134)과 제2가압면(135)을 통과하면서 접착테이프(T)가 폭방향으로 접혀 접합된 상태(T-1)가 되면서 출구(116)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부(131,132)를 누름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착테이프(T)를 인출시키면 통상의 테이프커터기와 같이 접착테이프(T)가 정상적으로 펴진상태로 인출되게 되며, 사용자가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누름조작한 상태에서, 인출시키면 접착테이프(T)가 접혀 접합된 상태가 되면서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커터기를 이용하게 되면, 마트나 공장에서 박스포장할 때,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접착테이프(T)를 박스(B)의 피접착면에 부착시키고, 이후 일정 길이는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눌러 접착테이프(T)가 폭방향으로 접합되어진 형태(T-1)가 되도록 인출시키고, 그 이후에는 다시 정상적으로 접착테이프(T)를 박스의 피접착면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박스포장을 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접착테이프(T)가 폭방향을 접합되도록 인출된 부분은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박스를 손쉽게 운반하기 위한 파지용 손잡이(g)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커터기를 이용하게 되면, 버튼부(131,132)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접착테이프(T)를 펼쳐진 상태로 인출시켜 박스(B)의 피접착면에 부착시키고, 마지막 부착과정에서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눌러 접착테이프(T)가 폭방향을 접합되어진 형태(T-1)가 되도록 인출시킨 후, 커팅날(117)을 통해 커팅시키면, 포장된 박스를 개봉할 때, 쉽게 접착테이프(T)를 뜯어내기 위해 사용자가 접착테이프(T)의 끝단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g)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접합유닛(130)은 한 쌍의 버튼부(131,132)를 양측에서 누름조작하여 한 쌍의 가압면(134,135)이 접착테이프(T)의 폭방향 양단을 가압하여 접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합유닛(130)은 별도로 가압면(134,135)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이 한 쌍의 플레트가 사용자의 누름, 당김 등의 다양한 조작에 의해 가까워지도록 동작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커터기본체부
113...투입구
115...회전지지부
116...출구
117...커팅날
121...제1가이드롤러
123...제2가이드롤러
125...가이드레일
130...접합유닛
131,132...버튼부
133...탄성부재
134,135...가압면
134a...제1돌출부
135a...제2돌출부

Claims (2)

  1. 접착테이프가 롤타입으로 권취된 테이프롤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일측면에 상기 접착테이프가 풀려 인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착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날이 구비된 커터기본체부;
    상기 커터기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접어 접착시킴으로써 피접착면에 부착되지 않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시키는 접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커터기본체부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커터기본체부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버튼부;
    상기 한 쌍의 버튼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버튼부가 가까워지도록 누름조작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한 쌍의 버튼부의 마주하는 내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버튼부가 가까지도록 누름조작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버튼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접착테이프를 폭방향으로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접착테이프가 폭방향으로 접혀 접착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KR1020180160689A 2018-12-13 2018-12-13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KR10220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89A KR102209579B1 (ko) 2018-12-13 2018-12-13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PCT/KR2018/016189 WO2020122298A1 (ko) 2018-12-13 2018-12-19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89A KR102209579B1 (ko) 2018-12-13 2018-12-13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49A true KR20200072749A (ko) 2020-06-23
KR102209579B1 KR102209579B1 (ko) 2021-01-28

Family

ID=7107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89A KR102209579B1 (ko) 2018-12-13 2018-12-13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9579B1 (ko)
WO (1) WO2020122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91B1 (ko) * 2020-09-28 2021-01-14 김동수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399Y1 (ko) 2003-04-19 2003-09-03 이영석 롤러 테이프디스펜서
KR20040052679A (ko) 2004-04-28 2004-06-23 박정원 테이프커터기
KR200460333Y1 (ko) 2009-09-25 2012-05-21 문경선 안전 테이프 디스펜서
KR20140142831A (ko) * 2013-06-05 2014-12-15 김영문 롤 테이프 디스펜서
KR20170066164A (ko) 2015-12-06 2017-06-14 최원혁 길이측정기능이 겸비된 테이프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037B2 (ja) * 1994-04-28 2001-06-04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曲線描画装置
JP3743979B2 (ja) * 2001-08-14 2006-02-08 ヤエス軽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パッケージングシーラーにおける荷造テープの縁折り貼着装置
KR20110007952U (ko) * 2010-02-02 2011-08-10 한순윤 상자포장용 수동 테이프 커터
KR101809835B1 (ko) * 2015-09-14 2017-12-15 박재상 테이프 디스펜서 및 테이프 접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399Y1 (ko) 2003-04-19 2003-09-03 이영석 롤러 테이프디스펜서
KR20040052679A (ko) 2004-04-28 2004-06-23 박정원 테이프커터기
KR200460333Y1 (ko) 2009-09-25 2012-05-21 문경선 안전 테이프 디스펜서
KR20140142831A (ko) * 2013-06-05 2014-12-15 김영문 롤 테이프 디스펜서
KR20170066164A (ko) 2015-12-06 2017-06-14 최원혁 길이측정기능이 겸비된 테이프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091B1 (ko) * 2020-09-28 2021-01-14 김동수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298A1 (ko) 2020-06-18
KR102209579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106121A1 (en) Roll supporting slide cutter assembly
WO2004110710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sheet material
EP0957043A1 (en) A package for one or more candy bars
US20050150604A1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masking film
KR101358418B1 (ko) 테이프 접힘 기능을 갖는 테이프 컷터기
WO1987002020A1 (en) Dispenser with cutting device
KR20200072749A (ko)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JP5314599B2 (ja) サッシェに収容された製品のディスペンサー
US5678689A (en) Two side taping apparatus
KR102049780B1 (ko)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TWI465372B (zh) 捲繞體收納盒及裝有捲繞體之收納盒
KR200368647Y1 (ko) 박스테이프 커터
JP2001031104A (ja) ラップカートン
JPH066232U (ja) ロール状に巻装されたシート状物の収納ケース
US2767872A (en) Tape dispenser and applicator
JP2017205830A (ja) 粘着テープ用ホルダ
JPH0948553A (ja) 容器入巻テ−プ
CN216140345U (zh) 一种飞机盒撕拉箱
JP7273526B2 (ja) 包装箱
JPS62249860A (ja) テ−プカツテイング装置
JP2001031105A (ja) ラップカートン
JP2002019857A (ja) ティ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JP2006335375A (ja) 包装用容器
JP2007161284A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
JP3021756U (ja) シート引き出しカット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