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780B1 -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 Google Patents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780B1
KR102049780B1 KR1020180038728A KR20180038728A KR102049780B1 KR 102049780 B1 KR102049780 B1 KR 102049780B1 KR 1020180038728 A KR1020180038728 A KR 1020180038728A KR 20180038728 A KR20180038728 A KR 20180038728A KR 102049780 B1 KR102049780 B1 KR 10204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ressing plate
bag
cutter blade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711A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8003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7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5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점착시트의 이형지만을 손쉽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는 커터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커터는, 자루; 소정 두께를 갖고,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는 누름판; 및, 상기 자루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누름판의 외부로 돌출된 커터날;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커터날의 길이는, 이형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CUTTER FOR CUTTING OFF RELEASE PAPER}
본 문건이 개시(Disclosure)하는 기술은, 문구용 커터와 관련된다.
광고물이 인쇄된 대형 점착시트를 건물이나 버스의 측면 등에 기울어짐 없이 반듯하게 부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 일반적으로 점착시트는, 점착면을 구비하는 시트지와 시트지의 점착면을 보호하는 이형지로 구성됨.
도 1은 건물의 외벽 등에 대형 점착시트(ST)를 기울어짐 없이 반듯하게 부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외벽 등에 대형 점착시트(ST)를 반듯하게 부착하기 위해, 광고업계 등에서는, ① 커터를 이용하여 대형 점착시트(ST)의 뒷면 중앙 부분의 이형지(B)만을 제거한 후, ② 이형지(B)가 제거된 시트지(A) 부분을 건물의 외벽 등에 우선적으로 부착하고, ③ 좌, 우측의 이형지(B)를 조금씩 제거해가며 나머지 시트지(A) 부분을 부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한편, ② 과정에서, 작업자가 일반적인 문구용 커터 등으로, 대형 점착시트(ST)의 이형지(B)만을 깔끔하게 절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KR 10-2013-0135004 A (2013.12.10. 공개)
점착시트의 이형지만을 손쉽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는 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커터는, 자루; 소정 두께를 갖고,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는 누름판; 및, 상기 자루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누름판의 외부로 돌출된 커터날;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커터날의 길이는, 이형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터날의 타측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는, 일측면에 상기 누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홈이 형성된 자루몸체; 및, 상기 홈과 마주하는 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결합되며, 상기 누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자루몸체에서 분리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과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마그네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자루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터날로 시트지와 이형지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신속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에는 재단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일부 양태(Aspect)에 불과하며, 다른 양태나 특징들은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에 따른 커터를 이용하면, 점착시트의 이형지만을 손쉽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건물의 외벽 등에 대형 점착시트(ST)를 부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용 방법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전술한 도면 전반에 걸쳐, 점착시트(ST)의 두께 및 누름판(150)에 돌출된 커터날(130)의 크기 등은 열람자가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하였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 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점착시트(ST)는, 점착면을 구비하는 시트지(A)와 시트지(A)의 점착면을 보호하는 이형지(B)로 구성되고, 이형지(B)는 소정 두께를 갖는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는, 자루(110), 커터날(130) 및 누름판(150)을 포함한다.
자루(110)는 사람이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자루(10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알루미늄 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루(100)는 일반적인 문구용 커터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커터날(130)은 자루(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커터날(130)은 문구용 커터에 적용되는 기성 제품[길쭉한 평행사변형 형태이되, 일측에 고정홀(132)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파단선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커터날(130)의 일측은 자루(110)의 일단 밖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누름판(150)은 원 형태, 타원 형태 또는 다각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누름판(150)은 소정 두께를 갖고, 자루(110)의 일단에 구비된다. 자루(110)와 누름판(150)의 사잇각은 예각을 이룬다. 누름판(150)은 자루(110)의 일단 밖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커터날(130)의 둘레를 감싼다. 이때, 커터날(130)의 일측 미소 부위는 누름판(150)의 외부[하면 중앙부]로 돌출된다. 누름판(150)의 외부로 돌출된 커터날(130)의 미소 부위 길이는, 이형지(B)에 두께에 대응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자루(110)는 자루몸체(112)와 슬라이더(114)로 구성될 수 있다.
자루몸체(112)의 일측면에는 누름판(150)이 구비된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홈(112a)이 형성된다. 홈(112a)은 커터날(13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슬라이더(114)는 전술한 홈(11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114)는 누름판(150) 방향으로 끝까지 밀면, 자루몸체(112)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홈(112a)과 마주하는 슬라이더(114)의 측면에는 고정돌기(114a)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114a)는 커터날(130)에 형성된 고정홀(132)과 결합된다.
또한, 홈(112a)과 마주하는 슬라이더(114)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마그네틱(114b)이 일정 간격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네틱(114b)은 고정돌기(114a)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114b)은 슬라이더(114)에 커터날(130)이 안정적으로 고정(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누름판(150)의 외부로 돌출된 커터날(130)의 일측 미소 부위 길이는 이형지(B)의 두께에 대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를 이용하여, 점착시트(ST)의 이형지(B)만을 손쉽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다. 커터날(130)이 이형지(B)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누름판(150)은 이형지(B)가 울지 않도록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커터날(130)이 손상될 경우, 사용자는 자루몸체(110)에서 슬라이더(114)를 분리하여, 커터날(130)을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는 잦은 사용으로 커터날(130)이 손상될 경우, 손상된 부분을 파단하여 사용하지 않고, 커터날(130) 전체를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마그네틱(114b)의 고정력을 이용하여, 소정 길이 파단된 커터날(13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의 사용 방법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누름판(150)의 내부에는 자루(110)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누름판(150)은 자루(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루(110)에서 누름판(150)을 분리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를 일반적인 문구용 커터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점착시트(ST)를 커터날(130)로 재단할 수 있도록, 누름판(150)의 측면(두께부)에는 재단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재단홈(154)의 폭은 점착시트(ST)의 두께보다 조금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판(150)에 재단홈(154)이 형성될 경우,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를 점착시트(ST)를 재단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 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 커터
110 : 자루
112 : 자루몸체
112a : 홈
114 : 슬라이더
114a : 고정돌기
114b : 마그네틱
130 : 커터날
132 : 고정홀
150 : 누름판
152 : 결합부
154 : 재단홈
--
ST : 점착시트 / A : 시트 부분 / B : 이형지 부분

Claims (4)

  1. 자루;
    소정 두께를 갖고, 상기 자루의 일단에 구비되는 누름판; 및,
    상기 자루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누름판의 외부로 돌출된 커터날;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커터날의 길이는, 이형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자루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터날로 시트지와 이형지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신속하게 재단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에는 재단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의 타측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루는,
    일측면에 상기 누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홈이 형성된 자루몸체; 및,
    상기 홈과 마주하는 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결합되며, 상기 누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자루몸체에서 분리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마그네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4. 삭제
KR1020180038728A 2018-04-03 2018-04-03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KR10204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28A KR102049780B1 (ko) 2018-04-03 2018-04-03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28A KR102049780B1 (ko) 2018-04-03 2018-04-03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11A KR20190115711A (ko) 2019-10-14
KR102049780B1 true KR102049780B1 (ko) 2019-11-29

Family

ID=6817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728A KR102049780B1 (ko) 2018-04-03 2018-04-03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457B2 (en) 2020-08-14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Release fil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5560A (ja) * 1995-09-11 1997-03-25 Yoshihiro Maekawa 切断用ガイド付き折り刃式カッター
KR100693398B1 (ko) * 2005-09-01 2007-03-09 신홍우 안전 커터칼
KR20130135004A (ko) 2012-05-31 2013-12-10 오상근 커터칼 겸용 자석식 칼날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457B2 (en) 2020-08-14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Releas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11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549A1 (en) Web material cutting device
KR102049780B1 (ko) 점착시트의 이형지 절단용 커터
JP2006205262A (ja) 複数の紙片を綴じるために用いる紙製綴じ片とその使用方法
JP2004042258A (ja) テープ容器及びカッター装置
JP3810582B2 (ja) ラベルシート
US20180050556A1 (en) File
KR200480177Y1 (ko) 절취홀이 형성된 접착테이프
JP2500131Y2 (ja) ハンデイプリンタ―用粘着ラベル連続体
KR200391965Y1 (ko) 라벨지
JP6688677B2 (ja) 粘着テープ用ホルダ
KR200321879Y1 (ko) 절취선이 있는 접착테이프.
CN211687658U (zh) 一种胶带用切割刀片及胶带切割装置
KR20200072749A (ko)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JP2011156617A (ja) ロケーター貼り止め用具
US10800632B1 (en) Tape cutting inserts
JP7220826B1 (ja) 剥離用爪付きテープカッター
JP6077401B2 (ja) ロール状テープの製造方法
GB2255029A (en) Lateral tear tape.
JP2010100310A (ja) 収納箱用切刃装置
JP2009083108A (ja) 書類ホルダー
JP2012254150A (ja) 清掃用具
CN2910928Y (zh) 一种易撕透明胶带
JP6954515B2 (ja) 目地材集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GB2324503A (en) Rectangular flat strip document binder
JP3135645U (ja) シート切断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