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492A - 작업 공구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공구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492A
KR20200072492A KR1020207013279A KR20207013279A KR20200072492A KR 20200072492 A KR20200072492 A KR 20200072492A KR 1020207013279 A KR1020207013279 A KR 1020207013279A KR 20207013279 A KR20207013279 A KR 20207013279A KR 20200072492 A KR20200072492 A KR 2020007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liding
horizontal movement
work tool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698B1 (ko
Inventor
다케시 오오타와
다카시 오구라
신야 이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0007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가 높은 작업 공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작업 공구 지지 장치(1, 1A, 1B)는, 아암부(4)와, 아암부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며, 작업 공구를 파지하는 파지부(3)를 구비한다. 아암부(4)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과, 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부재(45)를 구비한다. 각도 변경 부재(45)는, 제1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1 부분(451)과,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며, 또한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부분(452)과,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 455a, 455b)와,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공구 지지 장치
본 발명은, 작업 공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선의 절단 작업, 피박 작업 등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스틱, 집게 등의 작업 공구를 지지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당해 작업 공구 지지 장치는, 고소(高所) 작업차의 버킷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작업 공구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다.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작업용 공구의 자재(自在) 헬퍼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용 공구의 자재 헬퍼는, 작업용 공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와, 제1 팔부와, 제2 팔부와, 제1 팔부의 타단과 제2 팔부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관절부와, 제1 관절부의 회동 상태 및 락(lock) 상태를 제어하는 락 상태 제어 기구를 구비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81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용 공구의 자재 헬퍼에서는, 기어와 걸림 부재 사이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제1 관절부가 락된다. 이 때문에, 제1 관절부가 락된 상태에서, 버킷이 의도치 않게 이동한 경우, 제1 관절부에, 면외 방향(제1 팔부와 제2 팔부에 의해 규정되는 면에 교차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기어와 걸림 부재 사이의 걸어 맞춤이 풀리거나, 기어 또는 걸림 부재가 빠질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관절부의 락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팔부는 중력에 의해 강하하고, 자재 헬퍼는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가 높은 작업 공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며, 작업 공구를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제1 아암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아암과,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변경 부재는,
상기 제1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락 해제 부재를 구비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2) 상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를, 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3)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4) 상기 제1 락 해제 부재를 조작하는 풋 페달과,
제1 단부가 상기 제1 락 해제 부재에 접속되고, 제2 단부가 상기 풋 페달에 접속되는 와이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5) 상기 아암부는,
상기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제2 아암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3 아암과,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제3 아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제3 아암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는,
상기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과,
상기 제3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과,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을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2 슬라이딩 락 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2 락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부재의 제3 단부는, 상기 제2 락 해제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풋 페달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의 락 해제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락 부재의 락 해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한, 상기 (4)에 기재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6) 상기 아암부보다 기단측에 배치되며, 고소 작업차의 버킷에 착탈이 자유로운 장착부와,
상기 아암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와 일체적으로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장착부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수평 이동 락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수평 이동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수평 제1 방향을 향해서 압압(押壓)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상기 수평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수평 제2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7)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는, 무릎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버킷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본 발명에 의해, 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가 높은 작업 공구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을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딩부를 제2 가이드부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어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은 부재에 대해서, 반복이 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는, 고소 작업차의 버킷에 착탈이 자유로운 장착부(2)와, 작업 공구(T)를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파지부(3)와, 장착부(2)와 파지부(3) 사이에 배치되는 아암부(4)를 구비한다. 아암부(4)의 선단측에는, 파지부(3)가 배치되고, 아암부(4)의 기단측에는, 장착부(2)가 배치된다.
장착부(2)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한 이동부(22)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1)와 이동부(22)에 의해 버킷의 벽부를 협지함으로써, 장착부(2)는, 버킷에 고정된다. 또한, 아암부(4)와 장착부(2)는 착탈이 자유로워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장착부(2)로서 기존의 장착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자체에 장착부(2)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 환언하면,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의 아암부(4)가, 기존의 장착부(2)에 장착되어도 된다.
파지부(3)는, 예를 들면, 제1 파지 부재(31)와 제2 파지 부재(33)을 구비한다. 제1 파지 부재(31)와 제2 파지 부재(33)에 의해 작업 공구(T)를 협지함으로써, 작업 공구(T)가 파지부(3)에 고정된다.
아암부(4)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과,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부재(45)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아암(41)은, 장착부(2)측의 아암이며, 제2 아암(42)은, 파지부(3)측의 아암이다. 또, 제1 아암(41) 및 제2 아암(42)은, 예를 들면, FRP제이다.
제2 아암(42)은, 제1 아암(41)에 요동이 자유(보다 구체적으로는, 요동축 AT1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아암(42)은, 제1 아암(41)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 상태로 함으로써, 제1 아암(41)에 대한 제2 아암(42)의 각도가 고정된다.
각도 변경 부재(45)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에 배치된다. 각도 변경 부재(45)는, 후술하는 제1 요동축(AX1)과 후술하는 제2 요동축(AX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변경한다. 각도 변경 부재(45)는, 제1 부분(451)과, 제2 부분(452)과,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도 2 등을 참조)와,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구비한다.
제1 부분(451)은, 제1 요동축(AX1)에 있어서 제1 아암(41)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아암(41)은, 제1 아암(41)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11)를 구비하고, 당해 돌출부(411)에 제1 요동축(AX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요동축(AX1)은, 예를 들면, 돌출부(411)의 구멍부와 제1 부분(451)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핀의 중심축이다.
제2 부분(452)은, 제2 요동축(AX2)에 있어서 제2 아암(42)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아암(42)은, 제2 아암(42)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21)를 구비하고, 당해 돌출부(421)에 제2 요동축(AX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요동축(AX2)은, 예를 들면, 돌출부(421)의 구멍부와 제2 부분(452)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핀의 중심축이다.
제2 부분(452)은, 제1 부분(451)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롭다. 제2 부분(452)이 제1 부분(451)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 요동축(AX1)과 제2 요동축(AX2)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그 결과,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가 변경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각도 변경 부재(45)는, 제1 부분(451), 제2 부분(452),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 제1 락 해제 부재(456), 하중 전달 부재(457), 및, 탄성 가압 부재(459)를 구비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가, 제1 부분(451)의 내표면 및 제2 부분(452)의 외표면의 양방에 압접되면, 제2 부분(452)이 제1 부분(451)에 대해 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락 해제 부재(456)에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a)가, 스프링 등의 제1 탄성 가압 부재(459a)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부분(451) 및 제2 부분(452)으로 밀어붙여진다. 또,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b)가, 스프링 등의 제2 탄성 가압 부재(459b)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부분(451) 및 제2 부분(452)으로 밀어붙여진다. 이렇게 하여, 제2 부분(452)이 제1 부분(451)에 대해 락된다.
한편, 제1 락 해제 부재(456)가, 화살표 AR1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하중 전달 부재(457)가 이동(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하중 전달 부재(457)가 이동(회전 이동)하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a)가, 제1 부분(451)의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b)가, 제1 부분(451)의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2에 기재된 상태). 이렇게 하여,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즉, 제1 부분(451)에 대한 제2 부분(452)의 락 상태)이 해제된다.
또한, 도 2에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가, 복수의 구(球)인 예가 예시되어 있는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의 수 및 형상은, 도 2에 기재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부분(451)과 제2 부분(452)을,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며 또한 락 가능하게 접속하는 기구로서, 도 2에 기재된 기구와는 상이한 공지의 기구가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TALK SYSTEM CO., LTD.사 제조의 Quick Clamper(등록 상표), 보다 구체적으로는, TALK SYSTEM CO., LTD.사 제조의 레버 유닛(모델 번호:TUWL08 또는 TUWL16)이 채용되어도 된다. 혹은, 일본국 특허공개 2014-66365호 공보의 각 실시예 또는 각 참고예에 기재된 기구가 채용되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조작함으로써, 하중 전달 부재(457)가 이동(회전 이동)하고, 제1 부분(451)에 대한 제2 부분(452)의 락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락 해제 상태에 있어서,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파지부(3)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락 해제 부재(456)에 조작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노멀 상태)에서는, 제2 부분(452)이 제1 부분(451)에 대해 락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고, 파지부(3)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재 헬퍼에서는, 기어와 걸림 부재 사이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제1 관절부가 락되기 때문에, 제1 팔부와 제2 팔부 사이의 고정 각도는, 기어의 톱니의 간격에 의존한다. 환언하면, 제1 팔부와 제2 팔부 사이의 고정 각도는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당해 고정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었다. 한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부재(45)를 구비하고, 당해 각도 변경 부재(45)는, 제1 부분(451)과, 제1 부분(451)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부분(452)과,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와,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고정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에서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이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각도 변경 부재(45)(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451))와 제1 아암(41)이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며, 각도 변경 부재(45)(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부분(452))와 제2 아암(42)이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과, 각도 변경 부재(45)가, 삼각형 구조(트러스 구조의 단위 유닛)를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에 의해 규정되는 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의도치 않은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당해 힘은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의 접속 부분뿐만 아니라, 각도 변경 부재(45)(제1 부분(451))와 제1 아암(41)(돌출부(411))의 접속 부분 및 각도 변경 부재(45)(제2 부분(452))와 제2 아암(42)(돌출부(421))의 접속 부분에도 분산된다. 따라서,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의 두께를 얇게 해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용 공구의 자재 헬퍼에서는, 기어와 걸림 부재 사이의 걸어 맞춤이 풀리거나, 기어 또는 걸림 부재가 빠진 경우에는, 락 기능이 상실되어 팔부는 중력에 의해 강하하고, 자재 헬퍼는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에서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이 락된 상태에서 버킷이 의도치 않게 이동하여,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에 의해 규정되는 면에 오버 하중이 걸렸다고 해도, 각도 변경 부재(45)의 제1 부분(451)과 제2 부분(452)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하중을 내보낼 수 있다. 그리고, 하중을 내보낸 후에는, 제1 부분(451)과 제2 부분(452)은 다시 걸리기 때문에,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이 중력에 의해 강하하는 범위는 한정적이다. 그 때문에, 하중이 없어진 후에는, 제1 부분(451)과 제2 부분(452)이 다시 걸린 위치에서부터 작업을 재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제1 부분(451)과 제2 부분(452)에 미끄럼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가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에서는, 각도 변경 부재(45)가,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능과,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 기능과,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를 높이는 강화 기능 및 경량화와, 오버 하중이 걸렸을 때의 작업의 편의성의 향상 및 파손 방지의 복수의 상이한 기능(효과)을 구비한다. 또,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 고정의 해제는,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되고, 작업 부담이 적다.
또,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각도 변경 부재(45)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를, 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459)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를, 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459)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락 해제 부재(456)에 조작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즉, 노멀 상태)에 있어서,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파지부(3)가 급하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일방향 락)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분(452)의 제1 부분(451)에 대한 락은, 쌍방향 락이다. 이에 대체하여, 제2 부분(452)의 제1 부분(451)에 대한 락은, 일방향 락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에 있어서, 제2 부분(452)은, 제1 부분(451)에 대해, 제1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지만, 당해 제1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분(452)을 제1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대한 제1 부분(451) 및 제2 부분(452)의 협지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2 부분(452)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제2 부분(452)을 제2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대한 제1 부분(451) 및 제2 부분(452)의 협지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제2 부분(452)은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파지부(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대응한다. 즉, 제1 부분(451)에 대한 제2 부분(452)의 락으로서, 일방향 락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락 상태에 있어서도, 파지부(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지부(3)의 상방으로의 이동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일방향 락을 채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락 상태에서는, 파지부(3)가 하강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파지부(3)의 위치 고정에 지장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조작하기 위한 기구)
도 1을 참조하여,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조작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는,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조작하는 풋 페달(7)과, 제1 단부(81)가 제1 락 해제 부재(456)에 접속되고, 제2 단부(82)가 풋 페달(7)에 접속된 와이어 부재(8)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풋 페달(7)을 밟으면, 와이어 부재(8)가 잡아당겨져, 제1 락 해제 부재(456)가 조작된다. 그리고, 제1 락 해제 부재(456)가 조작되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제1 부분(451)에 대한 제2 부분(452)의 락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와이어 부재(8)는, 튜브(85)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 부재(8)가, 튜브(85)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가, 풋 페달(7)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락 해제 부재(456)의 조작을 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공구(T)를 양손 또는 한 손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에 비해, 제1 락 해제 부재(456)의 조작을 손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한 손으로, 작업 공구(T)(혹은, 파지부(3) 또는 아암부(4))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혹은, 제1 락 해제 부재(456)를 해제하는 다른 작업자가 필요해진다.
또, 풋 페달(7)에 작용하는 힘을, 와이어 부재(8)를 이용하여, 제1 락 해제 부재(456)에 전달하는 경우에는, 전달 기구의 구조가 심플하고 신뢰성이 높다. 이에 비해, 유압을 이용한 전달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의 중량이 증가하고,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의 구조가 복잡화된다. 또, 기름 누출의 리스크도 있다.
풋 페달(7)은, 예를 들면, 토글 형식의 풋 페달이다. 이 경우, 풋 페달(7)을 한번 밟으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가 해제되고, 풋 페달을 한번 더 밟으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해, 제2 부분(452)이 제1 부분(451)에 대해 락된다. 또한, 풋 페달(7)을 한번 밟은 후, 발을 풋 페달(7)에서 떼어도 락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두 발을 바닥면에 붙인 상태로, 파지부(3)의 위치의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대체하여, 풋 페달(7)은, 토글 형식 이외의 풋 페달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풋 페달(7)을 밟은 상태에서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가 해제되고, 풋 페달(7)에서 발을 뗀 상태에서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풋 페달(7)을 도중까지 밟은 상태에서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가, 락 상태와 언락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 공구(T)(혹은, 파지부(3) 또는 아암부(4))에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작업 공구(T)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로터리 댐퍼(49))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49)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로터리 댐퍼(49)는, 제2 아암(42)이 제1 아암(41)에 대해 요동할 때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파지부(3) 및 제2 아암(42)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락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작업 공구(T)를 유지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작업 공구(T), 파지부(3) 및 제2 아암(42)의 중력이 급격하게 걸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가, 로터리 댐퍼(49)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령, 각도 변경 부재(45)가 파손되어, 노멀 상태(제1 락 해제 부재(456)에 조작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각도 유지 기능이 상실된 경우라 하더라도, 파지부(3) 및 제2 아암(42)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다. 이 경우,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는, 각도 변경 부재(45)에 의한 노멀 상태에서의 각도 유지 기능, 및, 로터리 댐퍼(49)에 의한 저항력 부여 기능을 갖게 되어, 양 기능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성이 이중으로 확보된다.
(장착부(2))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장착부(2)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한 이동부(22)와, 이동부 조작부(23)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베이스부(21)는, 측면에서 볼 때, 제1 다리부(211)와, 제2 다리부(212)와, 제1 다리부(211)와 제2 다리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갖는다. 제1 다리부(211)는, 버킷의 측벽의 제1 면(예를 들면, 내면)에 대향 배치되고, 제2 다리부(212)는, 버킷의 측벽의 제2 면(예를 들면, 외면)에 대향 배치된다.
이동부 조작부(23)는, 제2 다리부(212)에 장착되어 있고, 이동부 조작부(23)를 조작함으로써, 이동부(22)가, 제1 다리부(211)에 대해 근접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버킷의 벽부가, 이동부(22)와 제1 다리부(211) 사이에서 협지되고, 장착부(2)가 버킷의 벽부에 고정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베이스부(21)가, 측면에서 볼 때, 역U자 형상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장착부(2)의 버킷 벽부에 대한 고정이 불충분하여, 장착부(2)가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역U자 형상의 상부(즉, 연결부(213))가, 버킷 벽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걸린다. 따라서, 장착부(2)가 버킷 벽부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제2 실시형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아암부(4)를 소정량만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아암부(4)를 도 4에 나타나는 상태보다 더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아암부(4)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을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딩부(92)를 제2 가이드부(29)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아암부(4)가, 제1 아암(41) 및 제2 아암(42)에 더하여, 제3 아암(53)을 구비한다. 또, 아암부(4)가, 각도 변경 부재(45)에 더하여,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55)를 구비한다. 제3 아암(53)은, 예를 들면, FRP제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이 끝난 사항에 대한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아암(41)의 기단부가 장착부(2)(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21)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아암(41)의 기단부와 장착부(2) 사이의 연결은, 제1 아암(41)이 장착부(2)에 대해 수평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평 이동 가능한 연결이어도 되고, 제1 아암(41)이 제1 아암(41)의 길이 방향 축 둘레로 선회하는 것을 허용하는 선회 가능한 연결이어도 되고, 수평 이동 불가능하며 또한 선회 불가능한 연결이어도 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아암(42)의 기단부가 제1 아암(41)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제2 아암(42)과 제1 아암(41) 사이에 각도 변경 부재(45)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아암(41), 제2 아암(42), 각도 변경 부재(45)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이 끝났기 때문에,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아암(53)의 기단부가 제2 아암(42)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제3 아암(53)과 제2 아암(42) 사이에 제2 각도 변경 부재(55)가 배치되어 있다.
제3 아암(53)은, 제2 아암(42)에 대해, 요동이 자유(보다 구체적으로는, 요동축 AT2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제3 아암(53)은, 제2 아암(42)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을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락 상태로 함으로써, 제2 아암(42)에 대한 제3 아암(53)의 각도가 고정된다.
제2 각도 변경 부재(55)는,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각도 변경 부재(55)는, 후술하는 제3 요동축(AX3)과 후술하는 제4 요동축(AX4)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각도를 변경한다. 제2 각도 변경 부재(55)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과,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과,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도 5를 참조)와, 제2 락 해제 부재(556)를 구비한다.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은, 제3 요동축(AX3)에 있어서 제2 아암(42)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제3 요동축(AX3)은, 예를 들면, 제2 아암(42)의 구멍부와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핀의 중심축이다.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은, 제4 요동축(AX4)에 있어서 제3 아암(53)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제4 요동축(AX4)은, 예를 들면, 제3 아암(53)의 구멍부와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핀의 중심축이다.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은,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롭다.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이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제3 요동축(AX3)과 제4 요동축(AX4)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그 결과,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각도가 변경된다.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을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과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설명에 있어서, 「각도 변경 부재(45)」, 「제1 부분(451)」, 「제2 부분(452)」,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 455a, 455b)」, 「제1 락 해제 부재(456)」, 「하중 전달 부재(457)」, 「탄성 가압 부재(459)」, 「제1 탄성 가압 부재(459a)」, 「제2 탄성 가압 부재(459b)」, 「도 1」, 「도 2」, 「제1 아암(41)」, 및, 「제2 아암(42)」을, 각각 「제2 각도 변경 부재(55)」,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 555a, 555b)」, 「제2 락 해제 부재(556)」, 「하중 전달 부재(557)」, 「탄성 가압 부재(559)」, 「제1 탄성 가압 부재(559a)」, 「제2 탄성 가압 부재(559b)」, 「도 4」, 「도 5」, 「제2 아암(42)」, 및, 「제3 아암(53)」으로 대체하면,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을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의 설명이 된다. 또한,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의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한 락은, 쌍방향 락이어도 되고, 일방향 락이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A)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덧붙여,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아암부(4)는, 3개의 아암(제1 아암(41), 제2 아암(42), 제3 아암(53))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작업 공구(T)의 위치 결정의 자유도, 및, 작업 공구(T)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어프로치 경로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의 아암부(4)가 구비하는 아암의 수는,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55)를 구비하고, 당해 제2 각도 변경 부재(55)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과,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과,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552)을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551)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와,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에 의한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2 락 해제 부재(556)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고정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에서는,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과, 제2 각도 변경 부재(55)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삼각형 구조(트러스 구조의 단위 유닛)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가 높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제1 락 해제 부재(456) 및 제2 락 해제 부재(556)를 조작하는 풋 페달(7)과, 제1 단부(81)가 제1 락 해제 부재(456)에 접속되고, 제2 단부(82)가 풋 페달(7)에 접속되며, 제3 단부(83)가 제2 락 해제 부재(556)에 접속된 와이어 부재(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풋 페달(7)을 밟으면, 와이어 부재(8)가 잡아당겨져, 제1 락 해제 부재(456) 및 제2 락 해제 부재(556)가 조작된다. 그리고, 제1 락 해제 부재(456) 및 제2 락 해제 부재(556)가 조작되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 및,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에 의한 락 상태가 동시에 해제된다. 또한, 와이어 부재(8)에 있어서, 제1 락 해제 부재(456)와 풋 페달(7)을 접속하는 와이어와, 제2 락 해제 부재(556)와 풋 페달(7)을 접속하는 와이어는, 각각 다른 와이어여도 된다. 이에 대체하여, 제1 락 해제 부재(456)와 풋 페달(7)을 접속하는 와이어와, 제2 락 해제 부재(556)와 풋 페달(7)을 접속하는 와이어는, 일부가 공통화되어 있어도 된다.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가, 풋 페달(7), 제1 락 해제 부재(456) 및 제2 락 해제 부재(556)에 접속된 와이어 부재(8)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락 해제 부재(456) 및 제2 락 해제 부재(556)에 의한 락 해제 조작을 발에 의해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락 해제 조작을 개별적으로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풋 페달(7)로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풋 페달(7)과 동일한 풋 페달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터리 댐퍼(59))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59)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로터리 댐퍼(59)는, 제3 아암(53)이 제2 아암(42)에 대해 요동할 때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에 의한 락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파지부(3) 및 제3 아암(53)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진동부(6))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아암부(4)(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아암(53))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 진동부(6)를 구비한다.
진동부(6)는, 제3 아암(53)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진동부(6)와 제3 아암(53) 사이에는, 제3 각도 변경 부재(65)가 배치되어 있다.
진동부(6)는, 제3 아암(53)에 대해, 요동이 자유(보다 구체적으로는, 요동축 AT3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또, 진동부(6)는, 제3 아암(53)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652)을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651)에 대해 락 상태로 함으로써, 제3 아암(53)에 대한 진동부(6)의 각도가 고정된다.
제3 각도 변경 부재(65)는, 제3 아암(53)과 진동부(6) 사이에 배치된다. 제3 각도 변경 부재(65)는, 후술하는 제5 요동축(AX5)과 후술하는 제6 요동축(AX6)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제3 아암(53)과 진동부(6) 사이의 각도를 변경한다. 제3 각도 변경 부재(65)는,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651)과,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652)과, 제3 슬라이딩 락 부재(도시 생략)와, 제3 락 해제 부재(656)를 구비한다.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651)은, 제5 요동축(AX5)에 있어서 제3 아암(53)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또,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652)은, 제6 요동축(AX6)에 있어서 진동부(6)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652)은,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651)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롭다.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652)이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651)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제5 요동축(AX5)과 제6 요동축(AX6) 사이의 거리가 변경된다. 그 결과, 제3 아암(53)과 진동부(6) 사이의 각도가 변경된다.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652)을 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6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제2 부분(452)을 제1 부분(451)에 대해 락하는 메커니즘과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가, 진동부(6)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풋 페달(7)에 접속되는 와이어 부재(8)는, 제3 락 해제 부재(656)에 접속되는 제4 단부(8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풋 페달(7)을 밟으면, 와이어 부재(8)가 잡아당겨져, 제1 락 해제 부재(456), 제2 락 해제 부재(556), 및, 제3 락 해제 부재(656)가 조작된다. 그리고, 제1 락 해제 부재(456), 제2 락 해제 부재(556), 및, 제3 락 해제 부재(656)가 조작되면, 제1 슬라이딩 락 부재(455)에 의한 락 상태, 제2 슬라이딩 락 부재(555)에 의한 락 상태, 및, 제3 슬라이딩 락 부재에 의한 락 상태가 동시에 해제된다.
또한, 아암부(4)가 구비하는 아암의 수가 N개(N는, 2이상의 자연수)인 경우에는, 진동부(6)는, 말단의 아암, 즉, 제N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의 요동축 AT1과,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요동축 AT2가 평행한데, 요동축 AT1과 요동축 AT2는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의 요동축 AT2와, 제3 아암(53)과 진동부(6) 사이의 요동축 AT3이 평행한데, 요동축 AT2와 요동축 AT3은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암부(4)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가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크고,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가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6을 참조). 이 경우, 파지부(3)를, 버킷으로부터 크게 이격된 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암부(4)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1 아암(41)과 제2 아암(42) 사이를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하이며,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 사이를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7을 참조). 이 경우, 아암부(4)를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아암부(4)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제2 아암(42)과 제3 아암(53)이 평행하다.
(파지부(3))
파지부(3)는, 진동부(6) 또는 말단의 아암(예를 들면, 제3 아암(53))에 접속된다. 파지부(3)와, 진동부(6) 또는 말단의 아암 사이의 접속은, 선회 가능한 접속이어도 되고, 선회 불가능한 접속이어도 된다.
파지부(3)는, 작업 공구(T)를 파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는데,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파지부(3)는, 제1 파지 부재(31)(고정 부재)와, 좌우 2개의 가이드 로드(32)를 통해, 제1 파지 부재(31)에 대해 평행 이동 가능한 제2 파지 부재(33)(가동 부재)를 갖는다. 제1 파지 부재(31)의 길이 방향에서 수직 상방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32)는, 평행 이동 가능한 제2 파지 부재(33)의 가이드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가이드 로드(32)에는, 제2 파지 부재(33)를 제1 파지 부재(31)에 대해 적당 간격으로 유지하여 작업 공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34)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파지 부재(31)와 제2 파지 부재(33)의 대향면에는, 작업 공구를 협지하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협지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파지 부재(33)에는, 체결 부재(36)가 접속되고, 당해 체결 부재(36)에는, 체결 부재(36)에 의한 체결 동작 및 체결 해제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37)가 장착되어 있다.
파지부(3)에 의한 작업 공구(T)의 파지 시에는, 제1 파지 부재(31)와 제2 파지 부재(33) 사이에 작업 공구(T)를 삽입하고, 조작부(37)를 조작하여, 체결 부재(36)를 동작시킴으로써, 제2 파지 부재(33)를 제1 파지 부재(31)에 접근시킨다. 이렇게 하여, 작업 공구(T)가, 제1 파지 부재(31)와 제2 파지 부재(33) 사이에서 협지된다.
(아암부(4)의 수평 이동 기구)
도 8을 참조하여, 아암부(4)는, 수평 제1 방향, 및, 수평 제1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부(2)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아암부(4)를, 장착부(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아암부(4)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고, 아암부(4)와 일체적으로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딩부(92)와, 슬라이딩부(92)를 장착부(2)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수평 이동 락 부재(95)(도 9를 참조)와, 슬라이딩부(92)에 장착된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구비한다.
또한,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아암부(4) 또는 장착부(2)의 아암부 수용부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가이드부(28)는, 예를 들면, 장착부(2)에 설치된 안내 레일(281)이다. 안내 레일(281)은, 장착부(2)의 폭방향(환언하면, 수평 방향이며, 또한, 버킷의 벽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는, 안내 레일(281)이, 장착부(2)의 베이스부(21)의 상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암부(4)의 이동이, 버킷 내에 있는 작업자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슬라이딩부(92)는, 아암부(4)(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암(41))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고, 아암부(4)와 일체적으로 수평 이동한다. 수평 이동 락 부재(95)(도 9를 참조)는, 제2 가이드부(29)에 대해 슬라이딩부(92)를 락 상태로 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가이드부(29)는, 장착부(2)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평 이동 락 부재(95)는, 장착부(2)에 대한 아암부(4)(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암(41))의 수평 이동을 금지 가능한 락 부재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29)는, 예를 들면, 가이드부(28)(안내 레일(28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레일(291)이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는, 제2 가이드부(29)와, 제2 가이드부(29)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92)와, 수평 이동 락 부재(95)와, 탄성 가압 부재(99)와,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99)는, 수평 이동 락 부재(95)를 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부재이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평 이동 락 부재(95)가, 슬라이딩부(92)의 내표면 및 제2 가이드부(29)의 외표면의 양방에 압접되면, 슬라이딩부(92)가 제2 가이드부(29)에 대해 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이동 조작부(90)에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즉, 수평 이동 조작부(90)의 중립 상태)에서는, 제1 수평 이동 락 부재(95a)가, 스프링 등의 제1 탄성 가압 부재(99a)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부(92) 및 제2 가이드부(29)로 밀어붙여진다. 또, 제2 수평 이동 락 부재(95b)가, 스프링 등의 제2 탄성 가압 부재(99b)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부(92) 및 제2 가이드부(29)로 밀어붙여진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딩부(92)가 제2 가이드부(29)에 대해 락된다.
도 9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수평 제1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수평 이동 락 부재(95)에 의한 락이 해제됨과 동시에, 수평 이동 조작부(90)에 대한 압압력이 슬라이딩부(92)에 작용하기 때문에, 아암부(4)가 슬라이딩부(92)와 함께 수평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이동 조작부(90)가, 화살표 AR2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하중 전달 부재(97)가 이동(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하중 전달 부재(97)가 이동(회전 이동)하면, 제1 수평 이동 락 부재(95a)가, 슬라이딩부(92)의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수평 이동 락 부재(95b)가, 슬라이딩부(92)의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9에 기재된 상태). 이렇게 하여, 수평 이동 락 부재(95)에 의한 락(즉, 제2 가이드부(29)에 대한 슬라이딩부(92)의 락 상태)이 해제된다. 슬라이딩부(92)에는,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통해, 화살표 AR2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92) 및 아암부(4)는, 화살표 AR2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도 9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수평 제2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수평 이동 락 부재(95)에 의한 락이 해제됨과 동시에, 수평 이동 조작부(90)에 대한 압압력이 슬라이딩부(92)에 작용하기 때문에, 아암부(4)가 슬라이딩부(92)와 함께 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이동 조작부(90)가, 화살표 AR3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하중 전달 부재(97)가 이동(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하중 전달 부재(97)가 이동(회전 이동)하면, 제1 수평 이동 락 부재(95a)가, 슬라이딩부(92)의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수평 이동 락 부재(95b)가, 슬라이딩부(92)의 내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수평 이동 락 부재(95)에 의한 락(즉, 제2 가이드부(29)에 대한 슬라이딩부(92)의 락 상태)이 해제된다. 슬라이딩부(92)에는,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통해, 화살표 AR3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92) 및 아암부(4)는, 화살표 AR3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수평 제1 방향(또는, 수평 제2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수평 이동 락 부재(95)에 의한 락 상태가 해제되어, 아암부(4)가 수평 제1 방향(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락 해제와, 아암부(4)의 수평 이동을 단일 조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아암부(4)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되고,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수평 이동 조작부(90)는, 작업자의 무릎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베이스부(21)로부터 버킷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릎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수평 이동 조작부(90)를 배치함으로써, 양손이 바쁜 상태에서도, 작업 공구 지지 장치(1B)를 버킷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수평 이동 조작부(90)는, 작업자의 무릎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베이스부(21)의 상면에 가까운 높이, 예를 들면, 베이스부(21)의 상면보다 60cm 낮은 위치로부터 베이스부(21)의 상면보다 10cm 높은 위치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수평 이동 락 부재(95)가, 복수개의 구인 예가 예시되어 있는데, 수평 이동 락 부재(95)의 수 및 형상은, 도 9에 기재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슬라이딩부(92)와 제2 가이드부(29)를,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며 또한 락 가능하게 접속하는 기구로서, 도 9에 기재된 기구와는 상이한 공지의 기구가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TALK SYSTEM CO., LTD.사 제조의 Quick Clamper(등록 상표), 보다 구체적으로는, TALK SYSTEM CO., LTD.사의 레버 유닛(모델 번호:TUWL08 또는 TUWL16)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에 대체하여, 일본국 특허공개 2014-66365호 공보의 각 실시예 또는 각 참고예에 기재된 기구가 채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는 적절히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형태에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된 가이드부(28, 29), 수평 이동 락 부재(95), 수평 이동 조작부(9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되어도 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암부(4) 또는 장착부(2)의 아암부 수용부(24)가 가이드부(28)에 의해 안내되고, 슬라이딩부(92)가 제2 가이드부(29)에 의해 안내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이에 대체하여, 아암부(4) 또는 장착부(2)의 아암부 수용부(24)가 안내되는 가이드부와, 슬라이딩부(92)가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동일한 가이드부여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451)이 외관(外管) 부재이며, 제2 부분(452)이 제1 부분(451)에 삽입되는 내측 샤프트인 예가 설명되었다. 이에 대체하여, 제2 부분(452)이 외관 부재이며, 제1 부분(451)이 제2 부분(452)에 삽입되는 내측 샤프트여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아암(41), 제2 아암(42), 제3 아암(53)의 재질이, 각각,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인 예가 설명되었다. 이에 대체하여, 제1 아암(41), 제2 아암(42), 제3 아암(53)의 재질이, 각각,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금속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공구 지지 장치(1)에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1)를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기 위한 윈치 훅(11)(도 1, 도 5를 참조)이 설치되어도 된다. 도 1,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윈치 훅(11)이, 아암부(4)에 설치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작업 공구 지지 장치를 이용하면, 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의 연결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작업 공구 지지 장치의 제조업자, 작업 공구 지지 장치에 작업 공구를 지지시켜 작업을 행하는 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
1, 1A, 1B…작업 공구 지지 장치, 2…장착부, 3…파지부, 4…아암부, 6…진동부, 7…풋 페달, 8…와이어 부재, 11…윈치 훅, 21…베이스부, 22…이동부, 23…이동부 조작부, 24…아암부 수용부, 28…가이드부, 29…제2 가이드부, 31…제1 파지 부재, 32…가이드 로드, 33…제2 파지 부재, 34…코일 스프링, 36…체결 부재, 37…조작부, 41…제1 아암, 42…제2 아암, 45…각도 변경 부재, 49…로터리 댐퍼, 53…제3 아암, 55…제2 각도 변경 부재, 59…로터리 댐퍼, 65…제3 각도 변경 부재, 81…제1 단부, 82…제2 단부, 83…제3 단부, 84…제4 단부, 85…튜브, 90…수평 이동 조작부, 92…슬라이딩부, 95…수평 이동 락 부재, 95a…제1 수평 이동 락 부재, 95b…제2 수평 이동 락 부재, 97…하중 전달 부재, 99…탄성 가압 부재, 99a…제1 탄성 가압 부재, 99b…제2 탄성 가압 부재, 211…제1 다리부, 212…제2 다리부, 213…연결부, 281…안내 레일, 291…제2 안내 레일, 411…돌출부, 421…돌출부, 451…제1 부분, 452…제2 부분, 455, 455a, 455b…제1 슬라이딩 락 부재, 456…제1 락 해제 부재, 457…하중 전달 부재, 459…탄성 가압 부재, 459a…제1 탄성 가압 부재, 459b…제2 탄성 가압 부재, 551…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 552…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 555, 555a, 555b…제2 슬라이딩 락 부재, 556…제2 락 해제 부재, 557…하중 전달 부재, 559…탄성 가압 부재, 559a…제1 탄성 가압 부재, 559b…제2 탄성 가압 부재, 651…제3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 652…제3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 656…제3 락 해제 부재, T…작업 공구

Claims (12)

  1.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보다 선단측에 배치되며, 작업 공구를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제1 아암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아암과,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 변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변경 부재는,
    상기 제1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1 슬라이딩 락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락 해제 부재를 구비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를, 락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를 더 구비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를 더 구비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 해제 부재를 조작하는 풋 페달과,
    제1 단부(端部)가 상기 제1 락 해제 부재에 접속되고, 제2 단부가 상기 풋 페달에 접속되는 와이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제2 아암에 대해 각도 고정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3 아암과,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제3 아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제3 아암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는,
    상기 제2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과,
    상기 제3 아암에 요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과,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2 부분을 상기 제2 각도 변경 부재 제1 부분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제2 슬라이딩 락 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를 해제하는 제2 락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부재의 제3 단부는, 상기 제2 락 해제 부재에 접속되고,
    상기 풋 페달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락 부재의 락 해제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락 부재의 락 해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한, 작업 공구 지지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보다 기단측에 배치되며, 고소(高所) 작업차의 버킷에 착탈이 자유로운 장착부와,
    상기 아암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와 일체적으로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장착부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수평 이동 락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수평 이동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수평 제1 방향을 향해서 압압(押壓)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상기 수평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수평 제2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보다 기단측에 배치되며, 고소 작업차의 버킷에 착탈이 자유로운 장착부와,
    상기 아암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와 일체적으로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장착부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수평 이동 락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수평 이동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수평 제1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상기 수평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수평 제2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보다 기단측에 배치되며, 고소 작업차의 버킷에 착탈이 자유로운 장착부와,
    상기 아암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와 일체적으로 수평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기 장착부에 대해 락 상태로 하는 수평 이동 락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수평 이동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수평 제1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를 상기 수평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수평 제2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면, 상기 수평 이동 락 부재에 의한 상기 락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아암부가 상기 수평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는, 무릎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버킷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는, 무릎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버킷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조작부는, 무릎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버킷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작업 공구 지지 장치.

KR1020207013279A 2017-10-12 2018-09-18 작업 공구 지지 장치 KR102589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8680A JP7143993B2 (ja) 2017-10-12 2017-10-12 作業工具支持装置
JPJP-P-2017-198680 2017-10-12
PCT/JP2018/034354 WO2019073751A1 (ja) 2017-10-12 2018-09-18 作業工具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492A true KR20200072492A (ko) 2020-06-22
KR102589698B1 KR102589698B1 (ko) 2023-10-16

Family

ID=6610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279A KR102589698B1 (ko) 2017-10-12 2018-09-18 작업 공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43993B2 (ko)
KR (1) KR102589698B1 (ko)
CN (1) CN111656631B (ko)
TW (1) TWI778138B (ko)
WO (1) WO20190737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7497A (ja) * 1986-08-22 1988-03-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活線工事用ロボツト
KR20000049242A (ko) * 1996-10-18 2000-07-25 하시모토 신이치 활선작업용 로봇차
WO2011081209A1 (ja) * 2009-12-28 2011-07-07 トーク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ニアストッパ
JP2016008103A (ja) * 2014-06-24 201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吊上げ装置
JP2017112812A (ja)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永木精機 作業用工具の自在ヘルパ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73431A1 (es) * 1978-09-16 1979-04-16 Pingon Int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gruas plegables de monta-je rapido.
JPH08289426A (ja) * 1995-04-13 1996-11-01 Fujikura Ltd 架空配電作業装置
CN2695187Y (zh) * 2003-12-18 2005-04-27 洪光明 一种机械手
US8016267B2 (en) * 2006-02-28 2011-09-13 Southwire Company Wire puller and conduit adapter
CN201941747U (zh) * 2010-12-16 2011-08-24 南京大陆鸽高科技股份有限公司 脚踏式四连杆驻车制动联合装置
DE102011004371B4 (de) * 2011-02-18 2017-11-23 Siemens Healthcare Gmbh Gelenkarm mit Arretierfunktion
JP2014210500A (ja) * 2013-04-18 2014-11-13 株式会社スギヤス ハンドパレットトラックのブレーキ装置
CN203628179U (zh) * 2014-01-09 2014-06-04 张波 落地式数码显微镜支架
CN104192735B (zh) * 2014-09-22 2016-05-25 山东建筑大学 一种小型起重机
CN204111256U (zh) * 2014-09-27 2015-01-21 王伟珍 可调式叉车臂
CN105232153B (zh) * 2015-09-08 2019-03-26 微创(上海)医疗机器人有限公司 机械臂
JP6357497B2 (ja) 2016-05-24 2018-07-11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CN106002971B (zh) * 2016-06-17 2018-10-09 江苏大学 一种输电线路绝缘子自动清洗机械臂
CN205804442U (zh) * 2016-06-22 2016-12-14 朱概 抓装机
CN106523467B (zh) * 2016-12-30 2018-01-12 国家林业局哈尔滨林业机械研究所 基于林用快速组装功能可扩展工作平台的作业臂
CN107161819B (zh) * 2017-06-27 2024-01-26 徐州市工大三森科技有限公司 滑动式有限角度自锁锁定装置及罐笼锁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7497A (ja) * 1986-08-22 1988-03-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活線工事用ロボツト
KR20000049242A (ko) * 1996-10-18 2000-07-25 하시모토 신이치 활선작업용 로봇차
WO2011081209A1 (ja) * 2009-12-28 2011-07-07 トーク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ニアストッパ
JP2016008103A (ja) * 2014-06-24 201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吊上げ装置
JP2017112812A (ja)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永木精機 作業用工具の自在ヘル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698B1 (ko) 2023-10-16
JP2019075857A (ja) 2019-05-16
TW201924168A (zh) 2019-06-16
CN111656631B (zh) 2022-04-01
WO2019073751A1 (ja) 2019-04-18
CN111656631A (zh) 2020-09-11
JP7143993B2 (ja) 2022-09-29
TWI778138B (zh)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01638B (zh) 用于支持用户的至少一个手臂的装置
EP2705820A2 (en) Multi-axis joint for a spar of a limb holder
EP3243020B1 (en) A tripod leg
JP2005125056A5 (ko)
US20130248477A1 (en) Movement device configured for moving a payload
JP5850800B2 (ja) 掴線器
JP5893174B2 (ja) 負荷が印加される保持機構を手動でロック解除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07246180A (ja) 高所作業車
JP2022512337A (ja) 受動型外骨格のネックスイッチ装置
KR20200072492A (ko) 작업 공구 지지 장치
JP6552623B2 (ja) 筋肉運動用装置
JP5973980B2 (ja) 腕支持器具
JP6991484B2 (ja) 多関節アーム装置
JP2020178826A (ja) 作業用昇降椅子
KR102637231B1 (ko) 선재 조작 공구, 선재 조작 공구용의 부품, 선재 절분 방법 및 선재 접속 방법
JP6294059B2 (ja) ウインチの遠隔操作構造
CN113165167A (zh) 用于被动外骨骼中的肩部高度补偿的装置
JP2016067299A (ja) 携帯作業機
JP7154965B2 (ja) 高所作業車の間接活線工具支持装置
JP2018203487A (ja) 建設機械
AU2011101082A4 (en) Drill holder
JP2021058056A (ja) 結束バンドの取付装置
JP7199927B2 (ja) 高所作業車の間接活線工具支持装置
JP2013085361A (ja) 間接活線工具支持具
JP6755091B2 (ja) 作業用工具の自在ヘル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