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365A -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365A
KR20200071365A KR1020180159027A KR20180159027A KR20200071365A KR 20200071365 A KR20200071365 A KR 20200071365A KR 1020180159027 A KR1020180159027 A KR 1020180159027A KR 20180159027 A KR20180159027 A KR 20180159027A KR 20200071365 A KR20200071365 A KR 2020007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ashing bridge
vibration
winch
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만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365A/ko
Publication of KR2020007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진동의 저감이 필요한 경우에만 운영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진동저감이 가능하도록 한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는 이웃하는 래싱브리지 쌍을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로프를 구비하는 로프부;와 상기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상기 장력을 조절하는 원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vibration reduction system for lashing bridge}
본 발명은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진동의 저감이 필요한 경우에만 운영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진동저감이 가능하도록 한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선은 많은 수량의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이용되고, 최근에는 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컨테이너 선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은 선 내부 뿐만 아니라, 갑판 위에도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수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갑판 위에 선적되는 컨테이너도 하역 순서를 고려하여 다층으로 적재하여 이송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견고한 고박을 통해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갑판에는 래싱브리지(lashing bridge)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래싱브리지는 컨테이너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나란하게 선적되는 컨테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래싱브리지는 컨테이너를 밧줄로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컨테이너 고박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컨테이너는 밧줄, 트위스트 락, 래싱 아이, 턴 버클과 같은 갑판과의 고정을 위한 수단 또 다른 컨테이너와의 결합을 위한 수단을 통해 갑판과 결합되고, 래싱브리지와 결합되어 견고한 고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래싱브리지는 갑판 상부에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진동에 취약하며, 진동 발생에 의해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피로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부구조 즉, 래싱브리지와 갑판의 연결부위의 구조에 따라 진동의 특징이 변화하기 때문에 고유진동수 변화를 위한 설계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도진동이 발생하는 상부에는 컨테이너의 상하역 작업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보강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1770(공개일 2015. 05. 08.) 래싱브리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고,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진동의 저감이 필요한 경우에만 운영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진동저감이 가능하도록 한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는 이웃하는 래싱브리지 쌍을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로프를 구비하는 로프부;와 상기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상기 장력을 조절하는 원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윈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래싱브리지의 진동발생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또는 상기 선박의 운항을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부는 상기 윈치부에 의해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래싱브리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1로프부;와 상기 윈치부에 의해 상기 제1로프부와 결합되고 상기 공정위치에 자리한 상기 제1로프부의 제1로프를 회수위치로 회수하는 제2로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프는 상기 래싱브리지 사이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물을 하역하는 경우 회수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는 설치 및 제거가가 용이하며, 진동의 저감이 필요한 경우에만 운영할 수 있으면서도, 래싱브리지에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래싱브리지의 손상, 피로수명 감소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진동저감장치가 오프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진동저감장치가 온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작동을 위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1은 진동저감장치가 오프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진동저감장치가 온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작동을 위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장치는 제1로프부(20), 제2로프부(30), 윈치부(40), 제어부(50) 및 입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로프부(20)는 이웃하는 한쌍 이상의 래싱브릿지를 연결하여 고정위치에서 지지장력을 제공함으로써 래싱브리지에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한다. 이 제1로프부(20)는 작동위치에서 래싱브리지에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래싱브리지의 고유지돈동수를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진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1로프부(20)는 제1로프(21) 및 제1 내지 제3페어리더(fair leader)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로프부(20)는 일단이 제2래싱브리지(11b)의 제3페어리더(23b)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1윈치(41)에 권취된다. 이 제1로프(20)는 제3페어리더(23b)와 제1윈치(41) 사이의 경로를 제한하기 우해 제1래싱브리지(11a)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페어리더(22a, 23a)를 통해 제1래싱브리지(11a)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제1로프(20)는 제2로프부(30)의 제1 및 제2링(34a, 34b)를 관통하게 되며, 이러한 제1 및 제링(34a, 34b)는 제2페어리더(22a)와 제3페어리더(23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 2에서와 같이 제1윈치(41)가 제1로프(21)를 당기는 경우 제2페어리더(23a)와 제3페어리더(23b) 사이의 제1로프(21)가 제1 및 제2래싱브리지(11a, 11b)의 상단(12)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제2윈치(41)가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링(34a, 34b)에 연결된 제2로프(31)에 의해 당김이 발생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페어리더(23a, 23b) 사이의 제1로프(210가 래싱브리지(11)의 하단 즉, 회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제1 및 제2페어리더(22a, 23a)는 링, 걸고리, 롤러와 같이 제1로프(21)의 이동은 자유롭게 하면서도 지지가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제3페어리더(23b)는 제1로프(21)의 종단과 견고한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다.
한편, 제2 및 제3페어리더(23a, 23b)가 래싱브리지(11)의 상단(12)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며,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로프부(30)는 컨테이너의 선적, 하역과 같은 상황에서 제1로프부(20)의 제1로프(21)를 회수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로프부(30)는 제2로프(31), 제4 및 제5페어리더(33a, 33b), 제1 및 제2링(34a, 3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로프(31)는 일단이 제2윈치(42)에 권취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링(34a, 34b)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로프(31)의 종단에는 가지로프(32a, 32b)가 마련되며, 가지로프(32a, 32b)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링(34a, 34b)에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로프(31)는 제1래싱브리지(11a)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4페어리더(33a)를 관통하여 제2래싱브리지(11b)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때, 제4페어리더(33a)와 인접한 위치에 제1링(34a)가 배치되며, 제4페어리더(33a)를 관통한 제1가지로프(32a)가 제1링(34a)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가지로프(32b)는 제2래싱브리지(11b)의 하단(13)에 마련되는 제5페어리더(33b)를 통과한 후 제2링(34b)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2로프(31)는 제1로프(21) 작동위치인 래싱브리지(11)의 상단(12)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4페어리더(33a)와 제5페어리더(33b)에 의해 지지되어 도 2와 같은 형태로 즉, 래싱브리지(11)와 나란하게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윈치(42)가 동작하여 제1로프(21)를 회수위치로 하상시키는 경우 제1 및 제2링의 제1로프(21)의 중앙으로 몰리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제1 및 제2래싱브리지(11a, 11b)의 하단(13)으로 이동하여 제1로프(21)를 잡아당길 수 있게 된다.
윈치부(4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제1로프부(20)의 제1로프(21) 또는 제2로프부(30)의 제2로프(31)를 감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윈치부(40)는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부(50)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윈치부(40)는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어부(50)를 통해 제공받거나,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아울러, 윈치부(40)의 동작을 위한 동력은 내연기관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윈치부(40)는 제1윈치(41)와 제2윈치(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윈치(41)는 제1로프부(20)의 제1로프(21)에 연결되고, 제2윈치(42)는 제2로프부(30)의 제2로프(31)에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프의 감기와 풀기를 위한 장치로 윈치가 구성된 예를 기재하고 있으나, 감기와 풀기가 가능한 다른 장치에 의해 윈치를 대체할 수 있다. 다만, 윈치의 경우 로프를 푸는 과정에서 기어와 모터의 저항으로 인해 로프가 일정한 장력으로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거이 가능하다. 때문에 윈치를 대체하는 수단에 의해 로프의 감기와 풀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 로프의 풀림과정, 로프가 동작위치와 회수위치에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구성이 필요하다.
제어부(50)는 입력부(60)를 통해 진동저감장치의 동작 또는 중지를 위한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아 윈치부(40)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진동저감장치를 동작시키거나 중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윈치부(40)에 마련디는 제1윈치(41)와 제2윈치(42)를 각각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진동저감장치를 온 명령에 따라 동작시키는 경우 제1윈치(41)를 동작시키고, 오프 명령에 따라 진동저감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경우 제2윈치(42)를 동작시킨다. 이를 통해, 제어부(50)는 제1윈치(41)에 의해 로프를 진동억제를 위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윈치(42)에 의해 로프를 회수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진동억제위치와 회수위치로 제1로프(21)와 제2로프(31)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1윈치(41)와 제2윈치(42)를 서로 다른 시점에 동작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제1로프(21) 또는 제2로프(31)의 장력이 일정해도록 하기 위해, 제1윈치(41)와 제2윈치(42)가 일정시간 동안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입력부(60)는 진동저감장치를 동작시키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60)는 다이얼, 스위치, 터치패널과 같이 온/오프 명령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이 마련된다.
전술한 진동저감장치는 복수의 래싱브리지에 로프에 의한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진동억제를 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진동저감장치는 컨테이너의 선적이 필요한 시점에는 로프를 하강시켜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고, 선박이 운항하는 경우에 작동위치로 이동시켜 진동발생을 저감하게 된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은 원활하게 진행하면서도 래싱브리지의 진동발생은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래싱브리지의 구조적인 보강을 수행하지 않고도 단순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는 제1로프부(20), 제2로프부(30), 윈치부(40), 제어부(150) 및 센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입력부(60)를 대신하여 센서부(160)가 구성되는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 하기로 한다.
센서부(160)는 래싱브리지(11)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거나, 선박의 운항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60)는 래싱브리지(11)에 설치되고 래싱브리지(11)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선박의 운항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의 감지결과에 따라 윈치부(40)를 제어하여 진동이 발생되거나, 선박의 운항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제1로프(21)를 동작위치로 이동시키고, 선박의 운항이 중지되거나 진동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회수위치로 회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0: 제1로프부 21: 제1로프
22, 23, 33: 페어리더 30: 제2로프부
31: 제2로프 40: 윈치부
41: 제1윈치 42: 제2윈치
50, 150: 제어부 60: 입력부
160: 센서부

Claims (5)

  1. 이웃하는 래싱브리지 쌍을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로프를 구비하는 로프부;와
    상기 로프를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상기 장력을 조절하는 원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윈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래싱브리지의 진동발생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또는
    상기 선박의 운항을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는
    상기 윈치부에 의해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래싱브리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1로프부;와
    상기 윈치부에 의해 상기 제1로프부와 결합되고 상기 공정위치에 자리한 상기 제1로프부의 제1로프를 회수위치로 회수하는 제2로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는 상기 래싱브리지 사이에 적재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물을 하역하는 경우 회수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KR1020180159027A 2018-12-11 2018-12-11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KR2020007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27A KR20200071365A (ko) 2018-12-11 2018-12-11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27A KR20200071365A (ko) 2018-12-11 2018-12-11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365A true KR20200071365A (ko) 2020-06-19

Family

ID=7113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027A KR20200071365A (ko) 2018-12-11 2018-12-11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1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568A (zh) * 2021-11-01 2022-01-07 上海海事大学 一种集装箱船航行时的集装箱防倾倒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770U (ko) 2013-10-31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770U (ko) 2013-10-31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5568A (zh) * 2021-11-01 2022-01-07 上海海事大学 一种集装箱船航行时的集装箱防倾倒装置
CN113895568B (zh) * 2021-11-01 2024-04-05 上海海事大学 一种集装箱船航行时的集装箱防倾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2342B2 (ja) 荷下ろし方法、及び、荷下ろし装置
JPWO2007099619A1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EP2374748B1 (en) Multi-stage trolley for a crane and a crane therewith
US20180201344A1 (en) Unmanned vessel having coupling apparatus and recovery method therefor
KR20200071365A (ko) 래싱브리지의 진동저감장치
JP2017521579A (ja) 海底運搬システム
JP5565803B2 (ja) 緊張係留浮体構造物の設置方法及び緊張係留浮体構造物の設置用船
KR101903766B1 (ko) 계류장치
KR20120118729A (ko) 해양 앵커링 윈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JP2007119185A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制振装置
US10526173B2 (en) Method for securing a lifting movement of a load and lifting device associated thereto
CN110077565A (zh) 海上调度母港及调度方法
JP2001354196A (ja) 重量物空中搬送装置
KR20190003022A (ko) 컨테이너 선박용 래싱 브릿지의 진동 상쇄장치
KR100655882B1 (ko) 와이어 위치 제어형 해상 크레인 장치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KR101616336B1 (ko) 커튼형 에어스포일러
NO20161312A1 (en) System for inspecting a tank in a ship
KR20140026831A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 진동 저감장치
CN102408064A (zh) 带离地停止功能的电动提升机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JP2012116304A (ja) 係船索用保護装置
KR101784918B1 (ko) 모형실험장치
JP5752968B2 (ja) クレーン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KR20160061775A (ko) 해상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