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761B1 - 구명보트 진수 장치 - Google Patents

구명보트 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761B1
KR101387761B1 KR1020120095159A KR20120095159A KR101387761B1 KR 101387761 B1 KR101387761 B1 KR 101387761B1 KR 1020120095159 A KR1020120095159 A KR 1020120095159A KR 20120095159 A KR20120095159 A KR 20120095159A KR 101387761 B1 KR101387761 B1 KR 10138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ifeboat
electromagnet
present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594A (ko
Inventor
이호영
조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7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4Guiding means for lowering by cables, e.g. for list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일측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구명보트에 결합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명보트 진수 장치{Lifesaving boat apparatus for launching into the water}
본 발명은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명보트는 대부분 전폐형 구명보트(totally enclosed lifeboat)로서, 진수(launching) 방식은 2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다. 하나는 구명보트의 양 옆에 배치된 강선(wire rope)을 통해 하강하는 지브(Jib) 진수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구명보트를 고정하고 있는 강선을 끊어 수면으로 떨어뜨리는 자유 낙하식(free-fall)이 있다.
이 중에서, 지브 진수 방식은 대빗 윈치(davit winch)를 이용하여 하강하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본선에 근접하여 배치가 가능하고, 하강 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이 방식은 컨테이너 선박 등에 적합하다.
반면, 자유 낙하(Free-fall) 방식은 본선에서 수면으로 바로 낙하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하강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이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교적 높이가 낮은 소형 선박이나 선미부의 활용이 적은 유조선, 벌크 화물선 등에 적합하다.
최근에는 진수 절차가 간단하고 본선으로부터의 이탈이 빠르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유 낙하식의 사용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자유 낙하식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구명보트가 자유 낙하하여 해수면과의 충돌할 때, 그 충격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명보트가 본선에서 자유 낙하하여 해수면과의 충돌 시, 구명보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명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구명보트에 결합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된 제 1 로프 및 일단이 상기 구명보트와 결합된 제 2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로프의 타단 및 상기 제 2 로프의 타단은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 및 상기 결합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 모듈은, 상기 전자석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상기 전기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하중에 따라 상기 스위치로 상기 전자석 및 상기 결합 부재 사이의 분리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석 및 상기 결합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 모듈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전기를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하되, 상기 제 1 로프 또는 상기 제 2 로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로프 또는 상기 제 2 로프가 소정 길이 이상 신장되면, 단락될 수 있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갈고리부는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갈고리부로부터 벗어나려는 힘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한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구명보트가 본선에서 자유 낙하하여 해수면과의 충돌 시, 구명보트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서 센서 및 전자석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서 탄성 지지부의 신장에 따른 전선의 신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탄성 지지부 및 전선의 신장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탄성 지지부 및 전선의 신장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서 탄성 지지부의 신장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서 탄성 지지부의 신장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서 갈고리부 및 걸림 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서 갈고리부 및 걸림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센서(233) 및 전자석(230)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평상 시에는 고정 설치되어 있다가, 위급 상황 시 선박에 탑승한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선박에 구비되는 구명보트(300)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해수면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박은 수상을 항해하는 구조물 및 수상에서 부유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FLNG(LNG-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와 같은 해상 구조물을 아울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는 고정부(100), 탄성 지지부(200), 전자석(230) 및 결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는 선박의 상부갑판(11)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 때, 선박의 상부 갑판 측면(11)에는 구명보트(3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는 선박에 고정설치된 대빗(davit)일 수 있다. 대빗은 도르래를 감거나 풀어 구명보트(300)를 승,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고정부(100)는 구명 보트가 선박의 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기 용이하도록 경사진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레일 상에 구명 보트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경사진 레일 일측에는 록킹(locking)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 측면에는 평상 시에는 록킹 부재를 이용하여 구명 보트를 고정하여 두었다가, 위급 상황 시 록킹 부재를 해제하여 경사진 레일을 통해 구명 보트를 해상으로 자유 낙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 경사진 레일 및 록킹 부재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탄성 지지부(200)는 구명 보트를 고정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탄성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100)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구명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 보트가 해수면 상으로 자유 낙하할 때, 탄성 지지부의 탄성에 의해 구명보트(300)가 해수면과의 충돌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 일단이 결합된 제 1 로프(210)와 일단이 구명보트(300)와 결합된 제 2 로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로프(210) 및 제 2 로프(220)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구명보트(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1 로프(210) 및 제 2 로프(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의 타단은 연결부에 의하여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 시, 즉, 선박에 고정되어 있거나 선박으로부터 이탈되었어도 소정 하중이 가해지기 이전에는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가 결합되어 있다가, 구명보트(300)가 해수면에 인접하고, 제 1 로프(210) 및 제 2 로프(220)에 소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면 연결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상호 분리되면서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가 분리되게 된다.
이때, 연결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는 제 1 로프(210) 또는 제 2 로프(220)의 타단부에 설치된 전자석(230)과 상기 전자석(230)이 설치된 로프의 반대편에 위치한 로프에 설치되어 전자석(230)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결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의 타단부에는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의 외주면에 제 1 로프(210), 제 2 로프(220)의 신장력 또는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금속체(235)가 설치될 수도 있다.
만일, 금속체(235)가 없이도 제 1 로프(210), 제 2 로프(220)의 신장력 또는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금속체(235)가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연결부가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를 포함하는 경우, 결합되어 있던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를 분리시키는 지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점에서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가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모듈가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 모듈은 도 1과 같이, 전자석(23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231), 전기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232),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233) 및 센서(233)에서 측정된 하중에 따라 스위치(232)로 전자석(230) 및 결합 부재(240) 사이의 분리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기(234)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석(23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231)은 같이 선박에 구비되거나 구명보트(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서(233)는 상기 금속체(235) 상부에 전자석(230)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금속체(235)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금속체(235)가 신장된 미소 변위를 검출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센서(233)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하중 또는 미소 변위는 전기 저항으로 변환되어 제어기(234)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들에 의해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233)에서 금속체(235)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금속체(235)가 신장된 미소 변위를 검출하여 소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거나 소정 길이 이상이 신장되면, 제어기(234)는 이를 전달받아 전자석(230) 및 결합 부재(240) 사이의 분리 명령을 스위치(232)로 전달한다.
스위치(232)가 오프(OFF)되면, 전원(231)에서 전자석(230)으로 공급되던 전기가 차단되고,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가 분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로프(210)와 제 2로프가 분리될 때, 제 2 로프(220)에 남아있는 탄성에 의해 구명보트(300)에 탑승한 사람이 제 2 로프(220)에 부딪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의 길이가 같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경우에는 제 2 로프(220)의 탄성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거나 제 2 로프(220)가 제 1 로프(210)로부터 분리될 때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제 2 로프(220)의 길이를 제 1 로프(210)의 길이에 비해 현저하게 짧게 설계하여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명보트(30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지지부(200)를 단일의 로프 형태로 구성하고, 구명보트(300)에 결합된 고리와 같은 연결 부재와 탄성 지지부 사이를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탄성 지지부(200)의 신장에 따른 전선(250)의 신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다른 변형예의 탄성 지지부(200) 및 전선(250)의 신장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다른 변형예의 탄성 지지부(200) 및 전선(250)의 신장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는 고정부(100),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로 구성된 탄성 지지부(200), 상기 제 1 로프(210)와 상기 제 2 로프(220)의 연결부에 위치되는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 전원(231) 및 전선(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고정부(100), 탄성 지지부(200), 전자석(230) 및 결합 부재(240)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이므로 중복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부착되어 있던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모듈이 전원(231) 및 전선(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전원(231)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며, 전선(250)은 전원(231)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전자석(230)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전선(250)은 제 1 로프(210) 또는 제 2 로프(220)에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제 1 로프(210) 또는 제 2 로프(220)가 신장됨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신장되다가, 소정 길이 이상 신장되면 제 1 로프(210), 제 2 로프(220)와 달리 탄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락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250)의 단락에 의하여 전원(231)에서 전자석(230)으로 공급되던 전기가 차단되면,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가 분리되고, 이에 따라 구명보트(300)가 선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전원(23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박에 구비될 수도 있고, 구명보트(3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전원(231)이 선박에 구비된 도면은 도 6, 도 9 및 도 10과 같으며, 구명보트(300)에 구비된 도면은 도 8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의 길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제 2 로프(220)의 길이가 제 1 로프(210)의 길이보다 현저하게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의 구분없이 탄성 지지부(200)를 단일의 로프 형태로 구성하고, 구명보트(300)에 결합된 고리와 같은 연결 부재와 탄성 지지부(200) 사이를 전자석(230)과 결합 부재(240)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탄성 지지부(200)의 신장 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탄성 지지부(200)의 신장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갈고리부(260) 및 걸림 부재(261)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갈고리부(260) 및 걸림 부재(261)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는 고정부(100),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로 구성된 탄성 지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로프(210)와 상기 제 2 로프(220)의 연결부는 갈고리부(260) 및 걸림 부재(26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 고정부(100) 및 탄성 지지부(200)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와 달리,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갈고리부(260)와 걸림 부재(261)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갈고리부(260)는 제 1 로프(210) 또는 제 2 로프(2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 진수 장치(10″)의 걸림 부재(261)는 갈고리부(260)가 설치된 제 1 로프(210) 또는 제 2 로프(220)의 반대편에 위치한 로프에 설치되어 상기 갈고리부(260)와 걸림 결합 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제 1 로프(210)에는 제 1 스트링(262)이 부착되거나 내장가능하고, 제 1 스트링(262)에 비해 단락이 용이한 제 2 스트링(263)이 갈고리부(260)와 걸림 부재(261)의 걸림 결합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로프(210)가 신장됨에 따라서 제 1 스트링(262)에 하중이 가해지며, 상기 제 1 스트링(262)의 하중에 의해 제 2 스트링(263)이 단락되어 갈고리부(260)가 벌어짐으로써 갈고리부(260)에 속박된 걸림 부재(261)가 갈고리부(260)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트링(262)과 제 2 스트링(263)의 연결 지점은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제 1 스트링(262)의 단부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고리의 내부에 제 2 스트링(263)이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고리는 제 1 스트링(262)에 소정 크기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제 2 스트링(263)을 용이하게 단락시킬 수 있도록 단부가 날카롭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갈고리부(260)와 걸림 부재(261)는 도 13과 같이, 'ㅏ' 형태의 제 1 스트링(262)과 제 2 스트링(263)의 조합에 의하여 속박되거나 해제될 수도 있고, 도 14에서와 같이, 제 2 스트링(263)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스트링(263)으로만 구성되는 경우에는, 걸림 부재(261)가 갈고리부(260)로부터 벗어나려는 힘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하여 그 힘에 의해 제 2 스트링(263)이 단락되고, 갈고리부(260)가 벌어짐으로써 갈고리부(260)에 속박된 걸림 부재(261)가 갈고리부(260)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로프(210)와 제 2 로프(220)가 분리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10′10″: 구명보트 진수 장치
100 : 고정부 200 : 탄성 지지부
210 : 제 1 로프 220 : 제 2 로프
230 : 전자석 231 : 전원
232 : 스위치 233 : 센서
234 : 제어기 235 : 금속체
240 : 결합 부재 250 : 전선
260 : 갈고리부 261 : 걸림 부재
262 : 제 1 스트링 263 : 제 2 스트링
300 : 구명보트

Claims (6)

  1. 구명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 가능한 제 1 로프와, 일단이 상기 제 1 로프의 타단과 연결부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구명보트와 결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 가능한 제 2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및 상기 결합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 모듈은,
    상기 전자석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상기 전기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하중에 따라 상기 스위치로 상기 전자석 및 상기 결합 부재 사이의 분리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및 상기 결합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 모듈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및
    상기 전기를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하되, 상기 제 1 로프 또는 상기 제 2 로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로프 또는 상기 제 2 로프가 소정 길이 이상 신장되면, 단락될 수 있는 전선
    을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부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프 및 상기 제 2 로프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타단에 설치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갈고리부는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갈고리부로부터 벗어나려는 힘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한 경우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20120095159A 2012-08-29 2012-08-29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138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59A KR101387761B1 (ko) 2012-08-29 2012-08-29 구명보트 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59A KR101387761B1 (ko) 2012-08-29 2012-08-29 구명보트 진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594A KR20140028594A (ko) 2014-03-10
KR101387761B1 true KR101387761B1 (ko) 2014-04-21

Family

ID=5064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59A KR101387761B1 (ko) 2012-08-29 2012-08-29 구명보트 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446A (ko) 2015-02-03 2016-08-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빗의 하강이 가능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600B1 (ko) * 2014-06-11 2020-09-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명정 투하 방법
KR102292692B1 (ko) * 2015-06-17 2021-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낙하식 구명정의 충격완화장치
KR101719191B1 (ko) * 2015-08-18 2017-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타입 가드레일을 이용한 자유낙하식 구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842A (ja) * 2006-01-26 2007-08-09 Kayaba System Machinery Kk 揚艇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842A (ja) * 2006-01-26 2007-08-09 Kayaba System Machinery Kk 揚艇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446A (ko) 2015-02-03 2016-08-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빗의 하강이 가능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594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761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CN105008218B (zh) 用于在海上运输船舶和构造物或船舶之间转移对象的改进设备和方法
US5160286A (en) Personnel transfer system
KR101497444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CN105151235A (zh) 引航员从引航船安全转驳到工作艇的方法
US10259546B2 (en) Recovery system
GB2428027A (en) Method and device for launching a life raft from a height greater than its maximum launch height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567871B1 (ko) 선박용 앵커링 장치
US2338067A (en) Submarine salvaging and lifesaving apparatus
KR20140002105U (ko) 선박용 구명부표 보관장치
KR20130006819U (ko) 펜더 계류 시스템 및 펜더 계류 방법
EP1829781B1 (en) Mooring system for a floatable unit
KR200485056Y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0477310Y1 (ko)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334352B1 (ko) 선박
US550343A (en) Life-saving apparatus
KR101616830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140033158A (ko) 진수 및 회수 시스템
KR101412248B1 (ko) 부력을 이용한 구명선 이탈장치
WO2008054223A2 (en) System for evacuation
KR20150134179A (ko) 수중 낙하산을 이용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RU69830U1 (ru) Понтон мягки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JP4562422B2 (ja) 小型艇の揚収装置
CN108423137B (zh) 护船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