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749A - 의료용 튜브 - Google Patents

의료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749A
KR20200071749A KR1020207013376A KR20207013376A KR20200071749A KR 20200071749 A KR20200071749 A KR 20200071749A KR 1020207013376 A KR1020207013376 A KR 1020207013376A KR 20207013376 A KR20207013376 A KR 20207013376A KR 20200071749 A KR20200071749 A KR 2020007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dical tube
slit
end portion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스기타
아키라 사와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1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8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weakened outer material, e.g. slots, slits, cuts, joints or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61M2025/0002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with a pressure sensor at the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61M2025/0003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having an additional lumen transmitting fluid pressure to the outside for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5Guide wires having features for changing the stiff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과제]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에 사용할 수 있고,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며, 유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분산시켜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용 튜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의료용 튜브(3)는, 기단부(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기단부(8)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며, 표면에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6)이 형성된 선단부(4)를 가지는 내관 샤프트(2)와,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의 외주를 덮고, 표면에 θ2의 방향과 교차하는 θ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이 형성된 외관 샤프트(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튜브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료나 검사를 위해서, 혈관, 소화관, 뇨관 등의 관 모양 기관이나 체내 조직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카테터 등을 안내하는 여러 가지의 가이드 와이어가 제안되어 왔다. 가이드 와이어에는, 일반적으로, 가이드 와이어를 환자의 만곡된 혈관에 추종시킬 때의 혈관 추종성(followability),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을 환자의 혈관 내에서 스무스하게 회전시킬 때의 토크 전달성(torquability), 게다가, 환자의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한 선단 유연성(flexibility)이 요구된다.
가이드 와이어 중에서도, 특히, 환자의 혈관 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탑재한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가이드 와이어의 내부에, 압력 센서 및 그 리드 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루멘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공관 모양체 구조에서, 상기 성능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환자의 혈관 내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탑재한 압력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도 1 등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압력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10)는, 근위부(近位部)(12), 중간부(14), 센서 하우징부(15) 및 선단부(16)로 구성되어 있고, 압력 센서(34)는, 센서 하우징부(15)의 내부에서, 센서 하우징부(15)에 형성된 개구(3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압력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10)의 중간부(14)에는, 나선 모양의 절입(
Figure pct00001
, cut) 깊이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14)의 내부에는, 나선 모양의 절입 깊이 패턴을 오버랩하도록, 내측 하이포(hypo) 튜브(20)가 삽입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압력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는, 중간부에 나선 모양의 절입 깊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연하게 되어 있는데, 중간부의 내부에 삽입된 내측 하이포 튜브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유연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압력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를, 곡률을 크게 하여 만곡시킨 경우에 파단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내측 하이포 튜브에도 절입 패턴을 형성하여 가이드 와이어의 유연성을 확보한다고 하는 안(案)도 있지만, 적당하게 슬릿을 형성한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킨 경우에, 외측 및 내측 중 일방의 슬릿에 타방의 슬릿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고, 시술 중에 환자의 체내에서 가이드 와이어가 조작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압력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는, 중간부와 내측 하이포 튜브가 별체이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여러 가지 조작하는 동안에 쌍방에 어긋남이 생겨, 토크 전달성(torquability)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5866371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상술한 문제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에 사용 가능하고,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며, 유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분산시켜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의료용 튜브는, 기단부(基端部)와, 상기 기단부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표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는 제1 중공 샤프트와,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의 상기 선단부의 외주를 덮고, 표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제2 중공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2 슬릿은 나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2 슬릿의 나선 방향을,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의 나선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샤프트는, 단일 또는 복수의 소선을 꼬아 형성된 중공 연선(撚線)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의 상기 선단부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중공 샤프트의 선단의 외경은,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의하면, 기단부와, 그 기단부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표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는 제1 중공 샤프트와, 제1 중공 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를 덮고, 표면에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제2 중공 샤프트를 구비했으므로,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더하여, 의료용 튜브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제1 중공 샤프트 및 제2 중공 샤프트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제1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제1 슬릿 및 제2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제2 슬릿은 모두 나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효과에 더하여, 의료 튜브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제2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제2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제2 슬릿의 나선 방향을, 제1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제1 슬릿의 나선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했으므로, 제2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효과에 더하여, 의료용 튜브의 기단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도, 제1 중공 샤프트 또는 제2 중공 샤프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료용 튜브의 토크 전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제2 중공 샤프트는, 단일 또는 복수의 소선을 꼬아 형성된 중공 연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효과에 더하여, 의료용 튜브의 선단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튜브에 있어서, 제1 중공 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의 제2 중공 샤프트의 선단의 외경은, 제1 중공 샤프트의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으므로,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의료용 튜브의 효과에 더하여, 선단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비한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외관 샤프트(제2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B-B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내관 샤프트(제1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C-C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외관 샤프트(제2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D-D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외관 샤프트(제2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E-E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12는 제6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특히, 후술하는 슬릿의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크게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비한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외관 샤프트(제2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B-B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내관 샤프트(제1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C-C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1)는, 장척(長尺) 모양의 의료용 튜브(3)와, 그 의료용 튜브(3)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부(9)와, 그 개구부(9)의 근방으로서, 의료용 튜브(3)의 내부에 배치된 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1)는, 예를 들면, 혈관 내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혈액의 온도, 혈액 중의 산소 농도, 또는 혈압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 채용된다.
의료용 튜브(3)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基端部)(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4)로 구성된 내관(內管) 샤프트(2)(본 발명의 「 제1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와,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의 외주에 S방향(도 4 참조)으로 삽입된 외관(外管) 샤프트(5)(본 발명의 「 제2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로 구성되어 있다.
내관 샤프트(2)는,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기단부(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4)로 구성되고, 선단부(4)의 외경은, 기단부(8)의 외경보다도 작고, 선단부(4)의 표면에는, 선단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6)(본 발명의 「 제1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관 샤프트(2)는, 기단부(8) 및 선단부(4)에 연통하는 루멘(4a)을 가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6)이 연장되는 방향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본 발명의 「 제1 방향」에 상당함)이다.
외관 샤프트(5)는, 내관 샤프트(2)와 마찬가지로,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그 외경은,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의 외경과 동일하다. 또, 외관 샤프트(5)는, 그 표면에,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θ1)(도 3 참조, 본 발명의 「 제2 방향」에 상당함)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7)(본 발명의 「 제2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관 샤프트(5)는, 그 내부에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를 삽입할 수 있는 루멘(5a)을 가진다.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5)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니켈 티탄 합금, 텅스텐, 금, 플라티나, 이리듐, 코발트 크롬 합금 등의 금속 혹은 금속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연질(軟質) 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의 각종 고무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결정성 폴리에틸렌,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결정성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 재료로서,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3)에 의하면, 기단부(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기단부(8)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표면에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6)이 형성된 선단부(4)를 가지는 내관 샤프트(2)와,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의 외주를 덮고, 표면에θ2 방향과 교차하는 θ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이 형성된 외관 샤프트(5)를 구비했으므로,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와 선단부(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 및 외관 샤프트(5)에 슬릿(6) 및 슬릿(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슬릿(6)과 슬릿(7)이 연장되는 방향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료용 튜브(3)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5)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6)은,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릿(7)은,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θ1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재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6)과 슬릿(7)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6)을,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θ1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슬릿(7)을, 의료용 튜브(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특히, 후술하는 슬릿의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크게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고, 내관 샤프트(2)에 대해서는, 도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외관 샤프트(제2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D-D단면도이며,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의료용 튜브(13)는, 기단부(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4)로 구성된 내관 샤프트(2)(본 발명의 「 제1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와,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의 외주에 삽입된 외관 샤프트(15)(본 발명의 「 제2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 샤프트(15)는, 내관 샤프트(2)와 마찬가지로,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그 외경은,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의 외경과 동일하다. 또, 외관 샤프트(15)는, 그 표면에, 선단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17)(본 발명의 「 제2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17)이 연장되는 방향은, 의료용 튜브(1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3의 방향(도 6 참조, 본 발명의 「 제2 방향」에 상당함)이며, 슬릿(6)의 θ2의 방향과는 다르다. 또, 외관 샤프트(15)는, 그 내부에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를 삽입할 수 있는 루멘(15a)을 가진다.
또, 외관 샤프트(5)를 구성하는 재료는,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5)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13)에 의하면, 내관 샤프트(2)에 형성된 슬릿(6) 및 외관 샤프트(15)에 형성된 슬릿(17)은 모두 나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의료 튜브(13)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고,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와 선단부(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 및 외관 샤프트(15)에 슬릿(6) 및 슬릿(1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슬릿(6)과 슬릿(17)이 연장되는 방향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료용 튜브(13)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15)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1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6)은, 의료용 튜브(1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릿(17)은, 의료용 튜브(1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θ3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재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6)과 슬릿(17)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특히, 후술하는 슬릿의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크게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고, 내관 샤프트(2)에 대해서는, 도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를 구성하는 외관 샤프트(제2 중공 샤프트)의 외관도 및 E-E단면도이며,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의료용 튜브(23)는, 기단부(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4)로 구성된 내관 샤프트(2)(본 발명의 「 제1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와,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의 외주에 삽입된 외관 샤프트(25)(본 발명의 「 제2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 샤프트(25)는, 내관 샤프트(2)와 마찬가지로,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그 외경은,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의 외경과 동일하다. 또, 외관 샤프트(25)는, 그 표면에, 선단을 향해 왼쪽 방향의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27)(본 발명의 「 제2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27)이 연장되는 방향은, 의료용 튜브(2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4의 방향(도 8 참조, 본 발명의 「 제2 방향」에 상당함)이며, 슬릿(6)의 θ2의 방향과는 반대 나선 방향이다. 또, 외관 샤프트(25)는, 그 내부에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를 삽입할 수 있는 루멘(25a)을 가진다.
또, 외관 샤프트(25)를 구성하는 재료는, 내관 샤프트(2), 외관 샤프트(5) 및 외관 샤프트(15)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23)에 의하면, 외관 샤프트(25)에 형성된 슬릿(27)의 나선 방향을, 내관 샤프트(2)에 형성된 슬릿(6)의 나선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했으므로, 의료용 튜브(23)의 기단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도, 외관 샤프트(25) 또는 내관 샤프트(2)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료용 튜브(23)의 토크 전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와 선단부(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 및 외관 샤프트(25)에 슬릿(6) 및 슬릿(2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슬릿(6)과 슬릿(27)이 연장되는 방향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료용 튜브(23)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25)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2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6)은, 의료용 튜브(2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릿(27)은, 의료용 튜브(2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θ4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재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6)과 슬릿(27)이 반대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고, 내관 샤프트(2)에 대해서는, 도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10에서, 의료용 튜브(33)는, 기단부(8)와, 그 기단부(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4)로 구성된 내관 샤프트(2)(본 발명의 「 제1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와,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의 외주에 권회(卷回)된, 단일 또는 복수의 소선을 꼬아 형성된 중공 연선(35)(본 발명의 「 제2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 연선(35)의 외경은,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의 외경과 동일하고, 중공 연선(35)의 표면에는, 선단을 향해 왼쪽 방향의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오목부(37)(본 발명의 「 제2 슬릿」에 상당함)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37)이 연장되는 방향은, 의료용 튜브(33)의 장축 방향에 대해 θ5의 방향(도 10 참조, 본 발명의 「 제2 방향」에 상당함)이며, 슬릿(6)의 θ2의 방향과는 다르다. 또, 중공 연선(35)은, 그 내부에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를 삽입할 수 있는 루멘(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또, 중공 연선(35)을 구성하는 재료는,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5)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33)에 의하면, 중공 연선(35)은, 단일 또는 복수의 소선을 꼬아 형성된 중공 연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의료용 튜브(33)의 선단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관 샤프트(2)의 기단부(8)와 선단부(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내관 샤프트(2)의 선단부(4) 및 중공 연선(35)에 슬릿(6) 및 오목부(3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켜, 슬릿(6)과 오목부(37)가 연장되는 방향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료용 튜브(33)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내관 샤프트(2) 및 중공 연선(35)으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3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6)은, 의료용 튜브(3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부(37)는, 의료용 튜브(3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θ5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재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6)과 오목부(37)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특히, 후술하는 슬릿의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크게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11에서, 의료용 튜브(43)는, 기단부(48)와, 그 기단부(4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 내관 샤프트(42)(본 발명의 「 제1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와, 내관 샤프트(42)의 선단부의 외주에 삽입된 외관 샤프트(45)(본 발명의 「 제2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로 구성되어 있다.
내관 샤프트(42)는,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기단부(48)와, 그 기단부(4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고, 선단부의 외경은, 기단부(48)의 외경보다도 작고, 선단부의 표면에는, 선단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46)(도시하지 않지만, 슬릿(6)과 동일한 형태의 슬릿이며, 본 발명의 「 제1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관 샤프트(42)는, 기단부(48)및 그 선단부에 연통하는 루멘을 가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46)이 연장되는 방향은, θ2의 방향(도 4 참조, 본 발명의 「 제1 방향」에 상당함)이다.
외관 샤프트(45)는, 내관 샤프트(42)와 마찬가지로,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그 외경 D2는, 내관 샤프트(42)의 기단부(48)의 외경 D1보다도 가늘다. 또, 외관 샤프트(45)는, 그 표면에, 선단을 향해 왼쪽 방향의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47)(본 발명의 「 제2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47)이 연장되는 방향은, 의료용 튜브(4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4의 방향(도 8 참조, 본 발명의 「 제2 방향」에 상당함)이며, 슬릿(6)의 θ2의 방향과는 반대 나선 방향이다. 또, 외관 샤프트(45)는, 그 내부에 내관 샤프트(42)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루멘(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또, 내관 샤프트(42) 및 외관 샤프트(45)를 구성하는 재료는,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5)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43)에 의하면, 내관 샤프트(42)의 선단부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의 외관 샤프트(45)의 선단의 외경은, 내관 샤프트(42)의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으므로, 의료용 튜브(43)의 선단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관 샤프트(42)의 기단부(48)와 선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내관 샤프트(42)의 선단부 및 외관 샤프트(45)에 슬릿(46) 및 슬릿(4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슬릿(46)과 슬릿(47)이 연장되는 방향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료용 튜브(43)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내관 샤프트(42) 및 외관 샤프트(45)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4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46)은, 의료용 튜브(4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릿(47)은, 의료용 튜브(4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4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재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46)과 슬릿(47)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도면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되어 있고, 그 치수는 실제의 치수와는 다르다. 특히, 후술하는 슬릿의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크게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제6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의 외관도이다.
도 12에서, 의료용 튜브(53)는, 기단부(58)와, 그 기단부(5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 내관 샤프트(52)(본 발명의 「 제1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와, 내관 샤프트(52)의 선단부의 외주에 삽입된 외관 샤프트(55)(본 발명의 「 제2 중공 샤프트」에 상당함)로 구성되어 있다.
내관 샤프트(52)는, 장척의 중공 원통 부재이며, 기단부(58)와, 그 기단부(58)의 선단 측에 형성된 선단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고, 선단부의 외경은, 기단부(58)의 외경보다도 작고, 선단부의 표면에는, 선단을 향해 우측 방향으로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56)(도시하지 않지만, 슬릿(6)과 동일한 형태의 슬릿이며, 본 발명의 「 제1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관 샤프트(52)는, 기단부(58) 및 그 선단부에 연통하는 루멘을 가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56)이 연장되는 방향은, θ2의 방향(도 4 참조, 본 발명의 「 제1 방향」에 상당함)이다.
외관 샤프트(55)는, 외형이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서, 장척의 중공 부재이며, 그 선단의 외경 D4는, 내관 샤프트(52)의 기단부(58)의 외경 D3보다도 가늘다. 또, 외관 샤프트(55)는, 그 표면에, 선단을 향해 왼쪽 방향의 나선 모양으로 복수의 슬릿(57)(본 발명의 「 제2 슬릿」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57)이 연장되는 방향은, 의료용 튜브(5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4의 방향(도 8 참조, 본 발명의 「 제2 방향」에 상당함)이며, 슬릿(6)의 θ2의 방향과는 반대 나선 방향이다. 또, 외관 샤프트(55)는, 그 내부에 내관 샤프트(52)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루멘(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또, 내관 샤프트(52) 및 외관 샤프트(55)를 구성하는 재료는, 내관 샤프트(2) 및 외관 샤프트(5)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53)에 의하면, 내관 샤프트(52)의 선단부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의 외관 샤프트(55)의 선단의 외경은, 내관 샤프트(52)의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으므로, 의료용 튜브(53)의 선단부의 유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관 샤프트(52)의 기단부(58)와 선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토크 전달성을 확보하고, 내관 샤프트(52)의 선단부 및 외관 샤프트(55)에 슬릿(56) 및 슬릿(5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슬릿(56)과 슬릿(57)이 연장되는 방향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료용 튜브(53)가 만곡된 경우에도, 조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응력을 내관 샤프트(52) 및 외관 샤프트(55)로 분산시켜, 의료 튜브(5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슬릿(56)은, 의료용 튜브(4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릿(57)은, 의료용 튜브(53)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θ4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재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56)과 슬릿(57)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종 실시 형태의 의료용 튜브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종 실시 형태에서의 슬릿의 형상은, 설명의 형편상, 과장하여 크게 기재되어 있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의 폭 및 길이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4 실시 형태의 중공 연선(35)을 구성하는 소선의 선경(線徑)에 대해서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각종 실시 형태에서는, 내관 샤프트 및/또는 외관 샤프트의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이 나선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한 개의 슬릿이 나선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성(스파이럴 컷)으로 해도 좋다.
1 - 센서 부착 가이드 와이어 2, 42, 52 - 내관 샤프트
3, 13, 23, 33, 43, 53 - 의료용 튜브 4 - 선단부
5, 15, 25, 45, 55 - 외관 샤프트 4a, 5a, 15a, 25a - 루멘
6, 7, 17, 27, 37, 47, 57 - 슬릿 8, 48, 58 - 기단부
9 - 개구 35 - 중공 연선
37 - 오목부

Claims (5)

  1. 기단부(基端部)와, 상기 기단부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표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는 제1 중공 샤프트와,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의 상기 선단부의 외주를 덮고, 표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제2 중공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2 슬릿은 나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튜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2 슬릿의 나선 방향을,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의 나선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튜브.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샤프트는, 단일 또는 복수의 소선(素線)을 꼬아 형성된 중공 연선(撚線)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튜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의 상기 선단부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중공 샤프트의 선단의 외경은, 상기 제1 중공 샤프트의 상기 기단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튜브.
KR1020207013376A 2018-05-09 2018-05-09 의료용 튜브 KR202000717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7886 WO2019215827A1 (ja) 2018-05-09 2018-05-09 医療用チューブ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49A true KR20200071749A (ko) 2020-06-19

Family

ID=6846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376A KR20200071749A (ko) 2018-05-09 2018-05-09 의료용 튜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30734A1 (ko)
EP (1) EP3791916A4 (ko)
JP (1) JP6906104B2 (ko)
KR (1) KR20200071749A (ko)
CN (1) CN111447967B (ko)
WO (1) WO20192158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158A (ko) * 2020-09-03 2022-03-11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웨이-포인트 기반 생체의 강내 병변부 치료물질 전달 시스템 및 웨이-포인트 경로 데이터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3526A (zh) * 2019-12-25 2021-02-12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一种栓塞保护装置
CN112156324B (zh) * 2020-10-22 2022-05-13 艾柯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医用导管及其制备方法
WO2022083676A1 (zh) * 2020-10-22 2022-04-28 艾柯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医用导管及其制备方法
CN112674835B (zh) * 2020-12-07 2022-04-08 上海璞慧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取栓装置
WO2024033706A1 (en) * 2022-08-11 2024-02-15 Petrus Antonius Besselink Flexible and steerable device with adjustable floppin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371A (en) 1995-11-28 1999-02-02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using the yeast ADH II promoter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heterologous proteins in high yiel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6921A3 (en) * 1989-03-02 1991-07-31 Microspring Company, Inc. Torque transmitter
JPH07178176A (ja) * 1993-12-24 1995-07-18 Terumo Corp カテーテル
JP3659664B2 (ja) * 1994-05-31 2005-06-15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JP3970341B2 (ja) * 1994-06-20 2007-09-05 テルモ株式会社 血管カテーテル
US6001117A (en) * 1998-03-19 1999-12-14 Indigo Medical, Inc. Bellows medical construc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2355313A (ja) * 2001-03-29 2002-12-10 Nippon Zeon Co Ltd カテーテルチューブおよ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AUPR847301A0 (en) * 2001-10-26 2001-11-15 Cook Incorporated Endoluminal prostheses for curved lumens
US7785273B2 (en) * 2003-09-22 2010-08-3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wire with reinforcing member
EP1656963B1 (en) * 2004-11-10 2007-11-21 Creganna Technologies Limited Stent delivery catheter assembly
US20070083132A1 (en) * 2005-10-11 2007-04-12 Sharrow James S Medical device coil
US8292827B2 (en) * 2005-12-12 2012-10-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icromachined medical devices
US8556914B2 (en) * 2006-12-15 2013-10-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including structure for crossing an occlusion in a vessel
US8764727B2 (en) * 2009-03-06 2014-07-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Reinforced rapid exchange catheter
WO2012061935A1 (en) * 2010-11-09 2012-05-18 Opsens Inc. Guidewire with internal pressure sensor
CN103687639B (zh) * 2011-05-17 2018-01-30 泰尔茂株式会社 医疗用插管、导管及医疗用插管的制造方法
US10029076B2 (en) * 2012-02-28 2018-07-24 Covidien Lp Intravascular guidewire
JP5917279B2 (ja) * 2012-05-07 2016-05-11 株式会社グッドマン 医療用シャフトおよび医療用器具
CN103961785A (zh) * 2013-01-31 2014-08-06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开缝管以及使用了该开缝管的导丝
EP2990071B1 (en) * 2013-04-26 2020-01-22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elongated body
JP5948535B1 (ja) * 2015-05-29 2016-07-06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WO2017087149A1 (en) * 2015-11-18 2017-05-26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Signal and torque transmitting torque coil
KR102137302B1 (ko) * 2016-03-10 2020-07-23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가이드 와이어
US10391274B2 (en) * 2016-07-07 2019-08-27 Brian Giles Medical device with distal torque control
JP6588677B2 (ja) * 2017-03-24 2019-10-0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ダイ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371A (en) 1995-11-28 1999-02-02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using the yeast ADH II promoter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heterologous proteins in high yiel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158A (ko) * 2020-09-03 2022-03-11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웨이-포인트 기반 생체의 강내 병변부 치료물질 전달 시스템 및 웨이-포인트 경로 데이터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1916A1 (en) 2021-03-17
EP3791916A4 (en) 2021-12-15
CN111447967A (zh) 2020-07-24
US20200330734A1 (en) 2020-10-22
WO2019215827A1 (ja) 2019-11-14
JP6906104B2 (ja) 2021-07-21
CN111447967B (zh) 2022-08-05
JPWO2019215827A1 (ja)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1749A (ko) 의료용 튜브
JP7304424B2 (ja) カテーテル
US10166363B2 (en) Catheter
US20190336726A1 (en) Catheter
US10245412B2 (en) Catheter
US11819647B2 (en) Dilator
KR102184238B1 (ko) 장척 의료용 부재
EP3646915B1 (en) Catheter
US20200155805A1 (en) Catheter
EP2845620A1 (en) Coil body and medical apparatus using said coil body
US11890428B2 (en) Catheter
US20220105310A1 (en) Hollow shaft and catheter
US11484687B2 (en) Catheter
JP6850368B2 (ja) カテーテル
JP2021029910A (ja) 医療用長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76340B2 (ja) カテーテル
JP7384570B2 (ja) カテーテル
WO2024024349A1 (ja) ダイレータ
JP2015188569A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US20220323720A1 (en) Support catheter and tube
WO2024090107A1 (ja) カテーテル
US20220096802A1 (en) Guide wire
WO2023095694A1 (ja) カテーテル
WO2022239763A1 (ja) カテーテル
WO2021019924A1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