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766B1 -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766B1
KR101903766B1 KR1020170069581A KR20170069581A KR101903766B1 KR 101903766 B1 KR101903766 B1 KR 101903766B1 KR 1020170069581 A KR1020170069581 A KR 1020170069581A KR 20170069581 A KR20170069581 A KR 20170069581A KR 101903766 B1 KR101903766 B1 KR 10190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tension
moving block
fixing
mooring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
박용환
박태윤
송창우
이성주
전상배
천진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61H7/06Skids
    • B61H7/08Skid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계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는 계류로프를 고정하는 볼러드 및 볼러드에 고정된 계류로프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페어리드가 구비되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과, 계류로프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도록 볼러드에 설치되는 장력 감지부 및 레일 상에서 이동블록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장력 감지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장치{MOORING DEVICE}
본 발명은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간의 병렬 계류 시 계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계류장치에 관한 선박이다.
통상 부유식 LNG 생산설비(FLNG, floating LNG)는 천연가스를 처리하여 액화하는 시설, 이를 보관하는 저장 탱크와 하역 설비를 탑재하여 해상에서 LNG(liquefied natural gas)의 생산, 처리, 보관 등을 가능케 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액화된 상태로 이러한 부유식 LNG 생산설비에 일시 보관되었다가 LNG 운반선에 하역되어 소비처로 운반된다.
부유식 LNG 생산설비에서 LNG 운반선으로 LNG를 공급(하역)하기 위해서는 부유식 LNG 생산설비와 LNG 운반선의 두 부유체들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계류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LNG의 하역을 위해서 부유식 LNG 생산설비와 LNG 운반선의 병렬 계류(side by side mooring)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병렬 계류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유식 LNG 생산설비의 상갑판(upper deck)에 구비된 로프 또는 와이어와 같은 계류장비를 이용하여 두 선박을 고정함에 의해 움직임을 제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계류장비는 개별적 위치에 고정된 볼러드를 이용함에 따라 로프 또는 와이어를 전달 시 계류 시간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65442호(2015.06.1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두 선박의 병렬 계류 시 계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계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류로프를 고정하는 볼러드 및 상기 볼러드에 고정된 상기 계류로프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페어리드가 구비되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계류로프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볼러드에 설치되는 장력 감지부와,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이동블록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장력 감지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력 감지부는 상기 계류로프가 감기는 상기 볼러드 부분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력 감지부는 상기 계류로프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상기 장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장력이 설정장력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장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장력이 한계장력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잠시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박의 병렬 계류 시 개별적 위치에 있는 볼러드 별로 계류로프를 전달 시 계류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계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류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장력 감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병렬 계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장력 감지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10)는 볼러드(21) 및 페어리드(25)가 구비된 이동블록(20)과, 계류로프(15)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한 장력 감지부(30)와, 이동블록(2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0) 및 장력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고정부(4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동블록(20)은 선체(12)의 상갑판(13)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4)은 상갑판(13)에서 현측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선체(12)의 선수에서 선미 구역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동블록(20)은 레일(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일 예로 이동블록(20)은 하부에 레일(14)을 따라 이동하는 휠 등의 구름부재가 설치되거나, 레일(1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 또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록(20)은 계류 작업 시 사용자가 이동블록(20)을 밀거나 당겨 이동시킴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블록(20)의 상면에는 페어리드(25)와 볼러드(21)가 고정될 수 있다.
페어리드(25)는 계류로프(15)가 잘 미끄러지게 하기 위한 일종의 금속구로, 계류로프(15)가 계류 시 선체(12)에 접촉해 닳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페어리드(25)는 용도에 따라 형태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일종의 도르래 또는 롤러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계류로프(15)를 당기는 경우 방향과 무관하게 계류로프(15)의 꺽임을 방지하면서 마찰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만곡형태의 내경을 갖는 관통홀(26)을 구비할 수 있다.
볼러드(21)는 계류로프(15)의 단부를 묶거나 걸 수 있는 걸림홈(22)을 제공한다. 이러한 볼러드(21)는 계류로프(15)의 단부를 묶거나 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계류로프(15)는 선박을 계류할 때 사용하는 굵은 줄을 말하며, 섬유로 된 것을 나일론 로프를 많이 사용하고, 금속 와이어 로프도 함께 사용한다.
계류로프(15)는 일단부가 볼러드(21)의 걸림홈(22)에 묶인 상태에서 타단부가 페어리드(25)의 관통홀(26)을 통과하여 이웃하는 선박에 배치된 계류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장력 감지부(30)는 볼러드(21)에 형성된 걸림홈(22)에 부착되는 로드셀(31)을 포함한다.
장력 감지부(30)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걸림홈(22)에 감긴 계류로프(15)가 가압하는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력 감지부(30)는 계류로프(15)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기 위해 계류로프(15)의 일측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33)에 측정된 값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50)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선박의 병렬 계류 작업 시 계류로프(15)에 걸리는 장력에 기초하여 이동블록(20)을 선체(12)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0)는 이동블록(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선박의 병렬 계류 작업 시 이동블록(2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력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장력이 설정장력에 도달하면 고정부(40)를 통해 이동블록(20)의 이동을 제한시킨다.
또한 선박의 병렬 계류가 완료된 상태에서 파도, 바람, 조류의 영향에 의해 두 선박이 움직이는 경우 장력 감지부(30)에 감지된 계류로프(15)의 장력이 한계장력을 초과하게 되면 이동블록(20)의 이동을 잠시 허용하도록 고정부(40)에 의한 이동블록(20)의 구속을 잠시 동안 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류장치를 이용한 병렬 계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두 선박의 병렬 계류를 수행하는 경우 한쪽 선박에 설치된 계류장치에 계류로프(15)의 일단을 장착한 상태에서 다른 쪽 선박으로 계류로프(15)의 타단을 전달한다.
이때 두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계류장치(10)는 한쪽으로 모아진 상태에서 계류로프(15)의 연결 작업을 수행되게 된다.
두 선박에 설치된 계류장치(10)의 계류로프(15) 연결이 완료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도 5와 같이 계류로프(15)가 서로 연결된 계류장치(10)를 레일(14)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계류로프(15)에 연결된 계류장치(10)는 각 지정위치에서 레일(14)을 따라 이동시키는 경우 장력 감지부(30)에 의해 감지된 계류로프(15)의 장력에 기반하여 설정 장력이 유지되는 위치에 자동으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두 선박의 병렬 계류 시 계류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선박의 병렬 계류가 완료된 상태에서 파도, 바람, 조류의 영향에 의해 두 선박이 움직이는 경우 장력 감지부(30)에 감지된 계류로프(15)의 장력이 한계장력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50)는 이동블록(20)의 이동을 잠시 허용하도록 고정부(40)에 의한 이동블록(20)의 구속을 잠시 동안 해제시킴에 의해 계류로프(1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계류장치, 14: 레일,
15: 계류로프, 20: 이동블록,
21: 볼러드, 22: 걸림홈,
25: 페어리드, 26: 관통홀,
30: 장력 감지부, 31: 로드셀,
33: 스트레인 게이지, 40: 고정부,
50: 제어부.

Claims (5)

  1. 계류로프를 고정하는 볼러드 및 상기 볼러드에 고정된 상기 계류로프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페어리드가 구비되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
    상기 계류로프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볼러드에 설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계류로프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장력 감지부;
    상기 레일 상에서 상기 이동블록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전자석을 포함한 고정부; 및
    상기 장력 감지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블록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상기 장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장력이 설정장력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장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장력이 한계장력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잠시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는 계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9581A 2017-06-05 2017-06-05 계류장치 KR10190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81A KR101903766B1 (ko) 2017-06-05 2017-06-05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81A KR101903766B1 (ko) 2017-06-05 2017-06-05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766B1 true KR101903766B1 (ko) 2018-10-05

Family

ID=6387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81A KR101903766B1 (ko) 2017-06-05 2017-06-05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7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38A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노바테크 계선주 압력 측정 장치
KR20200061741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노바테크 계선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8087A (ko) * 2019-11-13 2021-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시스템 및 계류방법
KR20210095159A (ko) * 2018-11-26 2021-07-30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계선삭 감시 시스템, 계선 관리 시스템, 계선삭 감시 방법, 및 계선 관리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038A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노바테크 계선주 압력 측정 장치
KR102176407B1 (ko) * 2018-11-14 2020-11-09 주식회사 노바테크 계선주 압력 측정 장치
KR20200061741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노바테크 계선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76405B1 (ko) * 2018-11-26 2020-11-09 주식회사 노바테크 계선주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95159A (ko) * 2018-11-26 2021-07-30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계선삭 감시 시스템, 계선 관리 시스템, 계선삭 감시 방법, 및 계선 관리 방법
CN113226910A (zh) * 2018-11-26 2021-08-06 帝人株式会社 系泊索监视系统、系泊管理系统、系泊索监视方法及系泊管理方法
KR102557243B1 (ko) * 2018-11-26 2023-07-1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계선삭 감시 시스템, 계선 관리 시스템, 계선삭 감시 방법, 및 계선 관리 방법
CN113226910B (zh) * 2018-11-26 2023-11-14 帝人株式会社 系泊索监视系统、系泊管理系统、系泊索监视方法及系泊管理方法
KR20210058087A (ko) * 2019-11-13 2021-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시스템 및 계류방법
KR102640387B1 (ko) * 2019-11-13 2024-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766B1 (ko) 계류장치
TWI808278B (zh) 繫泊索監視系統、繫泊管理系統、繫泊索監視方法及繫泊管理方法
US9321617B2 (en) Device for tightening rope
US20080282955A1 (en) Pull In - Pay Out Mooring System
US9850112B2 (en) Load bea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09538B1 (ko) 선박 계류 제어 시스템
CN204775850U (zh) 一种滚轮导缆器
US3749367A (en) Device for maintaining a flexible line under a substantially constant tensile stress
KR20190132064A (ko) 선박 연료 공급호스의 홀딩안전장치
KR101387761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1654588B1 (ko)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KR20090124146A (ko) 병렬계류 선박의 계류라인 충격감소장치
KR20130050067A (ko) Lng-fpso 가스 시운전을 위한 계류장치를 구비한 해상 부유 구조물
GB1595045A (en) Mooring systems
KR101516186B1 (ko) 페어리드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37075A (ko) 펜더 지지 장치
KR102322167B1 (ko) 선박 계류로프의 텐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61775A (ko) 해상구조물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US20190276284A1 (en) Cable tensioning device
KR101593971B1 (ko) 해양플랜트의 계류 삭 마모 방지 부재
KR20210000557A (ko) 부유식 구조물
KR20200097691A (ko) 스마트 라인 센서
GB2491182A (en) Tighten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take-up mechanism
Griffin High performance winch and synthetic rope systems for workboats, tug boats, and commercial marin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